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188A -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188A
KR20220077188A KR1020200164252A KR20200164252A KR20220077188A KR 20220077188 A KR20220077188 A KR 20220077188A KR 1020200164252 A KR1020200164252 A KR 1020200164252A KR 20200164252 A KR20200164252 A KR 20200164252A KR 20220077188 A KR20220077188 A KR 20220077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repair
repair material
concrete crac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731B1 (ko
Inventor
배영훈
고태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7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11Embedded tracks, using prefab elements or injecting or pouring a cura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되는 크랙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을 착탈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휠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수재를 균열에 분사하는 보수재 주입 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concrete crack repairing apparatus for railway}
본 발명은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되는 크랙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을 착탈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선로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궤도의 슬래브는 일정 길이가 연속되거나 반복되는 크기가 상당히 큰 구조체로서 슬래브에 다수의 균열이 발생될 경우 내구성 및 사용성이 저하되고 종국에는 철도 궤도의 안전성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그래서, 콘크리트 궤도의 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일정 크기 이상의 균열폭에 대해서는 보수를 실시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며, 이러한 보수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사용 중인 보수재를 주입하여 보수를 하는데, 패커 부착을 통한 보수재 주입, 소구경 코어링을 이용한 보수재 주입 등이 있다.
그리고, 자갈 궤도 상에 구비되는 콘크리트 침목에 발생된 균열의 종류는 침목 길이 방향으로 발생된 종균열, 침목 단부 상면 또는 측면에 관찰되는 그물망 형태의 망상균열, 그리고 레일 좌면부 저부 또는 침목 중앙부 상면의 휨 균열 등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궤도의 슬래브를 보수할 때, 열차가 운행하는 시간에 보수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으므로 열차 운행 종료 후 시행하게 되며, 열차 운행 종료 후 부여되는 차단시간은 3 ~ 5시간으로 작업 시간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선로 입구에서 작업 대상 선로로의 왕복 이동, 작업 준비 및 정리 시간을 제외하면 실제 작업 시간은 부여된 작업 시간의 60 ~ 70% 수준이므로 더욱 작업 시간이 줄어들게 되며, 점성이 큰 보수재료를 활용한 압력주입 방식 적용 및 이에 따른 수작업은 많은 보수시간이 소요되며, 그로 인한 보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침목의 보수 시에는 보수재료 주입용 팩커 등이 사용될 경우가 있는데, 차단 시간 종료 후 열차 운행 재개에 따른 열차 풍 및 진동에 의해 팩커 탈착, 보수재료 경화 지연 등의 문제 발생하게 되며, 침목 측면 균열 보수 시 팩커와 도상자갈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자갈 파내기 양이 커져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140030(2012.12.28.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휠을 구비한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균열에 보수재를 분사하는 보수재 분사장치를 구비하여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을 보수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보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수재 분사장치, 공기 압축 장치, 전기 공급 장치를 착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작업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선로에 메인 프레임을 운반시에 분리하여 운반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휠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수재를 균열에 분사하는 보수재 주입 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각 장치들에 대응되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전기 공급 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결합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는 공기 압축 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 압축 장치에는 균열부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 압축 장치의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압축 장치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의 양측 및 후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부 및 후부에는 손잡이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홀더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손잡이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휠에 대응되는 위치에 브레이크 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동 너트와, 상기 제동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동 샤프트와, 상기 제동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샤프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는 두가지 액상 보수재가 수용되는 보수재 수용부와, 상기 보수재 수용부로부터 공급받은 두가지 액상 보수재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 연장 형성되어 혼합된 보수재를 균열에 주입하는 분사부와, 상기 보수재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보수재 수용부에 수용된 보수재를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에 보충하기 위한 보수재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1용기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전기 공급 장치의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2용기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휠을 구비한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균열에 보수재를 분사하는 보수재 분사장치를 구비하여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균열을 보수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보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수재 분사장치, 공기 압축 장치, 전기 공급 장치를 착탈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작업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선로에 메인 프레임을 운반시에 분리하여 운반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공기 압축 장치가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전기 공급장치가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보수재 주입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평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공기 압축 장치가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전기 