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679B1 -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 Google Patents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679B1
KR100321679B1 KR1019980058716A KR19980058716A KR100321679B1 KR 100321679 B1 KR100321679 B1 KR 100321679B1 KR 1019980058716 A KR1019980058716 A KR 1019980058716A KR 19980058716 A KR19980058716 A KR 19980058716A KR 100321679 B1 KR100321679 B1 KR 100321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aeration
anaerobic
anox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405A (ko
Inventor
상 일 이
성 연 원
항 문 조
Original Assignee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일 filed Critical 이상일
Priority to KR101998005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6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3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질소 및 인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하고 폐수중의 유기물을 최대로 이용해서 인방출을 극대화하여 영양염류를 효율적이고도 저렴한 가격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탈질 및 생물학적 인방출 속도가 높아서 탈질 반응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질소와 인의 농도를 규제농도 이하로 줄일 수 있는 폐수의 정화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는,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혐기조, 비폭기 반응조, 폭기 반응조 및 침전조의 순서로 구성하고,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제 1 무산소조로 슬러지를 반송시킨다. 상기 제 1 무산소조에서는 미생물의 내생호흡에 의한 탈질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질산염의 농도를 줄이고, 상기 제 2 무산소조와 상기 혐기조 내로는 유입폐수를 적정비율에 따른 분배방식으로 주입한다. 상기 제 2 무산소조에서는 상기 유입폐수의 탈질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유입폐수에 함유된 인중 일부를 방출시키고, 상기 혐기조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해서 상기 유기물을 흡착하여 나머지의 인을 방출시키며, 상기 비폭기 반응조와 상기 폭기 반응조에서는 각각 탈질 및 질산화가 수행된다.

Description

분배유입방식을 이용한 폐수의 정화방법
본 발명은 하수 및 폐수를 고도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하수, 축산폐수 및 산업폐수 등의 유기폐수에 함유된 유기물, 질소 및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폐수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양염류는 유기물 분해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성 원소로서, 이들중 특히 질소화합물과 인산염은 생물 세포 형성과 생활 에너지 획득을 위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원소이다. 그런데, 하천이나 연안 바다, 호소(湖沼) 등의 수역에 있어서, 이러한 질소나 인등의 영양염류가 증가하면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된다. 부영양화 현상은 영양염류를 영양소로 하는 생물 의 생산을 활성화시켜서 자연의 생태계를 변화시키게 되고, 해역에서는 적조 발생의 한 원인이 되며, 호소에서는 조류 등이 이상 증식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자연계에 있어서는 원만하게 진행되지만, 생활 하수, 축산 폐수, 공장 배수 등이 대량으로 유입되면 영양염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현탁물질이 다량으로 섞여 들어 자연의 자체 정화 능력을 넘어서게 된다. 결국 부영양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심하면 부패물에 의해 악취가 나며 수질 오염이 촉진된다. 따라서 폐수의 이러한 영양염류는 호소나 하천 등으로 유입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하수처리 및 축산 폐수 처리 방법은 활성슬러지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처리시 대부분의 현탁 고형물질과 유기물은 제거될 수 있으나,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 물질의 처리는 20-40%에 불과하다.
따라서, 수계 보호를 위하여 폐수 처리하는 대부분의 목적은 질소와 인의 제거에 두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강화될 규제 농도에 부합된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현 실정에서 수계를 오염시키는 점오염원을 줄이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영양염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폐수중에서 질소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전-탈질 공정과 후-탈질 공정으로 대별된다.
