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443A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443A
KR20220079443A KR1020210158625A KR20210158625A KR20220079443A KR 20220079443 A KR20220079443 A KR 20220079443A KR 1020210158625 A KR1020210158625 A KR 1020210158625A KR 20210158625 A KR20210158625 A KR 20210158625A KR 20220079443 A KR20220079443 A KR 2022007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essure
water
liquid
liqui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후루카와
유지로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001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89137A/ja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2Level of material in a container or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3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2Measuring of the driving system data, e.g. torque, speed or powe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Measuring of the properties of the mixtures, e.g. temperature, density or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Abstract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탱크와 탱크 공급로와, 가압 펌프와, 탱크 배출로와, 탱크 배출로에 설치된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탱크 순환로와 탱크 순환 펌프와, 탱크 순환로에 설치된 기체 도입 기구와,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 도입 기구는 액체를 감압하여 통과시키는 감압부와 감압부에서의 액체의 부압에 의해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는 가압 펌프를 구동시켜 탱크 공급로로부터 탱크로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탱크로부터 탱크 배출로를 통해 액조에 기체가 가압 용해된 액체를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시켜 탱크의 액체를 탱크 순환로에서 순환시킴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가 탱크로 공급된다.

Description

미세 기포 발생 장치{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0001]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특허문헌 1에, 액체에 기체를 가압 용해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탱크 공급로와, 상기 탱크 공급로에 설치된 가압 펌프와, 상기 탱크로부터 액조(液槽)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탱크 배출로와, 상기 탱크 배출로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감압(減壓)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상기 탱크에 설치된 기체 도입 기구와,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체 도입 기구는 상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구와, 상기 기체 도입구를 개폐하는 기체 도입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연 상태에서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액조로 상기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탱크에 상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 운전과,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탱크 공급로로부터 상기 탱크로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탱크 배출로를 통해 상기 액조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번갈아가며 실행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18118호
[0004] 특허문헌 1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기체 도입 운전으로 탱크에 기체가 공급되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으로 탱크로부터 기체가 소비되므로 기체 도입 운전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반드시 번갈아가며 실행해야 한다. 그러나, 기체 도입 운전의 실행중에는 탱크로부터 액조로 공급되는 액체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가 없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으로 액조의 액체에 발생시킨 미세 기포가 기체 도입 운전의 실행중에 소실되어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발생시키기 어려웠다. 본 명세서에서는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해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0005]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액체에 기체를 가압 용해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탱크 공급로와, 상기 탱크 공급로에 설치된 가압 펌프와, 상기 탱크로부터 액조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탱크 배출로와, 상기 탱크 배출로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감압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상기 탱크 배출로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탱크에 접속된 유출구로부터 상기 탱크에 접속된 유입구로 상기 액체를 보내는 탱크 순환로와, 상기 탱크 순환로에 설치된 탱크 순환 펌프와, 상기 탱크 순환로에 설치된 기체 도입 기구와,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체 도입 기구는 상기 액체를 감압하여 통과시키는 감압부와, 상기 감압부에서의 상기 액체의 부압(負壓, negative pressure)에 의해 상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압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탱크 공급로로부터 상기 탱크로 상기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탱크 배출로를 통해 상기 액조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탱크의 상기 액체를 상기 탱크 순환로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상기 기체가 상기 탱크로 공급된다.
[0006] 상기한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중일 수도 있고, 탱크 순환 펌프의 구동에 의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를 탱크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중단할 필요가 없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계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007]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기체 도입 기구가 상기 탱크 순환로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08]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 도입 기구가 탱크 순환로에 있어서 탱크 순환 펌프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감압부에서의 액체의 압력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된 기체와 탱크 순환로를 흐르는 액체가 탱크 순환 펌프를 통과할 때 탱크 순환 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므로 액체로의 기체의 용해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0009]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상기 기체 도입구를 개폐하는 기체 도입 밸브와, 상기 탱크의 액위가 제1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액위 전극과,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높은 제2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액위 전극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탱크 순환로로의 상기 유출구가 상기 탱크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의 액위는,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은 것을 상기 제1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보다 높은 것을 상기 제2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10]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보다 적은 경우에는 탱크의 액위는 하강되어 가고,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보다 많은 경우에는 탱크의 액위는 상승되어 간다. 한편,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하고 있을 때, 기체 도입 밸브를 열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기체가 도입되고, 기체 도입 밸브를 닫으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기체가 도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탱크의 액위에 따라 기체 도입 밸브의 개폐를 절환함으로써,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과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0011]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구동을 계속할 수도 있다.
[0012]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시켜 탱크의 액체를 탱크 순환로에서 순환시키면 탱크내의 액체의 유동이 격렬해진다. 가압 용해식의 탱크에서는, 탱크내의 액체의 유동이 격렬할 수록 탱크에서의 액체로의 기체의 가압 용해가 촉진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탱크 순환 펌프의 구동을 계속하므로 탱크내의 액체를 격렬하게 유동시켜 탱크에서의 액체로의 기체의 가압 용해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0013]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보다 높은 것을 상기 제2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하여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열고 나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은 것을 상기 제1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하여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을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흡기 시간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흡기 시간에 따라, 이후에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14]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기체 도입 밸브를 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에 비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 흡기 시간은 매우 짧게 된다. 반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기체 도입 밸브를 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에 비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조금 많은 경우, 흡기 시간은 매우 길게 된다.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은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실제의 흡기 시간에 따라,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과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을 적절한 균형으로 유지하고, 액조의 액체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015]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흡기 시간이 제1 흡기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후에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흡기 시간이 상기 제1 흡기 시간보다 짧은 제2 흡기 시간 미만인 경우, 이후에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16]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는,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가 높을 수록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은 증가되고,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가 낮을 수록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은 감소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흡기 시간이 제1 흡기 시간보다 긴 경우, 즉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상정보다 적은 경우,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흡기 시간이 제2 흡기 시간보다 짧은 경우, 즉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상정보다 많은 경우,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17] 또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상기 탱크의 액위가 제1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액위 전극과,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높은 제2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액위 전극을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탱크 순환로로의 상기 유출구가 상기 탱크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의 액위는,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은 것을 상기 제1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보다 높은 것을 상기 제2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18]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보다 적은 경우에는 탱크의 액위는 하강되어 가고,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보다 많은 경우에는 탱크의 액위는 상승되어 간다. 한편,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하고 있을 때,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보다 많아지고,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보다 적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가 탱크의 액위에 따라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탱크로부터 소비되는 기체의 양과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기체의 양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0019]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른 환경 파라미터를 특정하고,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상기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20]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액조의 액체에 발생하는 미세 기포의 모습은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가압 펌프를 동일하도록 구동하고 있어도,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 그 영향을 상쇄하도록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0021]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환경 파라미터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대한 상기 액조의 설치 위치, 상기 탱크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 상기 탱크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길이, 상기 탱크 공급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 및/또는 상기 탱크 공급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길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0022] 예를 들어 액조가 미세 기포 발생 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높아지고, 액조가 미세 기포 발생 장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또한 탱크 배출로의 압력 손실이 큰 경우(예를 들면, 탱크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이 작은 경우나 배관 길이가 긴 경우), 탱크로부터 탱크 배출로로 액체를 송출하기 어렵게 되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높아지고, 탱크 배출로의 압력 손실이 작은 경우(예를 들면, 탱크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이 큰 경우나 배관 길이가 짧은 경우), 탱크로부터 탱크 배출로로 액체를 송출하기 쉬워지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나아가 탱크 공급로의 압력 손실이 작은 경우(예를 들면, 탱크 공급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이 큰 경우나 배관 길이가 짧은 경우), 탱크 공급로로부터 탱크로 액체를 보내기 쉬워지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높아지고, 탱크 공급로의 압력 손실이 큰 경우(예를 들면, 탱크 공급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이 작은 경우나 배관 길이가 긴 경우), 탱크 공급로로부터 탱크로 액체를 보내기 어려워지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은 감소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0023] 또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상기 탱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탱크내의 압력을 탱크압으로서 검출하는 탱크압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압 센서로 검출되는 상기 탱크압에 따라 상기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24]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이나 그 외의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경우일지라도, 탱크압 센서로 검출되는 실제의 탱크압에 따라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0025]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압 센서로 검출되는 상기 탱크압이 제1 탱크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압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탱크압이 상기 제1 탱크압보다 낮은 제2 탱크압 미만인 경우, 상기 가압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0026]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내의 압력을 제1 탱크압과 제2 탱크압 사이에서 유지할 수 있다.
