KR20220080453A -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453A
KR20220080453A KR1020200169566A KR20200169566A KR20220080453A KR 20220080453 A KR20220080453 A KR 20220080453A KR 1020200169566 A KR1020200169566 A KR 1020200169566A KR 20200169566 A KR20200169566 A KR 20200169566A KR 20220080453 A KR20220080453 A KR 2022008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low path
motor
rotating plate
wash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493B1 (ko
Inventor
임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4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5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supplying cleaning fluid to windscreen cleaners, e.g.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2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of windscreen wipers
    • B60S1/483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of windscreen wipers using a supply pump driven by the windscreen-wipe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공용의 와셔탱크로부터 흡입한 와셔액을 윈드쉴드글래스와 리어글래스 및 각종 센서와 카메라 세척을 위한 와셔노즐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와셔노즐에 연결된 아웃렛관으로 와셔액을 압송해줌으로써, 별도로 설치되던 윈드쉴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 및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세척하기 위한 와셔모터를 하나의 와셔모터로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모터(100)와, 전면이 개구된 유로(2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210)와 연통되는 인렛관(220)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캡(200)과, 상기 하우징캡(200)의 전면에 개방공(310)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와셔모터(100)의 모터회전축(110)에 결합되는 샤프트(500)와, 상기 샤프트(500)에 의해 와셔모터(100)의 작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300)의 회전상태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복 수개의 유로연장부(810)가 형성되는 밸브판(800)과, 상기 유로연장부(810)와 동일한 갯수의 아웃렛관(410)이 복수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되는 것에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Automobile washer fluid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공용의 와셔탱크로부터 흡입한 와셔액을 윈드쉴드글래스와 리어글래스 및 각종 센서와 카메라 세척을 위한 와셔노즐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와셔노즐에 연결된 아웃렛관으로 와셔액을 압송해줌으로써, 별도로 설치되던 윈드쉴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 및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세척하기 위한 와셔모터를 하나의 와셔모터로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시 운전자는 윈드실드 글래스가 오염되어 운전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 와이퍼를 작동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데, 먼지나 얼룩 등은 와이퍼만으로 제거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본네트 등에 설치된 노즐 등을 통하여 와셔액을 윈드실드 글래스에 공급하면서 와이퍼를 작동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와셔액의 공급은 모터에 의해 펌프가 작동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와셔액 공급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운전자가 와셔액 분사스위치(11)를 작동시키면 배터리(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12)를 통해 정류자(13)에 전류가 흘러 모터지지부(15)에 의해 지지된 모터(14)가 회전하여 펌프(16)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펌프(16)가 작동되면서 리저버탱크(3)에 있는 와셔액은 화살표 방향으로 와셔노즐(2)에 공급된다.
최근에는 리어글래스에도 와이퍼 장치 및 와셔액 분사장치가 설치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윈드실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를 위한 와셔액 분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두 개의 와셔탱크와 와셔모터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상기 와셔탱크는 공용으로 하되 와셔모터는 반드시 두 개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율주행차에 장착되는 복 수개의 카메라와 각종 센서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와셔액을 공급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카메라렌즈에 설치된 와셔노즐 및 센서에 설치된 와셔노즐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와셔모터를 설치해야만 자율주행차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 및 센서가 세척되도록 와셔액이 공급되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2826호(등록일자 : 2010년 06월 0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율주행차에 설치된 카메라와 각종 센서 및 윈드실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에 설치된 와셔노즐중 어느 하나의 와셔노즐에 연결된 아웃렛관에 선택적으로 워셔액이 하나의 와셔모터에 의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를 제작시 부품수를 저감시켜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작단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모터(100)와, 전면이 개구된 유로(2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210)와 연통되는 인렛관(220)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캡(200)과, 상기 하우징캡(200)의 전면에 개방공(310)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와셔모터(100)의 모터회전축(110)에 결합되는 샤프트(500)와, 상기 샤프트(500)에 의해 와셔모터(100)의 작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300)의 회전상태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복 수개의 유로연장부(810)가 형성되는 밸브판(800)과, 상기 유로연장부(810)와 동일한 갯수의 아웃렛관(410)이 복수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되는 것에 달성된다.
