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62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9962B1 KR102379962B1 KR1020207029886A KR20207029886A KR102379962B1 KR 102379962 B1 KR102379962 B1 KR 102379962B1 KR 1020207029886 A KR1020207029886 A KR 1020207029886A KR 20207029886 A KR20207029886 A KR 20207029886A KR 102379962 B1 KR102379962 B1 KR 102379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housing
- camera
- photographing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로서,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베이스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에는 제1 홈이 정의된다. 제2 하우징에는 제2 홈이 정의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며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한 능력을 구비한다. 이동 베이스는 제1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는 카메라를 제1 둘레면에 대해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고, 제2 홈은 이동 베이스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설명된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더 나은 사용 경험을 얻기 위해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전면에 또한 카메라 등 부품도 배치해야 하며, 이러한 부품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배치 공간을 제한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screen-to-body ratio)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베이스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에는 제1 홈이 정의되고,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내면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외면 및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둘레면을 포함한다. 제1 내면은 제1 외면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이 정의되고, 제1 홈은 상기 제1 둘레면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에는 제2 홈이 정의되고, 제2 하우징은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내면에 대향되는 제2 내면, 및 제2 내면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외면을 포함한다. 제1 홈은 제1 내면에서의 제2 홈의 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며,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한 능력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는 제1 외면에 탑재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다른 일부는 제2 외면에 탑재된다. 이동 베이스는 제1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에는 카메라가 배치되고, 이동 베이스는 카메라를 제1 둘레면에 대해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으며, 제2 홈은 이동 베이스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베이스는 카메라를 제1 둘레면에 대해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이 필요한 경우, 이동 베이스는 카메라를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운반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촬영이 불필요한 경우, 이동 베이스는 카메라를 제1 홈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한다. 따라서,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의 제1 외면 및 제2 외면을 차지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1 외면 및 제2 외면에 가능한 크게 배치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한 것은, 아래에 설명된 도면은 예시를 위한 것 일뿐 제한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어떠한 창의적인 작업 없이도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배치 위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힌 상태에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 의 이동 단말기의 펼침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분에서의 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부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배치 위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이동 베이스 및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펼쳐진 상태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배치 위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힌 상태에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 의 이동 단말기의 펼침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부분에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분에서의 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부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배치 위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이동 베이스 및 카메라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제어기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베이스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에는 제1 홈이 정의되고,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내면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외면 및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둘레면을 포함한다. 제1 내면은 제1 외면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이 정의되고, 제1 홈은 상기 제1 둘레면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에는 제2 홈이 정의되고, 제2 하우징은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내면에 대향되는 제2 내면, 및 제2 내면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외면을 포함한다. 제1 홈은 제1 내면에서의 제2 홈의 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며,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한 능력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는 제1 외면에 탑재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다른 일부는 제2 외면에 탑재된다. 이동 베이스는 제1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에는 카메라가 배치되고, 이동 베이스는 카메라를 제1 둘레면에 대해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하거나 제1 홈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고, 제2 홈은 이동 베이스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의 일부가 제2 홈에 수용될 때, 이동 베이스의 외측벽과 제2 홈에서의 제2 내면 사이에는 제1 갭이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은 제2 홈에서의 제2 내면 상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돌출부와 이동 베이스의 외면 사이에는 제2 간극이 정의되고, 제2 간극은 제1 간극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은 서로 대향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제1 홈 내에 위치되고, 이동 베이스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홈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벽에는 제1 안내 레일이 함몰되며, 제2 측벽에는 제2 안내 레일이 함몰되고, 제2 안내 레일과 제1 안내 레일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고, 이동 베이스에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안내 블록 및 제2 안내 블록이 배치되고, 제1 안내 블록은 제1 안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안내 블록은 제2 안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홈에서의 제1 내면은 호형이고, 이동 베이스의 외측벽은 호형이며, 이동 베이스의 외측벽이 제1 홈에서의 제1 내면과 대향되고, 이동 베이스는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홈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면에서의 제2 홈의 투영 형상과 제1 내면에서의 제1 홈의 개구 형상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둘레면은 제1 상부면, 제1 상부면과 대향되는 제1 하부면 및 제1 상부면과 제1 하부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측면을 포함한다. 제1 홈은 제1 상부면, 제1 하부면 및 제1 측면 중 하나에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제1 외면, 벤더블 부재의 외면, 및 제2 외면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탑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로킹 부재 및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로킹 부재는 제2 로킹 부재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는 제1 영구 자석이고, 제2 로킹 부재는 제2 영구 자석이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은 제2 영구 자석에 자기적으로 흡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부재는 제1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록이고, 제2 로킹 부재는 제2 내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이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블록은 상기 홈에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영면의 배향은 제1 내면의 배향과 동일하다. 이동 단말기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촬영 신호를 수신하며, 촬영 신호에 따라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하고, 지지 어셈블리가 접힌 상태일 경우, 카메라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를 구동하여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외면과 중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외면과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또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영면의 배향은 제1 외면의 배향과 동일하다. 이동 단말기는,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촬영 신호를 수신하며,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를 구동하여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1 외면과 중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외면과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기는 또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1 홈이 정의되는 제1 하우징, 제2 홈이 정의되는 제2 하우징, 벤더블 부재 및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 베이스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침 또는 접힘 가능하도록 한다.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제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쳐질 때 제1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접힐 때 제1 홈 및 제2 홈에 의해 정의된 챔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상면은 제1 홈에서 제1 하우징의 벽을 향한다.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접힐 때,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챔버 밖으로 이동되어 카메라가 촬영 가능하도록 하고,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쳐질 때,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제1 홈 밖으로 이동되어 카메라가 촬영 가능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상면은 제2 홈에서 제2 하우징의 벽을 향한다.