[0027]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물일 수도 있고, 상기 액조는 사용자가 목욕에 사용하는 욕조일 수도 있다.
[0028]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목욕에 사용하는 욕조의 물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029] 도 1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의 욕조 어댑터(132)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의 온수 채우기 운전에서 제어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서의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서의 물의 흐름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제어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서의 물의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에서의 물의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온수 장치(2)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제어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온수 장치(2)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제어장치(150)가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실시예 4의 온수 장치(2)에서의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의 보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4의 온수 장치(2)에서의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의 보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4의 온수 장치(2)에서의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의 보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5의 온수 장치(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5의 온수 장치(2)의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제어장치(150)가 도 6에 나타낸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는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다른 변형예의 온수 장치(2)에서의 물의 흐름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0030]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는 열원 유닛(10)과,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과, 욕조 어댑터(132)와, 제어장치(150)를 구비한다. 온수 장치(2)는 수도 등의 급수원(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고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된 물을 부엌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250)나 욕실에 설치된 욕조(13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온수 장치(2)는 사용자가 목욕에 사용하는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0031] (열원 유닛(10)의 구성)
열원 유닛(10)은 제1 열원기(12)와, 제2 열원기(14)와, 급수로(16)와, 온수 출로(18)와, 바이패스로(20)와, 바이패스 서보(22)와, 온수 주입로(24)와, 온수 채우기(bathtub filling) 밸브(26)와, 수량 센서(28)와, 순환 진행로(30)와, 순환 복귀로(32)와, 욕조 순환 펌프(34)와, 수류 스위치(36)를 구비하고 있다.
[0032] 급수로(16)의 상류단은 급수원(200)에 접속되어 있고, 급수로(16)의 하류단은 제1 열원기(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온수 출로(18)의 상류단은 제1 열원기(12)에 접속되어 있고, 온수 출로(18)의 하류단은 수도꼭지(25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열원기(12)는 예를 들어 가스의 연소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연소 열원기이다. 제1 열원기(12)는 급수로(16)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온수 출로(18)로 내보낸다.
[0033] 바이패스로(20)의 상류단은 급수로(16)에 접속되어 있고, 바이패스로(20)의 하류단은 온수 출로(18)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 서보(22)는 바이패스로(20)가 급수로(16)에 접속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서보(22)는 내장된 밸브 본체의 개도(開度)를 조정함으로써, 급수로(16)로부터 제1 열원기(12)를 경유하여 온수 출로(18)로 흐르는 물의 유량과, 급수로(16)로부터 바이패스로(20)를 경유하여 온수 출로(18)로 흐르는 물의 유량의 비율을 조정 가능하다. 바이패스 서보(22)의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로(20)가 접속하는 부위보다 하류측의 온수 출로(18)에는, 제1 열원기(12)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물과, 바이패스로(20)로부터 유입되는 저온의 물이 원하는 비율로 혼합되어 원하는 온도로 조정된 물이 공급된다. 바이패스로(20)가 접속하는 부위보다 하류측의 온수 출로(18)에는, 온수 출로(18)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출 온수 온도 서미스트(18a)가 설치되어 있다.
[0034] 온수 주입로(24)의 상류단은 바이패스로(20)가 접속하는 부위보다 하류측의 온수 출로(18)에 접속되어 있고, 온수 주입로(24)의 하류단은 순환 복귀로(32)에 접속되어 있다. 온수 채우기 밸브(26)는 온수 주입로(24)에 설치되어 있고 온수 주입로(24)를 개폐한다. 온수 채우기 밸브(26)는 평상시에는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수량 센서(28)는 온수 주입로(24)에 설치되어 있고, 온수 주입로(24)를 흐르는 물의 수량을 검출한다.
[0035] 순환 복귀로(32)의 상류단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열원귀로(60)(자세한 것은 후술 함)에 접속되어 있고, 순환 복귀로(32)의 하류단은 제2 열원기(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순환 진행로(30)의 상류단은 제2 열원기(14)에 접속되어 있고, 순환 진행로(30)의 하류단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열원행로(68)(자세한 것은 후술함)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열원기(14)는 예를 들어 가스의 연소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연소 열원기이다. 제2 열원기(14)는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순환 진행로(30)로 내보낸다. 순환 복귀로(32)의 상류단 근방에는 순환 복귀로(32)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 진행로(30)의 하류단 근방에는 순환 진행로(30)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순환 진행로 서미스트(30a)가 설치되어 있다.
[0036] 욕조 순환 펌프(34)는 온수 주입로(24)의 접속 부위보다 하류측의 순환 복귀로(32)에 설치되어 있고, 순환 복귀로(32)의 물을 제2 열원기(14)를 향해 내보낸다. 수류 스위치(36)는 순환 복귀로(32)에 있어서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2 열원기(14)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순환 복귀로(32)를 물이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0037]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구성)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은 탱크(52)와, 열원귀로(60)와, 열원행로(68)와, 탱크귀로(74)와, 탱크행로(64)와, 연통로(66)와, 제1 삼방 밸브(80)와, 제2 삼방 밸브(82)와, 역지 밸브(84)와, 탱크 급수 밸브(86)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와, 탱크 순환로(92)와, 탱크 순환 펌프(94)와, 기체 도입 기구(96)를 구비하고 있다.
[0038] 탱크(52)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탱크(52)의 내부에는 탱크(52)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저수위 전극(52a), 고수위 전극(52b) 및 어스 전극(52c)이 설치되어 있다. 저수위 전극(52a)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이하에서는 하한 수위라고도 함)는 고수위 전극(52b)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이하에서는 상한 수위라고도 함)보다 낮다. 저수위 전극(52a), 고수위 전극(52b)은 탱크(52)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면에 접촉하면, 어스 전극(52c)과의 사이에서 전류가 흘러 제어장치(150)로 ON신호를 출력한다. 탱크(52)는 물에 공기를 가압 용해하여 공기 용해수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0039] 열원귀로(60)의 일단은, 연통로(66)에 접속되어 있고, 열원귀로(60)의 타단은, 열원 유닛(10)의 순환 복귀로(32)에 접속되어 있다. 연통로(66)는, 제1 삼방 밸브(80)와 제2 삼방 밸브(82)를 접속한다. 제1 삼방 밸브(80)에는 연통로(66), 제1 욕조 수로(62), 및 탱크행로(64)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삼방 밸브(80)는 탱크행로(64)와 제1 욕조 수로(62)가 연통하고 있는 제1 연통 상태(도 7, 도 8 참조)와, 탱크행로(64)와 연통로(66)가 연통하고 있는 제2 연통 상태(도 1 참조)와, 제1 욕조 수로(62), 탱크행로(64), 및 연통로(66)가 연통하고 있는 제3 연통 상태(도 4, 도 5 참조)를 절환할 수 있다. 탱크행로(64)의 상류단은 탱크(52)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고, 탱크행로(64)의 하류단은 제1 삼방 밸브(80)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행로(64)에는, 탱크(52)로부터 제1 삼방 밸브(80)를 향해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제1 삼방 밸브(80)로부터 탱크(52)를 향해 물이 흐르는 것을 금지하는 역지 밸브(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욕조 수로(62)의 일단은 제1 삼방 밸브(80)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욕조 수로(62)의 타단은 욕조 어댑터(132)에 접속되어 있다.