한편, 상기 유로연장부(810)에는 와셔액의 유압에 따라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러버캡(820)이 설치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회전판(300)의 후부에는 고정판(800)가 설치된 고정판(800)의 후면에 회전판(30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지스프링(60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고정판(800)과 회전판(300)의 사이로 압력이 누유되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샤프트(500)의 일측부에는 탄지스프링(600)의 타측단부가 접촉되면서 일정한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지스프링(600)의 타측단부가 지지돌기(5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회전판(300)를 고정판(800) 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하우징캡(200)과 하우징(400) 사이에는 실러버(900)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400)과 하우징캡(200) 사이이 틈새로 워셔액이 누유되어 압력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회전판(300)에는 고정판(800)와 동일한 갯수의 개방공(310)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310)중 어느 하나의 개방공(310)을 제외한 다른 복 수개의 개방공(310)에는 개폐러버(700)가 와셔액의 유압에 의해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유로연장부(810)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개폐러버(700)가 설치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개폐러버(700)는 유로연장부(8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림판(710)이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710)의 후부에는 슬라이드이동돌기(720)가 후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돌기(72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부(311)와, 상기 삽입부(311)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이동돌기(720)의 전부에 형성된 가림판(710)이 안착되는 안착부(312)가 회전판(300)의 개방공(310)에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와셔모터(100)는 하우징캡(200)의 후부에 모터컨넥터(12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와셔모터(100)가 설치된 하우징캡(200)의 후부에는 모터하우징(130)을 결합시켜, 상기 와셔모터(1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생활방수가 이루어지면서 와셔모터(100)의 회로가 보호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이 이루어지는 와셔모터의 작동력에 의해 회전판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우징에 형성된 아웃렛노즐에 연결된 와셔노즐로 와셔액이 공급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판중 와셔액을 공급하고자 하는 와셔노즐과 연결된 아웃렛노즐에 와셔액을 공급하는 고정판만 개방되면서 와셔액이 공급되어지게 됨으로서, 자율주행차에 설치된 카메라와 각종 센서 및 윈드실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에 설치된 와셔노즐중 어느 하나의 와셔노즐에 연결된 아웃렛관에 선택적으로 워셔액이 하나의 와셔모터에 의해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에 설치된 카메라와 각종 센서 및 윈드실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에 설치된 와셔노즐중 어느 하나의 와셔노즐에 연결된 아웃렛관에 선택적으로 워셔액이 하나의 와셔모터에 의해 공급 됨으로써, 자동차를 제작시 부품수가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작단가가 절감 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셔액 공급 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구성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하우징에 고정판과 회전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절개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고정판과 회전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중 어느 하나의 고정판에 형성된 유로연장부가 개폐밸브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회전판을 보인 요부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구성을 분해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하우징에 고정판과 회전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절개단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고정판과 회전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단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중 어느 하나의 고정판에 형성된 유로연장부가 개폐밸브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의 회전판을 보인 요부확대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는 도 2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미도시)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모터(100)와, 