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809A -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809A
KR20220078809A KR1020200167943A KR20200167943A KR20220078809A KR 20220078809 A KR20220078809 A KR 20220078809A KR 1020200167943 A KR1020200167943 A KR 1020200167943A KR 20200167943 A KR20200167943 A KR 20200167943A KR 20220078809 A KR20220078809 A KR 20220078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oil
part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유현숙
김승희
양명석
안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슨
Priority to KR102020016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809A/ko
Publication of KR2022007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진정 성분 위주로 이루어지는 유상층의 비율을 높여 피부 트러블 케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이렇게 유상층의 비율을 높이더라도 사용시 감촉이 가볍고 유상감을 낮출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Two layered trouble care cosmetic composition with complex functions}
본 발명은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진정 성분 위주로 이루어지는 유상층의 비율을 높여 피부 트러블 케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이렇게 유상층의 비율을 높이더라도 사용시 감촉이 가볍고 유상감을 낮출 수 있도록 한,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환경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여러 가지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피부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생체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된다.
또한, 빛과 열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 또는 외부 마찰의 누적 등으로 인해 피부의 외양 또는 기능이 변하게 된다.
이에 피부의 변화를 방지하거나 늦추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 사회적 이슈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피부 트러블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상 생활 중에 하루 종일 마스크를 착용하는 상황이 늘어나고 있는데, 마스크는 개인 방역으로서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효과는 우수하지만 오랜 시간 착용하는 경우 민감한 피부에 좋지 않은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신체의 피부 중에서 특히 안면에서 생기는 피부 트러블 문제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 보다 크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코로나 19로 인하여 마스크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마스크 접촉으로 피부 트러블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하여, 화장품 업계의 매출 동향도 '피부 트러블 케어'와 관련된 매출이 지난 해 같은 기간 보다 42% 증가하였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 케어를 위한 화장품으로 유상층과 수상층의 2층상의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있다.
종래의 2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 진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상층의 함량을 높일 필요가 있는데, 유상층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부효과로서 사용감이 무거워지고 피부에 도포시 기름기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상층의 함량이 높아지면 입자 사이의 응집이 일어나 입자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되고, 이에 유상층의 성분이 상층으로 모이면서 분리가 일어날 수 있어 안정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국내등록공보 제10-1123137호 국내등록공보 제10-2132614호 국내특허출원 10-2020-0046387
본 발명은 유상층과 수상층의 2층상으로 이루어지며, 피부 진정 성분 위주로 이루어지는 유상층의 비율을 높여 피부 트러블 케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이렇게 유상층의 비율을 높이더라도 사용시 감촉이 가볍고 유상감을 낮출 수 있고, 제형이 섞이지 않으면서 2층상으로서 안정하게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부 진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10 내지 30중량%의 유상층과, 피부 진정 성분, 미백 성분 및 주름 개선 성분을 포함하는 70 내지 90중량%의 수상층을 포함하여 제형이 2층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수상층은, 정제수와,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제 30 내지 70중량부, 방부제 1 내지 1.5중량부, pH조절제 0.2 내지 0.5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10 내지 20중량부, PP-마이크로바이옴 0.001 내지 0.5중량부, 및 수용성 기능성 원료 5.1 내지 1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층은, 식물성 오일 및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과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의 비율이 1:25 이상이며,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이 0.02% 이하의 농도를 가지는 칡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상층의 수용성 기능성 원료는 미백 성분이고,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부틴, 알파-비사보롤, 유용성감초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닥나무추출물, 에칠아스코빌에텔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상층의 수용성 기능성 원료는 주름 개선 성분이고, 레티놀, 아데노신, 레티닐팔미테이트 및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군과,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부 진정 성분은, 케모마일추출물, 병풀잎추출물, 어성초물, 녹차추출물, 님나물추출물, 당귀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포도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라이스오일, 솔잣나무잎오일, 티트리잎오일, 아줄렌 및 알란토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는 5 내지 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은, 분쇄한 칡에 30% 주정 (1:10비율)으로 하여 상온에서 추출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고, 1L 삼각플라스크에 GAM 배지 100 mL을 넣고 상기 칡 추출물을 2 내지 5%가 되도록 넣은 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EQ0315 (Pediococcus pentosaceus SEQ0315; 수탁번호 : KACC92051P)를 각각 1% 접종하여, 37℃, 48시간, 250 rpm에서 배양하고, 배양물: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1:2 비율(에틸 아세테이트가 2)로 첨가한 후 Ethyl acetate 분획층을 회전진공 감압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 진정 성분이 유상층과 수상층에 모두 포함되되, 유상층은 피부 진정 성분을 위주로 하고, 수상층은 피부 진정 성분과 미백 성분 및 주름 개선 기능 성분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상층이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지방족 탄화수소를 가지는 오일을 포함하여, 기존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유상층의 비율을 높이면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반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유상층의 비율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최소 10% 이상, 그리고 유상층의 비율을 30%까지 높이더라도 사용자가 가벼운 사용감을 느끼고 유상감이 낮아 피부 도포시 기름기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 트러블 케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제형에서 유상층과 수상층이 섞이지 않고 안정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로 화장품을 제조한 직후 화장품의 제형이 2층상으로 안정하게 분리되어 있는 성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35℃에서 보관한 본 실시 예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으로써, A는 보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보관 6주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PP-마이크로바이옴의 일반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콜라겐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P-마이크로바이옴의 일반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엘라스틴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PP-마이크로바이옴의 일반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히알루론산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PP-마이크로바이옴의 HAS-1. HAS-3 및 EGFR의 발현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SEQ0315에 대한 미생물 수탁증이다.
