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211B1 -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 Google Patents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0211B1 KR100670211B1 KR20050067564A KR20050067564A KR100670211B1 KR 100670211 B1 KR100670211 B1 KR 100670211B1 KR 20050067564 A KR20050067564 A KR 20050067564A KR 20050067564 A KR20050067564 A KR 20050067564A KR 100670211 B1 KR100670211 B1 KR 1006702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oxic
- reaction tank
- tank
- reactor
- continuo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6)
- 폐수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유입유로 1 또는 유입유로 2로 변경하면서, 폐수의 유입 방향이 유입유로 1인 경우, 제1무산소반응조(1), 호기조(2), 제2무산소반응조(3), 연속 및 간헐포기반응조(4)로 순차적으로 유입하여 처리하고, 폐수의 유입 방향이 유입유로 2인 경우, 제2무산소반응조(3), 호기조(2), 제1무산소반응조(1), 연속 및 간헐포기반응조(4)로 순차적으로 폐수를 유입하여 처리하며, 호기조(2)로 유입하는 폐수의 일부는 제1무산소반응조(1) 및 제2무산소반응조(3)로 일부를 바이패스하거나, 호기조(2)에서 제1무산소반응조(1)로 유입하거나, 호기조(2)에서 제2무산소반응조(2)로 유입하는 폐수의 일부는 내부순환펌프에 의해 호기조(2)로 연속적으로 바이패스 하여 폐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 공정.
- 제 1항에 있어서, 연속 및 간헐포기반응조(4)로 유입된 폐수는 탈질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속 및 간헐포기 반응조(4)로부터, 유입유로 1인 경우 제2무산소 반응조(3)로, 유입유로 2인 경우 제1무산소반응조(1)로 유입수유량의 1-4배의 비율로 내부순환시켜 폐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 공정.
- 제 1항에 있어서, 연속 및 간헐포기반응조(4) 대신 제3무산소반응조(6)로 대체되어, 제3무산소반응조(6)로 유입된 폐수는 탈질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3무산소반응조(6)로부터, 유입유로 1인 경우 제1무산소반응조(1)로, 유입유로 2인 경우 제2무산소반응조(3)로 유입수유량의 1-4배의 비율로 내부순환시켜 폐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 공정.
- 제 1항에 있어서, 질소제거효율 향상을 위해 폐수를 유입유로 1로 유입하는 경우 제2무산소반응조(3)로부터 연속 및 간헐포기 반응조(4)로 유출하는 유출수의 일부를 호기조(2)로 바이패스 시키고, 유입유로 2로 유입하는 경우 제1무산소반응조(1)로부터 연속 및 간헐 포기조(4)로 유출하는 유출수의 일부를 호기조(2)로 바이패스 시켜 폐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 공정.
- 제 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1무산소반응조(1), 호기조(2), 제2무산소반응조(3), 연속 및 간헐포기반응조(4), 제3무산소반응조(6)는 부상여재(5)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 공정.
- 제 5항에 있어서, 부상여재(5)는 Cell구조가 독립구조(Closed형)로 형성되고 PP수지의 영향으로 유연성이 우수한 EPP로 하며, 형태는 구형, 막대형 또는 도넛형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흡착 (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 공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0067564A KR100670211B1 (ko) | 2005-07-25 | 2005-07-25 |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50067564A KR100670211B1 (ko) | 2005-07-25 | 2005-07-25 |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0211B1 true KR100670211B1 (ko) | 2007-01-16 |
Family
ID=3801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50067564A KR100670211B1 (ko) | 2005-07-25 | 2005-07-25 |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021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934B1 (ko) | 2007-06-01 | 2007-12-11 | (주)이엔바이오21 | 부상여재를 이용한 재순환 영양염류 처리장치 |
KR100836231B1 (ko) * | 2007-06-01 | 2008-06-09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물흡착 기작을 이용한 소규모 폐수처리 방법 |
-
2005
- 2005-07-25 KR KR20050067564A patent/KR10067021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934B1 (ko) | 2007-06-01 | 2007-12-11 | (주)이엔바이오21 | 부상여재를 이용한 재순환 영양염류 처리장치 |
KR100836231B1 (ko) * | 2007-06-01 | 2008-06-09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물흡착 기작을 이용한 소규모 폐수처리 방법 |
WO2008147019A1 (en) * | 2007-06-01 | 2008-12-04 | Enbio 21 Co., Ltd | System for treating recirculation nutrient using floating medi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1659B1 (ko) | 멤브레인 침지 폐수처리장치 | |
KR100784933B1 (ko) |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 |
KR100643775B1 (ko) | 부유·부착성장 미생물을 이용한 영양염류처리 하이브리드시스템 | |
Woo et al. | Removal of nitrogen by a sulfur-based carrier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PAC) for denitrification in membrane bioreactor (MBR) | |
US20100018919A1 (en) | System for treating recirculation nutrient using floating media | |
KR101938484B1 (ko) | 하이브리드 생물학적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 |
KR100240801B1 (ko) | 폐수의 정화방법 | |
KR100670211B1 (ko) | 생물흡착(Biosorption)기작을 이용한 부상여재공정 | |
KR20020087799A (ko) | 다단 에스 비 알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의 정화 방법 | |
KR100670231B1 (ko) | 되새김 sbr 폐수처리시스템 | |
KR100321346B1 (ko) | 고정상 생물막법에 의한 영양염류 제거공정 | |
KR100572516B1 (ko) | 폐수처리방법 | |
KR19990065434A (ko) | 폐수의 정화방법 | |
KR100321679B1 (ko) |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 |
KR100513567B1 (ko) | 폐수정화장치 | |
KR100478010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100836231B1 (ko) | 생물흡착 기작을 이용한 소규모 폐수처리 방법 | |
KR100632487B1 (ko) | 단계적으로 운영되는 연속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
KR100462578B1 (ko) | 고농도 유기폐수의 정화방법 | |
KR100398061B1 (ko) | 연계순환 간헐폭기법에 의한 유기물, 고형물, 질소 및인의 동시 제거방법 | |
KR100640940B1 (ko) | 폐수처리시스템 | |
KR100438022B1 (ko) | 부상여재를 이용한 고도 폐수처리 방법 | |
KR100243565B1 (ko) | 폐수의 정화장치 | |
KR20160116647A (ko) | 하이브리드 생물학적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 |
KR100202066B1 (ko) | 단일반응조에서의 생물학적 3상 소화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