전면이 개구된 유로(2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210)와 연통되는 인렛관(220)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캡(200)과, 기 하우징캡(200)의 전면에 개방공(310)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와셔모터(100)의 모터회전축(110)에 결합되는 샤프트(500)와, 상기 샤프트(500)에 의해 와셔모터(100)의 작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300)의 회전상태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복 수개의 유로연장부(810)가 형성된 고정판(800)과, 상기 고정판(800)에 형성된 유로연장부(810)와 동일한 갯수의 아웃렛관(410)이 복수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로연장부(810)에는 와셔액의 유압에 따라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러버캡(8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00)의 후부에는 유로연장부(810)가 형성된 고정판(800)의 후면에 회전판(30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지스프링(6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샤프트(500)의 일측부에는 탄지스프링(600)의 타측단부가 접촉되면서 일정한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캡(200)과 하우징(400) 사이에는 실러버(9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300)에는 고정판(800)에 형성ㄷ죈 유로연장부(810)와 동일한 갯수의 개방공(310)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310)중 어느 하나의 개방공(310)을 제외한 다른 복 수개의 개방공(310)에는 개폐러버(700)가 와셔액의 유압에 의해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고정판(800)에 형성된 유로연장부(810)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개폐러버(7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개폐러버(700)는 유로연장부(8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림판(710)이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710)의 후부에는 슬라이드이동돌기(720)가 후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돌기(72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부(311)와, 상기 삽입부(311)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이동돌기(720)의 전부에 형성된 가림판(710)이 안착되는 안착부(312)가 회전판(300)의 개방공(310)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와셔모터(100)는 하우징캡(200)의 후부에 모터컨넥터(12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셔모터(100)가 설치된 하우징캡(200)의 후부에는 모터하우징(130)을 결합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어부(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미도시)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와셔모터(100)가 작동되면, 상기 와셔모터(100)의 작동력에 의해 모터회전축(11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모터회전축(110)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량만큼 샤프트(500)도 동시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지면서 회전판(300)가 샤프트(500)의 회전량 만큼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00)에 형성된 북 수개의 개방공(310) 중에서 개폐러버(700)가 설치되지 않은 하나의 개방공(310)운 고정판(800)에 형성된 다수의 유로연장부(810) 중 어느 하나의 유로연장부(810)의 중심과 일치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와셔모터(100)가 작동되면서 회전판(300)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유로연장부(810)로 와셔액의 압력이 전달되고, 상기 와셔액의 압력에 의해 러버캡(820)이 유로가 형성되도록 벌어지면서 아웃렛관(410)을 통해 와셔액이 세척을 수행하고자 하는 분사노즐(미도시)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300)에 형성된 북 수개의 개방공(3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개방공(310)을 제외한 개방공(310)에 각각 설치된 개폐러버(700)는 고정판(800)에 형성된 유로연장부(810)로 인렛관(220)을 통해 하우징캡(200)에 형성된 유로(210)로 유입된 와셔액의 압력이 전달되면서 유로연장부(810)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와셔액을 공급받지 않아도 되는 복 수개의 아웃렛관(410)으로는 와셔액이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00)의 전면은 고정판(800)에 형성된 유로연장부(810)의 후면에 탄지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회전판(300)과 고정판(800) 사이의 틈새로 와셔액의 압력이 누유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캡(200)과 하우징(400) 사이에 설치된 실러버(900)에 의해 하우징캡(200)의 유로(210)로 유입된 와셔액이 하우징캡(200)과 하우징(40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와셔액의 압력이 손실되지 않게 된다.
