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383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383A
KR20210049383A KR1020190133619A KR20190133619A KR20210049383A KR 20210049383 A KR20210049383 A KR 20210049383A KR 1020190133619 A KR1020190133619 A KR 1020190133619A KR 20190133619 A KR20190133619 A KR 20190133619A KR 20210049383 A KR20210049383 A KR 2021004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quality
display modu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9383A/ko
Priority to EP20203300.7A priority patent/EP3813049A1/en
Priority to US17/078,264 priority patent/US11355055B2/en
Publication of KR2021004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면의 일부를 이루는 서브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와,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것으로 식별되는 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이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면을 구현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일부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교체할 수 있게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특히,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화면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방면에 영상에 의한 다채로운 표현이 요구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되는 분야가 증가하고 있고, 개인 및 공공부문을 가리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에 요구되는 수준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한 한 가지의 예시로는 화면의 대형화가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대형화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의 요구가 충족되어야 하는데, 하나는 영상을 대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 고성능의 프로세서와, 다른 하나는 실제로 대화면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후자와 관련하여,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대화면으로 구현하는 것은 기술, 생산효율, 비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정한 크기로 모듈화시켜 제조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타일처럼 배치해서 대화면을 구현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의 크기 및 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예를 들면 벽 전체를 화면으로 구현하는 등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어떠한 공간에도 조화롭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조합하여 화면이 구성되므로,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의 자유로운 교체가 가능하다. 즉, 어느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불량이 발생하였다면,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불량이 발생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만을 교체할 수 있다.
그런데, 설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일한 재료 및 동일한 공정 하에 제조되었다고 하더라도, 열화의 차이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그 주위의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현저히 다른 화질을 나타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중요한 것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호 조화로운 화질을 나타냄으로써 하나의 화면을 구현하는 것인데, 교체된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러한 조화를 깨는 화질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듈형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된 경우에, 화면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화질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정하는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 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LED의 구동을 위한 화질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화질설정값으로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질 특성 정보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화질설정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에 따라 미리 정의된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에 관한 보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통신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LED의 구동을 위한 화질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화질설정값으로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의 구동을 위한 화질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된 화질설정값으로 상기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구동신호를 상기 복수의 LED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화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의 판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의 화질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LED의 밝기 및 수명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201)을 가지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다. 다만, 디스플레이장치(1)는 TV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지털 사이니지, 전자액자, 비디오 월, 전자칠판 등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 저장된 영상컨텐트에 기반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본체 또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와,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200)와 분리된 미디어박스 형태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장치(1)에 관해 설명하지만,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부(200)가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되거나 또는 하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1)도 가능하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PC, 셋탑박스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거나, 서버와 광역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거나, RF 형태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등의 다양한 전송방식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또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내부의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컨텐트 데이터를 읽음으로써 영상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영상신호에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영상 관련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출력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신호 전송 방식은 유선 및 무선이 모두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화면(201)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는 여러 가지 설계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는 micro LED 또는 OLED 등과 같은 자발광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하나의 큰 화면(201)을 형성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하,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화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벽면 등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설치면에 설치 가능한 LFD(Large Format Display)로 구현된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을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은 행과 열을 맞춰서 매트릭스 형태로 평행하게 배열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가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가 3x3로 배열된 9개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의 개수, 배열 형태 등은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은 개별적으로 탈착 가능하며 각기 서브화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로 이루어진 그룹을 형성한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이 복수의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를 포함하는 방식만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의 구조가 한정된 것은 아니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이 단일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를 포함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복수의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는 행과 열을 맞춰서 매트릭스 형태로 평행하게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이 4x2로 배열된 8개의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개수, 배열 형태 등은 한정되는 사항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에 관해서만 나타내고 있으나,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또한 유사한 구조에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을 지지함으로써 화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프레임을 가진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이러한 프레임이 벽면 등의 소정 설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이 타일 형태로 프레임에 지지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tiled display)로 구현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은 사각형의 기판 상에 실장된 복수의 무기 발광소자와, 각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각 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행과 열을 맞춰서 매트릭스 형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하,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의 판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디스플레이(211)는 기판(C) 상에 MxN (M, N은 자연수)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P)을 포함한다. 각 픽셀(P)은 RGB 3컬러의 서브픽셀들에 각기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각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무기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RGB 3컬러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조사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셀(P) 내의 발광소자가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의 초소형 LED인 마이크로 LED로 마련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11)는 각 발광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각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진다.