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접힐 때,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챔버 밖으로 이동되어 카메라가 촬영 가능하도록 하고,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쳐질 때,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제1 홈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 내로 인입되어 카메라가 촬영 가능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제1 홈이 정의되는 제1 하우징, 제2 홈이 정의되는 제2 하우징, 벤더블 부재 및 이동 베이스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침 또는 접힘 가능하도록 한다.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배치된다.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제1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는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쳐질 때 제1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대해 접힐 때 제1 홈 및 제2 홈에 의해 정의된 챔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제시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베이스(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지지 어셈블리(1)에 고정된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된다. 벤더블 부재(13)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120° 내지 180°의 각도를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설명을 위해,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가 180°인 경우를 예로 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0° 내지 15°의 각도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설명을 위해,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가 0°인 경우를 예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둘레면(113)을 포함한다. 제1 외면(112)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둘레면(113)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11)에는 제1 홈(114)이 정의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114)이 정의되고, 제1 홈(114)은 제1 둘레면(113)으로 연장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 베이스(3)에는 카메라(41)가 설치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3)는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다. 이동 베이스(3)가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운반할 때, 카메라(41)의 촬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41)는 촬영할 수 있다. 이동 베이스(3)가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키도록 운반할 때, 제1 홈(11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이동 베이스(3)의 상면은 제1 둘레면(113)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룬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및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2 외면(122)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된다. 제2 내면(121)은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제2 홈(124)이 정의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2 내면(121)은 제1 내면(111)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1 홈(114)은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제2 홈(124)은 이동 베이스(3)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3)는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 필요한 경우,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어 촬영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 불필요한 경우,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 내로 인입된다. 따라서, 카메라(41)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을 차지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에 가능한 크게 배치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screen-to-body ratio)을 상대적으로 높게 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은 85%, 또는 심지어 95%까지 달할 수 있다.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은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방향의 수직면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예: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면적 대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투영 영역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은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 대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의 면적의 비율이다.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2)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가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사용자는 제1 외면(11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 또는 제2 외면(12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상호 작용 모드는 더욱 다양 해지고 사용자 경험이 더 좋아지게 된다. 또한, 제2 홈(124)은 이동 베이스(3)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이동 베이스(3)의 일부가 제2 홈(124)에 수용된다. 따라서,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두께가 얇아져, 이동 단말기(100)의 경량화 및 박형을 구현하는데 유리하다. 제1 홈(114)은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이동 베이스(3)가 제2 홈(124)에 잘 수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홈(124)의 제2 내면이 이동 베이스(3)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이동 베이스(3)가 원활하게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41)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주변 구조물(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12))에 의해 보호받도록 하고, 사용이 필요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 밖으로 이동시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노출로 인한 마모 및 먼지가 들어가는 등 문제를 방지하여, 카메라(41)의 촬영 품질을 효과적으로 보장한다.
"카메라(41)의 촬영면이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은 차광 효과를 갖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2) 등)에 의해 카메라(41)의 촬영면이 가려지지 않고,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보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41)의 촬상면이 투광 렌즈 등에 의해 커버되는 것도 여전히 허용된다.
도 3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은 제2 둘레면(123)을 더 포함한다. 제2 둘레면(123)은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 사이에 연결된다. 제2 내면(121)은 제2 외면(122)을 향해 함몰되어 제2 홈(124)이 정의된다. 제2 홈(124)은 제2 둘레면(123)으로 연장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둘레면(113)에서의 제1 홈(114)의 개구는 제2 둘레면(123)에서의 제2 홈(124)의 개구와 연통된다. 이들 2 개의 개구는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되는 하나의 배출구로 결합될 수 있다.
벤더블 부재(13)는 탄성 플레이트 구조, 힌지 구조, 축 연결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3)의 일부가 제2 홈(124)에 수용될 때, 이동 베이스(3)와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사이에 제1 갭(31)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홈(124)에 수용된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의 일부와 제2 홈(124)의 홈 벽은 이격되며,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들 사이에 제1 갭(31)이 정의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는 이동 베이스(3)와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사이에 제1 갭(31)이 정의되므로, 이동 베이스(3)가 이동할 때,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은 이동 베이스(3)를 저지하지 않으므로, 이동 베이스(3)가 보다 원활하게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의 서로 다른 영역과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사이의 제1 갭(31)의 폭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제1 갭(31)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폭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즉, 제1 갭(31)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폭은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갭(31)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폭은 균일하다. 제1 갭(31)의 폭은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과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 사이의 수직 거리를 의미한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12)은 복수 개의 돌출부(125)를 더 포함한다. 복수 개의 돌출부(125)는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상에 서로 이격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125)는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상에 대체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부(125)와 이동 베이스(3) 사이에 제2 갭(32)이 정의되고, 제2 갭(32)은 제1 갭(31) 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갭(32)은 복수 개의 돌출부(125)가 이동 베이스(3)에 대한 저지를 발생하지 않도록 정의되어, 이동 베이스(3)가 더욱 원활하게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제2 갭(32)은 제1 갭(31)보다 작기 때문에,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과 복수 개의 돌출부(125) 사이의 갭이 감소된다. 이동 단말기(100)가 낙하되거나 충격을 받을 시, 복수 개의 돌출부(125)가 이동 베이스(3)에 접하여 이동 베이스(3)를 위치 한정할 수 있어, 이동 베이스(3)가 과도한 변위가 발생됨으로 인한 구동 구조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이동 베이스(3)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을 포함하고,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은 제1 홈(114) 내에 위치된다.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은 대체적으로 평행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베이스(3)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외측벽(33) 및 제2 외측벽(34)을 포함한다. 제1 외측벽(33)은 제1 측벽(1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외측벽(34)은 제2 측벽(1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은 이동 베이스(3)에 대해 가이드 기능을 하고, 이동 베이스(3)의 이동 방향은 대체적으로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의 연장 방향과 일치된다.