[0040] 열원행로(68)의 일단은 열원 유닛(10)의 순환 진행로(30)에 접속되어 있고, 열원행로(68)의 타단은 제2 삼방 밸브(8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삼방 밸브(82)에는 연통로(66)와 열원행로(68)와 제2 욕조 수로(70)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삼방 밸브(82)는 제2 욕조 수로(70)와 연통로(66)가 연통하는 제4 연통 상태(도 7, 도 8 참조)와, 열원행로(68)와 제2 욕조 수로(70)가 연통하는 제5 연통 상태(도 1, 도 4, 도 5 참조)를 절환할 수 있다. 제2 욕조 수로(70)의 일단은 제2 삼방 밸브(82)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욕조 수로(70)의 타단은 욕조 어댑터(132)에 접속되어 있다.
[0041] 탱크귀로(74)의 상류단은 열원행로(68)에 접속되어 있고, 탱크귀로(74)의 하류단은 급수구(74a)를 통해 탱크(52)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 급수 밸브(86)는 탱크귀로(74)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귀로(74)를 개폐한다. 탱크 급수 밸브(86)는 평상시는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는 탱크귀로(74)에서 탱크 급수 밸브(86)와 탱크(5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는 탱크귀로(74)의 물을 가압하여 탱크(52)를 향해 내보낸다. 탱크귀로(74)에서 제1 가압 펌프(88)는 제2 가압 펌프(90)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0042] 탱크 순환로(92)의 상류단(이하에서는 유출구(92a)라고도 함)은 탱크(52)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고, 탱크 순환로(92)의 하류단(이하에서는 유입구(92b)라고도 함)은 탱크(52)의 꼭대기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 순환로(92)의 유출구(92a)가 탱크(52)에 접속되어 있는 부위의 수위는 저수위 전극(52a)에 의해 검출되는 하한 수위보다 낮고, 탱크 순환로(92)의 유입구(92b)가 탱크(52)에 접속되어 있는 부위의 수위는 고수위 전극(52b)에 의해 검출되는 상한 수위보다 높다. 탱크 순환 펌프(94)는 탱크 순환로(92)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순환 펌프(94)는 탱크(52)내의 물을 유출구(92a)를 통해 탱크 순환로(92)로 흡입하는 동시에 탱크 순환로(92)의 물을 유입구(92b)를 통해 탱크(52)내로 토출한다.
[0043] 기체 도입 기구(96)는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상류측의 탱크 순환로(92)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 도입 기구(96)는 입수관(98)과, 출수관(100)과, 벤츄리관(102)과, 기체 도입로(104)와, 기체 도입 밸브(106)를 구비하고 있다. 입수관(98)으로는 탱크 순환로(92)의 상류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된다. 출수관(100)은 탱크 순환로(92)의 하류측으로 물을 유출시킨다. 벤츄리관(102)은 입수관(98)과 출수관(100)을 연통하고 있다. 벤츄리관(102)의 지름은 입수관(98) 및 출수관(100)의 지름보다 작다.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은 입수관(98)으로부터 벤츄리관(102)으로 흐를 때에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까지 감압되고, 벤츄리관(102)으로부터 출수관(100)으로 흐를 때에 원래의 압력까지 증압된다. 기체 도입로(104)의 상류단(이하에서는 기체 도입구(104a)라고도 함)은 대기에 개방되어 있고, 하류단은 벤츄리관(102)에 접속되어 있다. 기체 도입 밸브(106)는 기체 도입로(104)에 설치되어 있고, 기체 도입로(104)를 개폐한다. 기체 도입 기구(96)를 물이 흐를 때,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기체 도입구(104a)를 통해 기체 도입로(104)로 공기가 흡입되어, 벤츄리관(102)을 흐르는 물에 공기가 혼합된다. 기체 도입로(104)에서 도입된 공기는 탱크 순환로(92)를 흐르는 물과 함께 탱크(52)로 유입된다. 기체 도입 밸브(106)는 평상시는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0044] 만일, 상기와 같은 기체 도입 기구(96)를 탱크귀로(74)에 설치한 경우에도, 탱크귀로(74)로부터 탱크(52)로 물이 공급될 때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공기를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탱크귀로(74)의 압력 손실이 커져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에 의해 탱크(52)로 보내지는 물의 압력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기체 도입 기구(96)에 있어서 도입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키면 탱크(52)로 보내지는 물의 압력이 감소되고, 탱크(52)로 보내지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면 기체 도입 기구(96)에 있어서 도입되는 공기량이 감소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귀로(74)와는 별개로 설치된 탱크 순환로(92)에 기체 도입 기구(9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탱크귀로(74)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탱크귀로(74)로부터 탱크(52)로 높은 압력으로 물을 보내면서 기체 도입 기구(96)에서 많은 양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다.
[0045] (욕조 어댑터(132)의 구성)
이어서, 도 2(a), (b)를 참조하여 욕조(130)의 벽부(130a)에 설치된 욕조 어댑터(13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제1 욕조 수로(62)로부터 욕조(130)를 향해 물이 흐르고, 욕조(130)로부터 제2 욕조 수로(70)를 향해 물이 흐르는 상태(예를 들어 도 7의 상태)인 경우의 욕조 어댑터(132)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욕조(130)로부터 제1 욕조 수로(62)를 향해 물이 흐르고, 제2 욕조 수로(70)로부터 욕조(130)를 향해 물이 흐르는 상태(예를 들어 도 5 상태)인 경우의 욕조 어댑터(132)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0046] 욕조 어댑터(132)는 제1 수로(136)와 제2 수로(138)를 구비한다. 제1 수로(136)는 제1 욕조 수로(62)와 연통하고 있고, 제2 수로(138)는 제2 욕조 수로(70)와 연통하고 있다. 제1 수로(136)는 제1 토출로(136a)와 제1 흡입로(136b)로 분기되어 있다. 제1 토출로(136a)는 욕조 어댑터(132)의 전면(132a)에 설치된 제1 토출구(134a)와 연통하고 있다. 제1 토출구(134a)로부터 욕조(130)로 토출되는 물은 욕조(130)의 벽부(130a)의 전방, 즉 욕조(130)의 벽부(130a)에 수직인 방향으로 토출된다. 제1 토출로(136a)에는 욕조(130)로부터 제1 욕조 수로(62)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지부(140a)와, 역지부(140a)보다 상류측(제1 욕조 수로(62)측)에 배치된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이 설치되어 있다.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은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을 통과하는 물을 감압시킨다. 제1 흡입로(136b)는 욕조 어댑터(132)의 전면(132a)에 설치된 제1 흡입구(134b)와 연통하고 있다. 제1 흡입로(136b)에는 제1 욕조 수로(62)로부터 욕조(130)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지부(140b)가 설치되어 있다.
[0047] 제2 수로(138)는 제2 토출로(138a)와 제2 흡입로(138b)로 분기되어 있다. 제2 흡입로(138b)는 욕조 어댑터(132)의 전면(132a)에 마련된 제2 흡입구(134c)와 연통하고 있다. 제2 흡입로(138b)에는 제2 욕조 수로(70)로부터 욕조(130)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지부(140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토출로(138a)는 욕조 어댑터(132)의 하면(132b)에 마련된 제2 토출구(134d)와 연통하고 있다. 제2 토출구(134d)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하부, 즉 욕조(130)의 벽부(130a)에 평행한 방향으로 토출된다. 제2 토출로(138a)에는 욕조(130)로부터 제2 욕조 수로(70)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역지부(140d)가 설치되어 있다.
