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214A -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214A
KR20230102214A KR1020210192165A KR20210192165A KR20230102214A KR 20230102214 A KR20230102214 A KR 20230102214A KR 1020210192165 A KR1020210192165 A KR 1020210192165A KR 20210192165 A KR20210192165 A KR 20210192165A KR 20230102214 A KR20230102214 A KR 2023010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value
image data
data
area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명
김리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214A/ko
Priority to CN202211517954.0A priority patent/CN116386564A/zh
Priority to US18/072,111 priority patent/US11942022B2/en
Publication of KR2023010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백색이 인가된 경우의 카메라 영역과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 차이를 이용한 백색 보정값 및 단색이 인가된 경우의 카메라 영역과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 차이를 이용한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은, 백색 보정값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제어부가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드라이버가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가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METHOD OF REVISING A INPUT IMAGE DATA AN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표시장치에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카메라는 표시영역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표시패널에 구비된 라인들에 의한 간섭에 의해 카메라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광표시패널 중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밀도는, 카메라가 없는 일반 영역에서의 픽셀들의 밀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휘도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들이 카메라 영역에 구비된 픽셀들 및 일반 영역에 구비된 픽셀들로 공급되더라도, 카메라 영역에서의 휘도와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영역이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색이 인가된 경우의 카메라 영역과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 차이를 이용한 백색 보정값 및 단색이 인가된 경우의 카메라 영역과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 차이를 이용한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은, 백색 보정값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제어부가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드라이버가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데이터 드라이버가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구비된 발광표시패널, 발광표시패널의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을 이용해 보정하여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영상데이터들을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며,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발광표시패널은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영역 및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는 일반 영역을 포함하고, 백색 보정값은 카메라 영역 및 일반 영역에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의 휘도차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며, 단색 보정값은 카메라 영역 및 일반 영역에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의 휘도차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뿐만 아니라,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단색이 출력되더라도, 카메라 영역과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차이 또는 색감 차이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표시장치의 영상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픽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발광표시패널 및 카메라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이 생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픽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는 각종 전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PC, 텔레비젼, 모니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영역(120)과 표시영역 외곽에 구비된 비표시영역(130)을 포함하는 발광표시패널(100), 발광표시패널의 표시영역(120)에 구비된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200), 발광표시패널에 구비된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300),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제어부(400)와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데이터 드라이버(300)와 발광표시패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우선, 발광표시패널(100)은 표시영역(120) 및 비표시영역(130)을 포함한다. 표시영역(120)에는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 및 픽셀(110)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표시영역(120)에서는 영상이 출력된다. g 및 d는 자연수이다. 비표시영역(130)은 표시영역(120)의 외곽을 감싸고 있다.
표시패널(100)에 구비되는 픽셀(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 센싱 트랜지스터(Tsw2)를 포함하는 픽셀구동회로(PDC) 및 발광소자(ED)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제1 단자는 고전압(EVDD)이 공급되는 고전압 공급 라인(PLA)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제2 단자는 발광소자(ED)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의 제1 단자는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어 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의 제2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의 게이트는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DL)으로는 데이터 전압(Vdata)이 공급되며, 게이트 라인(GL)으로는 게이트 신호(GS)가 공급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문턱전압 또는 이동도를 측정하기 위해, 센싱 트랜지스터(Tsw2)가 구비될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Tsw2)의 제1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제2 단자와 발광소자(ED)에 연결되어 있고, 센싱 트랜지스터(Tsw2)의 제2 단자는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는 센싱 라인(SL)과 연결되어 있으며, 센싱 트랜지스터(Tsw2)의 게이트는 센싱제어신호(SS)가 공급되는 센싱제어라인(SCL)과 연결되어 있다.
센싱라인(SL)은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통해 전원 공급부(5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전원 공급부(500)로부터 공급된 기준전압(Vref)은 센싱라인(SL)을 통해 픽셀들로 공급될 수 있으며, 픽셀들로부터 전송된 센싱신호들은 데이터 드라이버(3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픽셀(11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픽셀(11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픽셀들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예로서 설명된다.
