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4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45A
KR20200074645A KR1020180163277A KR20180163277A KR20200074645A KR 20200074645 A KR20200074645 A KR 20200074645A KR 1020180163277 A KR1020180163277 A KR 1020180163277A KR 20180163277 A KR20180163277 A KR 20180163277A KR 20200074645 A KR20200074645 A KR 2020007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radation
correction coefficient
image signal
correction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0142B1 (ko
Inventor
박지용
조영훈
임상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142B1/ko
Priority to CN201980080307.8A priority patent/CN113168807A/zh
Priority to EP19899798.3A priority patent/EP3850612A4/en
Priority to PCT/KR2019/017633 priority patent/WO2020130496A1/en
Priority to US16/715,724 priority patent/US11029912B2/en
Publication of KR2020007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21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use of split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할하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루는 픽셀 간의 균일성을 복수회 보정함으로써, 픽셀 간의 광 출력이 보다 균일해지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R(Red) 무기 발광소자, G(Green) 무기 발광소자 및 B(Blue) 무기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계조(Grayscale)를 갖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간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픽셀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 계조에 대한 픽셀 간 균일성(Uniformity)을 보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여 방송신호 또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 신호/영상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LED 소자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경우, 각 소자의 전기적, 물리적 또는 광학적 특성에 따라, 동일한 계조에서 각 소자에 대응하는 픽셀이 나타내는 휘도 및 색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각 픽셀의 광 출력이 서로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면 번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할하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루는 픽셀 간의 균일성을 복수회 보정함으로써, 픽셀 간의 광 출력이 보다 균일해지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R(Red) 무기 발광소자, G(Green) 무기 발광소자 및 B(Blue) 무기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계조(Grayscale)를 갖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간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픽셀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1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복수의 계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계조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측정 보정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계조는, 저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 및 고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계조를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로 산출하고,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하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상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계조 구간을 사이에 둔 상기 기준계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감마 값을 보정하거나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R(Red) 무기 발광소자, G(Green) 무기 발광소자 및 B(Blue) 무기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계조(Grayscale)를 갖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간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픽셀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1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복수의 계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계조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측정 보정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계조는, 저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 및 고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준계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로 산출하고;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하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은,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상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계조 구간을 사이에 둔 상기 기준계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감마 값을 보정하거나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할하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루는 픽셀 간의 균일성을 복수회 보정함으로써, 픽셀 간의 광 출력이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광 출력을 측정하는 외부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계조에 따른 보정계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주사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균일성을 보정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영상 신호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LED 캐비닛을 교체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분할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140)를 이루는 픽셀의 광 출력을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디스플레이(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픽셀을 이루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10)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의 하나의 픽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소자(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하나의 LED 소자(10)가 복수의 픽셀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LED 소자(10)는 복수의 픽셀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복수의 LED 소자(10)는 복수의 픽셀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픽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의 픽셀이 하나의 LED 소자(10)에 할당되도록 복수의 픽셀의 개수보다 적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140)에 포함된 복수의 LED 소자(10) 각각이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하나의 LED 소자(10)는, R(Red) 무기 발광소자, G(Green) 무기 발광소자 및 B(Blue) 무기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하나의 픽셀은, R, G 및 B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디스플레이(140)는 각각 R, G 및 B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LED 소자(10)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로 분할될 수 있다. 이는, LED 소자(10) 간의 균일성 보정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 간 균일성이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분할된 디스플레이 모듈(20) 간의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다. 