하나의 픽셀(P)은 RGB 3컬러 각각의 광을 개별적으로 조사하는 3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하나의 픽셀(P)이 나타내는 광의 컬러는, 해당 픽셀(P)이 포함하는 3개의 컬러 별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혼합에 의해 결정된다. 디스플레이(211)의 각 픽셀(P)에는 다양한 밝기 및 컬러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며, 인가되는 제어신호, 전류 또는 전압에 따라서 각 발광소자가 개별적으로 구동함으로써 픽셀(P)로부터 특정 밝기 및 컬러의 광이 조사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211) 내 하나의 픽셀(P) 당 포함되는 발광소자의 개수 및 컬러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노톤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1)라면, 픽셀(P)이 포함하는 발광소자는 RGB 컬러에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픽셀(P) 내 RGB 컬러에 각기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수는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와, 신호입출력부(120)와, 사용자입력수신부(130)와, 저장부(140)와, 메인 프로세서(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전원공급회로(40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통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규격을 지원하며, 각 통신규격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회로, 통신칩 또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IEEE 802.15 표준을 따르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BLE(Bluetooth Low-Energy) 등과 같이, 일대 일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한다. 또는, 통신부(110)는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ss LAN)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이, 광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회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통신부(110)는 다양한 외부장치 및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다.
신호입출력부(120)는 셋탑박스 또는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신호입출력부(120)는 예를 들면, HDMI 포트, DisplayPort, USB 포트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10) 및 신호입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외부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한편,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및 디스플레이부(200)를 연결함으로써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영상신호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신부(110)의 와이파이 통신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에 무선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영상신호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신호입출력부(120)의 HDMI 포트에 접속된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00)는 통신부(110) 또는 신호입출력부(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또는 포트를 추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입력수신부(13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 관련 회로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입력수신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영상처리 디바이스(100)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하우징에 설치된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영상처리 디바이스(100)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20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14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저장된 데이터의 보존 특성에 따라서, 비휘발 속성을 가진 스토리지(storage)와 휘발 속성을 가진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스토리지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동안에도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매체로서,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HDD(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ROM(Read Only Memory) 등이 있다. 메모리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동안에는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매체로서, 버퍼(buffer),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다.
메인 프로세서(15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인 프로세서(150)는 영상처리를 위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프로세서(150)는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0) 내의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에 출력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별로 영역 단위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 상에 전체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이 때, 메인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체 영상의 화질이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별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의 영상속성을 상이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50)가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 별로 출력하는 영상신호의 영상특성을 상이하게 보정하지 않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영상특성을 개별적으로 보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의 전원공급회로와는 별도로, 디스플레이부(200) 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40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회로(4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적정한 레벨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개별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전원공급회로(400)는 기판 상에 커패시터, 스위치 등 전원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400)는 하나 혹은 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10) 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마련됨으로써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을 형성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400)를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디스플레이(511)와, 구동부(512)와, 모듈저장부(513)와, 모듈 프로세서(51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경우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511)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511) 내 각 픽셀은 다양한 컬러의 광을 조사하도록, 예를 들어 RGB 컬러에 각기 대응하는 3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광을 조사하는 LED로 구현된다.
구동부(512)는 디스플레이(511)가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동시킨다. 구동부(512)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단위로 마련되는 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있는 경우에 각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대해 구동부(512)가 마련된다. 구동부(512)는 다양한 하드웨어 설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 전극, 스위치 등의 다양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12)는 모듈 프로세서(5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511)의 각 픽셀 내 RGB 컬러의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량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발광소자의 밝기를 개별적으로 조정한다. 구동부(512)는 디스플레이(511) 내 모든 픽셀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전체 영상 중에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할당된 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구동부(512)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또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신호 등의 구동신호를 사용하여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한다. 구동부(512)는, 예를 들면 PWM 신호의 듀티 비를 조정함으로써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모듈저장부(513)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의 저장부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마련된 스토리지이다. 모듈저장부(513)는, 예를 들면 구동부(512)의 제어 시 모듈 프로세서(514)가 참조하기 위한 소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모듈 프로세서(514)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과 같은 하드웨어 컨트롤 칩셋으로 구현된다. 모듈 프로세서(514)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512)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모듈 프로세서(514)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와 함께, 전체 영상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할당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영역정보를 수신한다. 모듈 프로세서(514)는 수신되는 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 중에서 디스플레이(511)가 표시해야 할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의 영상이 디스플레이(511)에 표시되도록 구동부(512)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복수의 디스플레이(511)를 포함하는 경우, 모듈 프로세서(514)는 각 디스플레이(511)에 대해 할당된 영역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동부(512)를 제어한다.