[0048] (제어장치(150)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제어장치(150)는 열원 유닛(10),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1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리모콘(154)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150)는 메모리(152)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온수 채우기 운전에서의 설정 온도나 설정 수량, 데우기 운전에서의 설정 온도 등의 각종 설정을 기억 가능하다. 사용자는 리모콘(154)를 통해 후술하는 온수 채우기 운전이나 미세 기포 발생 운전, 데우기 운전의 개시나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0049] (온수 채우기 운전)
온수 채우기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콘(154)에 있어서 온수 채우기 운전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에 개시한다. 또는 온수 채우기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콘(154)에 있어서 온수 채우기 운전의 개시 시각을 설정해 두고, 제어장치(150)가 온수 채우기 운전의 개시 시각이 도래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개시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운전을 개시할 때 제1 삼방 밸브(80), 제2 삼방 밸브(82)를 각각 제3 연통 상태, 제5 연통 상태로 한다(도 4, 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제어장치(150)는 도 3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0050] S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공기 빼기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밸브(26)를 엶과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온도로 조정된 물이, 온수 출로(18)로부터 온수 주입로(24)를 통해 순환 복귀로(32)로 유입된다. 순환 복귀로(32)로 유입된 물은, 상류측(즉 열원귀로(60))을 향하는 흐름과 하류측(즉 제2 열원기(14))을 향하는 흐름으로 분기한다.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열원귀로(60)로 흐르는 물은 연통로(66), 제1 삼방 밸브(80),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유입된다. 또한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제2 열원기(14)로 흐르는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제1 욕조 수로(62)와 제2 욕조 수로(70)의 내부가 물로 채워지고, 제1 욕조 수로(62)나 제2 욕조 수로(70)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가 욕조(130)로 배출된다. 제어장치(150)는 수량 센서(28)로 검출되는 적산 수량이 소정값(예를 들어 6L)에 이르면, 온수 채우기 밸브(26)를 닫음과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가열을 종료하여 공기 빼기 처리를 종료한다.
[0051] S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잔수 검지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시켜 수류 스위치(36)가 수류를 검지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욕조(130)에 잔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욕조(130)에 잔수가 없고 욕조 어댑터(132)가 물에 잠기지 않은 경우에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해도 수류 스위치(36)가 수류를 검지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욕조(130)에 잔수가 있고 욕조 어댑터(132)가 물에 잠겨 있는 경우에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하면 수류 스위치(36)가 수류를 검지한다. S4에서 욕조(130)에 잔수가 있는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6으로 진행된다. S4에서 욕조(130)에 잔수가 없는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10으로 진행된다.
[0052] S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잔수량의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시켜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를, 가열전 온도로서 기억한다. 그 후, 제어장치(150)는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30)의 잔수가 욕조 어댑터(132), 제1 욕조 수로(62), 제1 삼방 밸브(80), 연통로(66), 열원귀로(60), 순환 복귀로(32)를 경유하여 제2 열원기(14)로 보내진다. 제2 열원기(14)에서 가열된 잔수는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되돌아간다.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를 가열후 온도로서 기억한 후 욕조 순환 펌프(34)를 정지하는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50)는 가열후 온도에서 가열전 온도를 감산한 승온폭과 S6에서의 제2 열원기(14)에서의 적산 가열량으로부터 욕조(130)의 잔수량을 산출한다.
[0053] S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운전에서의 설정 수량에서, S6에서 판정된 욕조(130)의 잔수량을 감산하여 온수 채우기 운전에서의 설정 수량을 갱신한다.
[0054] S1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밸브(26)를 엶과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온도로 조정된 물이, 온수 출로(18)로부터 온수 주입로(24)를 통해 순환 복귀로(32)로 유입된다. 순환 복귀로(32)로 유입된 물은 상류측(즉 열원귀로(60))을 향하는 흐름과 하류측(즉 제2 열원기(14))을 향하는 흐름으로 분기된다.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열원귀로(60)로 흐르는 물은 연통로(66), 제1 삼방 밸브(80),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유입된다.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제2 열원기(14)로 흐르는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유입된다.
[0055] S1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수량 센서(28)가 검출하는 적산 수량이, 온수 채우기 운전에서의 설정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아울러 여기서 말하는 적산 수량은 S2의 공기 빼기 처리에서 수량 센서(28)가 검출한 적산 수량과 S10에서 욕조(130)에의 온수 채우기를 개시하고 나서의 적산 수량을 합산한 것이다. 적산 수량이 설정 수량에 도달하면(YES가 되면) 처리는 S14로 진행된다.
[0056] S1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밸브(26)를 닫음과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다.
[0057] S1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하고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를 욕조수 온도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50)는 욕조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욕조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미치지 않는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18로 진행된다. 욕조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20으로 진행된다.
[0058] S1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물의 데우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30)의 물이 욕조 어댑터(132), 제1 욕조 수로(62), 제1 삼방 밸브(80), 연통로(66), 열원귀로(60), 순환 복귀로(32)를 경유하여 제2 열원기(14)로 보내진다. 제2 열원기(14)로 가열된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되돌아간다.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다.
[0059] S2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운전이 완료된 것을 리모콘(154)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S20 후, 도 3의 처리는 종료된다.
[0060] (미세 기포 발생 운전)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콘(154)에 있어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에 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상기한 온수 채우기 운전이 완료된 후에 자동적으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도 개시한다. 즉, 온수 채우기 운전의 실행에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된다.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개시할 때 제1 삼방 밸브(80), 제2 삼방 밸브(82)를 각각 제3 연통 상태, 제5 연통 상태로 한다(도 4, 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제어장치(150)는 도 6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0061] S3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냉수 완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50)는 순환 진행로 서미스트(30a)나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 냉수 완화 처리에 의해, 순환 진행로(30)나 순환 복귀로(32)의 내부에 저온의 물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온의 물은 열원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를 경유하여 욕조 어댑터(132)로 유입되고, 욕조 어댑터(132)의 하면(132b)의 제2 토출구(134d)로부터 욕조(130)로 배출된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가 욕조(130)에서 목욕하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저온의 물이 직접 사용자의 신체를 향해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냉수 완화 처리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하고 냉수 완화 처리를 종료한다.
[0062] S3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탱크(52)와 탱크 순환로(92) 사이에 물이 순환한다.
[0063] S3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 공기가 도입된다.
[0064] S3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52)로부터 욕조(130)로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150)는 제1 삼방 밸브(80)를 제1 연통 상태로 하고, 제2 삼방 밸브(82)를 제4 연통 상태로 한 다음,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욕조(130)의 물이 욕조 어댑터(132), 제2 욕조 수로(70), 제2 삼방 밸브(82), 연통로(66), 열원귀로(60), 순환 복귀로(32), 제2 열원기(14),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탱크귀로(74)를 경유하여 탱크(52)로 공급된다. 이 때, 탱크귀로(74)로부터 탱크(52)로는,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에 의해 가압된 물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탱크(52)의 내부에서 물에 공기가 가압 용해된다. 그리고,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은 탱크(52)로부터 탱크행로(64), 제1 삼방 밸브(80),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은 욕조 어댑터(132)의 제1 토출로(136a)의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을 통과할 때 대기압 이하까지 감압되고, 욕조(130)로 분출될 때 대기압까지 증압되어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가 발생한다.
[0065] S4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저수위 전극(52a)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96)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고 있을 때에 도입되는 공기량은, 욕조(130)의 물에 있어서 발생하는 미세 기포의 공기량보다 많다. 따라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 상태에서는 탱크(52)내의 공기량이 증대되어 가고, 탱크(52)의 수위는 하강되어 간다.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42로 진행된다.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이상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44로 진행된다.
