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309A - 패널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패널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309A
KR20220079309A KR1020200168958A KR20200168958A KR20220079309A KR 20220079309 A KR20220079309 A KR 20220079309A KR 1020200168958 A KR1020200168958 A KR 1020200168958A KR 20200168958 A KR20200168958 A KR 20200168958A KR 20220079309 A KR20220079309 A KR 20220079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eating
storage container
seating par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947B1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패스라웨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패스라웨,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패스라웨
Priority to KR102020016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9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양 측에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측벽부가 마련되며, 적어도 일 측에 개구된 바디 및 측벽부에 설치되고,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ㅌ'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레이를 포함하고, 트레이는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측벽부에 체결되는 1쌍의 체결부와,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1쌍의 체결부의 사이에 형성하되 일끝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는 밀착부 및 밀착부에 형성하되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3 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수납용기{Panel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패널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용기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패널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용 패널이나 각종 디스플레이 기기 제조를 위한 패널 및 태양전지 제조를 위한 패널 등과 같은 기판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주변의 습기나 산소 및 공기 중 부유 물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기판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이에 기판의 보관 및 이동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판 컨테이너의 경우, 그 내부의 기판 수용 공간을 N2 가스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여 퍼징(purging)한다.
한편, 최근에는 기판의 대면적화에 따라서 기판 컨테이너의 크기 역시 대형화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 제조 분야에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평면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기기가 대면적화 되면서 대면적 기판의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을 위한 기판 컨테이너에 대한 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으며, 일례로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기판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기판이 수납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 및 도어부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잠금장치는 본체부의 개구부 측에 고정 및 해제되게 하는 주 고정유닛 및 본체부의 개구부 측에 결합되는 보조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보조 고정유닛은 주 고정유닛과 연동되어 도어부 외부로 출몰하여 본체부에 결합되는 돌기부 및 도어부 외부로 출몰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기판 수납용기는 200mm 또는 300mm의 패널만 수납이 가능한 용기임에 따라, 패널의 대형화를 추구하고 있는 현재 기술력에 한계가 있는 수납용기이며, 300mm를 초과하는 패널을 수납이 가능한 용기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01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의 패널을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한 패널 수납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양 측에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측벽부가 마련되며, 적어도 일 측에 개구된 바디; 및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고,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ㅌ'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 체결되는 1쌍의 체결부;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체결부의 사이에 형성하되 일끝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 형성하되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3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의 측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에 체결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제1 안착부의 일면에 형성하되, 상기 패널이 안착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이 제1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트레이가 삽입 및 체결될 때, 상기 패널의 개구와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벽과 밀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의 양 측에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 및 체결부 사이의 지점을 지지하여 상기 트레이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3 안착부는 상기 패널이 안착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이 제3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3 안착부의 단부 양 측에 형성되며,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3 안착부의 내부에 형성하되, 제3 안착부의 소재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3 안착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며, 제3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패널의 하중의 일부를 분산시키고, 상기 보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골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300mm 이상의 패널을 기밀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트레이가 'ㅌ'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장시간동안 패널을 보관하더라도 텐션 쳐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 및 트레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의 트레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의 트레이의 제3 안착부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의 트레이를 나타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의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양 측에 트레이(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측벽부(101)가 마련되며, 적어도 일 측에 개구된 바디(100) 및 측벽부(101)에 설치되고,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트레이(2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내부에 트레이(200)를 설치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트레이(200)에 패널을 안착하여 보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 측에 개구된 지점에 도어가 별도로 설치되어 바디(100)의 내부가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는 300mm 미만의 패널 또는 300mm 이상의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널을 선택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600mm 페널을 바디(100)의 내부에 보관하도록 설게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은 PLP(Panel Level Package), PCB(Printed Circuit Board), 글래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PLP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바디(100)는 내부 양 측(개구된 면을 기준으로 양 측)에 트레이(200)를 설치할 수 있는 측벽부(101)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0)는 바디(10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부(211)가 마련되고 측벽부(101)에 체결되는 1쌍의 체결부(210)와, 바디(10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2 안착부(231)가 마련되고 1상의 체결부의 사이에 형성하되 일 끝에 형성되어 일체화를 이루는 밀착부(230) 및 밀착부(230) 의 일정한 지점에 형성하되 바디(10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3 안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양 측에 1쌍의 체결부(2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체결부(210)의 사이에 밀착부(230) 가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밀착부(230) 의 일정한 지점에 제3 안착부(250)가 형성되어 'ㅌ'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트레이(200)는 'ㅌ'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210)는 바디(100)의 내 측을 향하더록 제1 안착부(211)가 형성되고, 바디(100)의 측벽에 밀착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이 형성하되, 상기 제1 안착부(211)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이른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210)는 제1 안착부(211) 및 별도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내측 모서리와 엇각에 해당하는 지점에 삽입부재(215)가 형성되며, 삽입부재(215)가 측벽부(101)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삽입부재(215)는 바디(100)의 측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측벽부(101)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안착부(211)는 패널이 안착되는 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어 패널이 제1 안착부(21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213)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213)는 마찰계수가 1보다 큰 소재로 이루어져 패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230) 는 트레이(200)가 바디(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될 때, 바디(100)의 개구와 맞은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바디(100)의 개구와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벽과 밀착하도록 형성되며, 바디(10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2 안착부(23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부(230) 는 체결부(210)와 연장되게 형성되며, 밀착부(230) 및 체결부(210) 사이의 지점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지지부재(233)를 밀착부(230) 의 양 측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안착부(250)는 밀착부(230) 의 일정한 지점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밀착부(230) 의 중앙에 형성하되 바디(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패널이 안착되는 지점에 일정한 간격마다 미끄럼방지부(251)를 형성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51)는 제1 안착부(211)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213)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패널이 제3 안착부(250)에서 움직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안착부(250)는 단부 양 측에 형성되어 패널의 하중의 일부를 분산시키는 돌출부(25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돌출부(257)는 바디(100)의 내 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기준으로 양 측에 형성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면적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패널을 지지할 수 있고, 제3 안착부(250)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 안착부(250)는 내부에 형성되고 제3 안착부(250)의 소재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3 안착부(250)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재(253) 및 보강부재(253)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어 제3 안착부(250)의 안착되는 패널의 하중의 일부를 분산시키고 보강부재(253)의 강성을 보강하는 골격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253)는 제3 안착부(250)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져 가볍고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제3 안착부(250)가 보강부재(253)로 인하여 텐션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 및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알루미늄 소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강성 보강 및 텐션 쳐짐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격부(255)는 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보강부재(25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253)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트레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트레이(20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트레이(200)에 패널이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수납용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바디 101 - 측벽부
200 - 트레이 201 - 내부공간
210 - 체결부 211 - 제1 안착부
213 - 미끄럼방지부 215 - 삽입부재
230 - 밀착부 231 - 제2 안착부
233 - 지지부재 250 - 제3 안착부
251 - 미끄럼방지부 253 - 보강부재
255 - 골격부 257 - 돌출부