먼저, 후-탈질 공정은 반응조의 크기가 작고 유출수의 수질이 균일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탈질 반응조가 질산화 반응조의 후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탈질 반응조 내에는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의 양이 적어서 메탄올과 같은 전자공여체를 외부에서 별도로 주입해 주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전-탈질 공정에서는 유입되는 폐수내의 유기물을 탈질에 필요한 전자 공여체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유입수중 유기물이 많은 경우 별도의 전자공예체를 외부에서 별도로 주입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입 폐수내의 유기물은 메탄올과 같은 유기물에 비해 탈질효율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질화조가 탈질조 후반부에 위치하므로 질화조에서 형성된 질산염을 탈질조로 반송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반송량을 유입수의 4배 가량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전-탈질 공정의 반응조가 후-탈질 공정의 반응조에 배해 매우 커지므로 설치 비용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유입수중 유기물이 적은 경우는 전술한 전-탈질 공정으로 질소처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외부 유기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폐수중 인의 농도가 높은 경우 특정 미생물의 인방출과 섭취반응으로 하폐수중의 인을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혐기성 상태에서 인의 방출이 선행되고 후속된 호기상태에서 인의 과잉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의 방출은 용존산소 또는 질산염과 같은 전자수용체와 유입수중의 전자공여체인 유기산 농도에 크게 관계되므로, 전자수용체가 없고 유입수중 유기산의 농도가 높을 경우 인의 제거효율이 높다(참고문헌; Richard I. Sedlak(1991),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Municipal Wastewater, LEWIS PUBLISHERS : Clifford W. Randall, Ph. D., Design and Retrofi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ater Qulity Management Library, Vol 5, Technomic publishing Co.). 유입수중에서 유기산의 농도가 낮은 경우 외부에서 유기산을 공급함으로서 인의 방출속도를 증가시켜 생물학적 인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하수 또는 폐수중의 질소 및 인을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처리공정의 앞부분에 혐기조 만을 두어 인의 방출을 유도하나 이는 혐기조내에서 탈질반응이 진행되며, 또한 진행과정에서 용존산소, 아질산염(NO2 --N) 및 질산염(NO3 --N)등의 전자수용체에에 의해 인의 방출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탈질과 인의 방출이 하나의 반응조에서 이루어질 경우는 탈질 및 탈인시 전자공여체로 이용되는 유기물의 이용도가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조로부터 반송된 슬러지를 제 1 무산소조 내로 도입하고 제 2 무산소조와 혐기조 내로 폐수를 분배 유입하여 처리함으로써, 전자수용체제를 효과적으로 최소화하고 폐수중의 유기물을 최대로 이용해서 인방출을 극대화하여 영양염류를 효율적이고도 저렴한 가격으로 처리할 수 있는 폐수의 정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질 및 생물학적 인방출 속도가 높아서 탈질 반응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질소와 인의 농도를 규제농도 이하로 줄일 수 있는 폐수의 정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무산소조 및 혐기조(=관형 흐름형 반응조)
1a: 제 1 무산소조(=완전혼합형 반응조)
1b : 제 1 무산소조(=완전혼합형 반응조)
1c : 혐기조 2: 비폭기(무산소) 반응조
2a : 제 1 간헐폭기 반응조 3 : 폭기(호기) 반응조
3a : 제 2 간헐폭기 반응조 4 : 침전조
5: 외부 유기탄소원 6: 후폭기조(=재폭기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혐기조, 비폭기 반응조, 폭기 반응조 및 침전조의 순서로 하고,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제 1 무산소조로 슬러지를 반송시키며, 상기 제 1 무산소조에서는 미생물의 내생호흡에 의한 탈질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슬러지에 함유된 질산염의 농도를 줄이고, 상기 제 2 무산소조와 상기 혐기조 내로는 유입폐수를 적정비율에 따른 분배방식으로 주입하며, 상기 제 2 무산소조에서는 상기 유입폐수중의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여 상기 유입폐수의 탈질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유입폐수에 함유된 인중 일부를 방출시키며, 상기 혐기조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해서 상기 유기물을 흡착하여 나머지의 인을 방출시키며, 상기 비폭기 반응조와 상기 폭기 반응조에서는 각각 탈질 및 질산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혐기조는 완전 혼합형(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 또는 관형 흐름형(plug-flow)으로된 하나의 반응조로 운영될 수 있다.
상기 비폭기조 및 상기 폭기조는 간헐 폭기조의 형태로 운영할 수 있으며, 상기 비폭기 반응조, 상기 폭기 반응조 및 상기 간헐 폭기조에는 부착 담체 또는 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폐수 정화공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무산소조(1a), 제 2 무산소조(2a), 혐기조(1c), 비폭기 반응조(2), 폭기 반응조(3) 및 침전조(4)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폐수 정화장치의 운영방식은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운영된다.
먼저, 침전조(4)에서 침전된 슬러지는 제 1 무산소조(1a)로 반송되어 내생호흡에 의한 탈질 반응이 이루어 지고 후속된 제 2 무산소조(1b)로 이송되어 폐수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탈질 반응이 완료되고 일부 인의 방출이 유도된다. 그런후에는, 혐기조(1c)로 이송되어 폐수중 유기물을 이용한 인의 방출(=탈인반응)이 완료된다.
