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520A -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520A
KR20220077520A KR1020200166534A KR20200166534A KR20220077520A KR 20220077520 A KR20220077520 A KR 20220077520A KR 1020200166534 A KR1020200166534 A KR 1020200166534A KR 20200166534 A KR20200166534 A KR 20200166534A KR 20220077520 A KR20220077520 A KR 2022007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witch
sensor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166B1 (ko
Inventor
장우영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1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9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치과용 진단 장치에 있어서,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 및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DENTAL DIAGNOSTIC DEVICE, ITS OPERATION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IS RECORDED}
본 개시는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수진자 우무에 기초하여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진단 장치는 수진자가 촬영을 위한 공간에 진입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진자를 향해 촬영 장비가 부착된 컬럼(Column)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래 기술은 수진자의 안전성을 위해 컬럼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제한하고 있으며, 수진자 유무에 상관없이 컬럼은 사용자가 목적하는 위치까지 느리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수진자가 없을 때에도 컬럼의 이동 속도가 느리게 제한되어, 장비 운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진자 유무에 적합하게 진단 준비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진자 우무에 기초하여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는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 및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단 장치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단 장치는 상기 수진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발판부 및 상기 수진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발판부 및 상기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동 속도를 제 1 속도 및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스위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살표 모양이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측정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입력부,
상기 측정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입력부 및 상기 이동 속도를 상기 센싱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속도로 결정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제 3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에 있어서,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측정부를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활성화된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단 장치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단 장치는 상기 수진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발판부 및 상기 수진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발판부 및 상기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4 측면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은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활성화된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5 측면은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6 측면은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진자의 유무에 따라 LED를 ON/OFF 시켜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한 쌍의 스위치를 통해 수진자가 없는 경우에는 고속으로, 수진자가 있는 경우에는 저속으로 측정부의 이동 조작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구역에 고속 및 저속 이동을 위한 두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고, 수진자 유무에 따라 각 스위치의 활성화를 제어하여, 활성화된 스위치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측정부의 이동 조작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는 센서(110), 측정부(120), 스위치(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하고, 이동부(150), 디스플레이(160), 발판부(170) 및 턱 지지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진단 장치(100)는 대상체에 대한 촬상을 통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 예에서, X선을 발생시켜 수진자의 구강을 포함하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치과용 X선 진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초음파 진단 장치,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등 다양한 유형의 촬영 수단을 통해 다양한 의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센서(110)는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설정 대상 영역 내에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초음파 센서는 센서(110)의 하방에 위치하는 턱 지지부(180)를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센서(110)와 턱 지지부(180) 간에 객체의 존재 여부 및/또는 객체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고, 레이저 센서는 턱 지지부(180), 지면 또는 특정 영역을 향해 기설정 파장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객체의 존재 여부 및/또는 객체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 감지 센서는 턱 지지부(180)에 포함되어 턱 지지부(180) 상에 인가되는 무게 정보를 센싱하거나, 또는, 발판부(170)에 포함되어 발판부(170) 상에 인가되는 무게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촉 센서는 턱 지지부(180) 또는 발판부(170)에 포함되어 다른 객체와의 접촉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상기한 센서 유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대상 영역 내에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그밖의 다른 유형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측정부(1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측정부(120)의 상단에 위치하는 회전부(125)의 하단에 위치하여, 회전부(125)의 하단과 턱 지지부(180) 또는 지면 사이에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턱 지지부(180)의 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지면에 배치된 발판부(170)의 