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222A -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222A
KR20220079222A KR1020200168775A KR20200168775A KR20220079222A KR 20220079222 A KR20220079222 A KR 20220079222A KR 1020200168775 A KR1020200168775 A KR 1020200168775A KR 20200168775 A KR20200168775 A KR 20200168775A KR 20220079222 A KR20220079222 A KR 20220079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common
coupl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재익
구성헌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16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222A/ko
Publication of KR2022007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는,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대차 본체와, 이송대차 본체에 장착되며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공용 안티드랍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Common transfer vehicle for transferring dissimilar products}
본 발명은,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이종 제품들을 제품들의 종류에 무관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HS(Overhead Shuttle), OHT(Overhead Hoist Transport) 등을 포함하는 이송대차 시스템은 이송할 이송 대상물이 많은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및 이차전지 생산공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대차 시스템은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대차와, 이송대차가 주행 가능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rail)을 포함한다.
이송 대차는 이송 대상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되다가 이송 대상물을 전달할 포트(port)로 이송 대상물을 하강시켜 이송 대상물을 공급한다.
특히, 반도체 공장의 클린룸 내에서는 FOUP(Front Open Unified Pod), FOSB(Front Opening Shipping Box), 트레이(Tray), 카세트(Cassette), 매거진(Magazine) 등 다양한 반도체 보관용기 제품들이 사용되는데, 각 반도체 보관용기 제품별로 형상 및 크기가 달라 그 형상 및 크기에 맞는 개별 이송대차가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반도체 보관용기 제품 별로 개별 이송대차를 사용하는 종래의 이송대차 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개별 이송대차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점 및 개별 이송대차 별로 유지 보수를 수행해야하는 점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반도체 공정 라인이 제거되거나 개조되는 경우 해당 이송대차도 같이 폐기되는데, 각 공정에 수십에서 수백 대의 이송대차가 사용되는 점에서 금전적인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5639호, (2020.04.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른 종류의 이송 대상물을 종류에 상관없이 이송시킬 수 있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대차 본체; 및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공용 안티드랍유닛을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용 안티드랍유닛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고 상호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용 안티드랍유닛은,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지지되는 안티드랍 프레임부;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가압하는 대상물 가압부; 및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가압부용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는,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결합되는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 가압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가압부는,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가로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는 세로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부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 각각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로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되는 접촉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는, 접촉 패드; 및 상기 상부 접촉 패드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하부 접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가압부는, 상기 세로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용 이동부는, 상기 대상물 가압부에 형성된 캠 홈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부; 및 상기 캠 팔로워부에 연결되며, 상기 캠 팔로워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 대상물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의 상면부에 형성된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에 걸림결합되는 다수 개의 그리퍼부; 및 상기 그리퍼부에 연결되며, 상기 그리퍼부를 상기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지지되고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파지유닛을 회전시키는 파지용 회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용 회전유닛은, 상기 파지유닛에 결합되는 회전 블록부; 및 상기 회전 블록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블록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대차 본체와, 이송대차 본체에 장착되고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무관하게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공용 안티드랍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른 종류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단일종류의 이송대차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사용되는 이송대차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제1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제2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파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이송 대상물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에 걸림결합된 그리퍼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공용 안티드랍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대상물 가압부가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사용되는 이송대차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제1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가 제2 이송 대상물을 이송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파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제1 이송 대상물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에 걸림결합된 그리퍼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공용 안티드랍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대상물 가압부가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를 사용되는 이송대차 시스템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이송 대상물을 단일종류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로 이송함으로써, 이송 대상물의 종류 별로 여러 종류의 이송대차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은, 천장에 설치되어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110)과, 주행 레일(110) 따라 이동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와,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와 통신하며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중앙관제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한다.
주행 레일(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의 주행을 안내하는 레일, 즉 궤도이다. 주행 레일(110)은 직진 구간(111)과 커브 구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1의 주행 레일(110)에 대한 레이아웃(lay out)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도 1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직진 구간(111)은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가 직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구간이고, 커브 구간(112)은 연속된 직진 구간(111)의 일부가 일정 곡률을 가지는 구간이다. 직진 구간(111)과 커브 구간(112)은 한 지점에서 분기될 수도 있고 혹은 다시 만날 수도 있다.