[0066] S4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는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로의, 공기의 도입이 정지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탱크 순환 펌프(94)의 구동은 그대로 계속한다. 이에 의해, 탱크(52)내에서의 물의 유동이 촉진되어 탱크(52)에서의 물에의 공기의 가압 용해가 촉진된다.
[0067] S4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고수위 전극(52b)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은 상태에서는 탱크(52)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탱크(52)내의 공기량이 감소되어 가고, 탱크(52)의 수위는 상승되어 간다.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이상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46로 진행된다.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미만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48로 진행된다.
[0068] S4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로의, 공기의 도입이 재개된다.
[0069] S4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은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다.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온수 채우기 운전의 실행과 연동하지 않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단독으로 실행되는 경우,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10분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달리, 온수 채우기 운전의 실행과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이 실행되는 경우,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30분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40으로 복귀한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에 도달하면(YES가 되면), 처리는 S50으로 진행된다.
[0070] S5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와, 제1 가압 펌프(88)와, 제2 가압 펌프(90)를 정지시켜 탱크(52)로부터 욕조(130)로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을 종료한다.
[0071] S5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는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로의, 공기의 도입이 종료된다.
[0072] S5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세정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50)는, 온수 채우기 밸브(26)를 엶과 동시에, 제1 열원기(12)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온도로 조정된 물이 온수 출로(18)로부터 온수 주입로(24)를 통해 순환 복귀로(32)로 유입된다. 순환 복귀로(32)로 유입된 물은 상류측(즉 열원귀로(60))을 향하는 흐름과 하류측(즉 제2 열원기(14))을 향하는 흐름으로 분기된다.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열원귀로(60)로 흐르는 물은 연통로(66),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유입된다. 또한 순환 복귀로(32)로부터 제2 열원기(14)로 흐르는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탱크귀로(74), 탱크(52), 탱크행로(64), 제1 삼방 밸브(80),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탱크(52)의 내부와 탱크 순환로(92)가 세정된다.
[0073] S5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탱크(52)와 탱크 순환로(92의 사이에서의 물의 순환이 종료된다. S56 후에, 도 6의 처리는 종료된다.
[0074] (데우기 운전)
데우기 운전은 사용자가 리모콘(154)에 있어서 데움 운전의 개시를 지시한 경우에 개시한다. 제어장치(150)는 데우기 운전을 개시할 때에 제1 삼방 밸브(80)를 제3 연통 상태로 하고, 아울러 제2 삼방 밸브(82)를 제5 연통 상태로 한다(도 4, 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30)의 물이 욕조 어댑터(132), 제1 욕조 수로(62), 제1 삼방 밸브(80), 연통로(66), 열원귀로(60), 순환 복귀로(32)를 경유하여 제2 열원기(14)로 보내진다. 제2 열원기(14)로 가열된 물은 순환 진행로(30), 열원행로(68), 제2 삼방 밸브(82), 제2 욕조 수로(70), 욕조 어댑터(132)를 경유하여 욕조(130)로 복귀된다.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32a)로 검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욕조 순환 펌프(34)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 열원기(14)에 의한 물의 가열을 종료한다. 그 후, 제어장치(150)는 데우기 운전이 완료된 것을 리모콘(154)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고 데우기 운전을 종료한다.
[0075]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때 제어장치(150)가 도 6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에 도 9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처리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처리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0076] 도 9에 도시된 처리에서는, S40에서,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58로 진행된다. S5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된다. S58 후, 처리는 S44로 진행된다.
[0077] 또한 도 9에 도시된 처리에서는, S44에서,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이상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60으로 진행된다. S6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된다. S58 후, 처리는 S48로 진행된다.
[0078]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때 제어장치(150)가 도 6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에 도 10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처리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처리와 상이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0079] 도 10에 도시된 처리에서는, S38에서 탱크(52)로부터 욕조(130)에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을 개시한 후, 처리는 S62로 진행된다. S6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저수위 전극(52a)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이상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62를 반복한다.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64로 진행된다.
[0080] S6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는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에의 공기의 도입이 정지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탱크 순환 펌프(94)의 구동은 그대로 계속한다. 이에 의해, 탱크(52)내에서의 물의 유동이 촉진되어 탱크(52)에서의 물에의 공기의 가압 용해가 촉진된다.
[0081] S6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고수위 전극(52b)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이상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68로 진행된다.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 미만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72로 진행된다.
[0082] S6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로의, 공기의 도입이 재개된다.
[0083] S7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내장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흡기 시간의 계시(計時)를 시작한다.
[0084] S7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저수위 전극(52a)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이상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86으로 진행된다.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 미만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74로 진행된다.
[0085] S7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는다. 이에 의해, 탱크 순환로(92)의 기체 도입 기구(96)를 흐르는 물로의, 공기의 도입이 정지된다.
[0086] S7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내장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흡기 시간의 계시를 종료한다.
[0087] S7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S70 및 S76에서 계시된 흡기 시간이 소정의 하한 시간(예를 들어 10초)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흡기 시간이 하한 시간 미만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80으로 진행된다. 흡기 시간이 하한 시간 이상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82로 진행된다.
[0088] S8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소정값(예를 들어 10Hz)만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킨 경우,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된다. S80 후, 처리는 S82로 진행된다.
[0089] S8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흡기 시간이 소정의 상한 시간(예를 들어 20초)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흡기 시간이 상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84로 진행된다. 흡기 시간이 상한 시간 이하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86으로 진행된다.
[0090] S8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소정값(예를 들어 10Hz)만큼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킨 경우, 기체 도입 기구(96)로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한다. S84 후, 처리는 S86으로 진행된다.
[0091] S8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66으로 복귀한다.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YES가 되면) 처리는 S50으로 진행된다.
[0092]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처리의 S8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키는 경우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나,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은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키는 경우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처리의 S8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키는 경우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나,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은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키는 경우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0093]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욕조(130)의 설치 위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에 따라,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도 6 참조)에 있어서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할 때의 회전수를 보정한다. 욕조(130)의 설치 위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는 온수 장치(2)를 가옥에 설치할 때, 예를 들어 제어장치(150)에 설치된 딥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시공업자에 의해 제어장치(150)로 입력된다.
[0094]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에 대한 보정량을 특정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설치 위치(예를 들어 욕조(130)에 장착된 욕조 어댑터(132)의 설치 위치)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설치 위치(예를 들어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에서의 제1 욕조 수로(62) 및 제2 욕조 수로(70)의 접속 위치)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도 11에서는 '수평'으로 표기), 보정량을 ±0Hz로 한다. 이에 반해,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설치 위치보다 1.5m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11에서는 '아래쪽 1.5m'로 표기), 보정량을 +5Hz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설치 위치보다 3m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11에서는 '위쪽 3m'로 표기) 보정량을 -5Hz로 하고,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설치 위치보다 5m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도 11에서는 '위쪽 5m'로 표기) 보정량을 -10Hz로 한다.
[0095]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설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면 그 만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반대로,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의 설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 그 만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높은 경우에 증가시키고, 욕조(130)의 설치 위치가 낮은 경우에 감소시키도록 보정함으로써 욕조(130)의 설치 위치의 차이가 탱크(52)내의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0096] 또한/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150)는 제1 욕조 수로(62)(도 12에서는 '토출측 배관'으로 표기)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에 따라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에 대한 보정량을 특정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 10mm인 경우,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5m 미만이면 보정량을 +5Hz로 하고,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5m 이상 10m 미만이면 보정량을 ±0Hz로 하고,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10m 이상 15m 미만이면 보정량을 -5Hz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 13mm인 경우,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5m 미만이면 보정량을 +10Hz로 하고,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5m 이상 10m 미만이면 보정량을 +5Hz로 하고,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10m 이상 15m 미만이면 보정량을 ±0Hz로 한다.
