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225A -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225A
KR20220080225A KR1020200169106A KR20200169106A KR20220080225A KR 20220080225 A KR20220080225 A KR 20220080225A KR 1020200169106 A KR1020200169106 A KR 1020200169106A KR 20200169106 A KR20200169106 A KR 20200169106A KR 20220080225 A KR20220080225 A KR 2022008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ed oil
pumpkin seed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종
Original Assignee
팍스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팍스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팍스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225A/ko
Publication of KR2022008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박씨 오일 50 내지 55 중량부,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 25 내지 30 중량부, 강황 3 내지 5 중량부, 콜라겐 3 내지 5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3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0.5 내지 2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0.5 내지 2 중량부, 비타민 혼합제제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식품 조성물로서 호박씨 오일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취식성이 향상되어 섭취가 용이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Articular Health Comprising Pumpkin Seed Oil}
본 발명은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박씨 오일을 함유함으로써 호박씨 오일에서 유래하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호박씨는 아르기닌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써 혈관팽창 물질로서 작용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신장 기능을 개선하고 부종을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21699호에는 호박씨를 포함하는 씨 오일을 이용하여 변비와 관절염 및 당뇨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씨에서 유래하는 오일을 이용하면 오일 내에 함유된 다양한 영양성분을 쉽게 섭취하여 적절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4819호에는 호박씨 등의 종자로부터 리놀렌산을 함유하는 오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트랜스 지방산 농도가 낮고 개선된 풍미의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보관의 용이성이나 취식성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호박씨 오일을 이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취식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6-0033266호에는 호박씨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호박씨를 선별정선해서 얇게 증열을 100℃ 이상 가하여 압착 초기에 1000파운드에서 70~80% 기름을 짠 후, 3500파운드 고압으로 짠 다음 4~5분 동안 탱크에 정치하여 침전된 협잡물을 분리해서 호박씨 기름을 얻는 방법, 호박씨를 24시간 물에 침전해서 부풀었을 때 마찰식 나선원형 통로관을 통과시켜 껍질이 부스러지게 하여 부풀은 껍질을 제거하고 탈각시킨 후 70~80℃ 온도로 30~40분 증기법으로 가열, 파쇄하여 압착기에 압쇄한 것을 100℃에서 중열, 원료를 착유기에 넣고 착유하는 방법, 호박씨를 솥에 넣고 저으면서 150℃ 내의 온도에 10~15분 볶아서 외필를 약간 태워서 분쇄하고 다시 100℃로 증열해서 압착기로 압착착유 6~7일간 정치하여 여과해서 제조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호박씨 오일 제조방법은 고품질의 오일을 제조할 수는 있으나, 식품 조성물로 이용하는 경우 쉽게 변성되며 맛이 변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216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481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6-00332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호박씨 오일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취식성이 향상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호박씨 오일의 유효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기호도가 개선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호박씨 오일 50 내지 55 중량부,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 25 내지 30 중량부, 강황 3 내지 5 중량부, 콜라겐 3 내지 5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3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0.5 내지 2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0.5 내지 2 중량부, 비타민 혼합제제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박씨 오일은 호박씨를 100 내지 200MPa의 압력으로 1 내지 3분 간 가압 처리하여 오일을 제조하고, 상기 오일을 20 내지 30℃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20 내지 30kHz의 초음파 인가하여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호박씨 오일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취식성이 향상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호박씨 오일의 유효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기호도가 개선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호박씨 오일 50 내지 55 중량부,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 25 내지 30 중량부, 강황 3 내지 5 중량부, 콜라겐 3 내지 5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3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0.5 내지 2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0.5 내지 2 중량부, 비타민 혼합제제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호박씨 오일과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은 관절염 등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어 식품 조성물에 함유될 경우 여러 가지 유용한 영양 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그 자체가 취식성이 