제1 하우징(11)은 제3 측벽(1143) 및 바닥 벽(1144)을 더 포함하고, 제3 측벽(1143) 및 바닥 벽(1144)은 제1 홈(114) 내에 위치된다. 제3 측벽(1143)은 제1 측벽(1141)과 제2 측벽(1142) 사이에 연결되고, 제3 측벽(1143)은 제1 둘레면(113)과 이격된다. 바닥 벽(1144)은 제1 측벽(1141)과 제2 측벽(1142) 사이에 연결되고, 바닥 벽(1144)은 또한 제3 측벽(1143)과 제1 둘레면(113) 사이에 연결된다.
이동 베이스(3)는 제3 외측벽(35) 및 바닥 벽(36)을 더 포함한다. 제3 외측벽(35)은 제1 외측벽(33)과 제2 외측벽(34) 사이에 연결된다.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될 때, 제3 외측벽(35)은 제3 측벽(1143)에 접하여, 제3 측벽(1143)이 이동 베이스(3)를 위치 한정할 수 있다. 바닥 벽(36)은 제1 외측벽(33), 제2 외측벽(34) 및 제3 외측벽(35)에 연결된다. 바닥 벽(36)은 바닥 벽(1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닥 벽(1144)은 이동 베이스(3)를 지지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내로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이동 베이스(3)에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제1 하우징(11)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다양한 실시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영구 자석(141) 및 전자석(142)을 포함한다. 영구 자석(141)은 이동 베이스(3)에 고정된다. 영구 자석(141)은 제3 외측벽(35)에 감입될 수 있다. 전자석(142)은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전자석(142)은 제3 측벽(1143)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석(142)은 제3 측벽(1143)에 감입된다. 전자석(142)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석(142)과 영구 자석(141)은 서로 반발 또는 흡착됨으로써,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된다. 전자석(142)은 철심 및 철심의 외주 둘레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한다. 전자석(142)의 자기장은 코일에서 전류의 흐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변화된다.
또는,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슬라이더, 스크류 및 모터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이동 베이스(3)에 고정된다. 스크류와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스크류의 둘레측에는 나선형 홈이 구비된다. 슬라이더는 나선형 홈에 부분적으로 감입되어 스크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더는 대체적으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더의 일단은 이동 베이스(3)에 고정되고 슬라이더의 타단은 나선형 홈에 감입된다. 모터는 스크류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어, 슬라이더가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터가 스크류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슬라이더는 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제3 측벽(114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다. 모터가 스크류를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슬라이더는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제3 측벽(1143)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된다. 모터의 동작(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을 포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 구동 어셈블리는 슬리브, 구동로드 및 모터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이동 베이스(3)에 고정된다. 구동로드와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슬리브는 구동로드 외부에 끼워 안착되고 구동로드에 나사 고정된다. 슬리브는 구동로드에 대해 회전하고 제1 하우징(11)에 대해 이동한다. 모터는 구동로드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되어, 슬리브가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모터가 구동로드를 제3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슬리브는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구동로드의 구동에 따라 제3 측벽(114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어,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다. 모터가 구동로드를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슬리브는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구동로드의 구동에 따라 제3 측벽(1143)을 향해 슬라이드딩되어,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된다. 모터의 동작(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을 포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 구동 어셈블리는 랙, 기어 및 모터를 포함한다. 랙은 이동 베이스(3)에 고정된다. 기어와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기어는 랙에 맞물린다. 기어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랙의 일단은 이동 베이스(3)에 고정되고 랙의 타단은 제1 하우징(11) 내로 연장된다. 모터는 제1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모터는 랙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랙이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모터가 기어를 제5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랙은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기어의 구동에 따라 제3 측벽(1143)으로부터 멀어 지도록 슬라이딩되어,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다. 모터가 기어를 제5 방향과 반대되는 제6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 시, 랙은 이동 베이스(3)를 운반하여 기어의 구동에 따라 제3 측벽(1143)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된다. 모터의 동작(회전 방향,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 포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동 어셈블리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구동 어셈블리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이동 베이스(3)를 보다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측벽(1141)에는 함몰된 제1 안내 레일(1146)이 설치된다. 제2 측벽(1142)에는 함몰된 제2 안내 레일(1147)이 설치된다. 제2 안내 레일(1147)의 연장 방향은 제1 안내 레일(1146)의 연장 방향과 일치된다. 이동 베이스(3)에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안내 블록(37) 및 제2 안내 블록(38)이 설치된다. 제1 안내 블록(37)은 제1 외측벽(33)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안내 블록(38)은 제2 외측벽(34)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안내 블록(37)은 제1 안내 레일(11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안내 블록(38)은 제2 안내 레일(11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안내 레일(1146)은 제1 안내 블록(37)을 위치 한정 및 안내하고, 제2 안내 레일(1147)은 제2 안내 블록(38)을 위치 한정 및 안내한다. 따라서, 이동 베이스(3)는 원활하게 제1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안내 레일(1146) 및 제2 안내 레일(1147) 중 하나가 또한 제1 하우징(11)에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게, 제1 안내 블록(37) 및 제2 안내 블록(38) 중 하나가 이동 베이스(3)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제1 홈(114)(일부(1140)) 에서의 제1 내면(111)은 호형이다.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30)은 호형이다.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30)은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의 일부(1140)와 대향되어 배치된다.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30)과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의 일부(1140)는 서로 인접하고 서로 마주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의 일부(1140)의 궤적은 이동 베이스(3)의 회전 궤적에 매칭된다.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의 일부(1140)는 호형을 가지며,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30)은 호형을 가지고, 상기 두 형상은 모두 이동 베이스(3)의 회전 궤적에 매칭되어, 이동 베이스(3)가 원활하게 제1 홈(114)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될 수 있다.