[0097] 제1 욕조 수로(62)의 압력 손실이 크면 탱크(52)로부터 욕조(130)을 향해 공기 용해수가 유출되기 어려워지므로 그 만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은 높아진다. 반대로, 제1 욕조 수로(62)의 압력 손실이 작으면 탱크(52)로부터 욕조(130)를 향해 공기 용해수가 유출되기 쉬워지므로 그 만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제1 욕조 수로(62)의 압력 손실은,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 작은 경우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긴 경우에 커지고,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 큰 경우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짧은 경우에 작아진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 큰 경우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짧은 경우(즉, 제1 욕조 수로(62)의 압력 손실이 작은 경우)에 증가시키고,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 작은 경우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가 긴 경우(즉, 제1 욕조 수로(62)의 압력 손실이 큰 경우)에 감소시킴으로써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이나 배관 길이의 차이가 탱크(52)내의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0098] 또한/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150)는 제2 욕조 수로(70)(도 13에서는 '흡입측 배관'으로 표기)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에 따라,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에 대한 보정량을 특정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 10mm인 경우,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5m 미만이면 보정량을 -10Hz로 하고,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5m 이상 10m 미만이면 보정량을 ±0Hz로 하고,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10m 이상 15m 미만이면 보정량을 +10Hz로 한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 13mm인 경우,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5m 미만이면 보정량을 -20Hz로 하고,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5m 이상 10m 미만이면 보정량을 -10Hz로 하고,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10m 이상 15m 미만이면, 보정량을 ±0Hz로 한다.
[0099] 제2 욕조 수로(70)의 압력 손실이 작으면 욕조(130)로부터 탱크(52)로 물이 유입되기 쉬워지므로 그 만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은 높아진다. 반대로, 제2 욕조 수로(70)의 압력 손실이 크면 욕조(130)로부터 탱크(52)로 물이 유입되기 어려워지므로 그 만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제2 욕조 수로(70)의 압력 손실은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 작은 경우나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긴 경우에 커지고,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 큰 경우나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짧은 경우에 작아진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 작은 경우나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긴 경우(즉, 제2 욕조 수로(70)의 압력 손실이 큰 경우)에 증가시키고,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 큰 경우나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가 짧은 경우(즉, 제2 욕조 수로(70)의 압력 손실이 작은 경우)에 감소시킴으로써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이나 배관 길이의 차이가 탱크(52)내의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0100] 아울러 도 11,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회전수의 보정은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 모두에 대해서 수행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수행할 수도 있다.
[0101]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는 실시예 1의 온수 장치(2)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탱크압 센서(54)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압 센서(54)는 탱크(52)의 하한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52)의 내부의 압력을 탱크압으로서 검출한다.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도 6 참조)에 있어서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할 때의 회전수를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탱크압을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한다.
[0102]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50)는 도 6에 나타낸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S38에 있어서, 탱크(52)로부터 욕조(130)에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을 개시하면, 도 6에 도시된 처리와 병행하여 도 15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한다.
[0103] S9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탱크압이 소정의 하한 탱크압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압이 하한 탱크압 미만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94로 진행된다. 탱크압이 하한 탱크압 이상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96으로 진행된다.
[0104] S94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소정 회전수폭(예를 들어 1Hz)만큼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탱크(52)의 탱크압이 증가된다. S94 후, 처리는 S96으로 진행된다.
[0105] S96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탱크압이 하한 탱크압보다 큰 소정의 상한 탱크압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탱크압이 상한 탱크압 이상인 경우(YES의 경우), 처리는 S98로 진행된다. 탱크압이 상한 탱크압 미만인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100으로 진행된다.
[0106] S98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소정 회전수폭(예를 들어 1Hz)만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탱크(52)의 탱크압이 감소된다. S98 후, 처리는 S100으로 진행된다.
[0107] S10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가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는 도 6에 도시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S50에서, 탱크(52)로부터 욕조(130)에의 공기 용해수의 공급을 종료할 때에 정지된다.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가 정지하지 않은 경우(NO의 경우), 처리는 S92로 복귀한다.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가 정지한 경우(YES의 경우), 도 15의 처리는 종료된다.
[0108] 도 15에 도시된 처리에 의하면,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탱크압이 하한 탱크압 이상이고, 아울러 상한 탱크압 미만이 되도록,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가 조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욕조(130)의 설치 위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 등에 의해, 혹은 다른 요인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이 영향을 받는 경우일지라도 탱크(52)내의 압력을 원하는 범위내로 유지할 수 있다.
[0109] 아울러 도 15의 S94, S98에서의 회전수의 증감은 제1 가압 펌프(88) 및 제2 가압 펌프(90) 모두에 대해서 수행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수행할 수도 있다.
[0110] 본 실시예의 온수 장치(2)에서, 제어장치(150)는 도 15의 처리에 있어서, S92 ~ S98 대신에, 미리 설정된 목표 탱크압과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실제의 탱크압의 차분을 산출하고, 산출된 탱크압의 차분에 음의 계수를 곱한 보정량을 제1 가압 펌프(88) 및/또는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에 가산함으로써 제1 가압 펌프(88) 및/또는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실제의 탱크압이 목표 탱크압에 가까워져 가도록 제1 가압 펌프(88) 및/또는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가 조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욕조(130)의 설치 위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 및 배관 길이 등에 의해 혹은 다른 요인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시의 탱크(52)내의 압력이 영향을 받는 경우일지라도 탱크(52)내의 압력을 원하는 목표 탱크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0111] (기타 변형예)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 온수 채우기 운전의 실행에 연동하여 실행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는 도 6이나 도 9, 도 10의 S32의 냉수 완화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0112]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 도 6이나 도 9, 도 10의 S54의 탱크 세정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0113]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 도 6이나 도 9의 S48의 운전 시간의 판정 처리에서,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도, 리모콘(154)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종료가 지시될 때까지는 S50으로 진행하지 않고, S40으로 복귀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계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 도 10의 S86의 운전 시간의 판정 처리에서, 운전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도, 리모콘(154)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종료가 지시될 때까지는 S50으로 진행되지 않고 S66으로 복귀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계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0114]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 온수 채우기 운전의 실행에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3의 S20의 온수 채우기 종료 알림을 온수 채우기 운전의 종료시에는 수행하지 않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운전 시간이 욕조(130)의 물에 충분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정의 알림 시간(예를 들어 2분)에 도달한 후에 온수 채우기 종료 알림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에 들어가는 타이밍을 늦출 수 있어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충분히 발생시키기 전에 사용자가 욕실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115]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 온수 채우기 운전의 실행에 연동하여,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리모콘(154)을 통해 절환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0116]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는, 탱크(52)로 공기가 도입되고 있으나, 공기에 대신하여 탄산 가스, 수소, 산소 등의 기체가 탱크(52)로 도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가 충전되어 있는 기체 충전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기체 도입로(104)의 기체 도입구(104a)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0117]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는 온수 채우기 운전에 있어서 수량 센서(28)로 검출되는 적산 수량에 기초하여 욕조(130)에 설정 수량의 물을 받고 있다. 이와 달리, 온수 장치(2)는 예를 들어 욕조(130)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수위 센서를 설치해 두고 온수 채우기 운전에 있어서 수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욕조(130)의 수위에 기초하여 욕조(130)에 설정 수위의 물을 받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0118]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는 열원 유닛(10)이 수도꼭지(250)에 접속되고,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욕조(13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달리, 열원 유닛(10)이 다른 온열 이용 부위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고, 공기 가압 용해 유닛(50)이 다른 액조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0119]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는 탱크 순환로(92)에 있어서 기체 도입 기구(96)가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탱크 순환로(92)에 있어서 기체 도입 기구(96)가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0120]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는 탱크 순환로(92)와 탱크귀로(74)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하류측의 탱크 순환로(92)가 제2 가압 펌프(90)보다 하류측의 탱크귀로(74)에 합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탱크귀로(74)의 하류단의 급수구(74a)가 탱크 순환로(92)의 하류단의 유입구(92b)를 겸하게 된다. 도 16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탱크 순환로(92)와 탱크귀로(74)가 합류하는 부위보다 상류측의 탱크 순환로(92)에 기체 도입 기구(9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탱크귀로(74)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6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탱크(52)의 내부의 와류가 하나로 되어 탱크(52)에서의 물로의 공기의 용해가 보다 촉진된다.
