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929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929A
KR20220077929A KR1020227016195A KR20227016195A KR20220077929A KR 20220077929 A KR20220077929 A KR 20220077929A KR 1020227016195 A KR1020227016195 A KR 1020227016195A KR 20227016195 A KR20227016195 A KR 20227016195A KR 20220077929 A KR20220077929 A KR 20220077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rotective cover
receiving cavity
opening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바이스 하우징, 보호 커버, 카메라 및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디바이스 하우징의 프레임에는 제1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으며; 보호 커버에는 내부 공동이 있고;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메라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는 수용 캐비티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 외부로 이동하며;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보호 커버는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제1 개구부와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하고;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보호 커버는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하며, 카메라는 보호 커버의 내부 공동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0월 31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제출한 특허출원번호가 201911053904.X인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인용된다.
본 개시는 전자기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자기기의 풀 스크린(Full screen)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점점 더 강력해지고, 팝업형 카메라 등의 등장으로 화면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 촬영이 필요한 경우 팝업형 카메라를 전자기기 셸 내부에서 셸 외부로 뻗어 나오게 하여 촬영할 수 있다. 풀 스크린 구현을 위해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외부 환경이 복잡하여 팝업형 카메라가 셸 외부로 뻗어 나와 촬영하는 과정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간섭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뻗어 나온 후 물 또는 먼지가 쉽게 들어가는 것 등, 카메라가 쉽게 손상되어 카메라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다.
본 개시 실시예는 종래의 카메라가 쉽게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본 개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바이스 하우징, 보호 커버, 카메라 및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의 프레임에는 제1 개구부가 개설(開設)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에는 내부 공동이 있고;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서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로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보호 커버의 내부 공동에 위치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일단이 상기 보호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자성 부재 및 제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보호 커버의 제1 측벽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내면에 가까운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측벽의 내면은 상기 제1 측과 대향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 공간은 상기 제1 개구부와 대향하고,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간격 공간과 대향하고 연통되며;
상기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측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개구부와 상기 간격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커버의 제1 지지 부재의 일단에 가까운 제1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보호 커버의 일단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간격 공간 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 일단의 외측 둘레의 가장자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본체 일단에는 제2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내부 공동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간격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가장자리 돌기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가장자리 돌기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가장자리 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3 자성 부재 및 제4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가장자리 돌기의 타겟 지지 부재에 가까운 측의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자성 부재는 상기 타겟 지지 부재의 일측의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대향하고, 상기 타겟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이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4 자성 부재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트랜스미션 로드, 상기 트랜스미션 로드와 맞물리는 트랜스미션 휠 및 상기 트랜스미션 휠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트랜스미션 로드의 일단에 배치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휠이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트랜스미션 휠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로드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서 제1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여 제1 개구부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 유리 커버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이 배치되어 있으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을 통해 가메라를 수용 캐비티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보호 커버는 모두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개구부와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며,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한다. 즉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있게 되어 스크린 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고, 빛의 투과에 대한 보호 커버의 영향을 피할 수 있으며, 촬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 커버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 빛의 반사도 존재하지 않는다. 즉 보호 커버는 카메라의 촬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촬영 품질을 향상한다.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보호 커버는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하고, 카메라는 보호 커버의 내부 공동에 위치하며, 보호 커버를 통해 외부 요인이 카메라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어 카메라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그 사용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의해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개시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할 필요가 있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또한, 다음의 설명에서 도면은 본 개시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개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제1 하드웨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개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제2 하드웨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개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기의 제3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이하에서 본 개시 실시예의 도면에 결부하여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지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확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도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일 실시예의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미도시), 디바이스 하우징(101), 보호 커버(102), 카메라(103) 및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디바이스 하우징(101)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105)가 형성되어 있고, 디바이스 하우징(101)의 프레임(1011)에는 제1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다. 