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24A -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8024A KR20220078024A KR1020200167096A KR20200167096A KR20220078024A KR 20220078024 A KR20220078024 A KR 20220078024A KR 1020200167096 A KR1020200167096 A KR 1020200167096A KR 20200167096 A KR20200167096 A KR 20200167096A KR 20220078024 A KR20220078024 A KR 20220078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ubator
- reactor
- anammox
- sewage treatment
- treatment p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7—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direct conversion of nitrite to molecular nitrogen, e.g. by using the Anammox proc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배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미생물 배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미생물 배양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건에서 배양한 아나목스 미생물의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건에서 배양한 아나목스 미생물의 질소제거 결과이다.
도 7은 용존철 첨가여부에 따른 질소 제거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반응조의 단면도이다.
물질명 | 농도(mg/L) |
NH4Cl | 100 |
NaNO2 | 100 |
NaHCO3 | 95 |
KH2PO4 | 6 |
MgSO4·7H2O | 12 |
CaCl2·2H2O | 48 |
물질명 | 농도(mg/L) |
NH4Cl | 100 |
NaNO2 | 100 |
NaHCO3 | 95 |
KH2PO4 | 6 |
MgSO4·7H2O | 12 |
CaCl2·2H2O | 48 |
FeCl2 | 4 |
110 : 배양기 측면부
111 : 기질 유입구 112 : 기질 유출구
113 : 샘플 취출구
120 : 배양기 하면부
121 : 제1 개구공 122 : 제2 개구공
130 : 배양기 상면부
131 : 제3 개구공 132 : 제4 개구공
200 : 배양기 격벽
300 : 배양기 교반기
310 : 제1 교반기
320 : 제2 교반기
1000 : 연속반응조
1100 : 반응조 본체
1110 : 원수 유입구 1120 : 처리수 유출구
1130 : 경사면 1140 : 드레인관
1200 : 공기 주입부
1300 : 반응조 교반기
1400 : 반응조 격벽
S1 : 제1 공간부
S2 : 제2 공간부
Claims (13)
- 내부에는 아나목스 미생물이 서식하며,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를 공급받아 질소와 유기물을 제거하는 연속반응조(1000); 및
간헐 또는 연속적으로 상기 연속반응조(1000)에 아나목스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아나목스 배양조를 포함하되,
상기 아나목스 배양조는 미생물이 그래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연속 교반식 탱크반응기(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반응조(1000)는 장방형 구조의 반응조 본체(1100)를 포함하며, 반응조 본체(1100) 일측에는 원수 유입구(11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처리수 유출구(1120)가 마련된 연속 교반식 탱크반응기(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본체(1100) 내부에는 반응조 본체(1100)의 내부 공간을 소정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반응조 본체(1100) 바닥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로 연장된 반응조 격벽(140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격벽(1400)의 하측 단부는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격벽(1400)은 처리수 유출구(1120) 인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본체(1100) 내부에는 공기 주입부(1200)와 반응조 교반기(1300)가 구비되되,
원수 유입구(1110)를 기준으로 할 시, 공기 주입부(1200) 및 반응조 교반기(130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공기 주입부(1200)와 반응조 교반기(130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나목스 배양조는, 일측에는 기질이 공급되는 기질 유입구(1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기질 유출구가 배출되는 기질 유출구(112)가 마련된 소정 형상을 갖는 배양기 본체부(100);
상기 배양기 본체부(100)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배양기 격벽(200); 및
상기 배양기 본체부(100)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배양기 교반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 본체부(100)는 배양기 측면부(110), 상기 배양기 측면부(110)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배양기 하면부(120), 및 상기 배양기 측면부(110) 상단부를 밀폐하는 배양기 상면부(130)로 구성되되, 수평 단면은 달걀을 세로로 자른 모양과 같이 일측 영역이 넓고 타측 영역은 상대적으로 좁은 달걀 모양이고,
상기 배양기 격벽(200)은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가 형성되도록 배양기 본체부(100)의 넓은 영역과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배양기 상면부(130)와 밀착하고, 측부 가장자리는 배양기 측면부(110)와 밀착하고, 하부 가장자리는 배양기 하면부(120)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배양기 교반기(300)는 제1 교반기(310)와 제2 교반기(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교반기(310)는 제1 공간부(S1)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교반기(320)는 제2 공간부(S2)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처리 방법으로서,
원수 유입구(1110)를 통해 원수를 반응조 본체(1100)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 단계;
아나목스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소 성분을 제거하는 제2 단계; 및
질소 성분이 제거된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 유출구(1120)를 통해 배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나목스 배양조에서 배양된 아나목스 미생물을 상기 반응조 본체(1100)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본체(1100)로 공급되는 원수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아나목스 배양조에서 배양된 아나목스 미생물을 상기 반응조 본체(110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과량으로 증식한 아나목스 미생물을 상기 반응조 본체(1100)로부터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회수한 아나목스 미생물을 상기 아나목스 배양조로 공급하거나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096A KR102488754B1 (ko) | 2020-12-03 | 2020-12-03 |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096A KR102488754B1 (ko) | 2020-12-03 | 2020-12-03 |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8024A true KR20220078024A (ko) | 2022-06-10 |
KR102488754B1 KR102488754B1 (ko) | 2023-01-16 |
Family
ID=8198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7096A Active KR102488754B1 (ko) | 2020-12-03 | 2020-12-03 |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87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45179A (zh) * | 2022-11-29 | 2023-03-07 | 华夏碧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高浓度硫酸盐废水的动态水解酸化装置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6748B1 (ko) * | 1997-02-21 | 1999-07-01 | 김해수 | 과립담체를 이용한 고효율 폐.하수처리장치 |