제1 홈(114)은 반원형을 갖는다. 이동 베이스(3)는 반원형 또는 팬형(fan-shape)을 갖는다. 이동 베이스(3)의 회전 중심(30')은 제1 홈(114)의 중심(1140')과 일치된다. 이때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동 베이스(3)가 반원형일 경우, 이동 베이스(3)는 외측벽(30)에 연결되는 상측벽(30'')을 더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회전 인입 시, 상측벽(30'')은 제1 하우징(11)의 제1 둘레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이동 베이스(3)가 팬형일 경우, 이동 베이스(3)는 제1 측벽 및 제1 측벽에 연결되는 제2 측벽을 더 포함한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30)의 양단에 연결된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는 180° 미만의 각도가 형성된다.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에는 함몰된 안내 레일(1148)이 설치된다.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에는 돌출된 안내 블록(39)이 설치된다. 안내 블록(39)은 안내 레일(114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안내 레일(1148)은 안내 블록(39)을 위치 한정 및 안내하여, 이동 베이스(3)가 원활하게 제1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될 수 있고, 또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2 구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제2 구동 어셈블리는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구동 어셈블리는 모터,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포함한다. 모터는 제1 기어를 구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2 기어는 제1 기어와 맞물린다. 제2 기어는 이동 베이스(3)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제2 기어의 회전 중심은 이동 베이스(3)의 회전축의 회전 중심과 일치된다. 모터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통해 이동 베이스(3)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이동 시트(3)가 제1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도 6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1240)의 형상과 제1 내면(111)에서의 제1 홈(114)의 개구(1145)의 형상은 동일하다. 투영(1240)은 제1 내면(111)에서 제2 홈(124)에 의해 정의되며, 제1 형상을 갖는다. 개구(1145)는 제1 내면(111)에서 제1 홈(114)에 의해 정의되며, 제2 형상을 갖는다. 제1 형상은 제2 형상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상이 직사각형이며, 제2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또는, 제1 형상이 반원형이며 제2 형상은 반원형이다. 제1 내면(111)에서 제1 홈(114)에 의해 정의된 개구(1145)는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 즉,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면적은 제1 내면(111)에서의 제1 홈(114)의 개구(1145)의 면적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베이스(3)와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사이에 위치된 제1 갭(31)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폭은 동일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균일되도록 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동 베이스(3)와 제1 하우징(11) 사이의 간섭을 피하는 것에도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제1 둘레면(113)은 제1 상부면(1131),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을 구비한다. 제1 상부면(1131)은 제1 하부면(113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측면(1133)은 제1 상부면(1131)과 제1 하부면(1132)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홈(114)은 제1 상부면(1131)(도 8에 도시됨),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 중 하나에 연장된다. 즉, 이동 베이스(3)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측, 하측 또는 좌우측에서 신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다양한 실시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집적된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제1 외면(112), 벤더블 부재(13)의 외면 및 제2 외면(122)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탑재한다. 벤더블 부재(13)의 외면의 대향되는 측은 제1 외면(112) 및 제2 외면(122)에 각각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은 독립적인 2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은 제1 외면(112)에 배치된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은 제2 외면(122)에 배치된다. 벤더블 부재(13)의 외면에는 연성인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3)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에 연결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벤더블 부재(13)의 외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1)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2)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는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을 제2 하우징(12)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로킹 구조(151, 152)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로킹 구조(151, 152)는 다양한 실시방식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로킹 부재(151) 및 제2 로킹 부재(152)를 더 포함한다.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하우징(11)에 배치된다.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하우징(12)에 배치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로킹 부재(151)는 제2 로킹 부재(152)에 결합된다.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영구 자석이고,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영구 자석이다. 제1 영구 자석과 제2 영구 자석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는 자기적으로 반대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과 제2 영구 자석은 자기적으로 흡착된다.
또는,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내면(111)으로부터 돌출된 블록이다.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내면(121)으로부터 함몰된 홈이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블록은 홈에 맞물린다. 블록은 홈에서 제2 내면(121)과 억지 끼워 맞춤되어 그들 사이의 잠금력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베이스(3)에는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플래시, 마이크로폰(송신기라고도 함) 및 이어 피스(42)(수신기라고도 함), 광 센서 및 지문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된다. 기능 장치(예: 이어 피스(42), 광 센서, 지문 모듈 등)는 이동 베이스(3)에 배치되어, 사용에 필요 시, 제1 하우징(11)에 대해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에 불필요 시, 제1 하우징(11)에 대해 접힐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질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을 증가시킨다. 이동 베이스(3)에 수용된 기능 장치는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어, 중첩 배열로 인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동 베이스(3) 내의 카메라(41)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개수는 2 개이다. 2 개의 카메라(41)의 촬영 방향은 동일할 수 있고(모두 전면 또는 배면), 또는 서로 다를 수 있다(하나는 전면, 다른 하나는 배면).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112)의 배향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이 제1 외면(112)의 배향과 동일할 경우, 카메라(41)는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이든 펼쳐진 상태이든 관계 없이 이동 베이스(3)의 구동 하에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어야, 이미지를 캡처하여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이 제1 내면(111)의 배향과 동일할 경우, 지지 어셈블리(1)는 펼쳐진 상태에서, 카메라(41)는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어 촬영할 수 있거나, 직접 촬영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접힌 상태에서, 카메라(41)는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 후 촬영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지지 어셈블리(1)가 일정 각도로 펼져친 상태일 때, 카메라(41)가 제2 하우징(12)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이미지 촬영을 하는 경우, 카메라(41)는 제1 홈(1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촬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각도가 90 ° 또는 120 ° 이상인 경우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동 베이스(3)는 박스(3a) 및 커버 플레이트(3b)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3b)는 박스(3a)를 커버한다. 이동 베이스(3) 내에 수용 공간이 정의된다. 카메라(41)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커버 플레이트(3b) 상에는 신호 투과 영역(3c)이 설치된다. 신호 투과 영역(3c)은 통공일 수 있고, 통공에 투명 렌즈가 삽입될 수도 있다.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신호 투과 영역(3c)과 직접 대향되어, 신호 투과 영역(3c)을 통해 집광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기(5)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5)는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내에 수용된다. 제어기(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5)는 또한 이동 베이스(3)에 수용된 기능 장치, 예로 카메라(41)에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5)는 이동 베이스(3)의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에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의 제1 둘레면(113) 또는 제2 하우징(12)의 제2 둘레면(123)에는 트리거링 버튼(6)이 설치된다. 트리거링 버튼(6)은 제어기(5)에 연결(전기적으로 연결 및 신호 연결)된다. 사용자가 트리거링 버튼(6)을 누르거나 터치 시, 트리거링 버튼(6)은 제어기(5)에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기(5)는 필요 시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이동 베이스(3)가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되도록 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둘레면(113) 및 제2 둘레면(123)에는 모두 트리거링 버튼이 설치된다. 트리거 신호는 촬영 신호, 촬영 종료 신호, 착신 신호, 착신 종료 신호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버튼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배치되는 터치 아이콘일 수 있다. 터치 아이콘이 클릭된 후, 트리거 신호가 제어기(5)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기(5)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제1 구동 어셈블리 또는 제2 구동 어셈블리가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도 5 및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동일하다. 제어기(5)는 수신부(511), 검출부(512) 및 구동부(513)를 포함한다.