이처럼 직진 구간(111)과 커브 구간(112)을 포함할 수 있는 주행 레일(110)에는 곳곳에 다수의 공정 장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이러한 공정 장비(미도시)에는 이송 대상물을 출입시키는 포트(미도시)가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해서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는 주행 레일(110)이 안내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대차 본체(210)와, 이송대차 본체(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주행 레일(110)을 따라 주행되는 다수의 휠(221, wheel)을 구비하는 주행부(220)와, 이송대차 본체(210)에 결합되며 이송 대상물을 상하방향으로 업/다운(up/down)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대상물 승강부(230)와, 이송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유닛(240)과, 파지유닛(240)을 회전시키는 파지용 회전유닛(250)과,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무관하게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대상물은 FOUP(Front Open Unified Pod), FOSB(Front Opening Shipping Box), 트레이(Tray), 카세트(Cassette), 매거진(Magazine) 등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반도체 보관용기 제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는, 제1 이송 대상물과, 제1 이송 대상물과 비교하여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제2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제1 이송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 대상물의 상부면에는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가 형상된다.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의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의 크기 및 형상은 제1 이송 대상물과 제2 대상물 별로 상이할 수 있는데, 이는 직경의 크기 및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구조에는 큰 차이가 없다.
본 실시예의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는 다수의 휠(221)이 주행 레일(110)에 올려진 상태에서 휠(221)의 작용으로 주행 레일(110) 상에서 주행될 수 있다. 참고로, 주행부(220)는 도 2처럼 휠(221) 외의 여려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의 주행부(220)와 이송 대상물 승강부(230)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문헌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파지유닛(240)은 파지용 회전유닛(250)에 결합되어 이송대차 본체(210)에 지지된다. 이러한 파지유닛(240)은 제1 이송 대상물과 제2 이송 대상물을 파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2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대상물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에 걸림결합되는 다수 개의 그리퍼부(241)와, 그리퍼부(241)에 연결되며 그리퍼부(241)를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동부(242)를 포함한다.
그리퍼부(241)는 다수 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다수 개의 그리퍼부(241)는 이송 대상물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퍼부(241)는 이송 대상물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결합된다.
도 6에서는 그리퍼부(241)가 제1 이송 대상물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에 걸림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제2 이송 대상물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도 크기나 형상(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차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제1 이송 대상물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퍼 이동부(242)는 그리퍼부(241)에 연결된다. 이러한 그리퍼 이동부(242)는 그리퍼부(241)를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그리퍼 이동부(242)의 내부에는 그리퍼부(241)에 결합되어 그리퍼부(241)를 이동시키는 구동용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배치된다.
한편, 파지용 회전유닛(250)은 이송 대상물 승강부(230)에 결합되어 이송대차 본체(210)에 지지된다. 이러한 파지용 회전유닛(250)은 파지유닛(240)에 연결되어 파지유닛(24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파지용 회전유닛(250)은, 파지유닛(240)에 결합되는 회전 블록부(미도시)와, 회전 블록부(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블록부(미도시)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회전 블록부(미도시)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블록부(미도시)에는 그리퍼 이동부(242)가 결합된다.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이송 대상물 승강부(230)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회전 블록부(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블록부(미도시)를 상하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동부(미도시)의 내부에는 회전 블록부(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블록부(미도시)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서보모터(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러한 파지용 회전유닛(250)은 파지유닛(240)을 상하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1 이송 대상물과 제2 이송 대상물 각각의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P)의 형상에 상응하게 파지용 회전유닛(250)의 그리퍼부(241)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리퍼부(241)가 제1 이송 대상물과 제2 이송 대상물 각각을 최적의 위치에서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은 이송대차 본체(210)에 장착된다.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은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무관하게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은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은 이송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고 상호 대향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차 본체(210)에 지지되는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와,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 대상물을 가압하는 대상물 가압부(280)와,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에 결합되며 대상물 가압부(280)에 연결되어 대상물 가압부(280)를 이동시키는 가압부용 이동부(290)를 포함한다.
안티드랍 프레임부(270)는 이송대차 본체(210)에 지지된다. 안티드랍 프레임부(27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차 본체(210)에 결합되는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271)와,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271)에 결합되며 대상물 가압부(28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부(28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부(272)를 포함한다.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27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271)는 이송대차 본체(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 블록부(272)는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271)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블록부(272)는 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부(272)는 대상물 가압부(28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부(28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블록부(27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대상물 가압부(280)는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의 슬라이딩 블록부(27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대상물 가압부(280)는 이송 대상물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송 대상물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가압부(28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에 연결되는 가로 플레이트부(281)와, 가로 플레이트부(281)에 결합되며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는 세로 플레이트부(286)와, 세로 플레이트부(286)에 결합되며 이송 대상물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289)를 포함한다.