다음, 제어부(4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타이밍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입력 영상데이터들을 재정렬할 수 있으며,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공급될 데이터 제어신호(DCS)들 및 게이트 제어신호(GCS)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영상데이터들(Ri, Gi, Bi)을 재정렬하여 영상데이터(Data)들을 생성하며 영상데이터(Data)들을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정렬부(430), 타이밍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420), 타이밍 동기신호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입력 영상데이터들을 수신하여 데이터 정렬부와 제어신호 생성부로 전송하기 위한 입력부(410), 및 데이터 정렬부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Data)들과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제어신호들(DCS)을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하고 제어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게이트 제어신호(GCS)들을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00)에는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450)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45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은 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생성되어 저장부(450)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 시스템은 제어부(400) 및 전자장치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가 텔레비전(TV)인 경우, 외부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각종 음성정보,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영상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정보는 입력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다음, 전원 공급부(500)는 다양한 전원들을 생성하며, 생성된 전원들을 제어부(4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발광표시패널(100)로 공급한다.
다음,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된 후 비표시영역(13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비표시영역(130)에 게이트 인 패널(GIP: Gate In Panel) 방식을 이용하여 직접 내장될 수도 있다. 게이트 인 패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은, 표시영역(120)의 각 픽셀(110)들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들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비표시영역(130)에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로 게이트 펄스들을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00)에서 생성된 게이트 펄스가 픽셀(110)에 구비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의 게이트로 공급될 때,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턴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이 픽셀(110)에 공급된다.
게이트 드라이버(200)에서 생성된 게이트 오프 신호가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로 공급될 때,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는 턴오프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면 데이터 전압(Vdata)은 더 이상 픽셀(110)에 공급되지 않는다.
게이트 라인(GL)으로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GS)는 게이트 펄스 및 게이트 오프 신호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발광표시패널(100)에 부착되는 칩온필름에 구비되거나, 발광표시패널(100)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로 데이터 전압(Vdata)들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는 스마트폰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발광표시패널(100) 및 카메라(19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특히, 도 5는 발광표시패널(100)을 도 4에 도시된 X-X'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는,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과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이 구비된 발광표시패널(100), 제어부(4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발광표시패널(100)의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90)가 구비된다.
발광표시패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90)에 대응되는 카메라 영역(A) 및 카메라(190)가 구비되지 않는 일반 영역(B)을 포함한다.
이 경우, 발광표시패널(100)의 하단에 카메라(190)가 구비되면, 발광표시패널(100)에 구비된 라인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 및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에 의한 간섭에 의해 카메라(190)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발광표시패널(100)을 통해 카메라(190)로 광이 투과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영역(A)의 투광도가 높아야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표시패널(100) 중 카메라 영역(A)에서의 픽셀(110)들의 밀도는, 카메라가 없는 일반 영역(B)에서의 픽셀(110)들의 밀도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카메라 영역(A)은 발광표시장치의 외부로부터 카메라(190)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광도가 높게 형성되어야 하며, 광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에는 신호전달을 위한 라인, 광학 필름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영역(A)에서는 픽셀(110)들의 밀도가 일반 영역(B)에서의 픽셀들의 밀도보다 작게 형성되며, 픽셀(110)들 각각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과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에 비해 투광도가 높은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픽셀들의 밀도가 다르고, 카메라 영역(A)의 투광도가 일반 영역(B)의 투광도 보다 높기 때문에, 동일한 휘도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들이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픽셀들 및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들로 공급되더라도, 카메라 영역(A)에서의 휘도와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400)는, 입력영상들(Ri, Gi, Bi)을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을 이용해 보정하여 영상데이터(Data)들을 생성한다.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은 저장부(450)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Data)들을 데이터 전압(Vdata)들로 변환하며, 데이터 전압(Vdata)들을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로 공급한다.
여기서, 백색 보정값은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의 휘도차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며, 단색 보정값은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의 휘도차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단색 보정값은 발광표시패널(100)에서 출력되는 적색 영상, 녹색 영상 및 청색 영상 각각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가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장치에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이 생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80은 카메라(190)와 발광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케이스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은, 백색 보정값 생성 단계(S704)에 의해 생성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 생성 단계(S708)에 의해 생성된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제어부(400)가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영상데이터(Data)를 생성하는 단계(S712), 데이터 드라이버(300)가 영상데이터(Data)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Vdata)을 생성하는 단계 및 데이터 드라이버(300)가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Vdata)을 출력하는 단계(S7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백색 영상의 휘도차 분석 과정(S702)을 통해 백색 보정값이 생성된다(S704).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표시장치의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 측정 카메라(610)가 구비된 후, 발광표시장치에서 백색 영상이 출력된다.
측정 카메라(610)를 통해 백색 영상이 촬영되며, 촬영된 정보는 측정장치(600)로 전송된다.
