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842A - 이벤트용 양초 - Google Patents

이벤트용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842A
KR20220076842A KR1020200165746A KR20200165746A KR20220076842A KR 20220076842 A KR20220076842 A KR 20220076842A KR 1020200165746 A KR1020200165746 A KR 1020200165746A KR 20200165746 A KR20200165746 A KR 20200165746A KR 20220076842 A KR20220076842 A KR 2022007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row
candle
protrusion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복
진상준
Original Assignee
진성복
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복, 진상준 filed Critical 진성복
Priority to KR102020016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842A/ko
Publication of KR2022007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양초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입체돌기가 행과 열을 이루어 소정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입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된 제1입체부 중,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개의 제1입체돌기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입체부는 몸체부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되, 각각의 오목부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를 따라 갈라지며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이벤트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벤트용 양초{Candle for using event}
본 발명은 다양한 이벤트 및 행사 등에서 사용되는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1입체돌기와 제2 입체돌기가 양초의 외주면을 따라 행과 열방향으로 나열되어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입체돌기에 오목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양초의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를 따라 갈라지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양초에 관한 것이다.
양초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는 파라핀과 같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는 불에 타들어 갈 수 있는 심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LED 등의 보급화로 인해 각종 종교적인 의례(예: 제사, 기도, 미사, 예불 등)에 사용되어 경건함을 고취하거나 분위기 연출이나 실내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야외 행사장, 카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초의 일예로, 양초가 특정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양초의 외주면을 따라 입체적으로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 넣거나 프린팅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디자인을 통해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장식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양초가 연소 되는 과정에서 양초의 형상이 변형되어 그 의미를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출원 특허 제 10-2015-0063415호에 의하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레터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심지를 통해 일정한 밝기 제공과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양초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양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에 내장되고 노출부(111')를 갖는 심지(11')를 포함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개구부(21')를 갖고, 본체(10')의 외면을 감싸는 케이스(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체(10') 또는 케이스(20') 외면에 구비되고 문자, 숫자, 기호, 사진 그림 중 일 이상으로 이루어진 레터부(30)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양초는 연소되는 과정에서 대상체에 부여된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재인 케이스 및 레터부 등을 더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양초의 외주면에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 입체돌기가 행과 열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고, 동일한 행에 배치된 제1 입체돌기 또는 제2입체돌기중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1입체돌기 또는 제2입체돌기에 각각 오목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양초가 연소할 경우 양초가 상기 오목부위를 따라 갈라져 녹아내리면서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양초를 제공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양초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입체돌기가 행과 열을 이루어 소정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입체부를 포함하고, 제1입체돌기는 상호 밀착배치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입체부는 몸체부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입체돌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2입체돌기가 동일한 행에서 쌍을 이뤄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입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입체돌기의 크기 및 돌출높이는 상기 제1입체돌기의 크기 및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입체돌기 및 제2입체돌기는 상호 밀착배치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동일한 행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1입체돌기 또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2입체돌기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위를 포함하고, 오목부위의 바닥면은 양초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오목부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를 따라 갈라지며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꽃, 구, 하트, 다각형, 십자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진다. 나아가 외주면에 음양각으로 형성된 문자, 숫자, 문양 중 하나 이상을 더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가 구성하는 n(1, 2, 3.. i-1, i, i+1 ... z)개의 행과 열에 있어서, 첫 번째행에서부터 i 또는 z번째 행까지 홀수행과 짝수행이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제1입체돌기는 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고 복수의 제1입체돌기의 오목부위는 동일한 열에 배치되고, 2n번째 행 또는 2n-1번째 행에만 오목부위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와, 상기 오목부위가 형성된 열에 형성된 제1입체돌기사이의 이격부위를 따라 갈라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체부는, 홀수 또는 짝수행에 구비되며 동시에 동일한 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입체부는 모든 행에 구비되며 동시에 동일한 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입체부는,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입체돌기 사이에 제1입체돌기가 4개씩 배치됨에 따라, 제2입체부가 구비된 행의 5n번째 열에는 제2입체돌기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된 행과 하부에 배치된 행은 제1 입체부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하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행에 있어서, 상기 제1입체부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는 8개로 형성되되, 상부에 배치된 하나이상의 행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부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는 X개(X>8)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제1입체돌기는 행과 열방향으로 밀착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행에 구비된 제2입체돌기는 행방향으로 밀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위는 양초 하부방향을 향해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지 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초의 몸체와 동일한 가연성 고체로 구성되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를 복수개 배치하고, 상기 제1입체돌기에 오목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양초가 오목부위를 따라 갈라지면서 녹아내리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마치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양초에 부여된 의미를 더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벤트용 양초의 제1입체돌기 및 제2 입체돌기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벤트용 양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1)를 포함하는 양초(10)에 관한것으로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양초(10)는 상기 몸체부(11)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입체돌기(21)가 행과 열을 이루어 소정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입체부(20)를 포함한다. 