보호 커버(102)에는 내부 공동(1021)이 있다.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에 연결된다. 여기서,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제1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개구부와 카메라(103) 사이에 위치하며, 카메라(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한다.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치한 경우(제2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하고,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위치한다. 즉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 나온다. 또한,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103)의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의 디바이스 하우징(101)의 프레임(1011)에는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가 프레임(1011) 외부로, 즉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 나오도록 통과하기 위한 제1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다. 전자기기의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이 배치되어 있으며,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에 연결된다.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이 회전하는 경우, 카메라(103)가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어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또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진다. 즉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갖는다.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상이한 회전방향에 따라 카메라(103)는 상이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회전방향에 따라 카메라(103)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상태에서 카메라(103)는 제1 상태에 있다. 즉 카메라(103) 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있고, 보호 커버도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있으며, 카메라(103)는 내부 공동(1021)과 마주할 수 있고,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메라(103)를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외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카메라(103)를 프레임(1011)의 제1 개구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 나오게 함으로써, 카메라(103)를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시킨다. 즉 제2 상태로 전환된다. 그 다음,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카메라(103)를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되돌아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카메라(103)를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되돌아오도록 함으로써, 카메라(103)를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시킨다. 즉 제1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상태에서,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하며, 카메라(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수용 캐비티(105)에 직면한 측이고 전자기기 내측인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카메라(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직면한 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103)는 스크린 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으며, 제1 상태에서 보호 커버(102)는 제1 개구부와 카메라(103) 사이에 위치한다. 즉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가 분리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카메라(103) 사이에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즉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카메라(103)의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고,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위치한다. 즉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있다. 보호 커버(102)를 통해 카메라(103) 전체를 덮을 수 있어 외부 요인에 의한 간섭을 줄이고 손상또는 오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즉 보호 커버(102)는 손상을 줄이고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보호 역할을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이 배치되어 있으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을 통해 카메라(103)를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시킬수 있고,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개구부와 카메라(103) 사이에 위치하며, 카메라(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한다. 즉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 카메라(103)는 스크린 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고, 빛의 투과에 대한 보호 커버(102)의 영향을 피할 수 있으며, 촬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 커버(102)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 빛의 반사도 존재하지 않는다. 즉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의 촬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촬영 품질을 향상한다.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치한 경우,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치하고,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위치한다.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이동하며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들어갈 수 있으며, 보호 커버(102)를 통해 카메라(103)에 대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피할 수 있고, 카메라(103)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의해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상술한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assistant, PDA), 휴대 인터넷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일 수 있으나 이헤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102)는 투명 유리 커버이다. 즉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 나와 촬영을 수행할 때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 내부에 있으며, 보호 커버(102)가 투명 유리 커버이기 때문에 빛을 잘 투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103)가 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촬영을 실현한다. 또한 카메라(1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기기는 탄성 부재(106)를 더 포함하며, 탄성 부재(106)의 일단은 보호 커버(102)의 하부(1022)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106)의 타단은 카메라(103)에 연결된다.