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정부(120)는 진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120)는 측정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하는 대상체(예: 수진자의 신체 일부)를 향해 X선 발생시켜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X선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 X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을 영상화하여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CT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것처럼, 다른 실시 예에서, 초음파, MRI, RI 등 다양한 유형의 의료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처럼,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특정 유형의 의료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120)은 회전 가능하도록 치과용 진단 장치(100)의 일단(예: 상단)에 연결된 회전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부(125)는 측정부(1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수진자를 촬영하기 위해 기설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터널 형태의 구대를 나타내는 겐트리(gantry)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회전부(125)의 회전 및 겐트리의 일단에 포함된 광원 발생 모듈의 광원 발생을 제어하여 광원(예: X선)을 수진자의 신체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투과시키고, 겐트리의 다른 일단에 포함된 광원 검출 모듈이 투과된 X선의 양을 측정하여 단면상을 재조합하여 진단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120)는 이동부(150)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치과용 진단 장치(100)를 지지하는 컬럼(column)에 설치된 이동부(150)와 연결되어 이동부(150)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정부(120)는 이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30)는 측정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에서, 스위치(130)는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두 개의 입력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40)는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서, 스위치(130)는 제 1 속도 및 제 2 속도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입력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40)는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 각각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13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부(120)의 이동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스위치(13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 및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 방향(예: 상측, 하측) 및 이동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이동 신호를 이동부(150)에 송신하여 해당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로 측정부(120)를 이동시킬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포함된 객체의 존재 여부 및/또는 객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센싱 신호에 포함된 무게 정보 및/또는 접촉 정보에 따라 수진자가 턱 지지부(180)에 턱을 접촉하였는지 여부 또는 발판부(170)에 체중을 인가시켰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의 동작에 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치과용 진단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고, 센서(110), 측정부(120), 스위치(130), 이동부(150), 디스플레이(160), 발판부(170), 턱 지지부(18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15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측정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150)는 일단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치과용 진단 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예: 컬럼)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단이 측정부(120) 또는 이를 지지하는 다른 지지부재와 연결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신호에 포함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측정부(12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 및 동작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에 관한 내용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70)는 수진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치과용 진단 장치(100)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지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건물의 바닥면 등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진단 영상의 획득을 위해 권장되는 수진자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170)는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발판부(170)의 상단에 위치하는 무게 감지 센서 및/또는 접촉 센서를 통해 수진자의 체중 및/또는 발판부(170)의 상면에 수진자가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턱 지지부(180)는 수진자의 턱을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진자가 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 수진자의 전치에 제공되는 바이트 수단, 진단 영상의 획득을 위해 권장되는 수진자의 턱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턱 지지부(180)는 이동부(150)의 일단(예: 하단)에 연결되어 이동부(1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수진자의 두부를 지지하여 측정부(120)의 광원 발생 모듈 및 광원 검출 모듈 사이에 사이에 수진자의 두부가 위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턱 지지부(180)는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턱 지지부(180)의 상단에 위치하는 무게 감지 센서 및/또는 접촉 센서를 통해 턱 지지부(180)의 상면에 수진자가 접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치과용 진단 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치과용 진단 장치(100)는 동작 전반에 이용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 다른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치과용 진단을 위해 요구되는 그밖의 공지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에 포함되는 스위치(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130)는 측정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일 실시 예에서, 제 1 입력부(131), 제 2 입력부(132) 및 제 3 입력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입력부(131)는 측정부(1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입력부(132)는 측정부(1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 3 입력부(133)는 