도 10은 피부 자극 평가시 피험자의 정보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피부 자극 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트러블 케어를 위한 화장품의 재료로 사용된다. 여기서, '트러블 케어'는 피부 진정 및 자극 완화, 보습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2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층의 함량을 높여 피부 진정 효과를 향상시키되 이로 인해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인 분석에서 출발한다.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 성분을 함유하는 유상층과 피부 진정 성분, 미백 성분 및 주름 개선 성분을 함유하는 수상층을 포함하여 제형이 액상의 2층상으로 분리되고, 복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상층은 피부 진정 성분 위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서 10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상층은 피부 진정 성분, 미백 성분 및 주름 개선 성분 등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서 70 내지 9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상층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을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여, 유상층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대비 최대 30중량%까지 포함되도록 하더라도,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상감이 낮아 피부 도포시 지나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상층은 용제 또는 피부 진정 성분인 피부컨디셔닝제로서 작용하는 오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식물성 오일 및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피부컨디셔닝제로 작용하며, 케모마일추출물, 병풀잎추출물, 어성초물, 녹차추출물, 님나물추출물, 당귀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포도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라이스오일, 솔잣나무잎오일, 티트리잎오일, 아줄렌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은 용제 또는 피부컨디셔닝제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은, 바람직하게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에 비해 유상감이 낮고 감촉이 가벼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층의 비율이 커지더라도 화장품의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피부 도포시 미끄러짐이 증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약칭 MCT),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약칭 CEH), 스쿠알란 (Sqalane), C13-15 알케인(C13-15 alkane, 별칭 헤미스쿠알란),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헵타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heptanoate) 및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아이소도데케인은 용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상층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과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의 혼합 비율은, 바람직하게 식물성 오일: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이 1:25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 식물성 오일: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은 1:29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류 오일의 함량이 상기 식물성 오일의 함량 대비 25배 미만이면 유상감이 높아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화장료 조성물로 미스트를 제조하면 사용하기 위해 흔들고 난 후 유상층과 수상층이 깔끔하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층의 대부분이 식물성 오일이 아닌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탄화수소류 오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피부에 분사시 가볍게 느껴지게 되고, 피부에 도포할 때도 기름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층은, 대부분의 성분이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상층의 비율이 전체 조성물에서 높아지게 되면, 무겁게 분사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할 때 너무 기름지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상층은, 용제인 정제수와,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제 30 내지 70중량부, 방부제 1 내지 1.5중량부, pH조절제 0.2 내지 0.5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10 내지 20중량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0.001 내지 0.5중량부, 및 수용성 기능성 원료 5.1 내지 1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상층에는 용제로서 소량의 에탄올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제는 보습 기능을 제공하고,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헥실렌 글라이콜(Hex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 에톡시다이글라이콜(Ethoxydiglycol)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용매제는 바람직하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틸렌 글라이콜과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을 각각 30 내지 70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부틸렌 글라이콜과 상기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은 각각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용매제의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인 경우 보습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용매제의 함량이 7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정제수의 