Claims (5)

  1. 하나 이상의 패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양 측에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측벽부가 마련되며, 적어도 일 측에 개구된 바디; 및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고,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ㅌ'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 체결되는 1쌍의 체결부;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1쌍의 체결부의 사이에 형성하되 일끝에 형성되어 일체화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에 형성하되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널을 안착할 수 있는 제3 안착부;를 포함하는, 패널 수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의 측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에 체결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제1 안착부의 일면에 형성하되, 상기 패널이 안착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이 제1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하는, 패널 수납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트레이가 삽입 및 체결될 때, 상기 패널의 개구와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벽과 밀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착부의 양 측에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 및 체결부 사이의 지점을 지지하여 상기 트레이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패널 수납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안착부는 상기 패널이 안착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이 제3 안착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3 안착부의 단부 양 측에 형성되며,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패널 수납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안착부의 내부에 형성하되, 제3 안착부의 소재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3 안착부의 쳐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며, 제3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패널의 하중의 일부를 분산시키고, 상기 보강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골격부; 를 포함하는, 패널 수납용기.

KR1020200168958A 2020-12-04 2020-12-04 패널 수납용기 KR10251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58A KR102514947B1 (ko) 2020-12-04 2020-12-04 패널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958A KR102514947B1 (ko) 2020-12-04 2020-12-04 패널 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09A true KR20220079309A (ko) 2022-06-13
KR102514947B1 KR102514947B1 (ko) 2023-03-29

Family

ID=8198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958A KR102514947B1 (ko) 2020-12-04 2020-12-04 패널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9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864A (ko) * 1999-09-06 2001-05-15 오가와쓰토무 카세트용 장척(長尺)리브 및 기판용 카세트
JP2002076108A (ja) * 2000-09-04 2002-03-15 Nitto Denko Corp ウエハカセットおよびウエハの収納方法
KR2004004687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
KR100904888B1 (ko) * 2003-08-14 2009-06-29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여러 장의 반도체 웨이퍼를 수용하기 위한 카셋트
JP2011018878A (ja) * 2009-06-08 2011-01-27 Gold Kogyo Kk 精密基板収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30110B1 (ko) 2011-05-25 2013-11-18 (주)둔포기계 기판 수납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864A (ko) * 1999-09-06 2001-05-15 오가와쓰토무 카세트용 장척(長尺)리브 및 기판용 카세트
JP2002076108A (ja) * 2000-09-04 2002-03-15 Nitto Denko Corp ウエハカセットおよびウエハの収納方法
KR20040046872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을 수납하는 카세트
KR100904888B1 (ko) * 2003-08-14 2009-06-29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여러 장의 반도체 웨이퍼를 수용하기 위한 카셋트
JP2011018878A (ja) * 2009-06-08 2011-01-27 Gold Kogyo Kk 精密基板収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30110B1 (ko) 2011-05-25 2013-11-18 (주)둔포기계 기판 수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947B1 (ko)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808B2 (en) Packing materials for module of display apparatus
US20060226094A1 (en) Glass cassette for loading glass substrates of display panels
KR100529096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JP2008077027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102446066B1 (ko) 패널 수납용기에 설치되는 트레이
US9758298B2 (en) Packing box for liquid crystal glass panel
JP2006168749A (ja) ガラス搬送用枠体
KR20220079309A (ko) 패널 수납용기
KR102498995B1 (ko) 패널 수납용기의 트레이 결합구조
KR100696530B1 (ko) 포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 조립체
US20110266193A1 (en) Wafer Container With Purgeable Supporting Module
JP2009302414A (ja) 基板収納容器
KR102525006B1 (ko) 패널 수납용기의 구조물
JP7377572B2 (ja) ウェハ収納容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キャップ組立体
TWI431716B (zh) A storage box for handling jigs
WO2022215311A1 (ja) パネル収納容器
KR102291503B1 (ko) 평판형 스퍼터링타깃용 컨테이너
KR20040057921A (ko) 유리기판 반송용 박스
JP2007220990A (ja) 半導体ウェハ用カセット
JP2023141839A (ja) パネル収納容器
KR20230147647A (ko) 패널 수납 용기
KR100730147B1 (ko) 포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 조립체
KR101610643B1 (ko) 글래스 패널 이송용 밀폐장치 및 글래스 패널 이송방법
CN113682699A (zh) 物品容纳架
KR2008001060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용 포장장치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