또한, 모듈 프로세서(514)는 디스플레이(511)에 할당된 영역의 영상에 대한 화질 특성(예를 들면, 영상의 밝기, 컬러분포, 콘트라스트, 채도, 감마값 등)에 관한 화질특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질특성정보의 예시로는 보정값, 조정값 또는 오프셋값(offset value)이 있다. 이러한 화질특성정보는 예를 들면 모듈저장부(513)에 저장된다. 즉, 모듈 프로세서(514)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구동부(512)를 제어할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모듈저장부(513)로부터 획득한 화질특성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영상의 화질특성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한다. 이로써, 구동부(512)로부터 디스플레이(511)에 출력되는 구동신호가 조정되며,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511)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은 조정된 화질 특성이 반영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 중 일부가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장착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하기 동작들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새로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의 모듈 프로세서, 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6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다.
6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로부터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를 요청한다.
625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는 디스플레이 모듈(6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602)에 전송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에 대해 요청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영상처리 디바이스(601)가 디스플레이 모듈(602)로부터의 요청 없이 디스플레이 모듈(602)에 전송할 수도 있다.
6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획득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 장착된 것으로 식별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획득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가 신규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 장착된 것으로 식별하고, 획득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가 기 저장하고 있는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 장착된 것이 아니라고 (즉, 기존에 장착되어 사용되던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획득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가 기 저장하고 있는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또는 어떠한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도 저장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획득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의 식별정보가 신규하다고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장착 여부를 식별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가 디스플레이 모듈(602)의 신규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610 내지 630 단계와 유사하게,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의 장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602)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602)의 신규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를 요청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서 표시하는 영상의 화질 특성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나, 본 개시의 화질 특성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의 화질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특성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새로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을 제외하고, 이미 사용해 오던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화질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645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는 디스플레이 모듈(602)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602)에 전송한다.
6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질설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화질설정값을 저장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소정의 화질설정값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획득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 또는 조정한다.
655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에 영상신호 및 영역정보를 출력한다. 영역정보는, 영상신호에 따른 전체 영상 중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에게 할당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6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2)은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로부터의 영상신호 및 영역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되, 기 저장된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정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교체된 경우에도, 화면에 표시되는 전체 영상의 화질이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602)이 영상처리 디바이스(601)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별도의 서버, 또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합에 의해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최초 설치 이후에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불량으로 인해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의 교체가 불가피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과, 교체되지 않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사이에, 사용자가 인지할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와 같은 차이를 해소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정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균일화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동작을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아닌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직접 수행한다. 상기한 동작을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경우에도, 결과적으로는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균일화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되는 경우에 특히 효용성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크게 관여하지 않더라도,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직접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를 영상신호에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향상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최초 구성하는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을 프레임(710) 상에서 3x4 배열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700)의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이 나타내는 화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밝기, 컬러분포, 콘트라스트, 채도, 감마값 등의 화질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을 무작위로 프레임(710)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이 하나의 제조사에 의해 생산되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 사이에는 소재, 공정(생산라인, 생산 시점 등) 등 다양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모든 디스플레이 모듈(720)이 나타내는 화면이 시각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화질 특성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제조 단계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화면이 구현된 상태에서, 전체 화면이 균일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도록, 즉 전체 영상 조화롭게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화질 특성이 사전 조정된다. 그 결과, 사전 조정된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화질 특성을 반영한 화질설정값이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 별로 도출된다. 도출된 각 화질설정값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모듈저장부(513, 도 5 참조)에 저장됨으로써, 차후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특성에 반영된다. 화질 특성이 밝기인 경우를 예로 들면, 본 화질특성값은 발광을 위해 발광소자에 인가되도록 마련된 전류량을 나타낼 수 있다.
앞선 도 6 관련 실시예에서도 화질설정값에 관해 설명한 바 있는데, 상호 구별을 위해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화질설정값을 제1화질설정값이라고 지칭하고, 앞선 도 6 관련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화질설정값을 제2화질설정값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제조 단계에서의 사전 화질조정 결과에 따른 디스플레이부(700) 내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모듈저장부(513, 도 5 참조)에 저장된다.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대한 화질 특성에 대응하는 제1화질설정값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720)이 디스플레이부(700) 내에서 지정된 위치에 있을 경우를 위해 마련된 것이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면 해당 제1화질설정값의 의미는 없어진다. 따라서, 차후에도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에는 위치정보가 지정된다.