가로 플레이트부(281)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가로 플레이트부(281)는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의 슬라이딩 블록부(27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 플레이트부(281)의 상면에는 슬라이딩 블록부(272)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282)가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부(282)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부(282)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슬라이딩 블록부(272)가 가이드 레일부(282)에 대해 상대이동 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부(282)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282)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레일부(282)의 길이으로 대상물 가압부(280)가 전진 및 후진된다.
또한, 가로 플레이트부(281)의 상면에는 가압부용 이동부(290)의 후술할 캠 팔로워부(291)가 삽입되는 캠 홈(283)이 형성된다. 캠 홈(28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캠 팔로워부(291)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대상물 가압부(280)가 이동되도록 한다.
세로 플레이트부(286)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 플레이트부(281)의 말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세로 플레이트부(286)는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로 플레이트부(286)에는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되는 접촉 패드(287, 288)가 마련된다. 접촉 패드(287, 288)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접촉 패드(287)와, 상부 접촉 패드(287)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하부 접촉 패드(288)를 포함한다.
상부 접촉 패드(287)와 하부 접촉 패드(288) 각각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호 이격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접촉 패드(287) 사이의 간격이 한 쌍의 하부 접촉 패드(288)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접촉 패드(287)는 제2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될 수 있으며, 하부 접촉 패드(288)는 제1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세로 플레이트부(286)에는 이송 대상물의 하부벽이 접촉되는 받침판(H1, H2)이 마련된다. 받침판(H1, H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판(H1)과, 상부 받침판(H1)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하부 받침판(H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받침판(H1)은 제2 이송 대상물의 하부벽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부 받침판(H1)은 제1 이송 대상물의 하부벽에 접촉될 수 있다.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289)는 세로 플레이트부(286)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289)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289)는 파지유닛(240)에 파지된 이송 대상물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289)는 이송 대상물의 하부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이송 중 충격 등에 의해 파지유닛(240)에서 이탈된 이송 대상물의 추락 초기에 이송 대상물을 지지하여 이송 대상물의 완전한 추락을 방지한다.
가압부용 이동부(290)는 안티드랍 프레임부(270)의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271)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부용 이동부(290)는 대상물 가압부(280)의 가로 플레이트부(281)에 연결되어 대상물 가압부(280)를 전진 및 후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용 이동부(29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플레이트부(281)에 형성된 캠 홈(283)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부(291)와, 캠 팔로워부(291)에 연결되며 캠 팔로워부(291)를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292)를 포함한다.
캠 팔로워부(29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구동부(292)의 후술할 이동 블록부(293)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291a)와, 결합 플레이트(291a)에 체결된 롤러 브래킷(291b)과, 롤러 브래킷(29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롤러(29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롤러(291c)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회전 롤러(291c)의 외주면은 캠 홈(283)의 내측벽에 접촉된다.
이동 구동부(292)는 캠 팔로워부(291)에 연결되어 캠 팔로워부(29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구동부(292)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팔로워부(291)가 결합되는 이동 블록부(293)와, 이동 블록부(293)에 연결되며 이동 블록부(293)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블록용 이동 가이드부(294)와, 이동 블록부(293)에 연결되며 이동 블록부(293)의 이동시키는 이동 블록용 액츄에이터부(295)를 포함한다.
이동 블록부(293)는 사각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 블록용 이동 가이드부(294)는 길이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 블록용 이동 가이드부(294)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된다. 가이드 그루브의 내측벽에 이동 블록부(293)의 외측벽이 연결되어 이동 블록부(293)가 이동 블록용 이동 가이드부(294)를 따라 이동된다.
이동 블록용 액츄에이터부(295)는 이동 블록부(293)에 연결되어 이동 블록부(293)의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블록용 액츄에이터부(295)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부(293)에 결합되는 이동너트(미도시)와, 이동너트(미도시)에 치합되는 볼 스크류(295a)와, 볼 스크류(295a)에 연결되어 볼 스크류(295a)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295c)를 포함한다.
한편, 중앙관제시스템(미도시)은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에 구비된 통신모듈(미도시)과 통신하여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의 이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중앙관제시스템은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의 이동 중 이상상황이 발생 시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를 긴급정지 시킨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파지유닛(240)이 이송 대상물을 파지한다. 이때,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의 대상물 가압부(28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후, 가압부용 이동부(290)의 동작에 의해 대상물 가압부(280)가 이송 대상물 방향으로 전전한다.