균일성의 보정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이 12개의 LED 소자(1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시된 숫자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40)는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0)에 해당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는, MxN 매트릭스의 LED 소자(10)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는, 행으로 M개의 LED 소자(10)와 열로 N개의 LED 소자(10)를 갖는 매트릭스의 LED 소자(10)의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는, 매트릭스에서의 행으로의 LED 소자(10) 개수에 해당하는 M과, 매트릭스에서의 열로의 LED 소자(10) 개수에 해당하는 N이 다르게 설정되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모듈(2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면적이 다른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LED 소자 즉, 픽셀의 수가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이 균일한 광 출력을 갖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영상 신호의 보정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LED 소자(10)로 구성되는 픽셀은,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픽셀 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후면에 배치되어,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픽셀에 전달하여 각 픽셀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구성되는 LED 캐비닛(Cabinet)(3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20) 간의 균일성 보정에도 불구하고, LED 캐비닛(30) 간 균일성이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분할된 LED 캐비닛(30) 간의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다. 균일성의 보정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도 1에서는 LED 캐비닛(30)이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시된 숫자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하나의 LED 캐비닛(30)은, 면적을 달리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하나의 픽셀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에 해당할 수 있는 다양한 면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 각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이 균일한 광 출력을 갖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으며,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 각각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때마다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영상 신호에 대한 보정은, 분할되는 면적이 달라지는 경우마다 수행되며, 복수회 수행됨으로써, 픽셀 간 광 출력에 대한 균일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LED 소자(10) 및 각 LED 소자(10)를 구동하기 위한 픽셀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구동회로는, 복수의 LED 소자(10)에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서 계수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셀 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며, 각 LED 소자(10), 각 디스플레이 모듈(20) 및 각 LED 캐비닛(30)에 할당되는 메모리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저장부(1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여, 구동회로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각 픽셀간 광 출력의 균일성을 보정하는 제어부(120), 외부 장치(2)로부터 획득된 계수 및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광 출력 또는 계수 및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균일성이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LFD(Large Format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와 저장된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예는 LFD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거나 자체 내장된 영상 신호/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형식의 장치, 예를 들면, TV, 모니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핸드폰 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1)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수신부(110)는 영상 신호/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한다. 신호수신부(200)는 수신하는 영상 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수신부(11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RA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110)는 영상 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영상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는 복수의 계조(Gray Scale)를 갖는 영상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는, 픽셀에 따라 다양한 계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LED 소자(10)는 각각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LED 소자(10)는, 그 개별 특성에 따라 각 LED 소자(10)에 동일한 레벨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도 서로 다른 레벨의 광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영상의 번짐 또는 흐릿함과 같은 원치 않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에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기준 보정계수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기준 보정계수는, 균일성 보정을 위하여 기준계조에서 영상 신호에 적용되어야 할 계수에 해당한다.
이 때,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은, 픽셀이 포함되는 개수를 달리하는 즉, 면적을 달리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기준계조는, 복수의 계조 중 저계조 범위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와, 고계조 범위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가 저계조 및 고계조 모두에서의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는 전체 계조 범위에 대한 보정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각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각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 산출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분할 크기는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하나의 영역이 갖는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분할 크기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분할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까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면적이 다른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LED 소자 즉, 픽셀의 수가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이 균일한 광 출력을 갖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응하는 면적 즉, 분할 크기는, 설정에 따라 포함되는 LED 소자(10)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LED 소자(10)의 매트릭스의 행과 열 각각에 대응하는 LED 소자(10)의 개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포함하는 LED 캐비닛(30)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LED 캐비닛(30)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는, 설정에 따라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개수 및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는, 하나의 LED 소자(10) 단위로 즉, 하나의 픽셀 단위로 디스플레이(140)를 분할하도록 분할 크기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LED 캐비닛(30) 단위로 디스플레이(140)를 분할하도록 분할 크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할 크기는 하나의 LED 소자(10) 즉, 하나의 픽셀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30) 사이의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하나의 LED 소자(10) 즉, 하나의 픽셀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30) 사이의 다양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로 구성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는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 크기를 기준으로 영상 신호의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30)는,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보정계수는, 각각의 분할 크기에 대하여 결정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각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분할 크기로 분할된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간의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균일성 보정은, 복수의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분할된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들이 서로 균일하게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영상 신호의 계조에 따라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 출력의 균일성이라 함은, 분할 크기로 분할된 디스플레이(140)의 각 영역에서 출력되어 측정되는 광의 휘도, 색도, 또는 휘도 및 색도의 균일성을 의미하며, 균일성 보정은 동일한 레벨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분할 크기로 분할된 디스플레이(140)의 각 영역이 동일한 레벨의 휘도, 색도, 또는 휘도 및 색도의 광을 출력하도록 수신된 영상 신호에 보정계수를 적용함을 의미한다.