이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부(700)가 구성될 때, 소정의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에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UI(730)가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표시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표시되는 UI(730)에 따라서, 사용자는 제조 단계에서 지정된 상대적인 위치에 맞게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을 프레임(71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UI(730)를 표시하기 위한 트리거 이벤트는 다양하게 마련되며,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트리거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소정 위치에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표시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UI(730)가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되며,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UI(730)가 "M-N"(M, N은 자연수)의 방식으로 나타내며, M은 행, N은 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UI(730)가 "2-3"으로 표시되어 있다면, 해당 UI(730)가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720)은 3x4 배열에서 2행 3열에 위치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UI(730)가 "3-1"으로 표시되어 있다면, 해당 UI(730)가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720)은 3x4 배열에서 3행 1열에 위치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이사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을 프레임(710)으로부터 다시 분리한 이후 재조립하는 경우에도,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에 표시되는 UI(730)에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720)은 이전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부(70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720)을 교체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00)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 중에서,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740)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닌, 고장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모듈(740)만이 새 디스플레이 모듈(810)로 교체될 수 있다.
그런데, 새로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810)이 나머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720)과 함께 화면을 구성할 때, 디스플레이부(700)의 화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화질을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810)은 디스플레이 모듈(810)의 장착이 식별되면, 영상처리 디바이스 또는 타 디스플레이 모듈(72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810)이 배치되는 상대적 위치에 따른 제1화질설정값을 획득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화질설정값은 제조 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을 반영하여 마련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듈(810)이 새로 장착되는 현재 시점은 제조 단계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이므로, 제1화질설정값은 현재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810)에 제1화질설정값만이 반영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700)의 화면은 디스플레이 모듈(810)로 인해 전체적으로 균일한 화질을 나타내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모듈(810)은 현재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에 관한 화질특성정보를 획득한다. 화질특성정보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10)은 획득한 화질특성정보에 대응하는 제2화질설정값을 획득한다. 화질 특성이 밝기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제2화질설정값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구동부로부터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량의 보정값 또는 차감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10)은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의 화질을 보정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810)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신호의 초기값에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을 반영하여 조정하고, 조정된 값으로 구동신호를 발광소자에 인가한다.
제1화질설정값 또는 제2화질설정값은 대상이 되는 영상 화질의 레벨값을 나타낼 수도 있고, 또는 그 레벨값을 달성하기 위한 구동신호의 조정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밝기의 화질 특성을 예로 들면, 대상이 되는 영상 화질의 레벨값은 밝기 값에 해당하며, 영상 화질의 레벨값을 달성하기 위한 구동신호의 조정값은 해당 밝기 값을 달성하기 위한 발광소자의 구동신호의 전류량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의 화질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의 화질을 보정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듈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9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부에 장착되었음을 식별한다.
9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장착 위치에 따른 제1화질설정값을 획득한다.
9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9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제2화질설정값을 획득한다.
9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9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의 화질이 보정되도록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구동신호를 조정한다.
9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조정된 구동신호로 발광소자를 구동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화질설정값 및 제2화질설정값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의 구현 방식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화질설정값을 적용하지 않고 제1화질설정값만을 적용하여 영상의 화질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지나지 않았다면 기존 디스플레이 모듈의 발광소자의 열화는 크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이 소정 임계치를 넘지 않았다면,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다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화질설정값만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화질설정값을 적용하지 않고 제2화질설정값만을 적용하여 영상의 화질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간이 동일한 전제 하에서, 교체할 새 디스플레이 모듈 및 기존의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초기 화질 차이가 크지 않다고 간주되면, 제1화질설정값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화질설정값을 적용하지 않는 기준은, 예를 들면 동일 제조사의 동일 모델이거나, 생산 시기가 비슷하거나, 또는 사전에 설정된 제품 카테고리에 공통적으로 속하는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질설정값의 예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이하, 화질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질설정값을 획득하는 방법의 예시에 관해 후술한다.
