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85A - 아마씨유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마씨유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8885A KR20220078885A KR1020200168123A KR20200168123A KR20220078885A KR 20220078885 A KR20220078885 A KR 20220078885A KR 1020200168123 A KR1020200168123 A KR 1020200168123A KR 20200168123 A KR20200168123 A KR 20200168123A KR 20220078885 A KR20220078885 A KR 202200788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xseed
- flaxseed oil
- oil
- milked
- magnesium silic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944 linseed 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5000021388 linseed oil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04426 flaxsee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MJYQFWSXKFLTAY-OVEQLNGDSA-N (2r,3r)-2,3-bis[(4-hydroxy-3-methoxyphenyl)methyl]butane-1,4-diol;(2r,3r,4s,5s,6r)-6-(hydroxymethyl)oxane-2,3,4,5-tetrol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C1=C(O)C(OC)=CC(C[C@@H](CO)[C@H](CO)CC=2C=C(OC)C(O)=CC=2)=C1 MJYQFWSXKFLTAY-OVEQLNGD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HCWCAKKEBCNQJP-UHFFFAOYSA-N magnesium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Mg+2].[Mg+2].[O-][Si]([O-])([O-])[O-] HCWCAKKEBCNQJ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19792 magnes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391 magnes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919 magnes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1 cyanide glycos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15 Mucilag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626 essential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13686 ligna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408 lign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692 lign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593 oils an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12843 omega-3 fatty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MMWHPNWAFZXNH-UHFFFAOYSA-N Benz[a]pyrene Chemical compound C1=C2C3=CC=CC=C3C=C(C=C3)C2=C2C3=CC=CC2=C1 FMMWHPNWAFZX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YQFCXCEBYINGO-IAGOWNOFSA-N delta1-THC Chemical compound C1=C(C)CC[C@H]2C(C)(C)OC3=CC(CCCCC)=CC(O)=C3[C@@H]21 CYQFCXCEBYINGO-IAGOWNOF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07 health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14 omega-3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or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시는 수퍼푸드인 아마씨유를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또한 열에 의한 산패의 우려도 없이 강한 쓴맛을 완전히 제거하여 건강의 보고인 아마씨유를 기호감이 좋고 고소하고 단백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마씨유 제조 방법은, (a) 선택적으로 아마씨를 볶는 단계; (b) 볶음이 완료된 아마씨를 흡입냉각 후 착유하거나, 볶지 않고 그대로 착유하는 단계; (c) 착유한 아마씨유에 규산마그네슘을 투입하는 단계; (d) 착유한 아마씨유와 규산마그네슘을 실온 상태에서 12시간 이상 혼합 교반하다 단계; 및 (e) 혼합교반이 완료된 아마씨유를 여과하여 잔류 규산마그네슘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마씨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씨를 착유하여 얻은 아마씨유 자체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고유한 쓴맛을 제거하기 위한 아마씨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마씨는 7천년이 넘게 약용식물로 재배되어온 역사가 있는 식물로서, 영양가가 높고 질병을 예방하는 아마인에서 유래한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풍부하고 최고의 식물성 오메가3 지방산의 원천이다.
아마씨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서 주로 재배되는 곳은 캐나다, 인도, 러시아, 미국, 아르헨티나 등이다. 국내에서는 그 제조가공이 아직 미약하며 주로 해외에서 여러 형태로 가공되거나 식품에 혼합되는 대중화된 식품의 원료이다. 또한 아마씨에는 불포화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오메가3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성분인 리그난도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필수적이고, 유익한 수퍼푸드이다.