즉 탄성 부재(106)는 보호 커버(102)의 하부(1022) 및 카메라(103)에 연결되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고, 카메라(103)는 이동 과정에서, 탄성 부재(106)를 압축될 수 있고,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 사이의 탄성 부재(106)의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탄성 부재(106)의 탄성력이 제1 임계값(예를 들어, 보호 커버(102)의 중력)보다 큰 경우, 즉 보호 커버(102)에 대해 탄성 부재(106)는 보호 커버(102)가 함께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는 제1 임계값보다 큰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진다. 즉 카메라(103)는 탄성 부재(106)를 통해 보호 커버(102)를 함께 밖으로 이동하도록 민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는 함께 외부로 이동하고,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 나오며, 카메라(103)의 제2 상태에로의 전환을 실현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촬영할 수 있고, 보호 커버(102)는 보호 역할을 하여 손상을 줄이며,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또한, 위의 경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 또다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내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카메라(103)의 이동 과정에서 탄성 부재(106)가 신장되고, 보호 커버(102)는 자체 중력과 탄성 부재(106)의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재부의 방향으로 당기는 힘의 작용으로 카메라(103)와 함께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하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되돌아오도록 함으로써, 카메라(103)의 제1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촬영, 즉 스크린 아래에서 촬영하게 되는데,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 아래에서 촬영하는 카메라(103)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촬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6)는 스프링이다. 스프링은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장착이 쉽다. 스프링은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의 하부(1022) 사이에 배치되며, 카메라(103)와 하부(1022)에 접촉할 필가 없다. 스프링을 통해 보호 커버(102)를 미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의 함께 이동을 빠르게 함으로써 카메라(103)가 제2 상태로 더 잘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06)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이다. 개별적인 탄성 부재(106)의 고장에 의해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 없어 상태 전환의 과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106)를 배치하여 그 중 하나의 탄성 부재(106)가 고장나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탄성 부재(106)를 통해 상태 전환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와부와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전환되어 촬영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일예로서, 보호 커버(102)의 하부(1022)가 내부 공동(1021)의 하부이고, 보호 커버(102)가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가 내부 공동(1021)와 연통되고, 제1 상태에서 보호 커버(102)의 개구부가 카메라(103)와 대향하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으로 들어가고, 보호 커버(102)를 통해 카메라(103)에 대해 보호 여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기기는 제1 자성 부재(107) 및 제2 자성 부재(108)를 더 포함하며, 제1 자성 부재(107)는 보호 커버(102)의 제1 측벽의 내면에 배치되고, 제2 자성 부재(108)는 카메라(103)에서 제1 측벽에 가까운 제1 측에 배치되며,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치한 경우, 제1 측벽의 내면은 제1 측과 대향하고,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즉 본 출원에서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 및 자성 부재의 서로 끌어당기는 원리를 결부하여 보호 커버(102)의 이동을 실현한다. 제1 자성 부재(107)의 자극과 제2 자성 부재(108)의 제1 자성 부재(107)에 가까운 자극은 서로 다르며, 자석의 이극 흡인 원리에 따라, 카메라(103)의 이동 과정에서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고,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는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의 흡인하는 면적이 커짐에 따라 흡인력이 증가하며, 흡인력이 보호 커버(102)의 중력보다 큰 경우, 보호 커버(102)는 제2 자성 부재(108)와 제1 자성 부재(107)의 흡인을 통해 카메라(103)와 함께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한다. 즉 자성 부재 사이의 흡인 및 카메라(103)의 이동을 통해 보호 커버(102)가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나게 하여 카메라(103)를 제2 상태에 있게 한다. 이 때,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는 서로를 끌어당기며,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 사이의 흡인력은 보호 커버(102)의 중력보다 크고,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는 흡인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진다. 즉 제1 자성 부재(107)는 제2 자성 부재(108)와 연결된다.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치한 경우,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위치하며, 이 때 제1 측벽의 내면은 제1 측과 대향하고, 제1 자성 부재(107)와 제2 자성 부재(108)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기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를 더 포함하며,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는 디바이스 하우징(101)에 배치되고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하며,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은 제1 개구부와 대향하고, 내부 공동(1021)은 간격 공간과 대향하며 연통된다.
여기서,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 즉 제1 상태에서, 보호 커버(102)는 제1 지지 부재(109)의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측 및 제2 지지 부재(110)의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개구부와 간격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보호 커버(102)의 제1 지지 부재(109)의 일단에 가까운 제1 부분은 제1 지지 부재(109)와 접촉하며, 보호 커버(102)의 일단의 제2 부분은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하고, 카메라(103)는 간격 공간 내에 위치한다.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즉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가 간격 공간으로부터 적어도 일부를 내부 공동(1021)에 뻗어지게 하는 경우, 보호 커버(102)와 함께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지게 하여 상태의 전환을 실현한다.