도 10은 LED의 밝기 및 수명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는 사용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현할 수 있는 밝기가 저감된다. 본 그래프는 소정 LED에 대한 실험에 근거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세로축은 LED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 밝기에 해당하며, 가로축은 LED의 사용 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LED의 사용 시간이 1만 시간이라면, LED가 낼 수 있는 최대 밝기의 레벨은 최대 밝기 대비 85%로 나타난다. LED의 사용 시간이 2만 시간이라면, LED가 낼 수 있는 최대 밝기의 레벨은 78%로 나타난다. LED 사용 시간이 5만 시간으로 더 늘어나면, LED가 낼 수 있는 최대 밝기의 레벨은 64% 정도로 더 떨어지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LED는 사용 시간이 경과할수록 해당 LED는 열화가 누적되므로, 해당 LED가 낼 수 있는 최대 밝기는 점점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LED의 밝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설계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화질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화질설정값은 LED의 밝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LED의 밝기조정값에 관한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본 테이블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따라서, LED의 밝기를 저감시키기 위해 조정된 LED의 구동신호의 전류량을 지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을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확인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밝기조정값을 상기한 테이블에서 획득하고, 획득한 밝기조정값에 따라서 LED의 구동신호를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경우의 예시에 적용될 수 있다. 최초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동안,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LED들은 열화가 진행됨으로써 나타낼 수 있는 밝기의 상한이 점점 내려간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느 한 디스플레이 모듈이 교체되었을 때,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신제품이므로 LED가 나타낼 수 있는 밝기의 상한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어떠한 보정 없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된다면,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한 영역에서의 밝기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한 영역에서의 밝기보다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을 고려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의 밝기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도록 저감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이 새로 교체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전체가 균일한 밝기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질 특성 정보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시간을 포함하고, 화질설정값이 LED의 밝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화질 특성 정보 및 화질설정값이 포함하는 패러미터들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패러미터들이 화질 특성 정보 또는 화질설정값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질 특성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사, 모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조사 또는 모델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이 약간씩 다를 수 있고, 그 결과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사, 모델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균일한 화질의 화면이 구현되도록 LED의 구동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
화질설정값은 영상의 밝기 이외에도, 콘트라스트, 채도, 감마값 등 다양한 패러미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화질설정값은 영상의 화질의 레벨의 조정값일 수도 있고,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LED의 구동신호의 조정값일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화질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질 특성 정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0)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1120)을 포함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1120)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1120)과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10, 1120)은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반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복수의 LED를 개별적으로 발광시킨다. 이 때, 새로 장착된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은 디스플레이장치(1100)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LED의 구동신호를 조정한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이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는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은 장착되는 것이 식별되면,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로부터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에 저장된 화질 특성 정보(1151)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이 장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는 서버(1140)에 화질 특성 정보(1152)를 요청한다. 서버(1140)는 디스플레이장치(1100)의 화질 특성 정보(1152)를 저장하고 있으며,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의 요청에 응답하여, 교체된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한 화질 특성 정보(1152)를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는 서버(1140)로부터 수신되는 화질 특성 정보(1152)를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에 제공한다.
또는, 새로 장착된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은 이미 장착되어 사용중인 제2디스플레이 모듈(1120)로부터 화질 특성 정보(1153)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영상처리 디바이스(1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화질 특성 정보(1154)를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화질설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동작은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아닌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수행할 수도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1210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다.
1220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새로 장착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식별 방법의 한 가지 예를 들면,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정보가 기 등록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것인지 (즉, 기존에 사용중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정보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획득한 식별정보가 기 등록된 것이면 기존에 사용하던 디스플레이 모듈이고, 획득한 식별정보가 기 등록된 것이 아니면 새로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라고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한 가지 예시일 뿐이며, 식별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마련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새로 장착된 것이라면, 1230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한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새로 장착된 것이 아니라면,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1260 단계로 바로 이행한다.
1240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획득한 화질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화질설정값을 획득한다.
1250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획득한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화질설정값이 영상의 밝기에 관한 것이라면,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할 영상신호의 밝기 레벨에 상기한 화질설정값을 반영하여 조정할 수 있다.
1260 단계에서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한다.