한편, 유입폐수는 제 2 무산소조(1b)와 혐기조(1c)로 적정 비율 분배방식으로 주입된다. 반송되는 슬러지중에는 질산염(NO3 --N)도 함께 반송되며, 이는 제 1 무산소조(1a) 및 제 2 무산소조(1b)에서 탈질산화시켜 혐기조(1c)에서 완전한 혐기성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제 2 무산소조(1b)에서의 탈질은 분배식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중의 유기물을 이용하도록 하며, 혐기조(1c)에서는 유입되는 폐수의 유기물을 미생물이 흡착하도록 하며 인의 방출이 진행되도록 한다.
혐기조(1c) 앞에 배치된 무산소조(1a,1b)를 통해 반송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질산성 질소의 제거는 후속된 혐기조(1c)에서 인의 방출시 질산성 질소의 저해현상이 없도록 해주며, 유입폐수중의 유기물은 제 2 무산소조(1b)에서는 탈질시 전자공여체로 이용되고 혐기조(1c)에서는 인의 방출을 위한 유기물로 이용되어 질소 및 인의 제거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계속되는 비폭기 반응조(2)와 폭기 반응조(3)에서는 각각 탈질 및 질산화가 진행되며, 비폭기 반응조(2)내 전자수용체는 폭기 반응조(3)에서 생성된 질산염을 이용하는데, 이는 내부순환에 의해서 비폭기 반응조(2)로 이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을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무산소조와 혐기조를 통합하여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무산소조 및 혐기조(1), 비폭기 반응조(2), 폭기 반응조(3) 및 침전조(4)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폐수 정화장치의 운영방식은 무산소조 및 혐기조(1) 내에서의 폐수처리방식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와 유사하게 진행된다.
무산소 및 혐기조(1)내에서의 흐름은 관형흐름(plug-flow) 형태로, 폐수가 구조물을 통해 흐르며 접촉시간에 따라 물질의 농도가 다르다. 초기 폐수와 반송슬러지가 무산소 및 혐기조(1)로 유입되면, 접촉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내생호흡에 이어 폐수중 유기물을 이용하여 질산염은 미생물의 전자 수용체로 이용되어 탈기됨으로 농도가 점차 낮아지며, 이후에는 혐기성 조건이 형성된다. 즉,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농도가 매우 낮아지게 된다.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는 지점은 유입되는 폐수의 성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혐기성 조건이 형성되는 지점이 유입폐수가 분배되어 주입되는 최적의 지점된다. 따라서, 무산소 및 혐기조(1)가 하나의 관형흐름형태의 구조물로 구성한 경우는 폐수의 성상에 따라 분배유입수의 지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혐기성 상태하에서 주입되는 폐수중 유기물은 생물학적인 방출을 극대화시킨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무산소조(1a), 제 2 무산소조(2a), 혐기조(1c), 제 1 간헐 폭기조(2a), 제 2 간헐 폭기조(3a), 후폭기조(6) 및 침전조(4)를 포함한다. 이때, 후폭기조(6)는 필요시에 설치하고 폐수처리가 간헐 반응조만으로도 충분할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폐수 정화장치의 운영방식은 도 3a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운영된다.
먼저, 침전조(4)에서 침전된 슬러지는 제 1 무산소조(1a)로 반송되어 내생호흡에 의한 탈질 반응이 이루어 지고 후속된 제 2 무산소조(1b)로 이송되어 폐수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탈질 반응이 완료되고 일부 인의 방출이 유도된다. 그런후에는, 혐기조(1c)로 이송되어 폐수중 유기물을 이용한 인의 방출(=탈인반응)이 완료된다.
한편, 유입폐수는 제 2 무산소조(1b)와 혐기조(1c)로 적정 비율 분배방식으로 주입된다. 제 1 간헐 폭기조(2a) 및 제 2 간헐 폭기조(3a)에서는 폭기 및 비폭기 형태로 공기가 주입되며, 폭기 및 비폭기 시간은 폐수의 특성에 따라 1시간/1시간, 2시간/2시간 및 1시간/2시간 등으로 자유롭게 조정 할 수 있다.