즉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는 모두 디바이스 하우징(101)에 배치되어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하며, 보호 커버(102)는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을 가로질러 제1 지지 부재(109)의 일측 및 제2 지지 부재(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즉 간격 공간은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과 대향하며 연통된다. 보호 커버(102)의 일단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제1 상태에서 보호 커버(102) 일단의 제1 부분은 제1 지지 부재(109)와 접촉하고, 제2 부분은 제2 지지 부재(110)과 접촉하며,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가 함께 보호 커버(102)를 지지함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 내부에 있다.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외부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간격 공간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카메라(103)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보호 커버(102)를 밀어 함께 외부로 이동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간격 공간에서 뻗어나와 적어도 일부를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에 배치되게 하며,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가 함께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나올 때까지 보호 커버(102)와 함께 외부로 이동하여 카메라(103)를 제2 상태로 한다.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보호 커버(102)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며,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는 경우,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가 보호 커버(102)를 지지하여 보호 커버(102)가 계속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즉 보호 커버(102)는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 위에 머물고 아래로 더 이동하지 않으며, 카메라(103)는 모터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보호 커버(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보호 커버(102)와 분리하고, 간격 공간 내에 머물 수 있으며, 카메라(103)를 제2 상태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102)는 커버 본체(1023) 및 커버 본체(1023) 일단의 외측 둘레의 가장자리 돌기(1024)를 포함하며, 커버 본체(1023) 일단에는 제2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고, 제2 개구부는 내부 공동(1021)과 연통되며, 내부 공동(1021)은 제2 개구부를 통해 간격 공간과 연통되고,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 가장자리 돌기(1024)의 일부는 제1 지지 부재(109)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지지 부재(109)와 접촉되고, 가장자리 돌기(1024)의 다른 부분은 제2 지지 부재(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되며,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위치한 경우, 가장자리 돌기(1024)는 프레임(1011)의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한다.
즉 보호 커버(102)의 하부(1022)가 커버 본체(1023)의 하부(1022)이며, 가장자리 돌기(1024)는 일부와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상태에서 일부는 제1 지지 부재(109)와 접촉하고, 다른 부분은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하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가 외부로 이동하고,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의 커버 본체(1023) 일단의 제2 개구부(상술한 보호 커버(102)의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음)를 통과하여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으로 이동하며, 카메라(103)의 이동에 의해 보호 커버(102)를 밀어 함께 이동시킬 수 있고,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나고, 가장자리 돌기(1024)가 프레임(1011)의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하는 경우,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가 가장자리 돌기(1024)를 막으므로써 보호 커버(10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보호 커버(102)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103)를 제2 상태로 한다. 이 때 보호 커버(102)는 가장자리 돌기(1024)가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더 이상 외부로 이동하지 않으며, 카메라(103)는 보호 커버(102) 내에 있고,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 다음 카메라의 미리보기를 기동하여 미리보기 이미지를 획득하며, 촬영 등을 한다.
일예로서, 보호 커버(102)는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제4 측벽 및 하부(1022)를 포함하며, 제1 측벽은 제4 측벽과 대향하고, 제2 측벽은 제3 측벽과 대향하며, 제1 측벽은 제2 측벽 및 제3 측벽에 각각 수직하여 연결되고, 제4 측벽은 제2 측벽 및 제3 측벽에 각각 수직하여 연결되며, 하부(1022)는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및 제4 측벽에 각각 수직하여 연결되고, 제1 측벽, 제2 측벽, 제3 측벽, 제4 측벽 및 하부(1022)는 둘러싸여 상술한 내부 공동(1021) 및 상술한 제2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 커버(102)의 형상을 자주 보는 카메라(103)의 형상에 더 가깝게 할 수 있으며,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의 협력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기기는 제3 자성 부재(111) 및 제4 자성 부재(112)를 더 포함하며, 제3 자성 부재(111)는 가장자리 돌기(1024)의 타겟 지지 부재에 가까운 