수신부(511)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검출부(512)는 촬영 신호에 따라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13)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하고,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에 따라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직접 촬영하거나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킨 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동작의 효과를 보장하고, 사용자가 효과적인 캡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부(513)는 또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수신부(511)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검출부(512)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에 따라 제1 홈(114)에 대한 이동 베이스(3)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13)는 또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 경우,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킨 다음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하도록 구성되고,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된 경우,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된다.
제어기(5)는 판단부(514) 및 스위칭부(515)를 더 포함한다.
판단부(514)는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부(515)는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촬영 요구 사항에 따라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자유롭게 스위칭할 수 있어, 사용자의 촬영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 도 15 및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112)의 배향과 동일하다. 제어기(5)는 수신부(521) 및 구동부(522)를 포함한다.
수신부(521)는 촬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22)는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부(521)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522)는 또한 촬영 종료 신호에 따라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키고,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된다. 제어기(5)는 판단부(523) 및 스위칭부(524)를 더 포함한다.
판단부(523)는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부(524)는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더 제시된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도 1 내지 도 14, 도 16 및 도 17을 함께 참조)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베이스(3)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고, 벤더블 부재(13)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둘레면(11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외면(112)에 탑재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주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둘레면(113)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11)에는 제1 홈(114)이 정의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114)이 정의되고, 제1 홈(114)은 제1 둘레면(113)으로 연장된다.
이동 베이스(3)에는 카메라(41)가 배치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3)는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동일하다.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및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2 외면(122)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된다. 제2 내면(121)은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제2 홈(124)이 정의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2 내면(121)은 제1 내면(111)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1 홈(114)은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제2 홈(124)은 이동 베이스(3)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 블록에서의 동작/작동을 포함한다.
블록(101)에서, 촬영 신호를 수신한다.
블록(102)에서, 촬영 신호에 따라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블록(1031)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블록(1032)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에 따라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직접 촬영하거나,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킨 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동작의 효과를 보장하고, 사용자가 효과적인 캡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는 지지 어셈블리(1)의 상태를 획득하도록,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 센서를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또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11)의 특정 지점과 제2 하우징(12)의 특정 지점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 후, 알고리즘에 의해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엄밀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 블록에서의 동작/작동을 더 포함한다.
블록(104)에서,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한다.
블록(105)에서, 촬영 종료 신호에 따라 제1 홈(114)에 대한 이동 베이스(3)의 이동 상태를 검출한다.
블록(1061)에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 경우,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키고,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한다.
블록(1062)에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된 경우,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 블록에서의 동작/작동을 더 포함한다.
블록(107)에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블록(1081)에서,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블록(1082)에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107)은 블록(101) 이후에 수행된다. 블록(1081) 및 블록(1082)은 카메라(41)의 촬영 동작 이전에 수행되며, 예를 들어, 블록(1081) 및 블록(1082)은 블록(102)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블록(1031) 및 블록(1032)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의 동작/작동을 더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가 임계값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제1 홈(114)에 대한 이동 베이스(3)의 이동 상태를 감지한다.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된 경우,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킨다.
이동 단말기(100)는 중력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중력 센서는 제어기(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력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중력 센서가 가속도가 임계 값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제어기(5)는 이동 단말기(100)가 낙하 환경 또는 충격 환경에 놓였음을 판단한 후, 이동 베이스(3)의 신축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되는 동작을 발생한다. 따라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되어 이동 베이스(3) 및 카메라(41)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제시된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도 1 내지 도 3, 도 6 내지 도 16 및 도 18을 함께 참조)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베이스(3)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고, 벤더블 부재(13)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둘레면(11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외면(112)에 탑재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주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1 둘레면(113)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11)에는 제1 홈(114)이 정의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114)이 정의되고,제1 홈(114)은 제1 둘레면(113)으로 연장된다.
이동 베이스(3)에는 카메라(41)가 배치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3)는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동일하다.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및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2 외면(122)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된다. 제2 내면(121)은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제2 홈(124)이 정의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2 내면(121)은 제1 내면(111)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1 홈(114)은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제2 홈(124)은 이동 베이스(3)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 블록에서의 동작/작동을 포함한다.