이동 속도를 센싱 신호와 무관하게 제 1 속도로 결정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130)는 입력부별로 상이한 지시 정보가 프린트되어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버튼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입력부(131), 제 2 입력부(132) 및 제 3 입력부(133) 각각은 상단에 제 1 입력 신호(예: 상측으로 이동 요청), 제 2 입력 신호(예: 하측으로 이동 요청) 및 제 3 입력 신호(예: 이동 속도를 제 1 속도로 결정 요청)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표시(예: ∧), 제 2 표시(예: ∨) 및 제 3 표시(예: ㅡ) 각각이 프린트되어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입력 신호, 제 2 입력 신호 및 제 3 입력 신호 각각을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130)는 입력부별로 상이한 지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각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각 입력부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입력부(131) 및 제 2 입력부(132) 각각은 제 1 표시(예: ∧) 및 제 2 표시(예: ∨)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 각각을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센서(110)는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센서(110)와 턱 지지부(180) 간에 객체의 존재 여부 및/또는 객체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프로세서(140)가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 결과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60)를 통해 수진자의 유무 및 이에 따라 현재 측정부(120)의 이동 가능한 속도가 저속인지 고속인지에 대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수진자가 있는 경우에는 제 1 방식으로, 수진자가 없는 경우에는 제 2 방식으로, 수진자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식은 LED의 멸등, 점멸 또는 제 1 색상(예: 적색)으로 점등하는 것이고, 제 2 방식은 LED의 점등 또는 제 2 색상(예: 녹색)으로 점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위치(130)의 일단(예: 상단)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제 1 LED 모듈(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면, 제 1 입력부(131)와 제 2 입력부(132)가 포함된 영역의 바운더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 2 LED 모듈(16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제 1 입력부(131) 및 제 2 입력부(132)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진자의 유무에 따라 제 1 입력부(131) 및 제 2 입력부(132)에 표시된 화살표에 별도 조명이 점등 또는 멸등되거나 색상이 변경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따라서 이동 속도를 제 1 속도 및 제 2 속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속도는 제 1 속도보다 빠르고, 예를 들면, 제 1 속도보다 2배 내지 3배 이상 빠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인 제 1 속도로 제한하고,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인 제 2 속도로 상향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속도 및 제 2 속도는 각각에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살표 모양이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130)는 전술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만일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가 제 1 속도로 결정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입력부(131) 및 제 2 입력부(132) 각각에 저속을 나타내는 제 1-1 표시(예:
Figure pat00001
) 및 제 2-1 표시(예:
Figure pat00002
)를 디스플레이하고, 만일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가 제 2 속도로 결정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입력부(131) 및 제 2 입력부(132) 각각에 고속을 나타내는 제 1-2 표시(예:
Figure pat00003
) 및 제 2-2 표시(예:
Figure pat00004
)를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 각각을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실시간 수신되는 센싱 신호에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갱신하고, 스위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살표 모양은 실시간 갱신되는 이동 속도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즉, 수진자의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방식을 상이하게 하여 한 쌍의 방향 스위치만으로 수진자의 유무 및 이에 따라 현재 측정부(120)의 이동 가능한 속도가 저속인지 고속인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스위치(130)는 측정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입력부(13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측정부(1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입력 신호를, 제 2 입력부(13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측정부(1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입력 신호를, 제 3 입력부(13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이동 속도를 센싱 신호와 무관하게 제 1 속도로 결정할 것을 요청하는 제 3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 3 입력부(133)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진자 유무와 무관하게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제 1 속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진자가 주변에 없더라도 안전을 고려하여 저속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 3 입력부(133)를 클릭하여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측정부(120)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제 1 입력부(131)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측으로, 제 2 입력부(132)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가장 최근 결정된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예: 제 1 속도 또는 제 2 속도)에 따라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이동부(150)에 송신하여 측정부(120)의 이동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자가 있는 경우에는 저속의 제 1 속도로, 수신자가 없는 경우에는 고속의 제 2 속도로 측정부(120)가 이동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진자의 유무에 따라 LED를 ON/OFF 시켜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한 쌍의 스위치(130)를 통해 수진자가 없는 경우에는 고속으로, 수진자가 있는 경우에는 저속으로 측정부(120)의 이동 조작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에 포함되는 스위치(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단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130)는 측정부(120)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위치(130a) 및 측정부(120)를 제 