비율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상층에 녹아야 하는 다른 성분들이 제대로 녹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보존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칼슘벤조에이트(Calcium Benzoate), 포타슘벤조에이트(Potassium Benzoate), 벤조익액씨드(Benzoic acid) 및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방부제는 바람직하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타슘솔베이트와 소듐벤조에이트를 총 1 내지 1.5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포타슘솔베이트와 상기 소듐벤조에이트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총 1.2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방부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유상층과 수상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력이 저하되어 보관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방부제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하면 보존제로 사용하는 쇼듐벤조에이트가 제대로 녹지 않아 제조 과정에서 수상층의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pH조절제는 싸이트릭액씨드(Citric Acid), 석시닉애씨드(Succinis Acid), 아미노메칠 프로판디올(Aminomethyl Propanediol), 아세틱액씨드 (Acetic Acid), 디소듐 포스페이트(Disodium Phosphate), 트리에탄올아민(TEA; Triethanolamine) 및 소듐 싸이트레이트(Sodium Citrate)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pH조절제는 바람직하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싸이트릭액씨드와 싸이트릭액씨드나트륨을 총 0.2 내지 0.5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싸이트릭액씨드와 상기 싸이트릭액씨드나트륨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총 0.32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싸이트릭액씨드와 싸이트릭액씨드나트륨의 비율은 1:1일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H조절제에 의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5 내지 7를 유지하여 피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5 미만의 산성 상태에서는 피지 분비량이 많아 지성 상태의 피부 환경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7을 초과하는 알칼리 상태에서는 유분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해져 피부가 예민해지게 되며 각종 세균이 번식하기 좋아 여드름 등의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pH조절제의 함량이 0.2중량부 미만이거나 또는 0.5중량부를 초과하면 유통 과정에서 극심한 온도 차이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변화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크게 흔들려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상층의 피부컨디셔닝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컨디셔닝제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피부컨디셔닝 효과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피부컨디셔닝제의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부효과로서 피부 도포시 기름기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케모마일추출물, 병풀잎추출물, 어성초물, 녹차추출물, 님나물추출물, 당귀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포도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라이스오일, 솔잣나무잎오일, 티트리잎오일, 아줄렌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일 수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 군집(mictobiota) 및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에 공존하는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 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의 미생물 군집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바이옴은 도 9의 PP-마이크로바이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분쇄한 칡에 30% 주정 (1:10비율)으로 하여 24시간 상온에서 추출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한 후, 감압 여과 한다. 그리고, 회전진공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후, 1L 삼각플라스크에 GAM 배지 100 mL을 넣고, 칡 추출물을 2 내지 5 %가 되도록 넣은 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EQ0315 (Pediococcus pentosaceus SEQ0315; 수탁번호 : KACC92051P)를 각각 1% 접종하여, 37℃, 48시간, 250 rpm에서 배양한다. 이 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1:2 비율로 첨가한 후 Ethyl acetate 분획층을 회전진공감압농축하며, 이렇게 제조된 칡 발효물을 PP-마이크로바이옴이라고 명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은 피부 내 유익균을 증진 및 촉진시키고 유해균을 억제하여 외부 유해 성분으로부터 피부의 각질층을 보호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 효과를 상승시키며 피부 건조 증상을 개선하여,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키고 더불어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은 다이즈제인(Daidzein)을 함유하는 식물인 칡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동결한 건조물을 발효 균주로 발효시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효는 발효 균주가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발효 과정이 없는 비교 예(PE)로서의 일반 칡 추출물과 실시 예(FPE)로서 발효 과정을 거친 칡 추출물의 피부 건강 유전자 발현 우위를 확인하기 위해, 비교 예와 실시 예의 콜라겐 수치, 엘라스틴 수치 및 히알루론산 수치를 세포 시험한 후의 결과를 각각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실시 예는 비교 예를 14일 동안 복용하고 분변 채취한 미생물을 선별한 것이다.