아마씨가 수퍼푸드인 반면 시안배당체(시안화합물)라는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식약처에서는 생아마씨를 독성을 제거하는 가공처리 없이는 유통판매가 불가하도록 하였으며, 아마씨를 복용할 때에도 200℃에서 20분 이상 가열처리하여 시안배당체가 감소 및 제거된 상태에서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아마씨를 생으로 착유하거나 볶음하여 착유하였을 경우 시안배당체(시안화합물)는 검출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유지로 착유된 아마씨유 상태에서는 시안배당체(시안화합물)는 검출되지 않지만 섭취하였을 경우 강한 쓴맛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아마씨유를 섭취하기 역겨울 정도의 쓴맛으로 상당한 불쾌감을 주는 쓴맛이다.
보통 소비자들은 아마씨유의 건강의 유익성을 잘 알고 있다. 필수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오메가3)이 최소55%이상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물질인 리그난도 함유하고 있어 아마씨유를 직접 섭취 시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토록 건강한 식품을 소비자들이 많이 섭취를 못하고 있는 것은 아마씨유 특유의 강한 쓴맛으로 인해 섭취의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씨유는 식물성 오메가 3로서 가장 뛰어난 오메가3 보충제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아마씨유는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심장병으로부터 보호해주며, 고혈압을 조절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건강한 아마씨유를 거부감 없이 직접 음용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마씨유의 강한 쓴맛은 착유 후 초기에는 다소 약한 반응을 보이나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쓴맛이 강해지는 현상으로 3~4주 이후가 되면 쓴맛이 최고조에 이른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아마씨유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 없는 실정이며, 일부 해외에서는 아마씨유에 여과보조제를 넣어 100℃ 수준으로 가열하고 정제하는 방식으로 쓴맛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해당 방법과 같이 가열하여 진행할 시 불포화지방산으로서 공기와 열에 약한 아마씨유는 쉽게 산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퍼푸드인 아마씨유를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또한 열에 의한 산패의 우려도 없이 강한 쓴맛을 완전히 제거하여 건강의 보고인 아마씨유를 기호감이 좋고 고소하고 단백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열에 약한 아마씨유를 관능적, 품질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면서 거부감을 줄 수 있는 강한 쓴맛을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건강의 보고인 아마씨유를 더욱더 안전하고, 거부감을 주지 않으며, 품질 높은 수준의 건강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아마씨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마씨유 제조 방법은, (a) 선택적으로 아마씨를 볶는 단계; (b) 볶음이 완료된 아마씨를 흡입냉각 후 착유하거나, 볶지 않고 그대로 착유하는 단계; (c) 착유한 아마씨유에 규산마그네슘을 투입하는 단계; (d) 착유한 아마씨유와 규산마그네슘을 실온 상태에서 12시간 이상 혼합 교반하는 단계; 및 (e) 혼합교반이 완료된 아마씨유를 여과하여 잔류 규산마그네슘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는 200~250℃에서 20~25분 동안 볶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볶은 아마씨를 70~150℃ 수준으로 냉각하고, 냉각이 완료된 아마씨를 0~100℃의 착유기 온도에서 착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는 착유한 아마씨유 대비 1~4 중량%의 규산마그네슘 분말을 투입하고 10~20 시간 동안 열을 가하지 않은 실온에서 혼합 교반할 수 있다.
상기 단계 (e)는 0.2~1㎛의 프레스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제1 여과 과정 및 0.2~1㎛의 카트리지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제2 여과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아마씨유는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필수지방산인 식물성 오메가3 로서, 고영양을 가지고 인류의 일부질환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고, 현대사회에서 아마씨유를 쉽게 접할 수는 있으나, 아마씨유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강한 쓴맛으로 인한 거부감으로 인하여 복용이 쉽지 않은데,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이 풍부한 아마씨유의 독성이 제거되어 안전함과 아울러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강한 쓴맛을 완전히 제거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아마씨유의 쓴맛 제거 과정에서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아 산패의 우려 없이 고기능의 아마씨유를 편안히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마씨유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마씨유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볶음 단계(S10), 냉각 단계(S20), 착유 단계(S30), 혼합 반응 단계(S40), 여과 단계(S50), 및 충진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볶음 단계(S10)
볶음 단계(S10)는 아마씨를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볶는 과정으로서, 200~250℃에서 20~25분 동안 볶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에서 20분 동안 볶는다.