2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위치(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스위치(130a)는 측정부(120)를 제 1 속도로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1 스위치(131a) 및 제 1-2 스위치(132a)를 포함하고, 측정부(120)를 제 2 속도로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1 스위치(131b) 및 제 2-2 스위치(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스위치(130a)는 제 2 스위치(130b)보다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위치(130)에 저속으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저속 스위치와 고속으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고속 스위치를 각각 서로 다른 영역에 구비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센서(110)는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처럼, 디스플레이(16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진자 유무에 따라 제 1 방식 또는 제 2 방식으로 수진자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 1 LED 모듈(161)과 같이 스위치(130)의 일단(예: 상단)에 원형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제 2 LED 모듈(162)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스위치(130a)의 바운더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 2-1 LED 모듈 및 제 2 스위치(130b)의 바운더리를 따라 배치되는 제 2-2 LED 모듈을 포함하여, 수진자가 있는 경우에는 제 2-1 LED 모듈을 점등하고 수진자가 없는 경우에는 제 2-2 LED 모듈을 점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60)는 제 1 스위치(130a) 및 제 2 스위치(130b)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진자의 유무에 따라 제 1 스위치(130a) 또는 제 2 스위치(130b)에 표시된 화살표에 조명이 점등 또는 멸등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 1 스위치(130a) 및 제 2 스위치(130b) 중 어느 하나를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없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 1 스위치(130a) 및 제 2 스위치(130b)를 둘다 활성화하고, 수진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 1 스위치(130a)만 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없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 2 스위치(130b)만 활성화하고, 수진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 1 스위치(130a)만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 1 스위치(130a)만 활성화하고, 수진자가 없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 1 스위치(130a) 및 제 2 스위치(130b)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스위치(130a) 및 제 2 스위치(130b) 각각은 자신의 활성화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제 2-1 LED 모듈 및 제 2-2 LED 모듈을 점등시키거나, 표시된 화살표에 조명을 점등 또는 멸등시킬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 1 스위치(130a) 및 제 2 스위치(130b) 중 활성화된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부(120)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입력 신호가 활성화된 제 1-1 스위치(131a)를 통해 수신되면 제 1 속도 및 상측으로, 활성화된 제 1-2 스위치(132a)를 통해 수신되면 제 1 속도 및 하측으로, 활성화된 제 2-1 스위치(131b)를 통해 수신되면 제 2 속도 및 상측으로, 활성화된 제 2-2 스위치(132b)를 통해 수신되면 제 2 속도 및 하측으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이동부(150)에 송신하여 측정부(120)의 이동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진자의 유무에 따라 LED를 ON/OFF 시켜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하고, 서로 다른 구역에 고속 및 저속 이동을 위한 두 쌍의 스위치(130)를 배치하고, 수진자 유무에 따라 각 스위치(130)의 활성화를 제어하여, 활성화된 스위치(13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측정부(120)의 이동 조작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0)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센싱 신호, 제 2 센싱 신호, 제 3 센싱 신호 및 제 4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수진자 존재 가능성을 결정하고, 수진자 존재 가능성이 기설정 제 1 값(예: 50%) 이상이면 수진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센서들의 센싱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진자의 유무를 결정함으로써, 수진자 유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 1 센싱 신호, 제 2 센싱 신호, 제 3 센싱 신호 및 제 4 센싱 신호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진자 존재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센싱 신호, 제 2 센싱 신호, 제 3 센싱 신호 및 제 4 센싱 신호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센싱 신호에 따라 수진자가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 2 속도에 기초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속도가 가변되도록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를 이분법으로 정하는 것이 아닌, 상대적으로 느린 제 2-1 속도로 이동을 시작한 후 상대적으로 빠른 제 2-2 속도로 이동하거나, 또는 그 반대이거나, 또는 초기에 제 2-1 속도로 제 1 시간 이동하고 이후 제 2-2 속도로 제 2 시간 이동하고 이후 제 2-1 속도로 제 1 시간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속도는 제 2-1 속도와 제 2-2 속도의 평균이거나, 제 2-1 속도 또는 제 2-2 속도일 수 있고, 제 2 시간은 제 1 시간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수진자 존재 가능성이 제 1 값(예: 50%)보다 작지만 제 2 값(예: 30%)보다 큰 경우,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제 1 속도보다 크고 제 2 속도보다 작은 제 3 속도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진자가 없을 가능성이 높긴 하나 있을 가능성도 어느 정도 있는 경우에는, 제 1 속도와 제 2 속도를 평균한 제 3 속도를 일시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 1 실시 예에 따라 수진자가 없는 것으로 결정되어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가 제 2 속도로 결정된 경우, 제 1 입력부(131) 또는 제 2 입력부(132)의 입력 신호가 기설정 시간 동안 기설정 횟수(예: 2회) 이상 연속 수신되는 경우,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제 2 속도에서 기설정값만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입력부(131) 또는 제 2 입력부(132)의 입력 신호가 기설정 시간 동안 길게 수신되는 경우, 측정부(120)의 이동 속도를 다시 제 2 속도로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실시 예에서 수신자가 없는 경우, 입력부를 연타하는 방식으로 이동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치과용 진단 장치
110: 센서 120: 측정부
130: 스위치
130a: 제 1 스위치 130b: 제 2 스위치
131: 제 1 입력부 132: 제 2 입력부
133: 제 3 입력부
140: 프로세서 150: 디스플레이
151: 제 1 디스플레이 152: 제 2 디스플레이
160: 발판부 170: 턱 지지부

