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392A - 이벤트용 양초 - Google Patents

이벤트용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392A
KR20210142392A KR1020200059153A KR20200059153A KR20210142392A KR 20210142392 A KR20210142392 A KR 20210142392A KR 1020200059153 A KR1020200059153 A KR 1020200059153A KR 20200059153 A KR20200059153 A KR 20200059153A KR 20210142392 A KR20210142392 A KR 20210142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dimensional
body portion
row
dimension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복
진상준
Original Assignee
진성복
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복, 진상준 filed Critical 진성복
Priority to KR102020005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392A/ko
Publication of KR2021014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초 외주면에 복수의 입체부가 행과 열을 가지도록 배열되고, 각 행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며, 행과 열 사이에 유도로가 형성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이 유도로를 타고 흐름에 따라, 양초 외주면에 형성된 입체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초 연소 시 몸체부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입체부가 자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소하는 양초의 형상이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지는 이벤트용 양초.

Description

이벤트용 양초{Candle for using event}
본 발명은 다양한 이벤트 및 행사 등에서 사용되는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입체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반복 배치되어 연소 시, 양초의 형상이 꽃 모양 또는 꽃 봉우리 형상으로 변형되는 양초에 관한 것이다.
양초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는 파라핀과 같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는 불에 타들어 갈 수 있는 심지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LED 등의 보급화로 인해 각종 종교적인 의례(예: 제사, 기도, 미사, 예불 등)에 사용되어 경건함을 고취하거나 분위기 연출이나 실내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야외 행사장, 카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초의 일예로, 양초가 특정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양초의 외주면을 따라 입체적으로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 넣거나 프린팅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디자인을 통해 분위기를 고취시키는 장식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양초가 연소 되는 과정에서 양초의 형상이 변형되어 그 의미를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출원 특허 제 10-2015-0063415호에 의하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레터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심지를 통해 일정한 밝기 제공과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양초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양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에 내장되고 노출부(111')를 갖는 심지(11')를 포함하는 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개구부(21')를 갖고, 본체(10')의 외면을 감싸는 케이스(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체(10') 또는 케이스(20') 외면에 구비되고 문자, 숫자, 기호, 사진 그림 중 일 이상으로 이루어진 레터부(30)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양초는 연소되는 과정에서 대상체에 부여된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재인 케이스 및 레터부 등을 더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양초의 외주면에 입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초의 연소에 따라 변형되는 양초의 형상이 양초에 부여된 의미를 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부의 배열 구조에 의해 녹아내리는 촛농이 입체부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는 이벤트용 양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양초는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입체부가 행과 열을 이루도록 나열된 입체 영역부와, 각각의 행과 열 사이에 형성되는 유도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각각의 행과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입체영역과, 각각의 열이 평행하고 각각의 행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입체영역을 포함하고, 심지는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연소하며, 몸체부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촛농이 유도로를 따라 흘러내리며 입체 영역부가 자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소하는 양초의 형상이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진다. 몸체부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측면에서 소정의 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입체부와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2입체영역에서 n번째 행과 n+1번째 행은 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입체 영역부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입체부가 (Xn,Y₁)이고, n+1 번째 행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입체부가 (Xn+₁,Y₁)일 때, (Xn,Y₁)과 (Xn+₁,Y₁)의 사이의 간격은 (Xn,Y₁) 또는 (Xn+₁,Y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서 심지 주위를 감싸도록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서 심지를 감싸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오목홈부는 심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돌출부와 오목홈부의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초의 몸체와 동일한 가연성 고체로 구성되는 입체부를 양초의 몸체 외측면을 따라 행과 열을 가지도록 복수개 배치하고, 각각의 행과 열 사이에는 유도로를 형성함으로써 흘러내리는 촛농이 양초의 입체부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생산이 용이하며, 연소하는 양초의 형상이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양초에 부여된 의미를 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1)를 포함하는 양초(10)에 있어서, 상기 양초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입체부(21)가 행과 열을 이루도록 나열된 입체 영역부(20)와, 각각의 행과 열 사이에 형성되는 유도로(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각각의 행과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입체영역(20a)과, 각각의 열이 평행하고 각각의 행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입체영역(20b)을 포함하고, 심지(1)는 몸체부(11)의 상면(11a) 중앙에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연소한다.
몸체부와 입체부는 서로 같거나 다른 색(色)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체부는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가지거나 일정한 패턴에 따라 반복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와 입체부는 몸체부의 하부에서부터 몸체부의 상부를 향해 색의 밝기 및 농도, 색조상태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그러데이션(gradation)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1)는 상면(11a)과 하면(11c)과 측면(1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체 영역부(20)는 몸체부(11)의 측면(11b)에서 소정의 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입체 영역부(20)는 몸체부(11)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의 상면(11a)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노출된 심지 끝단에서 점화하여 양초가 연소될 때, 양초는 몸체부 상면(11a)에서 심지와 인접한 부근부터 녹아 연소된다. 이때 몸체부(11)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촛농이 상기 유도로(30)를 따라 흘러내리므로 촛농이 입체부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는다. 동시에, 상기 입체 영역부(20)가 자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소하는 양초(10)의 형상이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진다. 양초의 연소에 따라 변형되는 본 발명의 양초의 형상은, 양초에 부여된 의미를 더하여 분위기를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체부(21)와 몸체부(11)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2입체영역에서 n번째 행과 n+1번째 행은 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입체 영역부(20)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입체부(21)가 (Xn,Y₁)이고, n+1 번째 행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입체부(21)가 (Xn+₁,Y₁)일 때, 상기 (Xn,Y₁)과 (Xn+₁,Y₁)의 사이의 간격은 (Xn,Y₁) 또는 (Xn+₁,Y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양초(10)는 몸체부(11)의 상면(11a) 중앙에서 심지(1) 주위를 감싸도록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40)를 더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양초 연소 시 심지와 가장 인접한 돌출부가 가장 먼저 연소된다. 따라서 상면이 평평한 구조를 가지는 양초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촛농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촛농이 돌출부를 따라 타고 흐르기 때문에 양초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입체부의 형상이 흘러내리는 촛농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몸체부(11)의 상면(11a) 중앙에서 심지(1)를 감싸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오목홈부(50)는 심지(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면 테두리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양초 연소 시 흘러내리는 촛농이 오목홈부에 수용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으로 인해 입체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20)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11b)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1)의 상면(11a)에는 도 5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돌출부(40)와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오목홈부(50)가 모두 적용됨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흘러내리는 촛농으로 인해 입체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소하는 양초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체부(21)는 장미, 카네이션, 국화, 무궁화 등 꽃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입체부의 형상이 장미인 양초는 결혼식장에서 사용할 수 있고, 입체부의 형상이 카네이션인 양초는 성당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체부의 형상이 국화인 양초는 장례식장에서 고인을 기리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입체부의 형상이 무궁화인 양초는 청와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부(21)는 국화(國花)인 꽃으로 형성되어 각 나라의 중요 행사 자리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의 국화(國花)인 벚꽃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입체부는 기술한 형상 이외에도, 양초가 사용되는 장소 및 상황에 따라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수의 입체부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입체부(21)는 하트 또는 다양한 비구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하트 모양으로 형성되는 입체부를 가진 양초는 사랑의 표시를 의미하여 기념일 뿐만 아니라 결혼식장, 프러포즈 이벤트, 이와 유사한 돌잔치, 생일파티 등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0과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역부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체 영역부(20)는 몸체부(11)의 상면(11a)과 인접한 측면(11b) 상단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입체영역(20a)과, 하나 이상의 제2입체영역(20b)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행 또는 행과 열의 개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입체영역과, 제2입체영역은 양초 몸체부의 측면(11b) 상부에서부터 하부방향을 향해 일정한 패턴에 의해 교차하여 반복 배치되거나 또는 무작위로 반복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입체영역과 제2입체영역이 상부방향에서부터 하부방향을 향해 교차배치되고, 제2입체영역 사이에 구비된 제1입체영역은 두 개의 행을 가지며, 제1입체영역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두개의 제2입체영역은 각각 복수의 행을 가진다. 도시된 제1입체영역과 제2입체영역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입체 영역부(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기술한 구조에 의하면, 양초의 연소 시 불꽃이 붙은 심지와 인접한 상면(11a) 중앙에서부터 촛농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어서 상면 중앙에서부터 상면 테두리부를 향해 열이 전달되며 몸체부(11)가 녹아 촛농이 몸체부(11)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상면 중앙에 고이도록 형성되는 촛농의 깊이는, 상면 테두리부 주변에 고이도록 형성되는 촛농의 깊이보다 깊다. 촛농이 고인 깊이는 외측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연소하는 양초에 전달되는 열이 양초의 중앙에서부터 외측면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입체 영역부(20)가 자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기울어지면서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이 보다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심지 10 : 양초
11 : 몸체부 20 : 입체 영역부
20a: 제1입체영역 20b: 제2입체영역
21 : 입체부 30 : 유도로
40 : 돌출부 50 : 오목홈부