공급장치가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의 보수재 주입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수재를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균열에 분사하는 보수재 주입 장치(2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공급 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차축(132)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차축(132)의 단부에는 철도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휠(130)이 설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는 철도 궤도(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선로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균열에 보수재를 주입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 운행이 중단된 짧은 시간 동안에 보다 많은 부분의 균열을 보수할 수 있어 보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200), 전기 공급 장치(300)나 후술할 공기 압축 장치(4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부재(19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90)의 상면 중심부에는 결합홈(19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250)의 단부가 상기 결합홈(192)에 삽입되고, 상기 전기 공급 장치(300)의 하부에는 제1결합돌부(310)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92)에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200)와 전기 공급 장치(300)를 볼트 등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고, 상기 결합부재(190)에 형성된 결합홈(192)에 다리(250) 및 제1결합돌부(310)를 삽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그립(120)이 설치되는데, 작업자가 보수 작업을 위하여 선로로 메인 프레임(100)을 운반할 때, 상기 그립(120)을 통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90)를 통하여 보수재 주입 장치(200)와 전기 공급 장치(300)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로로 운반시에는 분리하여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장치들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공기 압축 장치(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공기 압축 장치(400)의 하부에는 제2결합돌부(410)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 압축 장치(4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부재(190)가 설치되어 상기 제2결합돌부(410)가 상기 결합부재(190)의 결합홈(192)에 삽탈되도록 하여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 압축 장치(400)에는 공기 압축 장치(400)를 통하여 생성된 압축 공기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 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크랙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신속하고 완전하게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압축 장치(400)는 부피가 크기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하부 양측에 바퀴(4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압축 장치(400)가 수용되는 공기 압축 장치 설치부(1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압축 장치 설치부(1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턱(152)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턱(152)은 상기 바퀴(420)의 양측 및 후부를 지지하여 공기 압축 장치(400)가 공기 압축 장치 설치부(15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기 공급 장치(300)의 일측에는 보호 커버(140)가 구비되어 전기 공급 장치(3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부 및 후부에는 원통 형상의 손잡이 홀더(1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손잡이 홀더(110)에는 이동 손잡이(112)가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선로에 위치시킨 후, 상기 이동 손잡이(112)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손잡이(112)를 분리하여 메인 프레임(100)의 전부 또는 후부에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 홀더(110)에 연결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휠(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브레이크 장치(5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브레이크 장치(500)는 상기 휠(130)을 가압하여 제동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경사 구간 등에서 보수 작업을 수행할때,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5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동 너트(510)와 상기 제동 너트(51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동 샤프트(520)와 상기 제동 샤프트(520)의 하단에 연결되어 휠(130)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동 패드(530)와 상기 제동 샤프트(520)의 상단에 좌우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레버(522)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522)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동 샤프트(5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미도시)와 제동 너트(5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동 샤프트(52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동 패드(530)가 휠(1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제동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수재 주입 장치(200)는 두가지 액상 보수재가 수용되는 보수재 수용부(210)와 상기 보수재 수용부(210)로부터 공급받은 두가지 액상 보수재를 혼합하는 혼합부(230)와 상기 혼합부(230)에 연장 형성되어 혼합된 보수재를 균열에 주입하는 분사부(240)와 상기 보수재 수용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보수재 수용부(210)에 수용된 보수재를 상기 혼합부(230)로 공급하는 공급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220)는 내부에 펌프 등이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으로 액상의 보수재를 혼합부(230)로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공급부(220)와 혼합부(230)는 액상의 보수재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미도시)로 연결되며, 상기 공급부(220)의 하부에는 상기 다리(250)가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00)에 착탈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부(230)는 두가지 액상의 보수재를 공급받아 내부에서 혼합하게 되는데, 상기 혼합부(230)에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밸브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부(230)로 분사되는 혼합된 보수재의 양 및 분사 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20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제1용기수용부(1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용기수용부(160)에는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200)의 보수재 수용부(210)에 보충할 액상의 보수재가 수용되는 보수재 용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1용기수용부(160)의 후부에 위치하도록 제2용기수용부(1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용기수용부(170)에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기 공급 장치(300)의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 용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용기수용부(170)의 측부에는 수납박스(18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납박스(180)에는 다양한 공구를 수납하여 작업시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콘크리트 침목 및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되는 크랙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을 착탈할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손잡이 홀더