간헐폭기 방법으로 운영되는 반응조(2a,3a)는 하나의 반응조내에서 공기주입을 조절하여 폭기 및 비폭기 조건을 유지함에 따라 질산화 및 탈질산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상상태(steady-state)가 아닌 유동상태(dynamic-state)이므로 유입수의 유량 및 농도변화에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비폭기로 운영되다가 폭기 방식으로 전환시 농도구배에 따른 용존산소농도의 커다란 차이로 인하여 수중에 용존산소의 전달율이 보다 크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참조 : 특허공개 97-20986, 다단 간헐폭기 활성슬러지 시스템에 의한 질소 및 인 제거방법).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3b에 도시된 폐수 처리공정은 제 2 간헐 폭기조(3a) 내로 외부 유기탄소원(5)을 공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에 도시된 폐수 처리공정의 운영과 같다.
즉, 제 2 간헐 폭기조(3a)에서 폐수의 유기물이 모두 고갈되어 비폭기시 탈질반응이 억제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전자공여체인 외부 유기탄소원(5)을 주입하여 운영한다. 외부 유기탄소원(5)의 주입은 탈질 및 탈인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주입되는 외부 유기탄소원(5)으로는 초산염, 메탄올, 프로피온산, 축산폐수 및 도시하수 침전고형물의 유기산, 음식물 또는 유기성 생활 폐기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용존성 유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유기탄소원(5)으로 초산염, 메탄올 및 프로피온산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경제적인 부담을 유발시키나, 폐수중의 질소 및 인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와는 달리, 외부 유기탄소원(5)으로 축산폐수나 도시하수의 침전고형물 또는 유기성 생활 폐기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을 이용할 경우에는, 자원의 재활용적인 측면과 폐수의 영양염류 처리에 일석이조의 효과을 거둘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무산소조와 혐기조를 통합하여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무산소조 및 혐기조(1), 제 1 간헐 폭기조(2a), 제 2 간헐 폭기조(3a), 후폭기조(6) 및 침전조(4)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폐수 정화장치의 운영방식은 무산소조 및 혐기조(1) 내에서의 폐수처리방식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정화공정와 유사하게 진행된다.
무산소 및 혐기조(1)내에서의 흐름은 관형흐름(plug-flow) 형태로, 폐수가 구조물을 통해 흐르며 접촉시간에 따라 물질의 농도가 다르게되며, 폐수의 성상에 따라 분배 유입수의 지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4b에 도시된 폐수 처리공정은 제 2 간헐 폭기조(3a) 내로 외부 유기탄소원(5)을 공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a에 도시된 폐수 처리공정의 운영과 같다.
즉, 제 2 간헐 폭기조(3a)에서 폐수의 유기물이 모두 고갈되어 비폭기시 탈질반응이 억제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전자공여체인 외부 유기탄소원(5)을 주입하여 운영한다. 주입되는 외부 유기탄소원(5)으로는 초산염, 메탄올, 프로피온산, 축산폐수 및 도시하수 침전고형물의 유기산, 음식물 또는 유기성 생활 폐기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용존성 유기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든 폐수 정화공정에 있어서, 비폭기 반응조(2), 폭기 반응조(3), 제 1 간헐 폭기조(2a) 및 제 2 간헐 폭기조(3a)에는 미생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부착 담체 또는 매체를 넣어서 처리할 수 있다. 담체 및 매체는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함에 따라서 보다 많은 미생물의 증식으로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정화공정에 의하면, 부영양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질소와 인의 처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폐수의 특성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는 유기물의 양을 질소 및 인의 제거에 최대한 이용함으로서 탈질 및 탈인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유기탄소원을 이용할 경우에는 보다 더 완벽한 처리가 가능하며, 축산폐수나 도시하수의 침전 고형물 또는 음식물 또는 유기성 생활 폐기물의 유기산을 이용할 경우에는 폐기물의 재활용적인 측면에도 이용가치가 높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또는 무산소조, 혐기조, 비폭기 반응조, 폭기 반응조 , 침전조의 순서로 하고,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제 1 무산소조, 무산소조 및 혐기조로 슬러리를 반송시키면 폐수를 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 , 혐기조가 관형 흐름형으로된 하나의 반응조로 이루어지고, 제 2 무산소조와 혐기조 내로 유입폐수가 적정비율 분배방식으로 주입되고, 제 2 무산소조내의 전자공여체는 유입폐수중의 유기물이고, 비폭기 반응조내의 전자수용체는 폭기조에서 생성된 질산염이며, 비폭기 반응조, 폭기 반응조는 간헐 폭기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정화방법.