예를 들어, 볶음 단계(S10)에서는 볶음기의 온도를 200~250℃로 설정한 후 볶음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볶음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되면 선별된 아마씨를 볶음기에 넣고 20~25분 볶는다. 볶음기의 온도와 볶음 시간은 아마씨에 존재하는 독성물질(시안배당체)을 감소시켜 최소화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반드시 해당 설정 온도와 볶음 시간을 유지하면서 볶음을 실시한다. 볶는 과정 중 발생하는 연기는 강제 배기 실시하여 볶는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벤조피렌 등의 오염을 차단한다.
아마씨는 물에 침지 시 자체적으로 특유의 점액질이 발생한다. 그로인하여 수분을 다수 보유하는 상태에서는 점액질 발생으로 인해 볶음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마씨유 고유의 강한 쓴맛은 아마씨가 가지고 있는 점액질로 인한 발생인 경우가 상당하다. 따라서 아마씨를 물로 세척하지 않고 에어(Air)로 세척한 후 볶음 단계(S10)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냉각 단계(S20)
냉각 단계(S20)는 볶음 단계(S10)를 통해 볶음이 완료된 아마씨를 일정 온도수준으로 냉각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볶음이 완료된 아마씨를 70~150℃ 수준으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 냉각 방식은 공기와 팬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냉각하기 위한 (자가)흡입냉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단계(S20)에서는 볶음이 완료된 아마씨의 품온이 더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볶은 아마씨의 온도를 70~150℃ 수준으로 냉각한다. 냉각 단계(S20)를 통해 볶은 후의 아마씨의 온도를 낮추어 고소하고 안전한 아마씨유를 얻을 수 있다.
착유 단계(S30)
착유 단계(S30)는 냉각 단계(S20)를 통해 냉각된 아마씨를 압착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착유하기 위한 과정이다.
예를 들어, 착유 단계(S30)에서는 압착 착유기를 이용하여 냉각이 완료된 아마씨를 0~100℃의 착유기 온도에서 아마씨유를 착유한다. 착유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볶은 아마씨를 여과주머니에 넣어 착유를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착유 후 아마씨 박이 분산 및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혼합 반응 단계(S40)
혼합 반응 단계(S40)는 착유 단계(S30)를 통해 착유된 아마씨유에 규산마그네슘을 반응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착유한 아마씨유에 규산마그네슘을 투입하고, 착유한 아마씨유와 규산마그네슘을 실온(상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혼합 교반한다.
혼합 반응 단계(S40)에서는 착유된 아마씨유 대비 1~4 중량%, 바람직하게는 2~3 중량%의 규산 마그네슘분말을 해당 착유된 아마씨유에 투입하여 10~20시간(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상) 동안 별도의 가열을 시행하지 않고 상온(약 0~35℃)에서 교반(혼합)반응하여 아마씨유에서 생성되는 고유의 강한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아마씨에서 생성되는 점액질은 아마씨를 착유 시 아마씨유와 같이 배출되며 이로 인해 쓴맛이 형성되기 때문에, 아마씨유에 녹아 있는 점액질성분(쓴맛)을 여과보조제로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는 규산마그네슘을 통한 혼합교반반응으로 탈색, 정제형태로 제거되도록 하여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특별히 중요한 점은 착유된 아마씨유와 분말 규산마그네슘의 혼합물에 별도의 가열을 하지 않는 상온 상태에서 교반반응 수행해야 한다.