KR20100128121A (ko) | 2009-05-27 | 2010-12-07 | 금호산업주식회사 | 혐기성 소화액 처리장치 및 방법 |
KR20120083746A (ko) * | 2011-01-18 | 2012-07-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미세조류 배양용 광생물 반응장치 |
KR101299115B1 (ko) * | 2013-03-20 | 2013-08-2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입상화된 고온 혼합균주를 이용한 고속 수소생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 |
KR101830902B1 (ko) * | 2017-02-23 | 2018-03-30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 생성조를 연계한 회분식 부분 아질산화 반응조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오폐수 처리장치 |
KR20200028585A (ko) | 2018-09-07 | 2020-03-1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아나목스 반응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KR20200028584A (ko) * | 2018-09-07 | 2020-03-1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침전조를 구비하는 아나목스 반응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
2020
- 2020-12-03 KR KR1020200167096A patent/KR10248875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6748B1 (ko) * | 1997-02-21 | 1999-07-01 | 김해수 | 과립담체를 이용한 고효율 폐.하수처리장치 |
KR20100128121A (ko) | 2009-05-27 | 2010-12-07 | 금호산업주식회사 | 혐기성 소화액 처리장치 및 방법 |
KR20120083746A (ko) * | 2011-01-18 | 2012-07-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미세조류 배양용 광생물 반응장치 |
KR101299115B1 (ko) * | 2013-03-20 | 2013-08-2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입상화된 고온 혼합균주를 이용한 고속 수소생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수소 |
KR101830902B1 (ko) * | 2017-02-23 | 2018-03-30 | 주식회사 부강테크 | 암모늄 산화 박테리아 그래뉼 생성조를 연계한 회분식 부분 아질산화 반응조 및 혐기성 암모늄 산화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 오폐수 처리장치 |
KR20200028585A (ko) | 2018-09-07 | 2020-03-1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아나목스 반응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KR20200028584A (ko) * | 2018-09-07 | 2020-03-1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침전조를 구비하는 아나목스 반응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45179A (zh) * | 2022-11-29 | 2023-03-07 | 华夏碧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高浓度硫酸盐废水的动态水解酸化装置 |
CN115745179B (zh) * | 2022-11-29 | 2024-02-20 | 华夏碧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高浓度硫酸盐废水的动态水解酸化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8754B1 (ko) | 202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40713B1 (en) | Method for starting up and controlling a biological process for ammonium removal by the action of autotrophic bacteria in wastewater | |
US20110127214A1 (en) | Energy optimization in an anaerobic, facultative, anoxic aerobic plant, using fine bubbles, without sludge production | |
KR20030033602A (ko) |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 |
JP2008284427A (ja) |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 |
Huynh et al. | Application of CANON process for nitrogen removal from anaerobically pretreated husbandry wastewater | |
Tawfik et al. | Optimization of the performance of an integrated anaerobic–aerobic system for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 |
KR100271942B1 (ko) |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용존 산소 농도 조절식 폭기조에 의한 고농도 폐수의 고부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2311712B1 (ko) | 여재가 투입된 회분식 반응조(sbbr)를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와 이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오폐수 처리장치 및 시스템 | |
KR20160147560A (ko) |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 |
JP5610198B2 (ja) | 廃液処理装置 | |
KR102488754B1 (ko) | 하수처리장의 소화조 유출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
KR100424060B1 (ko) | 일체형 오수 및 폐수 처리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수 및폐수 처리 공정 | |
CN107337321A (zh) | 餐厨垃圾厌氧消化废水处理装置 | |
KR100336484B1 (ko) | 토양피복형 내부순환 접촉산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접촉산화방법 | |
KR102440489B1 (ko) |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 |
KR101375339B1 (ko) | 기존 산화구 반응조의 설계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 | |
KR101032068B1 (ko) | 고효율 회분식 공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
Kundu et al. | Anoxic-oxic treatment of abattoir wastewater for simultaneous removal of carbon, nitrogen and phosphorous in a sequential batch reactor (SBR) | |
KR101931346B1 (ko) | 역삼투막 농축수 처리시설을 구비한 막분리 수처리 시스템 | |
JP2011115689A (ja) | 窒素除去処理装置及び窒素除去処理方法 | |
WO2021165980A1 (en) | A multi-zone attached growth batch bio-reactor & method of biological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 |
KR101433314B1 (ko) | 음식물 침출수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산 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장치 | |
Kim et al. | Combined UASB reactor and DAF/BF/anoxic/aerobic process for the removal of high-concentration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from slurry-type swine waste | |
KR101126424B1 (ko) | 참숯을 이용하여 후단에 설치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 |
KR200417756Y1 (ko) | 간헐포기 및 잉여 슬러지의 직접 탈수에 의한 산화구하·폐수 고도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