이송 대상물 방향으로 전진한 대상물 가압부(280)는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된다. 이때, 대상물 가압부(280)가 이동하는 거리는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1 이송 대상물 및 제2 이송 대상물 각각의 크기에 맞게 대상물 가압부(280)가 이동되어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20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대차 본체(210)와, 이송대차 본체(210)에 장착되고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무관하게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공용 안티드랍유닛(260)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다른 종류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 대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단일종류의 이송대차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주행 레일 200: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210: 이송대차 본체 240: 파지유닛
241: 그리퍼부 242: 그리퍼 이동부
250: 파지용 회전유닛 260: 공용 안티드랍유닛
270: 안티드랍 프레임부 271: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
272: 슬라이딩 블록부 280: 대상물 가압부
281: 가로 플레이트부 282: 가이드 레일부
283: 캠 홈 286: 세로 플레이트부
287: 상부 접촉 패드 288: 하부 접촉 패드
289: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 290: 가압부용 이동부
291: 캠 팔로워부 292: 이동 구동부
P: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

Claims (15)

  1.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되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이송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대차 본체; 및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공용 안티드랍유닛을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안티드랍유닛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고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안티드랍유닛은,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지지되는 안티드랍 프레임부;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송 대상물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가압하는 대상물 가압부; 및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 가압부를 이동시키는 가압부용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는,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결합되는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대상물 가압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부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가압부는,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가로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에 연결되는 세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안티드랍 프레임부에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부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 각각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블록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이송 대상물의 측벽에 접촉되는 접촉 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상부 접촉 패드; 및
    상기 상부 접촉 패드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하부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가압부는,
    상기 세로 플레이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낙하방지용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용 이동부는,
    상기 대상물 가압부에 형성된 캠 홈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부; 및
    상기 캠 팔로워부에 연결되며, 상기 캠 팔로워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지지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이송 대상물의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송 대상물의 상면부에 형성된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에 걸림결합되는 다수 개의 그리퍼부; 및
    상기 그리퍼부에 연결되며, 상기 그리퍼부를 상기 파지용 걸림 플랜지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이동부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 본체에 지지되고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파지유닛을 회전시키는 파지용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회전유닛은,
    상기 파지유닛에 결합되는 회전 블록부; 및
    상기 회전 블록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블록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KR1020200168775A 2020-12-04 2020-12-04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KR20220079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75A KR20220079222A (ko) 2020-12-04 2020-12-04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75A KR20220079222A (ko) 2020-12-04 2020-12-04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22A true KR20220079222A (ko) 2022-06-13

Family

ID=8198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775A KR20220079222A (ko) 2020-12-04 2020-12-04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92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75B1 (ko) * 2023-08-30 2024-01-10 스테코 주식회사 자재 핸들링을 위한 공용 그리퍼 및 협동 로봇 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39A (ko)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39A (ko)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75B1 (ko) * 2023-08-30 2024-01-10 스테코 주식회사 자재 핸들링을 위한 공용 그리퍼 및 협동 로봇 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3691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4378656B2 (ja) 物品搬送設備
NL1032232C2 (nl) Artikeltransportinrichting.
JP5041207B2 (ja) 物品搬送設備
JP6136775B2 (ja) 搬送装置
WO2011065146A1 (ja) 天井搬送車
US20190229003A1 (en) Overhead Transportatio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between Multiple Work Stations
WO2009141976A1 (ja) 天井搬送車
KR101234543B1 (ko) 물품 반송 설비
TW202140335A (zh) 處理容器之設備
KR20200027996A (ko) 천장 반송차, 반송 시스템, 및 천장 반송차의 제어 방법
SE465863B (sv) Oeverfoeringsanordning vid presslinje
KR20220079222A (ko) 이종제품 이송용 공용 이송대차
EP3103745B1 (en) Method and machine for discharging a roll of tape from a winding spindle
CN113120611B (zh) 一种双料连续不停机全自动收放料设备
KR101441482B1 (ko) 전동식 캐리어 이송대차
CN214827142U (zh) 一种双料连续不停机全自动收放料设备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CN113557186A (zh) 行驶车系统
JP2019156581A (ja) 搬送装置
KR102159553B1 (ko) 스트립 매거진 이송 시스템
CN211846097U (zh) 物流机器人
JP2005161379A (ja) プレス間用搬送装置
JPH03267220A (ja) ワーク移載装置
JP2889818B2 (ja) ビードの自動積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