또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각각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분할된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는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분할된 디스플레이(140)의 각 영역에 대한 개별적인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에 기초하여 산출된 보정계수를 해당 영상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영역 간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저장부(13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가 하나의 저장부(130)에 저장 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각각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각 영역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저장부(130)는 각각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각 영역 마다 할당된 메모리에 각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기준 보정계수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외부 장치(2)로부터 수신할 것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외부 장치(2)로부터 수신한 광 출력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에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외부 장치(2) 및 디스플레이장치(1)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 대응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연결된 외부 장치(2)를 통해 각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외부 장치(2)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영상을 측정할 수 있는 측색기(color sensor)와,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광 출력이 균일하도록 각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마다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computing device)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2)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마다 기준 보정계수를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는, 이와 같이 계산하여 결정된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입력하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 장치(2)로부터 입력된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2)는 측색기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2)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영상을 측정하여 각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밝기 또는 색상에 해당하는 측정값 또는 측정값의 평균인 대표값을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입력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한다. 제어부(120)가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40)를 구분하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140)를 이루는 픽셀 간의 균일성을 복수회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기초하여 분할된 각 영역이 동일한 분할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140)의 전체 영역을 복수회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분할 크기로 분할된 영역 사이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14)의 전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 크기를 달리하는 각 분할 마다 분할된 영역 사이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다양한 면적 즉, 포함하는 픽셀의 수를 달리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이 균일한 광 출력을 갖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하고,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또는 설계 단계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계조는 수신된 영상 신호가 갖는 계조에 해당할 수 있다. 각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 산출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 및 각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제2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이 교체되는 경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크기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판단된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감마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3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판단된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14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이 교체되는 경우에도,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광 출력이 디스플레이(140) 내에서 균일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다양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면적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감마 값을 보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1)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하는 리모컨(remote control),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로부터 입력을 더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 및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140)의 광 출력을 측정하는 외부 장치(2)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는,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40)는, 각각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를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 소자(10)를 포함하는 즉,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포함하는 LED 캐비닛(30)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하나의 LED 소자(10) 즉, 하나의 픽셀 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하나의 픽셀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에 해당할 수 있는 다양한 면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 각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까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면적이 다른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LED 소자 즉, 픽셀의 수가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이 균일한 광 출력을 갖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는 하나의 LED 소자(10), 디스플레이 모듈(20) 및 LED 캐비닛(30) 각각은 전기적, 물리적 또는 광학적 특성에 따라, 동일한 계조에서 상이한 휘도 및 색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에 포함되는 LED 소자(10)들의 서로 다른 출력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140) 전체적으로 광 출력이 균일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4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들의 서로 다른 출력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140) 전체적으로 광 출력이 균일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에 포함되는 LED 캐비닛(30)들의 서로 다른 출력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140) 전체적으로 광 출력이 균일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미리 저장하고, 각각의 분할 크기를 기준으로 수신되는 영상 신호에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는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미리 저장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2)를 이용하여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2)는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로 구분된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광 출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값을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달하거나, 측정 값에 기초하여 각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기준 보정계수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외부 장치(2)로부터 수신할 것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외부 장치(2)로부터 수신한 광 출력의 측정 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에서 산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40)의 전체 픽셀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계조를 갖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기준계조는, 복수의 계조 중 저계조 범위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와, 고계조 범위에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2)는, 전체 픽셀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계조를 갖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40)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구분하여,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휘도 및 색도를 포함하는 광 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장치(2)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하여 광 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2)는, 각각의 분할 크기로 디스플레이(140)를 구분하여 구분되는 각 영역의 광 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외부 장치(2) 또는 측정 값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해당 분할 크기 및 해당 기준계조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 또는 측정 값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가장 어두운 영역을 기준으로 다른 영역들이 기준 영역과 같은 레벨의 광을 출력하도록 각각의 영역의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2) 또는 측정 값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 상의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은, 동일한 기준계조를 갖는 영상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기준계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둘 이상의 기준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준 계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계조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와 고계조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계조 및 제2 계조에 대한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에 포함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 각각은, 미리 설정된 둘 이상의 기준계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된 둘 이상의 측정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측정 보정계수와 제2 계조에 대응하는 측정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계조에 대응하는 측정 보정계수는 저계조에서의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하며, 제2 계조에 대응하는 측정 보정계수는, 고계조에서의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 또는 측정 값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 상의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 각각의 영역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20)가 신호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에 대한 균일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계조 각각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계조에 따른 보정계수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은, 기준계조(예: 제1 계조 및 제2 계조)에서의 기준 보정계수와,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기준계조 이외의 계조 각각에 대하여 산출되는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균일성이 보정될 수 있다.