측의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제4 자성 부재(112)는 타겟 지지 부재의 일측의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영역은 제2 영역과 대향하고, 타겟 지지 부재는 제1 지지 부재(109) 또는 제2 지지 부재(110)이며,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 제3 자성 부재(111)와 제4 자성 부재(112)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즉 가장자리 돌기(1024)의 제1 영역에 제3 자성 부재(111)가 배치되고, 가장자리 돌기(1024)의 일측이 타겟 지지 부재에 가까우며, 타겟 지지 부재에 직면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타겟 지지 부재의 제2 영역에 제4 자성 부재(112)가 배치되고, 타겟 지지 부재의 일측이 가장자리 돌기(1024)에 가까우며, 가장자리 돌기(1024)에 직면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영역이 제2 영역과 대향하면 제3 자성 부재(111)와 제4 자성 부재(112)도 대향하며,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 위치한 경우, 즉 제1 상태에서, 타겟 지지 부재가 보호 커버(102)를 지지하면 제3 자성 부재(111)와 제4 자성 부재(112)는 서로를 끌어당긴다.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고, 카메라(103)의 이동에 의해 보호 커버(102) 상의 제3 자성 부재(111)와 제4 자성 부재(112)의 흡인력 및 보호 커버(102)의 중력을 극복하며, 제3 자성 부재(111)와 제4 자성 부재(112) 사이가 분리되고, 카메라(103)가 보호 커버(102)를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뻗어나게 하며, 카메라(103)를 제2 상태로 한다. 즉 제2 상태에서 제3 자성 부재(111)는 제4 자성 부재(112)와 대향하되 분리된다. 즉 간격이 존재한다. 또한, 제3 자성 부재(111) 및 제4 자성 부재(112)의 배치를 통해 보호 커버(102)와 제1 지지 부재(109) 또는 제2 지지 부재(110)를 제1 상태에서 끌어당길 수 있게하여 보호 커버(102)의 흔들림 및 이동을 방지하고, 보호 커버(102)의 안정성을 향상하며,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 사이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은 트랜스미션 로드(1041), 트랜스미션 로드(1041)와 맞물리는 트랜스미션 휠(1042) 및 트랜스미션 휠(1042)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며,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로드(1041) 의 일단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일단 및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의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일단에 배치되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이 카메라(103)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로드(1041)의 일단에 배치된다. 모터의 회전 작용에 의해 트랜스미션 휠(1042)이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트랜스미션 휠(1042)의 회전 작용에 의해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제1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여 제1 개구부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됨으로써, 카메라(103)의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의 이동, 또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부터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로드(1041)의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일단에 배치되고, 모터의 출력축은 트랜스미션 휠(104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휠(1042)은 출력축에 배치될 수 있고, 트랜스미션 휠(1042) 의 회전 방향은 출력축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트랜스미션 휠(1042)이 회전되도록 구동되고, 트랜스미션 휠(1042)의 회전은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랜스미션 휠(1042)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외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즉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 가까워지게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모터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랜스미션 휠(1042)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되고,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 수용 캐비티(105) 내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즉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서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전자기기에 상술한 트랜스미션 메커니즘(104)을 배치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카메라(103)의 상태 전환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상술한 전자기기의 작동 과정은 구체적인 실시예와 합께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102)의 하부(1022)와 카메라(103) 사이는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고, 카메라(103)는 제1 상태에 있으며, 카메라(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하고, 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투과하여 카메라(103)에 입사하며, 카메라(103)는 입사한 빛을 감광하여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을 실현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카메라(103)는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 내에 있으며,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와 제1 개구부 사이에 있고, 보호 커버(102)의 일단의 제1 부분은 제1 지지 부재(109)와 접촉하며, 일단의 제2 부분은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하고,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는 함께 보호 커버(102)를 지지한다.