측정 카메라(6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하나의 측정 카메라(610)가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으로부터 출력된 백색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
측정장치(600)는 발광표시패널(100)의 일반 영역(B)과 카메라 영역(A)에서 출력되는 백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한다(S702).
즉, 측정장치(600)는 측정 카메라(6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영역(B)과 카메라 영역(A)에서 출력되는 백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110)들과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픽셀(110)들에는, 동일한 휘도를 갖는 백색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데이터(Data)들이 공급된다. 따라서,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는 동일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역(A)에서의 픽셀(110)들의 밀도와 일반 영역(B)에서의 픽셀(110)들의 밀도가 다르며, 카메라 영역(A)의 투광도가 일반 영역(B)의 투광도 보다 높다. 이를 위해, 카메라 영역(A)의 픽셀들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영상데이터에 의해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 백색 영상이 출력되더라도, 측정 카메라(610)를 통해 실질적으로 감지된 휘도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장치(600)는 측정 카메라(6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백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며(S702), 그 결과에 따라 백색 보정값을 생성한다(S704).
예를 들어, 동일한 영상데이터에 의해 백색 영상이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 출력되었을 때, 카메라 영역(A)의 휘도가 일반 영역(B)의 휘도보다 10% 정도 작다고 판단되면, 측정장치(600)는 10% 정도 작은 휘도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백색 보정값을 생성한다.
생성된 백색 보정값은 제어부의 저장부(450)에 저장된다.
이 경우, 백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과정(S702)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휘도들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들이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들이 분석된다.
예를 들어, 가장 밝은 백색 영상, 예를 들어, 255 그레이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될 수 있고, 중간 밝기의 백색 영상, 예를 들어, 127 그레이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될 수 있으며, 낮은 밝기의 백색 영상, 예를 들어, 31 그레이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백색 보정값은, 세 개의 그레이들에 대응되는 휘도차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 및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모든 휘도들, 예를 들어, 0 그레이 내지 255 그레이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되면, 완벽한 백색 보정값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많은 분석 기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휘도들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되며, 나머지 그레이들에 대한 휘도차들은 보간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백색 보정값은 이러한 휘도 차이값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다음, 단색 영상의 휘도차 분석 과정(S706)을 통해 단색 보정값이 생성된다(S708).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표시장치의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 측정 카메라(610)가 구비된 후, 발광표시장치에서 단색 영상이 출력된다.
측정 카메라(610)를 통해 백색 영상이 촬영되며, 촬영된 정보는 측정장치(600)로 전송된다.
측정 카메라(6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하나의 측정 카메라(610)가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으로부터 출력된 백색 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
측정장치(600)는 발광표시패널(100)의 일반 영역(B)과 카메라 영역(A)에서 출력되는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한다(S706).
즉, 측정장치(600)는 측정 카메라(6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영역(B)과 카메라 영역(A)에서 출력되는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110)들과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픽셀(110)들에는, 동일한 휘도를 갖는 단색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데이터(Data)들이 공급된다. 따라서,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는 동일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역(A)에서의 픽셀(110)들의 밀도와 일반 영역(B)에서의 픽셀(110)들의 밀도가 다르며, 카메라 영역(A)의 투광도는 일반 영역(B)의 투광도 보다 높다. 따라서, 동일한 영상데이터에 의해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 단색 영상이 출력되더라도, 측정 카메라(610)를 통해 실질적으로 감지된 휘도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장치(600)는 측정 카메라(6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며(S706), 그 결과에 따라 단색 보정값을 생성한다(S708).
예를 들어, 동일한 영상데이터에 의해 단색 영상이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 출력되었을 때, 카메라 영역(A)의 휘도가 일반 영역(B)의 휘도보다 8% 정도 작다고 판단되면, 측정장치(600)는 8% 정도 작은 휘도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단색 보정값을 생성한다.
생성된 백색 보정값은 제어부의 저장부(450)에 저장된다.
이 경우,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과정(S706)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휘도들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들이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들이 분석된다.