Claims (15)

  1. 치과용 진단 장치에 있어서,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 및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진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발판부 및 상기 수진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발판부 및 상기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치과용 진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서 상기 이동 속도를 제 1 속도 및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상기 스위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살표 모양이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치과용 진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측정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입력부,
    상기 측정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입력부 및
    상기 이동 속도를 상기 센싱 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속도로 결정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제 3 입력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8. 치과용 진단 장치에 있어서,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측정부를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활성화된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측정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무게 감지 센서 및 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진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발판부 및 상기 수진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발판부 및 상기 턱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치과용 진단 장치.
  13. 치과용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속도로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치과용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수진자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진단 영상을 획득하는 측정부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활성화된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동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66534A 2020-12-02 2020-12-02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53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34A KR102531166B1 (ko) 2020-12-02 2020-12-02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34A KR102531166B1 (ko) 2020-12-02 2020-12-02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520A true KR20220077520A (ko) 2022-06-09
KR102531166B1 KR102531166B1 (ko) 2023-05-11

Family

ID=8198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534A KR102531166B1 (ko) 2020-12-02 2020-12-02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1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0539A (ja) * 2008-06-02 2008-09-04 Yoshida Dental Mfg Co Ltd 画像認識による歯科診療支援システム
JP2010057528A (ja) * 2008-09-01 2010-03-18 Fujifilm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並びに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2135619A (ja) * 2010-12-27 2012-07-19 Biosense Webster (Israel) Ltd 蛍光透視データ表示装置
KR20150065377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 영상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사선 영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50091032A (ko) * 2013-03-28 2015-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0539A (ja) * 2008-06-02 2008-09-04 Yoshida Dental Mfg Co Ltd 画像認識による歯科診療支援システム
JP2010057528A (ja) * 2008-09-01 2010-03-18 Fujifilm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並びに医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2135619A (ja) * 2010-12-27 2012-07-19 Biosense Webster (Israel) Ltd 蛍光透視データ表示装置
KR20150091032A (ko) * 2013-03-28 2015-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5377A (ko) * 2013-12-05 2015-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 영상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사선 영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166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21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의료 진단 장치
KR101705120B1 (ko) 자가 진단 및 원격 진단을 위한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CN100525710C (zh) 超声波诊断装置和超声波图像取得辅助方法
KR20210103439A (ko) 초음파 진단 장치
KR101566198B1 (ko) 초음파 진단 장치의 디스플레이 이동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
WO2013129590A1 (ja) 超音波診断装置、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5234186B2 (ja) 光生体測定装置
JP2007097765A (ja) 寝台装置、x線診断装置およびx線診断装置の寝台制御方法
JP7143692B2 (ja) 体動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7000198A (ja) 電子聴診システム
JP2018140217A (ja) 光計測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6663035B2 (ja) 胎児撮像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3060281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5154885A (ja) 血圧計測装置
JP2001276061A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に遠隔から診断プロトコルを設定する方法
CN103784165A (zh) 超声波诊断装置
KR102531166B1 (ko) 치과용 진단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83176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자기 공명 영상 장치
JP7271640B2 (ja) 超音波スキャン操作のためのガイドシステムおよびガイド方法
KR102244069B1 (ko) 점액낭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초음파 장치
JP200233624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6198475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KR101023655B1 (ko) 접촉을 통해 컨트롤 패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진단기
KR102569444B1 (ko) 초음파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15254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