도 3은 비교 예와 실시 예의 콜라겐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비교 예와 실시 예의 엘라스틴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비교 예와 실시 예의 히알루론산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4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감소하는 것은 피부 진피층에서 탄력이 감소한다는 것으로 피부가 처지고 주름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보면, PP-마이크로바이옴의 세포 실험 효능 농도로서, 콜라겐 수치, 엘라스틴 인자 수치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수치 등의 피부 건강 유전자 발현 파라미터에서 실시 예의 모든 파라미터가 비교 예의 모든 파라미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HAS-1 (Hyaluronic acid synthase-1)과 HAS-3 (Hyaluronic acid synthase-3)에서 동일 함량인 경우 실시 예의 파라미터가 비교 예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실시 예의 발효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PP-마이크로바이옴이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 예에 비해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고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데 더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PP-마이크로바이옴의 HAS-1. HAS-3 및 EGFR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 변화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시 예의 PP-마이크로바이옴은 125ug/ml만 있어도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은 HAS-1, HAS-3 및 EGFR의 발현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화장품에서 이와 같은 농도의 PP-마이크로바이옴을 세포 실험 효능 농도의 10 내지 100배로 제형에 적용한다고 할 때, 125ug/ml = 125ug/g = 0.125mg/g = 0.000125g/g = 0.0125%로서 세포에서 효능을 보이는 PP-마이크로바이옴의 농도는 0.0125%이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수상층에서 PP-마이크로바이옴을 넣었을 때 수상층의 색 변화가 없는 0.02%를 PP-마이크로바이옴의 최대 농도로 설정한다.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의 농도가 0.02%를 초과하면 마이크로바이옴 특유의 향이 발생하여 마스킹을 추가해야 하고, 이에 향료의 비율을 높이거나 향이 더 강한 향료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상층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5중량부의 PP-마이크로바이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이 0.5중량부를 초과하면 마이크로바이옴 특유의 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기능성 원료는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미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미백 성분은 예를 들어,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부틴, 알파-비사보롤, 유용성감초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닥나무추출물, 에칠아스코빌에텔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미백 성분으로 바람직하게 나이아신아마이드 5 내지 12.5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알부틴 5 내지 12.5중량부, 알파-비사보롤 1.25중량부, 유용성감초추출물 0.125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5중량부,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7.5중량부, 닥나무추출물 5중량부, 에칠아스코빌에텔 2.5 내지 5중량부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5중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기능성 원료는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주름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주름 개선 성분은 예를 들어, 레티놀, 아데노신, 레티닐팔미테이트 및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군과, 필요시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주름 개선 성분으로 바람직하게 아데노신 0.1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레티놀 2,500 IU/g, 아데노신 0.1중량부, 레티닐팔미테이트 10,000 IU/g 및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0.125 내지 0.5중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예를 들어 허브가든향 또는 쟈스민부케향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향료는 유상층과 수상층의 총 함량을 100중량부라고 할 때 이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0.3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0.2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의 함량이 0.2중량부 미만인 경우 PP-마이크로바이옴의 향을 제대로 마스킹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향료의 함량이 0.3중량부를 초과하면 얼굴에 도포해야 하는 제품의 특성상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유상층의 비율이 높으면서도 제형이 섞이지 않고 안정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2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층의 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는 경우 사용감이 무겁게 느껴지고 피부 도포시에도 너무 기름지게 느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유상층의 성분을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을 포함하도록 조절하여, 사용감을 가볍게 하고 피부 도포시에 기름지게 느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시험 예 1>
비교 예로서 종래의 2층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 예 1은, 유상층이 라이스오일 1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5중량%, 아이소도데케인 14중량%, 및 님나물추출물 0.1중량%를 포함한다.
실시 예 2는, 유상층이 라이스오일 1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5중량%, 아이소도데케인 15중량% 및 님나물추출물 0.1중량%를 포함하고, 실시 예 1과 비교할 때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중량% 및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헵타노에이트 4중량%를 더 포함한다.
위와 같이, 실시 예 1 및 2의 경우, 유상층에서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이 식물성 오일에 비해 높은 비율로 포함된다.
그리고, 실시 예 1 및 2는, 수상층에서 용매제로 부틸렌글라이콜 및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각각 10중량% 포함한다. 방부제는 소듐벤조에이트를 0.5중량부 포함한다. pH조절제는 싸이트릭액씨드 0.05중량%와 소듐싸이트레이트 0.08중량%를 포함한다.
비교 예 1 과 2는 실시 예 1 및 2와 비교할 때, 유상층에서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의 함량은 줄이고 식물성 오일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서, 용제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비교 예 1은, 유상층이 라이스오일 1중량%, 아보카도오일 10중량%, 호호바오일 8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1중량%, 님나물추출물 0.1중량%를 포함한다.
비교 예 2는, 유상층이 라이스오일 1중량%, 아보카도오일 10중량%, 해바라기씨오일 8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1중량%, 님나물추출물 0.1중량%를 포함한다. 즉, 비교 예 2는 비교 예 1과 비교 할 때 호호바오일 대신에 해바라기씨오일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다른 부분은 유사하다.