전자기기는 카메라(103)를 팝업하여 촬영하라는 명령을 받은 후 모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 휠(104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트랜스미션 휠(104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 대해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우선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보호 커버(102)의 제2 개구부를 통과하여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으로 들어가고, 스프링을 점차적으로 압축한다. 카메라(103)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이 보호 커버(102)의 중력보다 큰 경우, 보호 커버(102)의 가장자리 돌기(1024)가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촉될 때까지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에 의해 보호 커버(102)와 함께 제1 개구부에 대해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가장자리 부분은 가장자리 돌기(1024)를 막아서 보호 커버(102)를 이동할 수 없게 하며, 보호 커버(10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호 커버(102) 내의 카메라(103)의 이동을 멈추게 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제2 상태에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있고 카메라(103)가 보호 커버(102) 내에 있어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의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카메라(103)를 철회하여 촬영하라는 명령을 받은 후 모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랜스미션 휠(104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트랜스미션 휠(104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 대해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보호 커버(102)는 자체 중력 및 스프링의 인장력 작용에 의해 카메라(103)와 함께 철회되고, 스프링의 인장력은 보호 커버(102)가 바깥쪽으로 이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103)의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우선 보호 커버(102)의 가장자리 돌기(1024)가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할 때까지 보호 커버(102)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내에 들어가도록 구동하며,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는 가장자리 돌기(1024)를 막아서 보호 커버(102)를 이동할 수 없게 한다.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로드(1041)에 의해 구동되어 계속 이동하여 보호 커버(102)로부터 분리되고, 카메라(103)는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 내에 머물 수 있다. 이 때 카메라(103)는 제1 상태로 되돌아오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을 할 수 있고, 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직접 통과하여 조사되며, 보호 커버(102)가 없기 때문에 스크린 아래에서 수집한 이미지가 더 선명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한 카메라(103)가 더러워지는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스프링을 통해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의 함께 이동을 실현하는 것 외에, 자석(예를 들어, 자석)을 통해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의 함께 이동을 실현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102)의 제1 측벽의 내면에는 제1 자석이 배치되어 있고, 카메라(103) 중 제1 측에는 제2 자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카메라(103)에서 제1 측은 제2 지지 부재(110) 중 제2 측과 대향하고, 제2 지지 부재(110) 중 제2 측은 제2 지지 부재(110) 중 일측에 인접하여 수직되며 제1 지지 부재(109) 중 제3 측과 대향하고, 제1 지지 부재(109) 중 제3 측은 제2 지지 부재 중 일측에 인접하여 수직되며, 제1 지지 부재(109) 중 제1 측과 제2 지지 부재(110) 중 제2 측 사이는 상술한 간격 공간이다. 가장자리 돌기(1024)의 제1 영역에는 제3 자석이 배치되어 있고, 제2 지지 부재(110)의 제2 영역에는 제4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103)는 제1 상태에 있으며, 카메라(10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하고, 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투과하여 카메라(103)에 입사하며, 카메라(103)는 입사한 빛을 감광하여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을 실현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카메라(103)는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 내에 있으며,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와 제1 개구부 사이에 있고, 제3 자석과 제4 자석은 서로 끌어당겨지며, 가장자리 돌기(1024)의 제1 영역은 제3 자석과 제4 자석의 흡인에 의해 제2 지지 부재(110)의 제2 영역과 접촉하고,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는 보호 커버(102)를 함께 지지한다.