블록(201)에서, 촬영 신호를 수신한다.
블록(202)에서,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킨 후,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촬영이 필요한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제어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켜 촬영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호 작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22를 함께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 블록에서의 동작/작동을 더 포함한다.
블록(203)에서, 촬영 종료 신호를 수신한다.
블록(204)에서, 촬영 종료 신호에 따라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키고, 카메라(41)의 촬영을 종료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은 제2 외면(122)과 중첩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 블록에서의 동작/작동을 더 포함한다.
블록(205)에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판단한다.
블록(2061)에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블록(2062)에서,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205)은 블록(201) 이후에 수행된다. 블록(2061) 및 블록(2062)은 카메라(41)의 촬영 동작 이전에 완료되며, 예를 들어, 블록(2061) 및 블록(2062)은 이동 베이스(3)를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키는 동작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블록(204)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의 동작/작동을 더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가 임계값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제1 홈(114)에 대한 이동 베이스(3)의 이동 상태를 감지한다.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으로부터 돌출된 경우, 이동 베이스(3)를 제1 홈(114) 내로 인입시키도록 구동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중력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중력 센서는 제어기(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력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중력 센서가 가속도가 임계 값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제어기(5)는 이동 단말기(100)가 낙하 환경 또는 충격 환경에 놓였음을 판단한 후, 이동 베이스(3)의 신축 상태를 감지하고 해당되는 동작을 발생한다. 따라서, 이동 베이스(3)가 제1 홈(114) 내로 인입되어 이동 베이스(3) 및 카메라(41)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베이스(3)를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에는 제1 홈(114)이 정의되고,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내면(111)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외면(112), 및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둘레면(113)을 포함한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114)이 정의되고, 제1 홈(114)은 제1 둘레면(113)으로 연장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제2 홈(124)이 정의되고, 제2 하우징(12)은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내면(111)과 대향되는 제2 내면(121), 및 제2 내면(121)과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외면(122)을 포함한다. 제1 홈(114)은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벤더블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며,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한 능력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는 제1 외면(112)에 탑재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다른 일부는 제2 외면(122)에 탑재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베이스(3)에는 카메라(41)가 배치되고, 이동 베이스(3)는 카메라(41)를 제1 둘레면(113)에 대해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고, 제2 홈(124)은 이동 베이스(3)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베이스(3)의 일부가 제2 홈(124) 내에 수용될 때,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과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사이에 제1 갭(31)이 정의된다.
일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은 제2 홈(124)에서의 제2 내면(121) 상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125)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돌출부(125)와 이동 베이스(3)의 외면 사이에 제2 갭(32)이 정의되고, 제2 갭(32)은 제1 갭(31)보다 작다.
일 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은 서로 대향되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을 포함하고,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은 제1 홈(114) 내에 위치되고, 이동 베이스(3)는 제1 측벽(1141) 및 제2 측벽(1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홈(114)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한다.
일 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1141)에는 제1 안내 레일(1146)이 함몰되며, 제2 측벽(1142)에는 제2 안내 레일(1147)이 함몰되고, 제2 안내 레일(1147)과 제1 안내 레일(1146)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고, 이동 베이스(3)에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안내 블록(37) 및 제2 안내 블록(38)이 배치되고, 제1 안내 블록(37)은 제1 안내 레일(11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안내 블록(38)은 제2 안내 레일(114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은 호형이고,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은 호형이며, 이동 베이스(3)의 외측벽이 제1 홈(114)에서의 제1 내면(111)과 대향되고,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홈(114)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한다.
일 예에서, 도 3,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면(111)에서의 제2 홈(124)의 투영 형상과 제1 내면(111)에서의 제1 홈(114)의 개구 형상은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일 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둘레면(113)은 제1 상부면(1131), 제1 상부면(1131)과 대향되는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상부면(1131)과 제1 하부면(1132)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측면(1133)을 포함한다. 제1 홈(114)은 제1 상부면(1131), 제1 하부면(1132) 및 제1 측면(1133) 중 하나에 연장된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제1 외면(112), 벤더블 부재(13)의 외면 및 제2 외면(122)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탑재한다.
일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에 배치되는 제1 로킹 부재(151) 및 제2 하우징(12)에 배치되는 제2 로킹 부재(152)를 더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로킹 부재(151)는 제2 로킹 부재(152)에 결합된다.
일 예에서,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영구 자석이고,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영구 자석이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은 제2 영구 자석에 자기적으로 흡착된다.
일 예에서, 제1 로킹 부재(151)는 제1 내면(111)으로부터 돌출된 블록이고, 제2 로킹 부재(152)는 제2 내면(121)으로부터 함몰된 홈이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블록은 홈에 맞물린다.
일 예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내면(111)의 배향과 동일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내에 수용되고, 촬영 신호를 수신하며, 촬영 신호에 따라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하고,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경우,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5)를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외면(122)과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어기(5)는 또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도 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1 외면(112)의 배향과 동일하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1) 또는 제2 하우징(12) 내에 수용되고, 촬영 신호를 수신하며, 촬영 신호에 따라 카메라(41)를 운반하도록 이동 베이스(3)를 구동하여 제1 홈(114) 밖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41)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5)를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외면(112)과 중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 및 제2 외면(122)과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을 포함한다. 제어기(5)는 또한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a)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2b)으로 스위칭하여 카메라(41)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홈(114)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 제2 홈(124)이 정의되는 제2 하우징(12), 벤더블 부재(13) 및 카메라(41)가 구비되는 이동 베이스(3)를 포함한다. 벤더블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펼침 또는 접힘 가능하도록 한다.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펼쳐질 때 제1 홈(114)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접힐 때 제1 홈(114) 및 제2 홈(124)에 의해 정의된 챔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제1 홈(114)에서 제1 하우징(11)의 벽을 향한다.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접힐 때,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챔버 밖으로 이동되어 카메라(41)가 촬영 가능하도록 하고,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펼쳐질 때,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어 카메라(41)가 촬영 가능하도록 한다.