[0121] 실시예 4나 실시예 5의 온수 장치(2)에 있어서 제어장치(150)가 실행하고 있는, 제1 가압 펌프(88) 및/또는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의 조정을 실시예 2나 실시예 3의 온수 장치(2)의 제어장치(150)가 실행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0122] 이상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예)는 물(액체의 예)에 공기(기체의 예)를 가압 용해하는 탱크(52)와, 탱크(52)로 물을 공급하는 탱크귀로(74)(탱크 공급로의 예)와, 탱크귀로(74)에 설치된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가압 펌프의 예)와, 탱크(52)로부터 욕조(130)(액조의 예)로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을 배출하는 탱크행로(64),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탱크 배출로의 예)와, 욕조 어댑터(132)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을 감압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142)과, 탱크행로(64) 및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탱크(52)에 접속된 유출구(92a)로부터 탱크(52)에 접속된 유입구(92b)로 물을 보내는 탱크 순환로(92)와, 탱크 순환로(92)에 설치된 탱크 순환 펌프(94)와, 탱크 순환로(92)에 설치된 기체 도입 기구(96)와, 제어장치(150)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 도입 기구(96)는, 물을 감압하여 통과시키는 벤츄리관(102)(감압부의 예)과, 벤츄리관(102)에서의 물의 부압에 의해 공기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구(104a)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150)는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를 구동시켜 탱크귀로(74)로부터 탱크(52)로 물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탱크(52)로부터 탱크행로(64), 제1 욕조 수로(62), 욕조 어댑터(132)를 통해 욕조(130)로 공기가 가압 용해된 물을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 가능하다. 온수 장치(2)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제어장치(150)가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켜 탱크(52)의 물을 탱크 순환로(92)에서 순환시킴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가 탱크(52)로 공급된다.
[0123] 상기한 온수 장치(2)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중일 수도 있고, 탱크 순환 펌프(94)의 구동에 의해 기체 도입 기구(96)로 도입되는 공기를 탱크(52)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5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중단할 필요가 없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계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124]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에서는 기체 도입 기구(96)가 탱크 순환로(92)에 있어서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0125]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 도입 기구(96)가 탱크 순환로(92)에 있어서 탱크 순환 펌프(94)보다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벤츄리관(102)에서의 물의 압력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된 공기와 탱크 순환로(92)를 흐르는 물이 탱크 순환 펌프(94)를 통과할 때 탱크 순환 펌프(94)의 임펠러에 의해 교반되므로 물로의 공기의 용해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0126]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는, 기체 도입구(104a)를 개폐하는 기체 도입 밸브(106)와, 탱크(52)의 수위(액위의 예)가 하한 수위(제1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저수위 전극(52a)(제1 액위 전극의 예)과,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높은 상한 수위(제2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고수위 전극(52b)(제2 액위 전극의 예)을 더 구비하고 있다. 탱크 순환로(92)에의 유출구(92a)가 탱크(52)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의 수위는 하한 수위보다 낮다.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낮은 것을 저수위 전극(52a)에 의해 검출한 경우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106)가 닫힌 상태에서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보다 높은 것을 고수위 전극(52b)에 의해 검출한 경우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0127]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적은 경우에는 탱크(52)의 수위는 하강되어 가고,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은 경우에는 탱크(52)의 수위는 상승되어 간다. 한편,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하고 있을 때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공기가 도입되고,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으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공기가 도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150)가 탱크(52)의 수위에 따라 기체 도입 밸브(106)의 개폐를 절환함으로써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과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0128]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탱크 순환 펌프(94)의 구동을 계속한다.
[0129]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시켜 탱크(52)의 물을 탱크 순환로(92)로 순환시키면, 탱크(52)내의 물의 유동이 격렬해진다. 가압 용해식의 탱크(52)에서는 탱크(52)내의 물의 유동이 격렬할 수록 탱크(52)에서의 물에의 공기의 가압 용해가 촉진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탱크 순환 펌프(94)의 구동을 계속하므로 탱크(52)내의 물을 격렬하게 유동시켜 탱크(52)에서의 물에의 공기의 가압 용해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013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보다 높은 것을 고수위 전극(52b)에 의해 검출하여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고 나서,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낮은 것을 저수위 전극(52a)에 의해 검출하여 기체 도입 밸브(106)를 닫을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흡기 시간으로서 특정하고, 흡기 시간에 따라,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1]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고 있는 상태에서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에 비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 흡기 시간은 매우 짧게 된다. 반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기체 도입 밸브(106)를 열고 있는 상태에서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에 비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금 많은 경우, 흡기 시간은 매우 길게 된다.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은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실제의 흡기 시간에 따라,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과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을 적절한 균형으로 유지하고, 욕조(130)의 물에 미세 기포를 안정적으로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013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장치(150)는 흡기 시간이 상한 시간(제1 흡기 시간의 예)을 초과하는 경우,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흡기 시간이 상한 시간보다 짧은 하한 시간(제2 흡기 시간의 예) 미만인 경우, 이후에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할 때의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3] 기체 도입 밸브(106)가 열린 상태에서는,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가 높을 수록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은 증가하고,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가 낮을 수록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은 감소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흡기 시간이 상한 시간보다 긴 경우, 즉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상정보다 적은 경우,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흡기 시간이 하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즉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상정보다 많은 경우에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0134]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는, 탱크(52)의 수위(액위의 예)가 하한 수위(제1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저수위 전극(52a) (제1 액위 전극의 예)과,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높은 상한 수위(제2 액위의 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고수위 전극(52b)(제2 액위 전극의 예)을 더 구비하고 있다. 탱크 순환로(92)로의 유출구(92a)가 탱크(52)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의 수위는 하한 수위보다 낮다.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탱크(52)의 수위가 하한 수위보다 낮은 것을 저수위 전극(52a)에 의해 검출한 경우,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탱크(52)의 수위가 상한 수위보다 높은 것을 고수위 전극(52b)에 의해 검출한 경우,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5]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적은 경우에는 탱크(52)의 수위는 하강되어 가고,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은 경우에는 탱크(52)의 수위는 상승되어 간다. 한편, 탱크 순환 펌프(94)를 구동하고 있을 때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보다 많아지고,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이 보다 적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150)가 탱크(52)의 수위에 따라 탱크 순환 펌프(94)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탱크(52)로부터 소비되는 공기의 양과 기체 도입 기구(96)에 의해 도입되는 공기의 양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0136]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장치(150)는 온수 장치(2)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른 환경 파라미터를 특정하고,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37]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 욕조(130)의 물에 발생하는 미세 기포의 모습은,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은,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를 동일하도록 구동하고 있어도, 온수 장치(2)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 따라 상이한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이 온수 장치(2)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 그 영향을 상쇄하도록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0138]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환경 파라미터는 온수 장치(2)에 대한 욕조(130)의 설치 위치,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지름, 제1 욕조 수로(62)의 배관 길이,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지름, 및/또는 제2 욕조 수로(70)의 배관 길이를 포함하고 있다.