전자기기는 카메라(103)를 팝업하여 촬영하라는 명령을 받은 후 모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 휠(104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트랜스미션 휠(104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 대해 수용 캐비티(105) 외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우선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보호 커버(102)의 제2 개구부를 통과하여 보호 커버(102)의 내부 공동(1021)으로 들어가고, 카메라(103)의 제1 측의 제2 자석과 보호 커버(102)의 제1 측벽의 내면의 제2 자석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카메라(103)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고, 제1 자석과 제2 자석 사이 인력이 보호 커버(102)의 중력보다 큰 경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흡인을 통해 카메라(103)와 보호 커버(102)는 서로 끌어당기며, 카메라(103) 의 이동에 의해 보호 커버(102)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보호 커버(102)의 가장자리 돌기(1024)가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하고, 가장자리 부분이 가장자리 돌기(1024)를 막아 보호 커버(102)를 이동할 수 없게 하며, 보호 커버(10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호 커버(102) 내의 카메라(103)의 이동을 멈추게 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제2 상태에 있다. 보호 커버(102)와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 있고 카메라(103)가 보호 커버(102) 내에 있어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카메라(103)는 수용 캐비티(105) 외부에서의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카메라(103)를 철회하여 촬영하라는 명령을 받은 후 모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트랜스미션 휠(104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트랜스미션 휠(104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트랜스미션 로드(1041)가 제1 개구부에 대해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카메라(103)가 수용 캐비티(105)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흡인 작용 및 보호 커버(102) 자체의 중력에 의해 보호 커버(102)는 카메라(103)와 함께 철회된다. 카메라(103)의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103)는 우선 보호 커버(102)의 가장자리 돌기(1024)와 제1 지지 부재(109) 및 제2 지지 부재(110)와 접촉될 때까지 보호 커버(102)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105) 내에 들어가도록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가장자리 돌기(1024)의 제1 영역은 제3 자석과 제4 자석의 흡인을 통해 제2 지지 부재(110)의 제2 영역과 접촉하며,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는 가장자리 돌기(1024)를 막아 보호 커버(102)가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제3 자석과 제4 자석의 흡인을 통해 보호 커버(102)를 더욱 고정시켜 미끄럼을 방지한다. 카메라(103)는 트랜스미션 로드(1041)에 의해 구동되어 계속 이동하여 보호 커버(102)로부터 분리되고, 카메라(103)는 제1 지지 부재(109)와 제2 지지 부재(110) 사이의 간격 공간 내에 머물 수 있다. 이 때 카메라(103)는 제1 상태로 되돌아오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을 할 수 있고, 빛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직접 통과하여 조사되며, 보호 커버(102)가 없기 때문에 스크린 아래에서 수집한 이미지가 더 선명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한 카메라(103)가 더러워지는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아래에서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각 기술적 ?v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상술한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대해 설명하지 않지만, 이들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본 개시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 간주해야 한다.

Claims (10)

  1. 전자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바이스 하우징, 보호 커버, 카메라 및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의 프레임에는 제1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 커버에는 내부 공동이 있고;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카메라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서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로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보호 커버의 내부 공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일단이 상기 보호 커버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1 자성 부재 및 제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는 상기 보호 커버의 제1 측벽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내면에 가까운 제1 측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 측벽의 내면은 상기 제1 측과 대향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디바이스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의 간격 공간은 상기 제1 개구부와 대향하고,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간격 공간과 대향하고 연통되며;
    상기 카메라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측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부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개구부와 상기 간격 공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커버의 제1 지지 부재의 일단에 가까운 제1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보호 커버의 일단의 제2 부분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간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 일단의 외측 둘레의 가장자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본체 일단에는 제2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내부 공동과 연통되며,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간격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가장자리 돌기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가장자리 돌기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외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가장자리 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제1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제3 자성 부재 및 제4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는 상기 가장자리 돌기의 타겟 지지 부재에 가까운 측의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자성 