그리고, 피부 미용적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 예 1 및 2와 실시 예 1 및 2를 이용하여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미용적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 시험은, 실시 예 1 및 2와 비교 예 1 및 2에 따라 각각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으로 피부 진정 및 보습 정도에 대한 수분 지속력과 사용감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한다. 여기서 사용감은, 피부 유연성, 촉촉함, 끈적임, 퍼짐성, 흡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피험자는 20 내지 30세 사이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고, 피험자의 얼굴의 볼에 지름 5㎝ 면적으로 1일 3회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분사하여 7일 후 피험자가 사용감과 수분 지속력에 대한 점수를 매기게 하고, 이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감 수분 지속력
품목 기준 (명) (%) (명) (%)
실시 예
1
매우좋음(5) 8 40.0 - -
좋음(4) 8 40.0 10 50.0
보통(3) 4 20.0 9 45.0
나쁨(2) - - 1 5.0
매우나쁨(1) - - - -
실시 예
2
매우좋음(5) 10 50.0 3 15.0
좋음(4) 8 40.0 7 35.0
보통(3) 2 10.0 10 50.0
나쁨(2) - - - -
매우나쁨(1) - - - -
비교 예
1
매우좋음(5) - - 3 15.0
좋음(4) 4 20.0 7 35.0
보통(3) 6 30.0 10 50.0
나쁨(2) 8 40.0 - -
매우나쁨(1) 2 10.0 - -
비교 예
2
매우좋음(5) - - 2 10.0
좋음(4) 3 15.0 10 50.0
보통(3) 7 35.0 8 40.0
나쁨(2) 8 40.0 - -
매우나쁨(1) 2 10.0 - -
표 1을 참조하면, 수분 지속력에 있어서, 실시 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험자들의 50%가 4점을 부여하였고, 실시 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험자들의 50%가 4점 이상을 부여하였다. 즉, 실시 예 1 및 2 모두 수분 지속력에 대한 만족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사용감에 있어서, 실시 예 1의 경우 피험자들의 80% 이상이 4점 이상을 부여하였고, 실시 예 2의 경우 피험자들의 90% 이상이 4점 이상을 부여하였다. 즉, 실시 예 1 및 2 모두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며 사용감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 예 1은, 수분 지속력에 있어서 피험자들의 50% 이상이 4점 이상을 부여하였지만, 사용감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피험자들의 20%만 4점을 부여하였고 피험자들의 80%는 3점 이하를 부여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피험자들의 10%는 1점을 부여하였다.
비교 예 2는, 수분 지속력에 있어서 피험자들의 60% 이상이 4점 이상을 부여하였지만, 사용감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피험자들의 15%만 4점을 부여하였고 피험자들의 85%는 3점 이하를 부여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피험자들의 10%는 1점을 부여하였다.
즉, 비교 예 1 및 2의 경우 수분 지속력에서는 실시 예 1 및 2와 비교 할 때 만족도가 비슷하거나 더 높았지만, 사용감에 있어서 현저히 낮은 평가를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 1 및 2의 경우 수분 지속력의 경우 비교 예 1 및 2 대비 조금 낮긴 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좋은 평가를 받았으므로, 상품으로서의 전반적인 가치를 고려할 때, 실시 예 1 및 2가 비교 예 1 및 2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시험 예 2 (인체 적용 시험 - 피부 자극 평가)>
피부 자극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 시험은, 실시 예 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평가를 실시한다. 본 시험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 평가로서, 이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피험자는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만성 신체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로서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연구대상 제외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연구대상자로 평균 연령 44세의 여성 31명을 대상으로 한다. 피험자 정보는 도 10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자극 첩포 시험으로서, 피험자의 등을 70% 에탄올로 닦고 건조시킨 15㎕의 시료를 Finn chamber에 도포 후 프라스터(plaster)로 고정시키고, 24시간 후 패치를 제거하고 시험 부위를 1차 관찰하고, 최초 부착 후 48시간 후 시험 부위를 2차 관찰하고, 최초 부착 후 72시간 후 시험 부위를 3차 관찰하여 아래 도 11에 나타내었다. 이때, 각각의 관찰은 패치 제거 후 30분 후 하였다.
이때, 각각의 관찰 마다 피부반응 육안평가는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기준과 미국화장품협회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응용한 다음의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점수는, 염증의 흔적이 없고 정상 피부인 경우 0점, 의심스럽거나 약간의 반응이 있는 경우 0.5점, 경미한 홍반이 있는 경우 1점, 부분 부종 또는 구진이 있거나 없는 중동도의 홍반은 2점, 미만성 부종을 동반한 중등도의 홍반은 3점, 소포가 있는 미만성 부종을 동반한 강렬한 홍반은 4점을 부여한다.