  2. 제 1 무산소조, 제 2 무산소조 또는 무산소조, 혐기조, 제 1 간헐폭기 반응조, 제 2 간헐폭기 반응조, 침전조의 순서로 하고,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제 1 무산소조 및 혐기조로 슬러지를 반송시키면서 폐수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제 1 간헐폭기 반응조 및 제 2 간헐폭기 반응조는 폭기, 비폭기 형태로 공기가 주입되며, 제 2 무산소조와 혐기조로 유입폐수가 적정비율 분배방식으로 주입되고, 제 2 무산소조, 무산소조, 혐기조내에는 유입폐수중의 유기물을 전자공여체로 하고, 제 2 간헐폭기 반응조내로 유기탄소원을 주입하여 폐수를 정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정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간헐폭기 반응조와 침전조 사이에 후폭기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정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유기탄소원는 초산염, 메탄올, 프리피온산, 축산폐수, 도시하수의 침전고형물, 음식물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용존성 유기물, 유기성 생활 폐기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용존성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정화 방법.
KR1019980058716A 1998-12-23 1998-12-23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KR100321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716A KR100321679B1 (ko) 1998-12-23 1998-12-23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716A KR100321679B1 (ko) 1998-12-23 1998-12-23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05A KR19990030405A (ko) 1999-04-26
KR100321679B1 true KR100321679B1 (ko) 2002-07-02

Family

ID=3746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716A KR100321679B1 (ko) 1998-12-23 1998-12-23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342B1 (ko) * 1999-04-20 2001-11-02 양인모 질소 및 인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419030B1 (ko) * 2001-12-18 2004-02-21 대림산업 주식회사 최초 침전지와 내부 반송이 없는 슬러지 재포기조를이용한 하수고도처리시스템
KR100459986B1 (ko) * 2002-02-05 2004-12-04 강용태 담체를 이용하는 단계유입형 질소, 인 처리장치
KR100864335B1 (ko) * 2002-07-08 2008-10-17 지아이 주식회사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236693B1 (ko) * 2010-06-17 2013-02-22 이재혁 폐ㆍ하수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446B1 (ko) * 1994-12-30 1998-07-01 장영수 하수처리 장치
KR0164675B1 (ko) * 1995-12-14 1999-01-15 장영수 하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446B1 (ko) * 1994-12-30 1998-07-01 장영수 하수처리 장치
KR0164675B1 (ko) * 1995-12-14 1999-01-15 장영수 하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05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28B1 (ko) 양이온교환막으로 연결된 질산화조를 구비하는 혐기조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 방법
KR100430382B1 (ko) 고농도 유기물, 질소, 인 함유 축산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처리 시스템
KR100321679B1 (ko)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KR20210040632A (ko) 다양한 고농도 폐액의 아질산화 반응과 미생물 배양강화를 통한 하수처리장 수처리공정에서 혐기성 암모늄 산화 공법 기반의 하수처리 시스템
KR100632487B1 (ko) 단계적으로 운영되는 연속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7799A (ko) 다단 에스 비 알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의 정화 방법
KR100240801B1 (ko) 폐수의 정화방법
KR20100046936A (ko) 복합탈질시스템
KR100321680B1 (ko) 유로변경에의한폐수의영양염류처리방법
KR19990065434A (ko) 폐수의 정화방법
KR100460851B1 (ko) 내부 반송이 필요 없는 하폐수 고도처리 장치
KR100438323B1 (ko) 생물학적 고도처리에 의한 하수, 폐수 처리방법
KR100513567B1 (ko) 폐수정화장치
KR100420647B1 (ko) 연속 유입 회분식 오폐수 처리방법
KR100462578B1 (ko) 고농도 유기폐수의 정화방법
KR100478010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202066B1 (ko) 단일반응조에서의 생물학적 3상 소화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670211B1 (ko)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KR20020089085A (ko) 하폐수의 질소 및 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18367B1 (ko) 폐수처리장치
KR100243565B1 (ko) 폐수의 정화장치
KR100302895B1 (ko) 오·폐수 고도처리 정화조
KR20010091457A (ko) 질소제거 효율향상을 도모한 하수처리방법 및 장치
KR100321681B1 (ko) 오폐수의정화방법
KR100521722B1 (ko) 내부반송과 분할주입을 통한 부상여재를 이용한 고도폐수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