이로인해 자율주행차에 설치된 카메라와 각종 센서 및 윈드실드 글래스와 리어글래스에 설치된 와셔노즐중 어느 하나의 와셔노즐에 연결된 아웃렛관(410)에 선택적으로 워셔액이 하나의 와셔모터(100)에 의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 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와셔모터
110 : 모터회전축
200 : 하우징캡
210 : 유로
220 : 인렛관
300 : 회전판
310 : 개방공
400 : 하우징
410 : 아웃렛관
500 : 샤프트
800 : 고정판

Claims (9)

  1.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모터(100)와, 전면이 개구된 유로(2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210)와 연통되는 인렛관(220)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우징캡(200)과, 상기 하우징캡(200)의 전면에 개방공(310)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300)과,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와셔모터(100)의 모터회전축(110)에 결합되는 샤프트(500)와, 상기 샤프트(500)에 의해 와셔모터(100)의 작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300)의 회전상태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복 수개의 유로연장부(810)가 형성되는 밸브판(800)과, 상기 유로연장부(810)와 동일한 갯수의 아웃렛관(410)이 복수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장부(810)에는 와셔액의 유압에 따라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러버캡(8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의 후부에는 고정판(800)의 후면에 회전판(30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지스프링(6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샤프트(500)의 일측부에는 탄지스프링(600)의 타측단부가 접촉되면서 일정한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캡(200)과 하우징(400) 사이에는 실러버(9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에는 고정판(800)에 형성된 유로연장부(810)와 동일한 갯수의 개방공(310)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310)중 어느 하나의 개방공(310)을 제외한 다른 복 수개의 개방공(310)에는 와셔액의 유압에 의해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고정판(800)에 형성된 유로연장부(810)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개폐러버(7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러버(700)는 유로연장부(8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가림판(710)이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710)의 후부에는 슬라이드이동돌기(720)가 후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이동돌기(72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부(311)와, 상기 삽입부(311)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이동돌기(720)의 전부에 형성된 가림판(710)이 안착되는 안착부(312)가 회전판(300)의 개방공(31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셔모터(100)는 하우징캡(200)의 후부에 모터컨넥터(12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셔모터(100)가 설치된 하우징캡(200)의 후부에는 모터하우징(1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KR1020200169566A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KR10242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566A KR102420493B1 (ko)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566A KR102420493B1 (ko)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453A true KR20220080453A (ko) 2022-06-14
KR102420493B1 KR102420493B1 (ko) 2022-07-14

Family

ID=8198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566A KR102420493B1 (ko) 2020-12-07 2020-12-07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4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826B1 (ko) 2004-11-25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액 공급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JP2013079685A (ja) * 2011-10-04 2013-05-02 Asmo Co Ltd 流路切替装置
CN206320343U (zh) * 2016-12-14 2017-07-11 佛山市新明珠卫浴有限公司 一种电子坐便器的水路分配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826B1 (ko) 2004-11-25 2010-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셔액 공급 모터 과부하 방지장치
JP2013079685A (ja) * 2011-10-04 2013-05-02 Asmo Co Ltd 流路切替装置
CN206320343U (zh) * 2016-12-14 2017-07-11 佛山市新明珠卫浴有限公司 一种电子坐便器的水路分配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493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223B2 (en) Cleaning liquid supply system having pumps connected to tank
JP5908950B2 (ja) 自動車のワイパー装置等用の液圧コネクタ
US7757337B2 (en) Vehicle wiper device
JP7342263B2 (ja) 自動車用複合ノズル
JP2007030565A (ja) 車両用ワイパ及びワイパブレード
US11511707B2 (en) Vehicle cleaner system
JP6267882B2 (ja) 車両用ウォッシャバルブ装置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KR102420493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KR102551885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배장치
JP2006291776A (ja) ポンプ装置および車両用ウォッシャポンプ装置
JP2021011121A (ja) 車載センサ洗浄装置
KR20100129458A (ko) 워셔액 펌프장치
JP5139180B2 (ja) ウォッシャポンプおよびウォッシャ装置
KR100587935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의 막힘 방지장치
KR102410240B1 (ko) 자동차용 스프레이 와셔노즐
KR102616041B1 (ko) 자동차용 와셔노즐
KR100401714B1 (ko) 세정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와셔의펌프
KR200188912Y1 (ko) 차량 윈도우 브러쉬 워셔액 분사구조
KR19980047244U (ko) 유동이 가능한 워셔액 리저버의 캡 스트랩
KR20130045055A (ko) 워셔 펌프 및 그를 이용한 워셔액 분사 장치
KR20030030110A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장치
JP2012154177A (ja) 車両用ポンプ装置
KR200173036Y1 (ko) 회전식 와셔액 리저버
JPH09188226A (ja) 液垂・劣化防止ワイパーブレード
KR100600170B1 (ko) 자동차의 분사방향 제어식 와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