즉,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이 기존에 사용하던 것이라면 영상신호에 통상적인 영상처리만을 반영하여 출력한다. 반면에,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이 새로 장착된 것이라면,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통상적인 영상처리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질설정값을 영상신호에 반영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공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된 상태이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질설정값을 반영하여 구동신호를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새로 장착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따라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통상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화질설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처리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상이한 실시예로서, 영상처리 디바이스가 획득한 화질설정값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영상처리 디바이스는 획득한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통상적인 영상처리만 하여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화질설정값에 기초하여,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한편,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듈 프로세서는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또는 LED의 구동신호를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처리, 및 결과 정보 생성 중 적어도 일부를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알고리즘으로서 기계학습, 신경망 네트워크(neural network), 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로세서는 학습부 및 인식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식부는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식(또는, 추론, 예측, 추정,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학습부는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해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저장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학습을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한 동작을 수행한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네트워크를 학습시키기 전에, 획득된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학습 데이터들 중에서 학습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학습부는 학습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학습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부는 전처리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신경망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는,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또는,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가중치를 가지며, 복수의 신경망 네트워크들은 일 신경망 네트워크의 출력 값이 다른 신경망 네트워크의 입력 값으로 이용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신경망 네트워크의 예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과 같은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식부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영상처리 디바이스의 저장부,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듈저장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타겟 데이터는 신경망 네트워크의 인식 대상이 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학습된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전에, 획득된 타겟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타겟 데이터들 중에서 인식에 이용될 데이터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식부는 타겟 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하거나, 필터링 하거나, 또는 노이즈를 추가/제거하여 인식에 적절한 데이터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인식부는 전처리된 타겟 데이터를 신경망 네트워크에 적용함으로써, 신경망 네트워크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인식부는 출력값과 함께, 확률값 또는 신뢰도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USB 메모리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메모리, 메모리 칩,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1 : 디스플레이장치
100 : 영상처리 디바이스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7)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LED의 구동을 위한 화질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화질설정값으로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특성 정보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화질설정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에 따라 미리 정의된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에 관한 보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이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통신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탈착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LED의 구동을 위한 화질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화질설정값으로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LED의 구동을 위한 화질설정값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화질설정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된 화질설정값으로 상기 복수의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신호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구동신호를 상기 복수의 LED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특성 정보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가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화질설정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에 따라 미리 정의된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에 관한 보정값을 포함하고,
    상기 화질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보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류량이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화질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33619A 2019-10-25 2019-10-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9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619A KR20210049383A (ko) 2019-10-25 2019-10-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0203300.7A EP3813049A1 (en) 2019-10-25 2020-10-2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078,264 US11355055B2 (en) 2019-10-25 2020-10-2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619A KR20210049383A (ko) 2019-10-25 2019-10-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83A true KR20210049383A (ko) 2021-05-06

Family

ID=7301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619A KR20210049383A (ko) 2019-10-25 2019-10-2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55055B2 (ko)
EP (1) EP3813049A1 (ko)
KR (1) KR202100493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240A (ko) * 2022-02-16 2023-08-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6456B1 (en) * 2019-10-18 2021-06-15 Splunk Inc. Control of a display device included in a display gri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8573A1 (en) * 2003-12-23 2005-06-29 Barco N.V. Hierarchical control system for a tiled large-screen emissive display
US20050253777A1 (en) * 2004-05-12 2005-11-17 E Ink Corporation Tiled displays and methods for driving same
US20060114172A1 (en) * 2004-11-26 2006-06-01 Giott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ED based modular display
US9025111B2 (en) * 2012-04-20 2015-05-05 Google Inc. Seamless display panel using fiber optic carpet
KR102400138B1 (ko) 2015-09-07 2022-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의 에이징 방법
KR102542849B1 (ko) * 2016-06-03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0142B1 (ko) * 2018-12-17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225903A1 (en) * 2019-01-10 2020-07-16 Noy Cohen Modular displa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240A (ko) * 2022-02-16 2023-08-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제공 장치와 연동되는 메타버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25548A1 (en) 2021-04-29
US11355055B2 (en) 2022-06-07
EP3813049A1 (en)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279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for locally dimming to suppress motion blur
JP5684469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8011290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9690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6081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59035A (ko)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98679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he display apparatus
KR1025285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휘도 제어 방법
US1135505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932184B (zh) 驱动装置、光源驱动装置、光源装置、投影装置及驱动方法
KR20190086060A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20109502A (ja) 発光表示装置
US20200135127A1 (en) Display apparatus of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339181A (zh) 激光投影设备、投影图像调整方法及装置
CN103380414B (zh) 基于收敛矩阵分解的整帧图像处理
KR102058331B1 (ko) 초기 픽셀 재설정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2003122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663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952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897630B2 (ja) 表示装置、指向性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81178A5 (ko)
JP2018045068A (ja) 制御装置
US10276106B2 (en) Power supply and display device
JP2016004195A5 (ko)
US20150002499A1 (en) Pixel,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having the pixel, and driving method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