120 : 그립 130 : 휠
140 : 보호 커버 150 : 공기 압축 장치 설치부
160 : 제1용기수용부 170 : 제2용기수용부
180 : 수납박스 190 : 결합부재
200 : 보수재 주입 장치 210 : 보수재 수용부
220 : 공급부 230 : 혼합부
240 : 분사부 250 : 다리
300 : 전기 공급 장치 310 : 제1결합돌부
400 : 공기 압축 장치 410 : 제2결합돌부
420 : 바퀴 500 : 브레이크 장치
510 : 제동 너트 520 : 제동 샤프트
530 : 제동 패드

Claims (9)

  1. 하부에 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휠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수재를 균열에 분사하는 보수재 주입 장치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각 장치들에 대응되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의 단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전기 공급 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결합돌부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는 공기 압축 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 압축 장치에는 균열부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공기 압축 장치의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압축 장치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바퀴의 양측 및 후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부 및 후부에는 손잡이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홀더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손잡이가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휠에 대응되는 위치에 브레이크 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동 너트와,
    상기 제동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동 샤프트와,
    상기 제동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휠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샤프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는 두가지 액상 보수재가 수용되는 보수재 수용부와,
    상기 보수재 수용부로부터 공급받은 두가지 액상 보수재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 연장 형성되어 혼합된 보수재를 균열에 주입하는 분사부와,
    상기 보수재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보수재 수용부에 수용된 보수재를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보수재 주입 장치에 보충하기 위한 보수재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1용기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전기 공급 장치의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2용기수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KR1020200164252A 2020-11-30 2020-11-30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KR10248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252A KR102488731B1 (ko) 2020-11-30 2020-11-30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252A KR102488731B1 (ko) 2020-11-30 2020-11-30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188A true KR20220077188A (ko) 2022-06-09
KR102488731B1 KR102488731B1 (ko) 2023-01-18

Family

ID=8198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252A KR102488731B1 (ko) 2020-11-30 2020-11-30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841B1 (ko) * 2006-02-13 2006-09-19 주식회사 대신상역엔지니어링 철로 이송용 트로리
KR20120140030A (ko) 2011-06-20 2012-12-28 한국철도공사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위치하는 콘크리트침목유동 방지를 위한 균열보수 방법
JP2015224418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アレン スラブ式軌道の填充層補修装置
KR101659996B1 (ko) * 2015-03-24 2016-09-27 빌트원 주식회사 도상안정제 기계화 시공을 위한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841B1 (ko) * 2006-02-13 2006-09-19 주식회사 대신상역엔지니어링 철로 이송용 트로리
KR20120140030A (ko) 2011-06-20 2012-12-28 한국철도공사 철도 콘크리트도상에 위치하는 콘크리트침목유동 방지를 위한 균열보수 방법
JP2015224418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アレン スラブ式軌道の填充層補修装置
KR101659996B1 (ko) * 2015-03-24 2016-09-27 빌트원 주식회사 도상안정제 기계화 시공을 위한 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731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3314B (zh) 一种地铁车辆段预留立柱检查坑轨道施工方法
CN105735063B (zh) 采用胶粘法及架轨工装吊轨法铺设检查坑轨道的施工方法
JP2011219949A (ja) 舗装路補修装置、舗装路補修工法及び舗装路補修用充填材
KR101080868B1 (ko)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실링재 제거 장치
JP2008101361A (ja) 舗装路補修工法、舗装路補修装置及び舗装路補修用充填材
KR1009499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부 보수보강을 위한 양방향 이동식 작업대를 가진 에폭시 주입장치
CN106381815A (zh) 一种用于t梁横向加固的可移动外挂吊篮台车及其施工方法
CA216280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he subgrade supporting a ballast bed
KR20220077188A (ko) 철도 궤도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CN113529591B (zh) 一种无砟轨道底座板后浇带双边破除装置、系统及方法
CN105274912A (zh) 一种硬化段有轨电车整体道床的施工方法
CN205501739U (zh) 一种吊轨法铺设坑轨道施工用架轨工装
CN206646385U (zh) 一种公路沥青路面坑槽修补车
US2184906A (en) Machine for paving streets
US6832558B2 (en) Riding rail tie plugging apparatus
CN110747841A (zh) 一种模拟城墙古法夯补工艺的夯土装置及其使用方法
JP2021092059A (ja) まくらぎ補修用台車及び台車セット
HU197602B (en) Movable apparatus for continuous renewing the rails and sleepers of track
DE806012C (de) Aus Beton bestehende Gleisschwelle
JP2010261192A (ja) 軌道用タンピング装置
CN213233097U (zh) 水泥路面加铺沥青用路面清理设备
US2887135A (en) Adzing apparatus for railroad crossties
CN110258209B (zh) 一种高铁无砟过渡板支撑体系的更换方法
LU500744B1 (en) A Construction Method of Ballastless Track with Replaceable Support Block by Tunnel Boot Method
CN212331381U (zh) 箱梁养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