예를 들어, 가장 밝은 단색 영상, 예를 들어, 255 그레이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될 수 있고, 중간 밝기의 단색 영상, 예를 들어, 127 그레이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될 수 있으며, 낮은 밝기의 단색 영상, 예를 들어, 31 그레이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 및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색 보정값은, 세 개의 그레이들에 대응되는 휘도차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 및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모든 휘도들, 예를 들어, 0 그레이 내지 255 그레이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되면, 완벽한 단색 보정값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많은 분석 기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세 개의 휘도들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차가 분석되며, 나머지 그레이들에 대한 휘도차들은 보간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색 보정값은 이러한 휘도 차이값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과정(S706)과 단색 보정값을 생성하는 과정(S708)은 적색 영상, 녹색 영상 및 청색 영상 각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발광표시패널에 구비되는 단위픽셀들 각각이 적색픽셀(R), 녹색픽셀(G), 청색픽셀(B) 및 백색픽셀(W)을 포함할 때, 상기에서 설명된 단색 영상은 적색 영상, 녹색 영상 및 청색 영상이 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 차이는,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 차이와 다를 수 있으며, 단색들 사이에서도 다를 수 있다.
즉, 적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 차이와, 녹색 영상이 출력될 때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 차이와, 청색 영상이 출력될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 차이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색 영상뿐만 아니라, 단색 영상들 각각에 대해서도,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서의 휘도 차이를 분석하여,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색 보정값에는, 적색 영상, 녹색 영상 및 청색 영상 각각에 대한 보정값들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생성된 백색 보정값은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될 수 있고,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생성된 단색 보정값은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될 수 있고,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카메라 영역(A)과 일반 영역(B)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이,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픽셀(110)들의 보정에 이용되는 발광표시장치가 본 발명의 예로서 설명된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생성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은 저장부(450)에 저장된다.
다음,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이 저장부(450)에 저장된 발광표시장치의 제조가 완료되면, 발광표시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다음, 발광표시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데이터들(Ri, Gi, Bi)이 수신된다(S710).
다음, 제어부(400)는 입력영상데이터들(Ri, Gi, Bi)을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정한다(S712).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단위픽셀에 포함되는 적색픽셀(R), 녹색픽셀(G) 및 청색픽셀(B)에 대응되는 입력영상데이터들(Ri, Gi, Bi)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산출하며,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제어부(400)는, 차이가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백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며, 차이가 기준값보다 크면,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예를 들어, 기준값은 127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는 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저장부(450)에 저장된다.
이 경우,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단위픽셀에 대응되는 적색 입력영상데이터(Ri), 녹색 입력영상데이터(Gi) 및 청색 입력영상데이터(Bi)의 그레이 값들이, 255, 1 및 170일 때,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254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인 254는 기준값인 127보다 크다.
기준값보다 차이가 크다는 것은, 단위픽셀에 표시되는 영상이 단색 영상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해당 단위픽셀에 포함되는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적색 영상과 관련된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적색 입력영상데이터(Ri)를 보정하고, 녹색 영상과 관련된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녹색 입력영상데이터(Gi)를 보정하며, 청색 영상과 관련된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청색 입력영상데이터(Bi)를 보정한다.
또 다른 예로서, 카메라 영역(A)에 구비된 단위픽셀에 대응되는 적색 입력영상데이터(Ri), 녹색 입력영상데이터(Gi) 및 청색 입력영상데이터(Bi)의 그레이 값들이, 255, 150 및 170일 때,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10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인 105는 기준값이 127보다 작다.
기준값보다 차이가 작다는 것은, 단위픽셀에 표시되는 영상이 백색 영상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해당 단위픽셀에 포함되는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백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400)는 보정된 입력영상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Data)들을 생성한다. 제어부(400)는 생성된 영상데이터(Data)들을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영상데이터(Data)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Vdata)들을 생성하며, 데이터 전압(Vdata)들에 의해 발광표시패널(100)에서 영상이 출력된다(S716).