도 5의 도시된 계조에 따른 보정계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준계조가 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준계조를 기준으로 한 계조 범위의 구분값(예: TH1, TH2)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보정계수 역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해당 분할 크기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의 복수의 계조 각각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는, 각각의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별로 산출될 수 있으며, 산출된 보정계수는, 대응하는 영역의 영상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하여 기준계조에서 결정된 기준 보정계수를 저장하고 있다.
이 때,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는 기준계조 외의 복수의 계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기준계조에서의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계조 각각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일부 기준계조에 대하여만 광 출력 측정에 기초한 보정계수를 결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외의 계조에 대하여는 기준계조에서의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부 계조에 대하여만 보정 계수를 결정함으로써, 광 출력 측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저장 공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기준계조를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에 대하여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산출된 보정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계조를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제1 계조에서부터 TH1 계조까지)에 대하여는 제1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2 계조를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제2 계조에서부터 TH2 계조까지)에 대하여는 제2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예: 도5의 제1 계조) 이하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 신호의 R색상의 계조가 제1 계조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1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의 R색상과 관련된 항목(C00(1), C01(1), C02(1)) 각각에 산출을 위한 계수 a(i), b(i), c(i)가 적용된 값을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i는 입력된 계조로서, a(i+1)은 a(i)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계조가 낮을 수록, 높은 계조에 비하여 픽셀 간 광 출력의 편차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산출을 위한 계수 a(i), b(i), c(i)는 i가 제1 계조에 가까워질 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i가 제1 계조인 경우는 a(i), b(i), c(i)는 1이 되어, 제1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가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로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a(i), b(i), c(i)는 영상 신호의 계조가 제1 계조보다 낮거나 같은 범위에서, 제1 계조와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와 해당 계조에서 산출되는 보정계수가 항상 같은 값이 되도록 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기준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계조 구간을 사이에 둔 기준계조(예: 도 1의 제1 계조, 제2 계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 신호의 R색상의 계조가 제1 계조보다 높으며, 제2 계조보다 낮거나 같은 경우, 제1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의 R색상과 관련된 항목(C00(1), C01(1), C02(1)) 각각에 산출을 위한 계수 d(i), f(i), h(i)를 적용하고, 제2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의 R색상과 관련된 항목(C00(2), C01(2), C02(2)) 각각에 산출을 위한 계수 e(i), g(i), i(i)를 적용하여 그 합을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적용되는 계수 d(i), f(i), h(i)는 계조가 높아질 수록 점점 낮아지며, 제2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적용되는 계수 e(i), g(i), i(i)는 계조가 높아질 수록 점점 높아질 수 있다. 입력된 영상 신호의 계조가 제2 계조와 같아지면, d(i), f(i), h(i)는 0이 되고, e(i), g(i), i(i)는 1이 되어,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와 제2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가 같은 값을 갖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예: 도 5의 제2 계조) 이상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 신호의 R색상의 계조가 제2 계조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2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의 R색상과 관련된 항목(C00(2), C01(2), C02(2)) 각각에 산출을 위한 계수 j(i), k(i), l(i)가 적용된 값을 해당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제2 계조보다 높은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제2 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적용되는 j(i), k(i), l(i)는 계조가 높아질 수록 더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j(i), k(i), l(i)은 영상 신호의 계조가 제2 계조보다 높은 범위에서, 해당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와 제2 기준 보정계수가 항상 같은 값이 되도록 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계조에 대하여 R색상에 관하여만 설명하고 있으나,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을 통해, G색상 및 B색상과 관련된 보정계수 항목을 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색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색상에 대응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색상에 대응하는 보정계수 각각을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 중 대응하는 색상의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둘 이상의 분할 크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하고,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20)가 분할 크기를 다르게 하여 복수회에 걸쳐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즉,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여 산출된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균일성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가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주사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40)를 구분하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140)를 이루는 픽셀 간의 균일성을 복수회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둘 이상의 분할 크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하고,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두 개의 분할 크기가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의 제1 보정부(121)는, 선택된 분할 크기 중 제1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제1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영역은 제1 분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의 제1 보정부(121)는, 저장부(130)로부터 제1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제1 기준 보정계수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픽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계조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1 보정부(121)는,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신호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제1 보정계수 각각은, 대응되는 제1 영역에서의 영상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보정계수는, 