규산마그네슘은 식용유지에 사용되는 여과보조제로서 식품첨가물공전에 등재되어 있으며, 유지류의 여과를 빠르고 깨끗하게 하기 위하거나, 튀김 요리 시 과탄화로 인한 튀김유의 정제, 탈색에도 일부 사용되지만, 통상적으로 규산마그네슘을 사용 시에는 즉, 유지 여과 시 일부 사용하는 여과보조제로 사용 시에는 80℃~90℃수준의 높은 온도에서 사용하도록 제안되어 있으며, 튀김 요리 시에는 150℃의 아주 고온에서 사용하여야 원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마씨유는 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은 식용유지로서 열, 공기 등에 의해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고온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산화되어 산패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반응 단계(S40)에서는 착유된 아마씨유와 분말 규산마그네슘의 혼합물에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는 상온 상태에서 12시간 이상 교반반응 수행함으로써, 산패의 우려 없이 아마씨유에서 생성되는 고유의 강한 쓴맛을 제거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과 단계(S50)
여과 단계(S50)는 혼합 반응 단계(S40)를 통해 혼합교반이 완료된 아마씨유를 여과하여 잔류 규산마그네슘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프레스 필터를 사용하는 제1 여과 과정 및 카트리지 필터를 사용하는 제2 여과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단계(S50)는 규산마그네슘과 아마씨유가 교반(혼합)반응한 것에서 규산마그네슘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0.2~1㎛의 여과지를 포함한 프레스 필터를 사용하여 1차 여과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잔존하는 규산마그네슘을 제거하고, 이어 0.2~1㎛의 카트리지 필터를 사용하는 2차 여과 과정을 수행하여 1차 여과 과정에서 잔존할 수 있는 규산마그네슘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충진 단계(S60)
충진 단계(S60)는 여과 단계(S50)를 통해 여과가 완료된 최종 아마씨유를 포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볶음 단계(S10)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아마씨를 볶지 않고 그대로 착유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볶음을 시행한 후 착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볶음 단계(S10)의 수행 여부에 따라 전술한 냉각 단계(S20)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이 풍부한 아마씨유의 독성이 제거되어 안전함과 아울러 거부감을 주지 않도록 강한 쓴맛을 완전히 제거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아마씨유의 쓴맛 제거 과정에서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아 산패의 우려 없이 고기능의 아마씨유를 편안히 섭취할 수 있는 이마씨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볶음 단계
S20: 냉각 단계
S30: 착유 단계
S40: 혼합 반응 단계
S50: 여과 단계
S60: 충진 단계
S20: 냉각 단계
S30: 착유 단계
S40: 혼합 반응 단계
S50: 여과 단계
S60: 충진 단계
Claims (5)
- (a) 선택적으로 아마씨를 볶는 단계;
(b) 볶음이 완료된 아마씨를 흡입냉각 후 착유하거나, 볶지 않고 그대로 착유하는 단계;
(c) 착유한 아마씨유에 규산마그네슘을 투입하는 단계;
(d) 착유한 아마씨유와 규산마그네슘을 실온 상태에서 12시간 이상 혼합 교반하는 단계; 및
(e) 혼합교반이 완료된 아마씨유를 여과하여 잔류 규산마그네슘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200~250℃에서 20~25분 동안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볶은 아마씨를 70~150℃ 수준으로 냉각하고, 냉각이 완료된 아마씨를 0~100℃의 착유기 온도에서 착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착유한 아마씨유 대비 1~4 중량%의 규산마그네슘 분말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10~20 시간 동안 열을 가하지 않은 실온에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0.2~1㎛의 프레스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제1 여과 과정 및 0.2~1㎛의 카트리지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제2 여과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마씨유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8123A KR102554889B1 (ko) | 2020-12-04 | 2020-12-04 | 아마씨유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8123A KR102554889B1 (ko) | 2020-12-04 | 2020-12-04 | 아마씨유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8885A true KR20220078885A (ko) | 2022-06-13 |