즉,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게이트 라인(GL)으로 게이트 펄스가 공급될 때, 게이트 라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Vdata)들을 데이터 라인(DL)들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픽셀들에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표시패널에 카메라 영역(A)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카메라 영역(A)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에 의해 적절히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영역(A)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와 일반 영역(B)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의 차이가 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눈에 카메라 영역(A)이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표시장치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광표시패널 200: 게이트 드라이버
300: 데이터 드라이버 400: 제어부

Claims (13)

  1. 백색 보정값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제어부가 입력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 드라이버가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가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보정값 생성 단계는,
    발광표시패널의 일반 영역과 카메라 영역에서 출력되는 백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백색 영상에 대한 휘도차 분석 결과에 따라 백색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백색 보정값을 제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보정값 생성 단계는,
    상기 일반 영역과 상기 카메라 영역에서 출력되는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단색 영상에 대한 휘도차 분석 결과에 따라 단색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색 보정값을 상기 제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단색 보정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적색 영상, 녹색 영상 및 청색 영상 각각에 대해 수행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단계는, 적어도 세 개의 휘도들에 대응되는 백색 영상들이 상기 카메라 영역 및 상기 일반 영역에서 출력될 때, 상기 카메라 영역과 상기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차들을 분석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보정값은, 상기 휘도차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영상의 휘도차를 분석하는 단계는, 적어도 세 개의 휘도들에 대응되는 단색 영상들이 상기 카메라 영역 및 상기 일반 영역에서 출력될 때, 상기 카메라 영역과 상기 일반 영역에서의 휘도차들을 분석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보정값은, 상기 휘도차들에 의해 생성된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휘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간 차이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를 상기 백색 보정값 및 상기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는,
    단위픽셀에 포함되는 적색픽셀, 녹색픽셀 및 청색픽셀에 대응되는 입력영상데이터들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을 상기 백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을 상기 백색 보정값 및 상기 단색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10.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구비된 발광표시패널;
    상기 발광표시패널의 하단에 구비되는 카메라;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백색 보정값 및 단색 보정값을 이용해 보정하여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며, 상기 데이터 전압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표시패널은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는 카메라 영역 및 상기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는 일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백색 보정값은 상기 카메라 영역 및 상기 일반 영역에 백색 영상이 출력될 때의 휘도차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색 보정값은 상기 카메라 영역 및 상기 일반 영역에 단색 영상이 출력될 때의 휘도차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 보정값은 적색 영상, 녹색 영상 및 청색 영상 각각에 대해 생성되는 발광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을 재정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데이터 정렬부;
    타이밍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들을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타이밍 동기신호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정렬부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 전송하는 입력부;
    상기 영상데이터들을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백색 보정값 및 상기 단색 보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백색 보정값 및 상기 단색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입력영상데이터들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와 비교되는 기준값이 저장된 발광표시장치.
KR1020210192165A 2021-12-30 2021-12-30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KR20230102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65A KR20230102214A (ko) 2021-12-30 2021-12-30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CN202211517954.0A CN116386564A (zh) 2021-12-30 2022-11-30 校正输入图像数据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发光显示设备
US18/072,111 US11942022B2 (en) 2021-12-30 2022-11-30 Method of correcting input image data and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65A KR20230102214A (ko) 2021-12-30 2021-12-30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14A true KR20230102214A (ko) 2023-07-07

Family

ID=8697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165A KR20230102214A (ko) 2021-12-30 2021-12-30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42022B2 (ko)
KR (1) KR20230102214A (ko)
CN (1) CN1163865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9391B (zh) * 2019-10-31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20230103703A (ko) *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차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53B1 (ko) 2004-06-07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서 이미지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과 이를 위한문서 이미지 변환 방법
KR102402051B1 (ko) 2015-10-12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KR102450545B1 (ko) 2015-10-30 2022-10-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81966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20210027605A (ko) * 2019-08-29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방법
KR20210027628A (ko) * 2019-08-29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0767147B (zh) * 2019-10-30 2022-09-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显示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98091A (ko) * 2020-01-31 2021-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9972A (ko) * 2020-02-05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따른 감마 전압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22021644A (ja) * 2020-07-22 2022-02-03 武漢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
KR20220059684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
US20230102440A1 (en) * 2021-09-24 2023-03-30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area-based compensation of burn-in in display panels
US11721253B2 (en) * 2021-10-19 2023-08-08 Synaptics Incorporated Demura processing for a display panel having multiple regions with different pixel dens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5339A1 (en) 2023-07-06
CN116386564A (zh) 2023-07-04
US11942022B2 (en)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6050B2 (en)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unit, and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US9899000B2 (en) Display,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152908B2 (en) Timing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9064966B (zh)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驱动芯片、显示装置
KR20230102214A (ko) 입력영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표시장치
US20140176620A1 (en)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00097358A1 (en) Drive circuit for display panel, display panel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KR2020007464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675109B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EP313637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determination method
CN110910805A (zh) 一种显示屏的补偿调节装置及其补偿调节方法
US7705865B2 (en) Display panel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45027A (ko) 미세 보정이 가능한 색역 매핑 장치
KR2017004979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436966B2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5889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8334928B2 (en) Automatic OSD adjusting device and method
US20170116899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ignal generation device
KR10024638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색 재현 방법 및 장치
US9591276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JP2005308775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付き電気機器
KR102249546B1 (ko) 표시장치
US20230215324A1 (en) Luminance difference correction method an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04027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66869A (ko) 무라 보상 모듈,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라 보상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