[0139]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을 조정하므로,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0140]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온수 장치(2)는 탱크(52)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52)내의 압력을 탱크압으로서 검출하는 탱크압 센서(5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탱크압에 따라,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141]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이 온수 장치(2)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이나 그 외의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경우일지라도,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실제의 탱크압에 따라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014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장치(150)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탱크압 센서(54)로 검출되는 탱크압이 상한 탱크압(제1 탱크압의 예)을 초과하는 경우,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탱크압이 상한 탱크압보다 낮은 하한 탱크압(제2 탱크압의 예) 미만인 경우, 제1 가압 펌프(88), 제2 가압 펌프(9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0143]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하고 있을 때의 탱크(52)내의 압력을 상한 탱크압과 하한 탱크압 사이에서 유지할 수 있다.
[0144] 이상,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하는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의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2: 온수 장치
10: 열원 유닛
12: 제1 열원기
14: 제2 열원기
16: 급수로
18: 온수 출로
18a: 배출 온수 온도 서미스트
20: 바이패스로
22: 바이패스 서보
24: 온수 주입로
26: 온수 채우기 밸브
28: 수량 센서
30: 순환 진행로
30a: 순환 진행로 서미스트
32: 순환 복귀로
32a: 순환 복귀로 서미스트
34: 욕조 순환 펌프
36: 수류 스위치
50: 공기 가압 용해 유닛
52: 탱크
52a: 저수위 전극
52b: 고수위 전극
52c: 어스 전극
54: 탱크압 센서
60: 열원귀로
62: 제1 욕조 수로
64: 탱크행로
66: 연통로
68: 열원행로
70: 제2 욕조 수로
74: 탱크귀로
74a: 급수구
80: 제1 삼방 밸브
82: 제2 삼방 밸브
84: 역지 밸브
86: 탱크 급수 밸브
88: 제1 가압 펌프
90: 제2 가압 펌프
92: 탱크 순환로
92a: 유출구
92b: 유입구
94: 탱크 순환 펌프
96: 기체 도입 기구
98: 입수관
100: 출수관
102: 벤츄리관
104: 기체 도입로
104a: 기체 도입구
106: 기체 도입 밸브
130: 욕조
130a: 벽부
132: 욕조 어댑터
132a: 전면
132b: 하면
134a: 제1 토출구
134b :제1 흡입구
134c: 제2 흡입구
134d: 제2 토출구
136: 제1 수로
136a: 제1 토출로
136b: 제1 흡입로
138: 제2 수로
138a: 제2 토출로
138b: 제2 흡입로
140a: 역지부
140b: 역지부
140c: 역지부
140d: 역지부
142: 미세 기포 발생 노즐
150: 제어장치
152: 메모리
154: 리모콘
200: 급수원
250: 수도꼭지

Claims (12)

  1. 액체에 기체를 가압 용해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탱크 공급로와,
    상기 탱크 공급로에 설치된 가압 펌프와,
    상기 탱크로부터 액조(液槽)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탱크 배출로와,
    상기 탱크 배출로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감압(減壓)하여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노즐과,
    상기 탱크 배출로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탱크에 접속된 유출구로부터 상기 탱크에 접속된 유입구로 상기 액체를 보내는 탱크 순환로와,
    상기 탱크 순환로에 설치된 탱크 순환 펌프와,
    상기 탱크 순환로에 설치된 기체 도입 기구와,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체 도입 기구는,
    상기 액체를 감압하여 통과시키는 감압부와,
    상기 감압부에서의 상기 액체의 부압(負壓, negative pressure)에 의해 상기 기체를 도입하는 기체 도입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압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탱크 공급로로부터 상기 탱크로 상기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탱크 배출로를 통해 상기 액조로 상기 기체가 가압 용해된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의 실행중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탱크의 상기 액체를 상기 탱크 순환로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기체 도입 기구에 의해 도입되는 상기 기체가 상기 탱크로 공급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기구가 상기 탱크 순환로에 있어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구를 개폐하는 기체 도입 밸브와,
    상기 탱크의 액위가 제1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액위 전극과,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높은 제2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액위 전극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탱크 순환로로의 상기 유출구가 상기 탱크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은 것을 상기 제1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보다 높은 것을 상기 제2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고 있는 동안에도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구동을 계속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보다 높은 것을 상기 제2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하여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열고 나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은 것을 상기 제1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하여 상기 기체 도입 밸브를 닫을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흡기 시간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흡기 시간에 따라, 이후에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흡기 시간이 제1 흡기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후에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흡기 시간이 상기 제1 흡기 시간보다 짧은 제2 흡기 시간 미만인 경우, 이후에 상기 기체 도입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탱크 순환 펌프를 구동할 때의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제1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1 액위 전극과,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높은 제2 액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액위 전극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탱크 순환로로의 상기 유출구가 상기 탱크에 접속하고 있는 부위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1 액위보다 낮은 것을 상기 제1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액위가 상기 제2 액위보다 높은 것을 상기 제2 액위 전극에 의해 검출한 경우, 상기 탱크 순환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른 환경 파라미터를 특정하고,
    상기 환경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서의 상기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파라미터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대한 상기 액조의 설치 위치, 상기 탱크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 상기 탱크 배출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길이, 상기 탱크 공급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지름, 및/또는 상기 탱크 공급로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 길이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탱크내의 압력을 탱크압으로서 검출하는 탱크압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압 센서로 검출되는 상기 탱크압에 따라 상기 가압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운전에 있어서, 상기 탱크압 센서로 검출되는 상기 탱크압이 제1 탱크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압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탱크압이 상기 제1 탱크압보다 낮은 제2 탱크압 미만인 경우, 상기 가압 펌프의 상기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물이고,
    상기 액조가 사용자가 목욕에 사용하는 욕조인,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20210158625A 2020-12-03 2021-11-17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20220079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1181 2020-12-03
JP2020201181 2020-12-03
JP2021100135A JP2022089137A (ja) 2020-12-03 2021-06-16 微細気泡発生装置
JPJP-P-2021-100135 2021-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443A true KR20220079443A (ko) 2022-06-13

Family

ID=8185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625A KR20220079443A (ko) 2020-12-03 2021-11-17 미세 기포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9443A (ko)
CN (1) CN1146013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179A (ko) * 2017-03-01 2019-10-17 트리플 라인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6011B1 (ko) * 2022-06-22 2023-06-20 김흥성 대용량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비
KR20240009584A (ko) * 2022-07-13 2024-01-23 지수진 나노버블발생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118A (ja) 2007-07-13 2009-01-29 Rinnai Corp 微細気泡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118A (ja) 2007-07-13 2009-01-29 Rinnai Corp 微細気泡発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179A (ko) * 2017-03-01 2019-10-17 트리플 라인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미세 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6011B1 (ko) * 2022-06-22 2023-06-20 김흥성 대용량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비
KR20240009584A (ko) * 2022-07-13 2024-01-23 지수진 나노버블발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01358A (zh)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9443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4916243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4815032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と気液混合タンク
KR101170089B1 (ko) 수도관의 직수를 이용하는 미세 기포 발생장치
TW201622684A (zh) 可調節進水壓力之微氣泡產生裝置
JP2022089137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230112534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2007163028A (ja) 追焚・気泡供給システム
KR20220170728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7333156B2 (ja) 気泡発生装置、及び、気泡発生方法
KR20230011838A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7492911B2 (ja) 風呂システム
JP7213135B2 (ja) 風呂システム
JP5401150B2 (ja) 風呂装置
JP2005055101A (ja) 給湯装置
JP2023112985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21103068A (ja) 風呂装置
CN215809346U (zh) 气液混合装置和热水器
JP202311298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970204B2 (ja) 風呂装置
JP4982524B2 (ja) 気体溶解装置の起動運転制御方法
JP7324640B2 (ja) 気泡発生装置
JP2023124264A (ja) 浴槽装置
JPH09173404A (ja) 気泡発生装置
JP2009072560A (ja) 浴槽用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