제1입체부는 몸체부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의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양초는 복수의 제1입체돌기(2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11)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2입체돌기(31)가 동일한 행에서 쌍을 이뤄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입체부(30)를 더 포함한다. 제1입체돌기 및 제2입체돌기는 상호 밀착배치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입체돌기(31)의 크기 및 돌출높이는 상기 제1입체돌기(21)의 크기 및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입체부가 구비된 양초는 가톨릭 교회에서 기도를 암송할 때 사용되는 묵주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묵주기도를 암송할 경우, 기도단수와 횟수를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다.
도 2의 (b) 내지 도2의 (d)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동일한 행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개의 제1입체돌기(21) 또는, 동일한 행에서 서로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2입체돌기(31)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위(40)를 포함한다. 각각의 오목부위(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또한, 오목부위의 바닥면은 양초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행과 열방향으로 나열된 제1입체돌기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배치되거나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입체부(30)의 제2 입체돌기(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행에서 동일한 열에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행에 구비된 제2입체돌기(31)는 행방향으로 밀착배치되며 동시에 열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제1입체돌기(21)는 제2입체돌기(31)의 크기(h1)와 제1입체돌기 크기(h2)의 차이값 'J( J = h1-h2 )' 만큼, 상호 이격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위는 양초 하부방향을 향해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지 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입체부(30)의 제2입체돌기(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또는 짝수행에 구비되며 동시에 동일한 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입체부(30)의 제2입체돌기(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의 상단에 위치하는 소정 개수의 행에만 오목부위(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벤트용 양초의 제1입체돌기 및 제2 입체돌기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꽃, 구, 하트, 다각형, 십자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진다. 에를 들어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입체돌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도 5, 도6의 (a), 도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을 가지거나, 꽃 형상(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6의 (b)를 참조하면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하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의 상단에 위치하는 소정 개수의 행에만 오목부위(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외주면에 음양각으로 형성된 문자, 숫자, 문양 중 하나 이상을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 외주면에는 음양각으로 불교 법전의 내용 또는 가톨릭 교회의 기도문 등을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의 (a)와 같이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구 형상을 가지면서 동시에 외주면에 음양각으로 꽃문양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초를 각종 이벤트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와 같이 구 형상을 가지면서 동시에 외주면에 음양각으로 숫자가 형성됨에 따라 각 행을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의 개수를 용이하게 셈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2입체돌기의 표면에는 십자가문양(미도시)이 음양각으로 형성되어 가톨릭 교회에서 기도문을 암송할 때 사용되는 성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입체부(21)는,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입체돌기(31) 사이에 제1입체돌기(21)가 4개씩 배치됨에 따라, 제2입체부가 구비된 행의 5n번째 열에는 제2입체돌기(31)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벤트용 양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양초는 연소시 양초의 외주면이 불규칙적으로 갈라짐에 따라, 촛농이 불규칙적으로 갈라진 부위를 따라 지저분하게 흐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위(40)를 형성시킴으로써 연소 시 양초(10)가 오목부위(40)를 따라 갈라져 녹아내리되, 상기 제1입체돌기(21) 및 제2입체돌기(31)가 자중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양초는 종래의 양초와 달리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부에 배치된 행과 하부에 배치된 행은 제1 입체부(20)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21)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행에 있어서, 제1입체부(20)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는 8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양초는 최하단의 행에 제1입체돌기(21)가 8개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된 행에 X개(X>8)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해당 양초는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용 양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의 (a)와(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입체돌기(21)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31)가 구성하는 n(1, 2, 3.. i-1, i, i+1 ... z)개의 행과 열에 있어서, 첫 번째행에서부터 i번째 행까지 홀수행과 짝수행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되, 각각의 제1입체돌기는 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복수의 제1입체돌기의 오목부위(40)는 동일한 열에 배치되고, 2n번째 행 또는 2n-1번째 행에만 오목부위(40)가 형성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와, 상기 오목부위가 형성된 열에 형성된 제1입체돌기사이의 이격부위(w)를 따라 갈라진다. 이어서, I번째 행에서부터 z번째 행까지는 홀수행과 짝수행이 엇갈리지 않고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오목부위 또는 복수의 이격부위(w)를 따라 갈라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첫 번째행에서부터 z번째 행까지 홀수행과 짝수행이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심지 10 : 양초
11 : 몸체부 20 : 제1입체부
21 : 제1입체돌기 30 : 제2입체부
31 : 제2입체돌기 40 : 오목부위