부재는 상기 타겟 지지 부재의 일측의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대향하고, 상기 타겟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이며, 상기 카메라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3 자성 부재와 상기 제4 자성 부재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메커니즘은 트랜스미션 로드, 상기 트랜스미션 로드와 맞물리는 트랜스미션 휠 및 상기 트랜스미션 휠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트랜스미션 로드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휠이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트랜스미션 휠의 회전 작용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로드가 수용 캐비티 내부에서 제1 개구부에 대해 이동하여 제1 개구부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2 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 유리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27016195A 2019-10-31 2020-10-27 전자기기 KR20220077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53904.X 2019-10-31
CN201911053904.XA CN110719391B (zh) 2019-10-31 2019-10-31 一种电子设备
PCT/CN2020/123902 WO2021083120A1 (zh) 2019-10-31 2020-10-27 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929A true KR20220077929A (ko) 2022-06-09

Family

ID=6921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195A KR20220077929A (ko) 2019-10-31 2020-10-27 전자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47845A1 (ko)
EP (1) EP4054158B1 (ko)
JP (1) JP7302099B2 (ko)
KR (1) KR20220077929A (ko)
CN (1) CN110719391B (ko)
ES (1) ES2965168T3 (ko)
WO (1) WO2021083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9391B (zh) * 2019-10-31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1314516B (zh) * 2020-03-03 2021-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1405093B (zh) * 2020-03-19 2022-09-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143392B (zh) * 2021-11-23 2024-05-14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缓冲撞击力的装置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0170U1 (de) * 1995-06-22 1995-11-30 Siemens Ag Stiftorientierter Kleinrechner in Notizblockform
GB2368992B (en) 2000-11-10 2005-03-30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Imaging
JP5547862B1 (ja) * 2014-02-14 2014-07-16 光一 上石 プライバシーの保護性を強化した携帯情報端末カバー。
CN105453527B (zh) * 2014-07-15 2018-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摄像头组件
CN206332711U (zh) * 2016-12-29 2017-07-14 东莞市鸿瀚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防水智能手机专用的镜片防水装置
CN107197133B (zh) 2017-07-21 2019-1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摄像头组件
CN108512953B (zh) 2017-09-27 2023-12-05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手机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CN208015781U (zh) * 2018-02-09 2018-10-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0166664B (zh) * 2018-02-13 2022-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
CN208046676U (zh) * 2018-04-10 2018-11-02 苏州大学 一种应用于全面屏手机的前置摄像头组件
CN208509028U (zh) * 2018-08-03 2019-02-15 罗燕霞 一种磁吸式升降手机保护壳
CN108758232A (zh) * 2018-08-20 2018-11-06 苏志庆 一种伸缩摄像头升降保护机构
CN108900755A (zh) * 2018-08-31 2018-11-27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及终端
CN209358584U (zh) * 2019-01-03 2019-09-06 张家界昱辰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结构
CN110266845B (zh) * 2019-06-20 2021-05-28 歌尔股份有限公司 摄像头升降装置和智能终端
CN110225162B (zh) * 2019-06-20 2021-05-11 歌尔股份有限公司 摄像头升降装置和智能终端
WO2021033901A1 (ko) * 2019-08-16 2021-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갖는 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719391B (zh) * 2019-10-31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1818842B1 (en) * 2020-03-06 2023-11-14 Amazon Technologies, Inc. Configurable circuit board for abstracting third-party controls
KR20230102214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2099B2 (ja) 2023-07-03
CN110719391A (zh) 2020-01-21
US20220247845A1 (en) 2022-08-04
ES2965168T3 (es) 2024-04-11
CN110719391B (zh) 2021-06-15
JP2022553355A (ja) 2022-12-22
EP4054158A4 (en) 2022-12-28
EP4054158A1 (en) 2022-09-07
EP4054158B1 (en) 2023-10-25
WO2021083120A1 (zh)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7929A (ko) 전자기기
JP7280987B2 (ja) 移動端末及びカメラアセンブリ
KR102379962B1 (ko) 이동 단말기
US11095819B2 (en) Camera module having electromagnetic driving assembly
US10841475B2 (e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19157859A1 (zh) 电子设备及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
CN110602277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1187965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with stopping assembly
CN110166656B (zh) 电子设备
CN109976447B (zh)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205005144U (zh) 摄像头模组
CN113467040A (zh) 光学元件驱动机构
CN100582848C (zh) 透镜镜筒及摄影装置
KR20170131320A (ko) 카메라 모듈
CN113489882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20200333553A1 (en) Lens driving module
JP4187585B2 (ja) 固体撮像装置
KR20140089780A (ko) 카메라 모듈
WO2023102921A1 (zh) 摄像头模组、拍摄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215340501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6980761A (zh) 升降机构以及包括其的电子装置
KR101536172B1 (ko) 자동 초점 카메라 렌즈 모듈
JP2006352733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