제1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재1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영상 신호에 제1 보정계수를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1 영역 간 광 출력이 균일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이이서, 제어부(120)의 제2 보정부(122)는, 선택된 분할 크기 중 제1 분할 크기와 다른 제2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2 영역은 제2 분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의 제2 보정부(122)는, 저장부(130)로부터 제2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제2 기준 보정계수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영상 신호에 포함된 픽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계조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2 보정부(122)는,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제2 보정계수 각각은, 대응되는 제2 영역에서의 영상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기준 보정계수는, 제2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제2 보정계수를 적용함에 따라,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균일하지 않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2 영역 간의 광 출력이 균일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R, G, B)는, <수학식 1>과 같이, 제어부(120)의 제1 보정부(121)에 의하여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되어 제1 영역 간 광 출력이 균일하게 보정된 신호(R', G' B')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제1 보정계수는, 3x3의 행렬(Matrix)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되어 제1 영역 간 광 출력이 균일하게 보정된 신호(R', G', B')는, <수학식 2>와 같이, 제어부(120)의 제2 보정부(122)에 의하여 제2 보정계수가 적용되어 제2 영역 간 광 출력이 균일하게 보정된 출력 신호(R", G", B")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제2 보정계수는, 3x3의 행렬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1 분할 크기로 분할된 제1 영역에 대한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고, 이어서 제2 분할 크기로 분할된 제2 영역에 대한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140)의 균일성을 보다 높게 보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제1 분할 크기로 분할된 제1 영역 간의 균일성 보정에도 불구하고, 제2 영역 간의 광 출력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 영역에 대한 균일성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140) 전체에서의 균일성을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신호에 제1 보정계수 및 제2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디스플레이(140) 상에서의 영상 표시를 위하여 보정계수가 디스플레이(140)에 적용된 영상 신호를 주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화면의 왼쪽 위에서부터 시작해서 한 줄씩 순서대로 화면의 오른쪽 아래까지 표시하여 한 장면의 영상을 표시하는 순차 주사 방식(Progressive scanning)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 하기에 앞서, 영상 신호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1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제1 보정계수와 제2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제2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영상의 표시는 화살표(700, 701, 702)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한 줄의 픽셀을 모두 표시한 후, 다음 줄의 픽셀을 표시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1 분할 크기가, 하나의 LED 소자(10)에 대응하며, 제2 분할 크기가, 복수의 LED 소자(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제 1 보정계수의 적용에 있어서 픽셀을 표시하기에 앞서 영상 신호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 LED 소자(10)에 대응하는 제1 보정계수를 해당 픽셀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 2 보정계수를 적용하기 위하여 픽셀의 위치에 따라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을 결정한 후,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제2 보정계수를 제 1 보정계수가 적용된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화살표(700, 701, 702)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영상의 픽셀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영상 신호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픽셀을 표시하기 위하여,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LED 소자(11, 12, 13)의 제1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으며, 픽셀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듈(21, 22, 23)의 제 2 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화살표(700, 701, 702)는 예시를 위해 총 3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는, 제어부(120)가, 두 개의 분할 크기만을 선택하여 균일성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택될 수 있는 분할 크기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의 개수만큼 보정부를 마련하여 각 분할 크기에서의 균일성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140)에 출력되는 출력 신호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서 선택된 분할 크기의 개수만큼 각각의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균일성 보정이 수행된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에 대한 균일성 보정이 수행된 이후 다른 하나의 분할 크기에 대한 균일성 보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균일성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40)의 균일성을 보정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계조를 갖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8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신호수신부(110)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영상 신호는 픽셀에 따라 복수의 계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둘 이상의 분할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820).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또는 설계 단계의 설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중 둘 이상의 분할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는, 하나의 LED 소자(10)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즉, 하나의 픽셀에 대응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LED 소자(10)를 포함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는, 설정에 따라 포함되는 LED 소자(1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LED 소자(10)의 매트릭스의 행과 열 각각에 대응하는 LED 소자(10)의 개수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포함하는 LED 캐비닛(30)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LED 캐비닛(30)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는, 설정에 따라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의 개수 및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는, 하나의 LED 소자(10) 단위로 디스플레이(140)를 분할하도록 분할 크기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LED 캐비닛(30) 단위로 디스플레이(140)를 분할하도록 분할 크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할 크기는 하나의 LED 소자(10)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30) 사이의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는 미리 설정된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 크기를 기준으로 영상 신호의 균일성을 보정할 수 있다.