Claims (12)

  1.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양초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1입체돌기가 행과 열을 이루어 소정의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입체부를 포함하고,
    제1입체돌기는 상호 밀착배치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입체부는 몸체부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입체돌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제2입체돌기가 동일한 행에서 쌍을 이뤄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입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입체돌기의 크기 및 돌출높이는 상기 제1입체돌기의 크기 및 돌출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입체돌기 및 제2입체돌기는 상호 밀착배치되거나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3. 제 1항 또는 제2항중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동일한 행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1입체돌기 또는, 동일한 행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제2입체돌기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위를 포함하고, 오목부위의 바닥면은 양초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구비되고,
    각각의 오목부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에서 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를 따라 갈라지며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4. 제 1항 또는 제2항중 한 항에 있어서,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는 꽃, 구, 하트, 다각형, 십자가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 음양각으로 형성된 문자, 숫자, 문양 중 하나 이상을 더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5. 제 1항 또는 제2항중 한 항에 있어서, 제1입체돌기 또는, 제1입체돌기와 제2입체돌기가 구성하는 n(1, 2, 3.. i-1, i, i+1 ... z)개의 행과 열에 있어서, 첫 번째행에서부터 i 또는 z번째 행까지 홀수행과 짝수행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되,
    각각의 제1입체돌기는 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복수의 제1입체돌기의 오목부위는 동일한 열에 배치되고, 2n번째 행 또는 2n-1번째 행에만 오목부위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연소 시 양초가 오목부위와, 상기 오목부위가 형성된 열에 형성된 제1입체돌기사이의 이격부위를 따라 갈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체부는, 홀수 또는 짝수행에 구비되며 동시에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체부는, 모든 행에 구비되며 동시에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8. 제 6항 또는 제 7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체부는,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입체돌기 사이에 제1입체돌기가 4개씩 배치됨에 따라, 제2입체부가 구비된 행의 5n번째 열에는 제2입체돌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9.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된 행과 하부에 배치된 행은 제1 입체부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되, 하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행에 있어서, 상기 제1입체부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는 8개로 형성되되, 상부에 배치된 하나이상의 행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체부를 구성하는 제1입체돌기의 개수는 X개(X>8)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10.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제1입체돌기는 행과 열방향으로 밀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행에 구비된 제2입체돌기는 행방향으로 밀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12. 제 1항 또는 제 2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위는 양초 하부방향을 향해 v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지 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양초.
KR1020200165746A 2020-12-01 2020-12-01 이벤트용 양초 KR20220076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746A KR20220076842A (ko) 2020-12-01 2020-12-01 이벤트용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746A KR20220076842A (ko) 2020-12-01 2020-12-01 이벤트용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842A true KR20220076842A (ko) 2022-06-08

Family

ID=8198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746A KR20220076842A (ko) 2020-12-01 2020-12-01 이벤트용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8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18839A1 (en) Candles
KR20220076842A (ko) 이벤트용 양초
CN103998589A (zh) 图案化蜡烛芯
KR20220076839A (ko) 이벤트용 양초
KR20220076829A (ko) 이벤트용 양초
KR20210142392A (ko) 이벤트용 양초
KR102007703B1 (ko) 불교의식용 양초
US4406616A (en) Set of modular elements particularly useful for assembling candelabra
KR20210142411A (ko) 이벤트용 양초
KR102316291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102158685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102028481B1 (ko)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KR200497788Y1 (ko) 사용자 맞춤형 램프 장치
KR20210063790A (ko) 촛농 수거 및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
JP6283841B1 (ja) 燃焼芯構造体及びこの燃焼芯構造体を備えるキャンドル
JP3025090U (ja) キャンドルホルダ
JP6283841B6 (ja) 燃焼芯構造体及びこの燃焼芯構造体を備えるキャンドル
KR20210065606A (ko) 촛농 수거 및 재활용이 가능한 촛대.
KR102228449B1 (ko) 불교의식용 양초
US343567A (en) Samuel clarke
KR200344383Y1 (ko) 불상이 구비된 사찰용 촛대
JP3066752B1 (ja) 薫香用香立
CN106287619A (zh) 一种琉璃烛台
JP3185090U (ja) ロウソク及び容器入りロウソク、芯材用スペーサ
JP4834850B2 (ja) 芯露出空間を有するキャ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