부족하여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호박씨 오일을 고압 및 초음파 처리하여 제조함으로써 취식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박씨 오일은 호박씨를 100 내지 200MPa의 압력으로 1 내지 3분 간 가압 처리하여 오일을 제조하고, 상기 오일을 20 내지 30℃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20 내지 30kHz의 초음파 인가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도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100 내지 200MPa의 압력으로 가압 처리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호박씨 오일과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은 배합 후에도 취식성이 우수하여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호박씨 오일은 냉간압착 공정으로 제조하나, 이 경우, 호박씨 오일 자체의 풍미로 인해 취식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00℃ 정도의 열을 가하는 경우 제조하는 경우에도 호박씨 오일의 맛과 풍미가 약간 변하면서 식품 조성물을 구성할 때의 취식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상기 호박씨 오일을 가압 처리하는 공정은 일반적인 냉간압착에서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처리하고 수득된 오일을 다시 초음파 처리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호박씨 오일의 제조에 있어서, 100 내지 200MPa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온에서 상기 고압 조건을 유지하면 짧은 시간에도 충분한 오일의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호박씨를 가압할 때 상기 압력 조건에서 1 내지 3분 간 가압하는 것으로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호박씨를 가열하거나 장시간 가압하면 오일의 생성량이 조금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경우 맛과 풍미가 변하기 때문에 취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득된 오일을 20 내지 30℃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20 내지 30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일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미량의 잔존 불순물이 용해되어 취식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음파 처리한 상기 호박씨 오일은 여과 과정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호박씨 오일과 함께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을 배합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보스웰리아는 관절염을 완화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상기 호박씨 오일과 배합할 때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보스웰리아는 통상의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으나, 초음파 추출법을 적용하면 식품 조성물로서의 품질이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스웰리아의 초음파 처리는 보스웰리아에 용매로서 10 내지 20 w/v% 에탄올을 혼합하고 20 내지 30℃의 실온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초음파를 인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파 처리시 주파수는 20 내지 30kHz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처리 공정을 통해 얻어진 보스웰리아 추출액은 추가적으로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심분리액을 제조하고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면 추출액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심분리는 0 내지 10℃에서 3,0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5 내지 30분 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한 상등액을 여과할 때 공극이 0.2 내지 10㎛인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보스웰리아 추출액은 분말화하여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을 수득하게 된다. 분말화는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이를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칼럼을 장착한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호박씨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여 나머지 부원료를 배합하여 제조되는데, 호박씨 오일을 다량 함유함으로써 호박씨 유래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취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배합비율(중량부)
호박씨 오일 54.665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 29.904
강황분말 4.612
콜라겐 4.612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3.167
이산화규소 1.0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000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1.000
비타민D3 혼합제제(0.25%) 0.040
상기 표 1의 배합비율에 따라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되 호박씨 오일과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의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식품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에서 호박씨를 180MPa의 압력으로 2분 간 가압하여 착유하여 오일을 제조하고, 상기 오일을 25±1℃에서 1시간 동안 28kHz의 초음파 인가하여 초음파 처리하였다.
였다. 또한, 제조예 2에서는 호박씨를 120℃로 가열하면서 460㎏f/㎠(약 1,000파운드 압력에 해당)의 압력으로 3분 간 착유하여 호박씨 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및 2의 호박씨 오일은 정치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또한, 제조예 3에서는 보스웰리아의 분쇄물을 20 w/v% 에탄올에 침지한 후 20 내지 30℃에서 5시간 동안 20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예 4에서는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보스웰리아 추출액을 300MPa의 압력으로 3시간 동안 가압하는 가압처리를 거쳤다.
또한, 제조예 5에서는 보스웰리아의 분쇄물에 20배 부피비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여과하였다.
제조예 3 내지 5의 보스웰리아 추출액은 통상의 동결건조에 의하여 분말화함으로써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서 호박씨 오일과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은 표 2에서와 같은 성분으로 배합되었다.