다른 예에서, 도 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제2 홈(124)에서 제2 하우징(12)의 벽을 향한다.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접힐 때,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챔버 밖으로 이동되어 카메라(41)가 촬영 가능하도록 하고,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펼쳐질 때,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홈(114) 밖으로 이동되거나 제1 홈(114) 내로 인입되어 카메라(41)가 촬영 가능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홈(114)이 정의되는 제1 하우징(11), 제2 홈(124)이 정의되는 제2 하우징(12), 벤더블 부재(13),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베이스(3)를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펼침 또는 접힘 가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더블 부재(13)에 배치된다. 카메라(41)가 구비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메라(41)가 장착된 이동 베이스(3)는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에 대해 펼쳐질 때 제1 홈(114)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제1 하우징(11)이 제2 하우징(12)에 대해 접힐 때 제1 홈(114) 및 제2 홈(124)에 의해 정의된 챔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어기는 기능부의 형태로 제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부"라는 용어는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각 "부"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대상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 ASIC, 단일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공유, 전용 또는 칩 셋) 및 메모리, 조합 논리 및/또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타 적절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저장 매체가 더 제공된다.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어느 한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에는 이동 단말기가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어느 한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에는 이동 단말기가 포함된다.
Claims (15)
- 지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베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홈이 정의되는 제1 하우징, 제2 홈이 정의되는 제2 하우징 및 벤더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상기 제1 내면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1 외면; 및
상기 제1 내면과 상기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둘레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면은 상기 제1 외면을 향해 함몰되어 제1 홈이 정의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둘레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외면 위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상기 제1 내면에 대향되는 제2 내면; 및
상기 제2 내면에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2 외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내면에서의 제2 홈의 투영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벤더블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한 능력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는 상기 제1 외면에 탑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외면에 탑재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제1 홈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에는 카메라가 배치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카메라를 상기 제1 둘레면에 대해 상기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1 홈 내로 인입하도록 운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홈은 상기 이동 베이스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베이스의 일부가 상기 제2 홈에 수용될 때, 상기 이동 베이스의 외측벽과 상기 제2 홈에서의 제2 내면 사이에는 제1 갭이 정의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홈에서의 상기 제2 내면 상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와 상기 이동 베이스의 외면 사이에는 제2 간극이 정의되고, 상기 제2 간극은 제1 간극보다 작은,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서로 대향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딩 인출 또는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는 제1 안내 레일이 함몰되며, 상기 제2 측벽에는 제2 안내 레일이 함몰되고, 상기 제2 안내 레일과 상기 제1 안내 레일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이동 베이스에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안내 블록 및 제2 안내 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안내 블록은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안내 블록은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에서의 상기 제1 내면은 호형이고, 상기 이동 베이스의 외측벽은 호형이며, 상기 이동 베이스의 외측벽이 상기 제1 홈에서의 제1 내면과 대향되고, 상기 이동 베이스는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홈에 회전 인출 또는 회전 인입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면에서의 상기 제2 홈의 투영 형상과 상기 제1 내면에서의 상기 제1 홈의 개구 형상은 동일한, 이동 단말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둘레면은 제1 상부면, 상기 제1 상부면과 대향되는 제1 하부면 및 상기 제1 상부면과 상기 제1 하부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상부면, 상기 제1 하부면 및 상기 제1 측면 중 하나에 연장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상기 제1 외면, 상기 벤더블 부재의 외면, 및 상기 제2 외면은 전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탑재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로킹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 로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상기 제2 로킹 부재에 결합되는, 이동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제1 영구 자석이고, 상기 제2 로킹 부재는 제2 영구 자석이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상기 제1 영구 자석은 상기 제2 영구 자석에 자기적으로 흡착되고; 또는
상기 제1 로킹 부재는 상기 제1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블록이고, 상기 제2 로킹 부재는 상기 제2 내면으로부터 함몰된 홈이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상기 블록은 상기 홈에 맞물리는, 이동 단말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면의 배향은 상기 제1 내면의 배향과 동일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촬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인지 접힌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힌 상태일 경우, 상기 카메라를 운반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를 구동하여 상기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1 외면과 중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외면과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면의 배향은 상기 제1 외면의 배향과 동일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촬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촬영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운반하도록 상기 이동 베이스를 구동하여 상기 제1 홈 밖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1 외면과 중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외면과 중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촬영 신호가 전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촬영 신호가 배면 촬영에 대한 것일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810421797.0A CN110445904A (zh) | 2018-05-04 | 2018-05-04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CN201810421797.0 | 2018-05-04 | ||
CN201820676770.1 | 2018-05-04 | ||
CN201820676770.1U CN208128327U (zh) | 2018-05-04 | 2018-05-04 | 移动终端 |