그리고, 자극지수는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후의 총 자극 점수)/(총 관측 수)로 계산한다.
이렇게 자극지수를 산출한 후 Draiz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 및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을 응용한 다음의 판정표인 표 2에 따라 조성물의 자극성의 정도를 최종적으로 판정한다.
자극 지수 자극성 평가
0≤ <0.02 무자극
0.02≤ <0.25 저자극
0.25≤ <1 경자극
1≤ <2.5 중자극
2.5≤ 강자극
도 11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2020-781-00-R-L)의 자극 지수는 0.016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피부 자극 평가 결과 피부에 무자극성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 예 3 (경시안정도)>
도 2는 35℃에서 보관한 본 실시 예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으로써, A는 보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보관 6주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보관 6주 후에도 화장품의 성상에 있어서 곰팡이가 생기지 않고 pH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본 실시 예의 2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안정도에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피부 진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10 내지 30중량%의 유상층과, 피부 진정 성분, 미백 성분 및 주름 개선 성분을 포함하는 70 내지 90중량%의 수상층을 포함하여 제형이 2층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수상층은, 정제수와, 상기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제 30 내지 70중량부, 방부제 1 내지 1.5중량부, pH조절제 0.2 내지 0.5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10 내지 20중량부, PP-마이크로바이옴 0.001 내지 0.5중량부, 및 수용성 기능성 원료 5.1 내지 1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층은, 식물성 오일 및 탄소수가 12 내지 16개인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과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류 오일의 비율이 1:25 이상이며,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이 0.02% 이하의 농도를 가지는 칡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의 수용성 기능성 원료는 미백 성분이고,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부틴, 알파-비사보롤, 유용성감초추출물,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닥나무추출물, 에칠아스코빌에텔 및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층의 수용성 기능성 원료는 주름 개선 성분이고, 레티놀, 아데노신, 레티닐팔미테이트 및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정 성분은, 케모마일추출물, 병풀잎추출물, 어성초물, 녹차추출물, 님나물추출물, 당귀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위치하젤추출물, 마치현추출물, 포도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라이스오일, 솔잣나무잎오일, 티트리잎오일, 아줄렌 및 알란토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5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마이크로바이옴은,
    분쇄한 칡에 30% 주정 (1:10비율)으로 하여 상온에서 추출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고,
    1L 삼각플라스크에 GAM 배지 100 mL을 넣고 상기 칡 추출물을 2 내지 5%가 되도록 넣은 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EQ0315 (Pediococcus pentosaceus SEQ0315; 수탁번호 : KACC92051P)를 각각 1% 접종하여, 37℃, 48시간, 250 rpm에서 배양하고,
    배양물: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1:2 비율(에틸 아세테이트가 2)로 첨가한 후 Ethyl acetate 분획층을 회전진공 감압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67943A 2020-12-04 2020-12-04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8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43A KR20220078809A (ko) 2020-12-04 2020-12-04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43A KR20220078809A (ko) 2020-12-04 2020-12-04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09A true KR20220078809A (ko) 2022-06-13

Family

ID=8198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43A KR20220078809A (ko) 2020-12-04 2020-12-04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88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861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퍼슨 마이크로바이옴을 포함하고 흡착현상을 개선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37B1 (ko) 2009-05-11 2012-06-20 (주)더페이스샵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KR20200046387A (ko) 2018-10-24 2020-05-07 홍길용 패스트푸드 무인 배달시스템
KR102132614B1 (ko) 2018-12-04 2020-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37B1 (ko) 2009-05-11 2012-06-20 (주)더페이스샵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KR20200046387A (ko) 2018-10-24 2020-05-07 홍길용 패스트푸드 무인 배달시스템
KR102132614B1 (ko) 2018-12-04 2020-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861A (ko) 2022-10-05 2024-04-12 주식회사 퍼슨 마이크로바이옴을 포함하고 흡착현상을 개선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498B1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101119337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06958A (zh) 脱毛膏及制备方法
KR102292975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42943A (zh) 一种止痒保湿修护肌肤的乳霜及其制备方法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194474B (zh) 一种多功能除螨虫乳剂及其制备方法
KR20050110720A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8809A (ko) 복합 기능을 가지는 2층상의 트러블 케어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0870A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20130068320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7305161B2 (ja) 皮膚化粧料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3645A (ko) 천연 파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2206A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3707B1 (ko)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가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5076B1 (ko) 각질제거, 피부장벽 개선, 가려움증 완화, 색소침착 및 피부염증 완화의 복합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