KR102554889B1 KR102554889B1 (ko) | 2023-07-13 |
Family
ID=8198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8123A Active KR102554889B1 (ko) | 2020-12-04 | 2020-12-04 | 아마씨유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88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9264A (ko) * | 2005-02-05 | 2005-03-24 | 에이치아이티 주식회사 | 멸치유로부터 어취를 제거한 정제어유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
KR100881628B1 (ko) | 2008-07-18 | 2009-02-04 | 주식회사 바이럼 | 시안화배당체가 제거된 아마씨유의 제조방법 |
KR20120100871A (ko) * | 2012-08-09 | 2012-09-12 | (주)청양식품 | 박피기술을 이용한 벤조피렌저감화 참기름, 들기름 생산 방법 |
KR101181461B1 (ko) * | 2012-01-31 | 2012-09-13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아마 기름 및 해바라기 기름을 이용한 균형배합기름 조성물 |
KR20150083046A (ko) * | 2014-01-08 | 2015-07-1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참기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20
- 2020-12-04 KR KR1020200168123A patent/KR1025548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9264A (ko) * | 2005-02-05 | 2005-03-24 | 에이치아이티 주식회사 | 멸치유로부터 어취를 제거한 정제어유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
KR100881628B1 (ko) | 2008-07-18 | 2009-02-04 | 주식회사 바이럼 | 시안화배당체가 제거된 아마씨유의 제조방법 |
KR101181461B1 (ko) * | 2012-01-31 | 2012-09-13 |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아마 기름 및 해바라기 기름을 이용한 균형배합기름 조성물 |
KR20120100871A (ko) * | 2012-08-09 | 2012-09-12 | (주)청양식품 | 박피기술을 이용한 벤조피렌저감화 참기름, 들기름 생산 방법 |
KR20150083046A (ko) * | 2014-01-08 | 2015-07-1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참기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JP2019147952A (ja) * | 2014-01-08 | 2019-09-05 | シージェイ チェルジェダン コーポレイション | ゴマ油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4889B1 (ko) | 2023-07-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801204B (zh) | 油脂组合物 | |
JP4090143B2 (ja) | 食用油の製造法 | |
JP2012116877A (ja) | 植物油および植物粕の製造方法 | |
CN103636819B (zh) | 一种清真牛油及其制备方法 | |
JP6850898B2 (ja) | エゴマ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エゴマバターの製造方法 | |
JP4294068B2 (ja) | 食用油の製造法 | |
CN103181418B (zh) | 一种混榨食用油的方法 | |
JP2016202118A (ja) | 油脂組成物及びこれを使用した食品並びに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CN112481017A (zh) | 一种亚麻籽油生产方法 | |
KR102554889B1 (ko) | 아마씨유 제조 방법 | |
JPWO2019031035A1 (ja) | 加熱調理食品の油っぽさ低減剤及び加熱調理食品の油っぽさ低減方法 | |
JP5901136B2 (ja) | ルウ用油脂及びそれを用いたルウ | |
KR101036609B1 (ko) | 들깨잎과 들깨를 이용한 오메가―3 들깨차 및 이의 제조방법 | |
JP6639836B2 (ja) | 大豆油の製造方法、大豆トコフェロールの製造方法 | |
CN216808722U (zh) | 增香型冷榨亚麻籽油的制取设备 | |
TW201841570A (zh) | 食用油脂組成物的製造方法及食材的嫌惡風味的遮蓋方法 | |
US20200367544A1 (en) | Heating-odor-suppressing agent for cooking oil or fat composition, method for suppressing heating odor in cooking oil or fa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cooking oil or fat composition | |
KR20230173283A (ko) | 땅콩 오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땅콩 오일 | |
JP2005304411A (ja) | なたね香味油の製造法 | |
JP5850647B2 (ja) | ルウ用油脂及びそれを用いたルウ | |
JPH0145520B2 (ko) | ||
KR101498284B1 (ko) | 올리브유 조성물 및 여과 올리브유 제조 방법 | |
CN114680200A (zh) | 一种风味油脂及其制备方法 | |
KR100802428B1 (ko) | 다시마를 이용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68266B1 (ko) | 맛과 향이 뛰어난 해바라기 샐러드유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