PCT/CN2019/075603 WO2019210730A1 (en) | 2018-05-04 | 2019-02-20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2972A KR20200132972A (ko) | 2020-11-25 |
KR102379962B1 true KR102379962B1 (ko) | 2022-03-29 |
Family
ID=6565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9886A KR102379962B1 (ko) | 2018-05-04 | 2019-02-20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0742787B2 (ko) |
EP (1) | EP3565225B1 (ko) |
JP (1) | JP7354142B2 (ko) |
KR (1) | KR102379962B1 (ko) |
WO (1) | WO201921073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884743S1 (en) * | 2018-02-11 | 2020-05-19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Foldable screen |
JP7190507B2 (ja) * | 2018-05-04 | 2022-12-15 |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 移動端末 |
USD892073S1 (en) * | 2018-09-05 | 2020-08-04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obile phone |
CN209105221U (zh) * | 2018-09-07 | 2019-07-1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KR20200121151A (ko) | 2019-04-15 | 2020-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
USD923620S1 (en) * | 2019-05-17 | 2021-06-2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Electronic writing device |
JP1653373S (ja) * | 2019-07-11 | 2020-02-25 | 携帯電話機 | |
US20220109782A1 (en) * | 2020-10-01 | 2022-04-07 | Lenovo (Singapore) Pte. Ltd. | World-facing camera on electronic device |
CN112399059B (zh) * | 2020-11-17 | 2022-03-1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升降机构、摄像模组及移动终端 |
CN112764860A (zh) * | 2021-01-22 | 2021-05-0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 |
CN113286024B (zh) * | 2021-05-20 | 2024-01-3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28940A (zh) * | 2017-08-08 | 2017-12-29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折叠式移动终端 |
CN107864242A (zh) * | 2017-11-28 | 2018-03-30 | 上海量科电子科技有限公司 | 全屏手机及其活动式摄像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46287B2 (en) * | 1999-12-24 | 2006-05-16 | Nec Corporatio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JP2004274676A (ja) * | 2003-03-12 | 2004-09-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ドーム型撮影装置 |
ATE500682T1 (de) * | 2004-01-20 | 2011-03-15 | Panasonic Corp | Klappbares, tragbares endgerät mit ausziehbarem kameramodul |
US7636110B2 (en) * | 2004-04-28 | 2009-12-22 | Kyocera Corporation | Terminal, camera unit, and terminal camera unit system |
KR20060096681A (ko) * | 2005-03-02 | 2006-09-13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용 슬라이드장치 |
TWI260906B (en) * | 2005-05-17 | 2006-08-21 | Jin-Chiuan Huang | Lens turning device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
KR100703353B1 (ko) * | 2005-05-30 | 2007-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US20090059043A1 (en) * | 2007-09-04 | 2009-03-05 | Randolph Cary Demuynck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auto focus lens |
US8432485B1 (en) * | 2007-12-19 | 2013-04-30 | Logitech Europe S.A. | Optimized designs for embedding webcam modules with superior image quality in electronics displays |
KR20140046327A (ko) * | 2012-10-10 | 2014-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
KR102083597B1 (ko) * | 2014-03-10 | 2020-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5632345B (zh) * | 2016-01-14 | 2018-05-0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装置 |
KR102398836B1 (ko) * | 2016-01-18 | 2022-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9930228B2 (en) * | 2016-06-29 | 2018-03-27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Retractable camera cap |
CN106817450A (zh) * | 2017-01-24 | 2017-06-0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 |
US10237461B2 (en) * | 2017-03-01 | 2019-03-19 | Intel Corporation | Dual form factor devices having operative and complementary aligning components |
CN208128323U (zh) * | 2018-05-04 | 2018-11-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208128327U (zh) * | 2018-05-04 | 2018-11-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208128326U (zh) * | 2018-05-04 | 2018-11-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
2019
- 2019-02-20 EP EP19158197.4A patent/EP3565225B1/en active Active
- 2019-02-20 WO PCT/CN2019/075603 patent/WO201921073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2-20 KR KR1020207029886A patent/KR1023799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2-20 JP JP2020556757A patent/JP7354142B2/ja active Active
- 2019-02-21 US US16/281,403 patent/US10742787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7-07 US US16/922,835 patent/US1091750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28940A (zh) * | 2017-08-08 | 2017-12-29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折叠式移动终端 |
CN107864242A (zh) * | 2017-11-28 | 2018-03-30 | 上海量科电子科技有限公司 | 全屏手机及其活动式摄像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10730A1 (en) | 2019-11-07 |
EP3565225A1 (en) | 2019-11-06 |
US20200336578A1 (en) | 2020-10-22 |
US20190342435A1 (en) | 2019-11-07 |
JP7354142B2 (ja) | 2023-10-02 |
KR20200132972A (ko) | 2020-11-25 |
US10742787B2 (en) | 2020-08-11 |
JP2021517994A (ja) | 2021-07-29 |
EP3565225B1 (en) | 2021-06-09 |
US10917507B2 (en) | 2021-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9962B1 (ko) | 이동 단말기 | |
JP7280987B2 (ja) | 移動端末及びカメラアセンブリ | |
KR102376039B1 (ko) | 이동 단말기 | |
CN110445898B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TWI791207B (zh) | 電子設備 | |
EP3525433B1 (en) | Mobile terminal | |
CN104519265B (zh) | 一种终端设备以及摄像方法 | |
US11196848B2 (en) | Terminal device having rotatable camera assembly and rotatable camera assembly of terminal device | |
EP3618408B1 (en) | Electronic device | |
CN104618542A (zh) | 手机 | |
WO2021083120A1 (zh) | 电子设备 | |
CN208522805U (zh) | 折叠式移动终端 | |
CN109976447B (zh) |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 |
KR102697332B1 (ko) | 전자기기 | |
JP2023508487A (ja) | 撮像モジュール、電子機器、撮像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および可読記憶媒体 | |
CN110166656B (zh) | 电子设备 | |
CN105785546A (zh) | 一种新型防尘结构的闭环单摄像头自动对焦驱动装置 | |
CN110445902B (zh) | 移动终端 | |
WO2019228050A1 (zh) | 成像组件、电子组件、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控制方法 | |
WO2019210812A1 (zh) | 移动终端和可折叠的移动终端 | |
JP4187585B2 (ja) | 固体撮像装置 | |
CN109962995B (zh) | 功能组件、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 |
CN110445903B (zh) | 移动终端 | |
CN110445908B (zh) | 移动终端 | |
KR102721131B1 (ko) | 전자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