즉, 분할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부터 하나의 LED 캐비닛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까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40)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면적이 다른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되는 LED 소자 즉, 픽셀의 수가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분할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동일한 면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이 균일한 광 출력을 갖도록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각각의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830),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840).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해당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조에서의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계조는 수신된 영상 신호가 갖는 계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각각의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계조 및 각 영역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각 영역에 대응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기초하여 분할된 각 영역이 동일한 분할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140)의 전체 영역을 복수회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분할 크기로 분할된 영역 사이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사 말해, 제어부(120)는, 분할 크기를 달리하여 디스플레이(140)의 전체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 크기를 달리하는 각 분할 마다 분할된 영역 사이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영상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영상 신호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91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920).
이 때,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하여 보정계수가 산출되지 않은 경우(940의 아니오),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하여 보정계수가 산출될 때까지 910 단계 및 92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하여 보정계수가 산출된 경우(940의 예),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95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중 다른 하나의 분할 크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40)를 복수의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제2 기준 보정계수는, 해당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분할 크기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140)의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를 영상 신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된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을 교체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10).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이 교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이 교체되는 경우(1020의 예),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크기에 대응하는 분할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1030).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판단된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감마 값을 보정할 수 있다(1040). 이 때, 저장부(13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분할 크기 각각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즉,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은, 해당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감마 값을 갖도록 보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판단된 분할 크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1050).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14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이 교체되는 경우에도,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20) 또는 LED 캐비닛(30)의 광 출력이 디스플레이(140) 내에서 균일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다양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면적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감마 값을 보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디스플레이장치
2: 외부 장치
110: 신호수신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디스플레이

Claims (20)

  1. R(Red) 무기 발광소자, G(Green) 무기 발광소자 및 B(Blue) 무기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계조(Grayscale)를 갖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간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픽셀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1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복수의 계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계조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측정 보정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계조는,
    저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 및 고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계조를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로 산출하고,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하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상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계조 구간을 사이에 둔 상기 기준계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감마 값을 보정하거나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R(Red) 무기 발광소자, G(Green) 무기 발광소자 및 B(Blue) 무기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및 픽셀 구동회로로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계조(Grayscale)를 갖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간의 광 출력이 균일해지도록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픽셀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기준 보정계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1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의 제1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대한 제1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를 상기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복수의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의 제2 기준 보정계수 및 계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대한 제2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2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제1 보정계수가 적용된 영상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보정계수는,
    상기 복수의 계조 중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계조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측정 보정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계조는,
    저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계조 및 고계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계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분할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기준계조를 기준으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를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로 산출하고;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하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낮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별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은,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 이상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가장 높은 계조를 갖는 기준계조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계조 사이에서의 계조 구간에 대하여 상기 계조 구간을 사이에 둔 상기 기준계조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감마 보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감마 값을 보정하거나 상기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산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163277A 2018-12-17 2018-1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9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77A KR102590142B1 (ko) 2018-12-17 2018-1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980080307.8A CN113168807A (zh) 2018-12-17 2019-12-12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9899798.3A EP3850612A4 (en) 2018-12-17 2019-12-12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CONTROL PROCEDURE