호박씨 오일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
실시예1 제조예 1 제조예 4
실시예2 제조예 1 제조예 3
실시예3 제조예 2 제조예 4
실시예4 제조예 2 제조예 5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식품분야에서 관능검사 경력이 있는 패널 30명(성인 남녀 각각 15명씩 대상)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맛과 향에 대한 기호성 및, 취식의 용이성에 대한 취식성을 9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쓴맛 및 향의 발현정도는 ○, △ 및 ×로 그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때, ○는 쓴맛과 이취가 심함, △는 쓴맛과 이취가 있음, ×는 쓴맛과 이취가 없음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패널의 점수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기호성 취식성 맛과 향
실시예1 8.6 8.7 ×
실시예2 8.4 7.8 ×
실시예3 7.5 7.2
실시예4 6.2 6.8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인 실시예 1의 경우 기호성과 취식성이 우수하고 맛과 향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나, 보스웰리아 추출액을 가압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 실시예 2, 통상의 호박씨 오일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한 실시예 3, 4에서는 기호성, 취식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이 취식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

  1. 호박씨 오일 50 내지 55 중량부, 보스웰리아 추출 분말 25 내지 30 중량부, 강황 3 내지 5 중량부, 콜라겐 3 내지 5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NAG) 3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0.5 내지 2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0.5 내지 2 중량부, 비타민 혼합제제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박씨 오일은 호박씨를 100 내지 200MPa의 압력으로 1 내지 3분 간 가압 처리하여 오일을 제조하고, 상기 오일을 20 내지 30℃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20 내지 30kHz의 초음파 인가하여 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200169106A 2020-12-07 2020-12-07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20220080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06A KR20220080225A (ko) 2020-12-07 2020-12-07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06A KR20220080225A (ko) 2020-12-07 2020-12-07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25A true KR20220080225A (ko) 2022-06-14

Family

ID=8198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06A KR20220080225A (ko) 2020-12-07 2020-12-07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022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266A (ko) 1995-03-10 1996-10-22 이삼수 호박씨 기름(남과유) 제조방법
KR100421699B1 (ko) 2001-07-06 2004-03-12 강호철 씨앗기름 조성물
KR101254819B1 (ko) 2004-11-04 2013-04-15 몬산토 테크놀로지 엘엘씨 종자 오일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266A (ko) 1995-03-10 1996-10-22 이삼수 호박씨 기름(남과유) 제조방법
KR100421699B1 (ko) 2001-07-06 2004-03-12 강호철 씨앗기름 조성물
KR101254819B1 (ko) 2004-11-04 2013-04-15 몬산토 테크놀로지 엘엘씨 종자 오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1388A (ko) 치아 종자 조성물
KR101767609B1 (ko) 대추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30870A (ja) 脳機能改善剤
KR100428198B1 (ko) 라이스밀크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및 라이스밀크엑기스를 사용한 식품
EP3854226A1 (en) Method for fractionating olive pomace, its products and uses thereof
KR101194882B1 (ko) 폴리페놀 함유 나노-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는 타타리 메밀 탈피분말 차의 제조 방법
KR101891024B1 (ko)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KR102044750B1 (ko) 견과류를 활용한 화학적 첨가물이 없는 대체우유 제조방법
US9161960B2 (en) Horse feed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 derived from chia seed composition
KR20220080225A (ko)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관절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20180024606A (ko) 쌀눈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KR102555338B1 (ko) 호박씨 오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410710B1 (ko) 간장 찜닭 제조방법
US20140120234A1 (en) Chia seed composition
KR20160018078A (ko) 밤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밤조청
CN106418523B (zh) 一种稳定型软枣猕猴桃功能保健凝乳
KR100994196B1 (ko) 마늘 청국장 발효액의 제조방법
CN107156326A (zh) 阿拉伯胶复配生产植脂奶油的方法
KR101839435B1 (ko) 항비만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62980A (zh) 一种黄榄破碎方法
KR101813788B1 (ko) 순한맛을 내는 생강레몬액 제조방법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RU2728384C1 (ru) Варенье из ягод паслена черного с орехом
KR102326118B1 (ko) 고추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