PCT/KR2019/017633 WO2020130496A1 (en) 2018-12-17 2019-12-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715,724 US11029912B2 (en) 2018-12-17 2019-12-16 Display apparatus dividing the display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uniform light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77A KR102590142B1 (ko) 2018-12-17 2018-1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45A true KR20200074645A (ko) 2020-06-25
KR102590142B1 KR102590142B1 (ko) 2023-10-18

Family

ID=7107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77A KR102590142B1 (ko) 2018-12-17 2018-12-1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9912B2 (ko)
EP (1) EP3850612A4 (ko)
KR (1) KR102590142B1 (ko)
CN (1) CN113168807A (ko)
WO (1) WO20201304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201A1 (ko) * 2020-11-23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85844A1 (ko) * 2021-11-11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872B1 (ko) * 2016-08-26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49383A (ko) * 2019-10-25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967669B (zh) * 2021-03-02 2022-07-12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led显示屏灰度一致性的校正方法
CN113793572A (zh) * 2021-09-24 2021-12-14 北京德为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显示器亮度均匀性调整方法及装置
KR20230064719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US11749163B1 (en) * 2022-03-28 2023-09-05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Color calibration device, color calibration method, and calibration table gener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0549A1 (en) * 2006-10-31 2008-05-01 Sanyo Electric Co., Ltd. Gamma correction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aly device
KR20170016676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34B1 (ko) * 1991-05-24 1995-07-25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6414661B1 (en) * 2000-02-22 2002-07-02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display devices and automatically compensating for loss in their efficiency over time
US20050134525A1 (en) * 2003-12-23 2005-06-23 Gino Tanghe Control system for a tiled large-screen emissive display
JP5542409B2 (ja) * 2009-10-27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装置
KR101741638B1 (ko) * 2010-08-12 2017-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보정방법
JP2014060545A (ja) * 2012-09-14 2014-04-03 Sharp Corp マルチディスプレイ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14194525A (ja) * 2013-02-28 2014-10-09 Canon Inc 画像表示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54452A (ko) * 2013-11-12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불균일성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15097350A (ja) * 2013-11-15 2015-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US10008167B2 (en) * 2015-03-03 2018-06-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device, and program
KR102247526B1 (ko) * 2015-07-10 2021-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1951B1 (ko) * 2015-10-07 2022-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09023B1 (ko) * 2015-12-11 2023-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색편차 보상 방법
CN105390067A (zh) * 2015-12-11 2016-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09071B1 (ko) * 2016-01-14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자가 점검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85167B1 (ko) * 2016-05-09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정 방법
KR102542849B1 (ko) * 2016-06-03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8048A (ko) * 2016-11-23 2018-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0549A1 (en) * 2006-10-31 2008-05-01 Sanyo Electric Co., Ltd. Gamma correction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aly device
KR20170016676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201A1 (ko) * 2020-11-23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3085844A1 (ko) * 2021-11-11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142B1 (ko) 2023-10-18
EP3850612A1 (en) 2021-07-21
EP3850612A4 (en) 2021-12-01
WO2020130496A1 (en) 2020-06-25
US11029912B2 (en) 2021-06-08
CN113168807A (zh) 2021-07-23
US20200193897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14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3645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modul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39731B2 (en) Mura correction system
US1038825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position determining device, position determin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79193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KR1024019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4755B1 (ko) 휘도보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휘도보정방법
EP2546826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uniformity correc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87481B2 (en) Luminance correcting system and luminance correcting method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2013945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313637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determination method
US11030971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color correction based on image type
US20110018892A1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processing imag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4235209A (ja) ガンマ調整方法及び表示装置
KR20190037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78031B2 (ja) 配置判定装置、配置判定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6860143A (zh) 一种图像显示处理方法及装置
US1042994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CN113724644B (zh) 补偿显示装置的亮度与色度的方法及相关设备
US20090167669A1 (en) Arrangement Comprising a Mobile Telephone and an LCD Display Module
JP6378032B2 (ja) 映像処理装置、表示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7854454A (zh) 一种显示屏亮度补偿方法及相关设备
CN114822444A (zh) 兼容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