Claims (6)

  1.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형상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된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양초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입체부가 행과 열을 이루도록 나열된 입체 영역부와, 각각의 행과 열 사이에 형성되는 유도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각각의 행과 열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입체영역과, 각각의 열이 평행하고 각각의 행이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입체영역을 포함하고, 심지는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연소하며, 몸체부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촛농이 상기 유도로를 따라 흘러내리며 양초 연소 시 상기 입체 영역부가 자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소하는 양초의 형상이 꽃잎이 펼쳐지는 형상을 가지는 이벤트용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면과 하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측면에서 소정의 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입체 영역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입체부와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2입체영역에서 n번째 행과 n+1번째 행은 열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체 영역부에서 n번째 행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입체부가 (Xn,Y₁)이고, n+1 번째 행의 첫 번째 열에 배치된 입체부가 (Xn+₁,Y₁)일 때, 상기 (Xn,Y₁)과 (Xn+₁,Y₁)의 사이의 간격은 (Xn,Y₁) 또는 (Xn+₁,Y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이벤트용 양초.
  3. 제 2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이벤트용 양초.
  4. 제 3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서 심지 주위를 감싸도록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용 양초.
  5. 제 3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서 심지를 감싸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오목홈부는 심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이벤트용 양초.
  6. 제 4항 내지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돌출부와 오목홈부의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벤트용 양초.
KR1020200059153A 2020-05-18 2020-05-18 이벤트용 양초 KR20210142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53A KR20210142392A (ko) 2020-05-18 2020-05-18 이벤트용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53A KR20210142392A (ko) 2020-05-18 2020-05-18 이벤트용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92A true KR20210142392A (ko) 2021-11-25

Family

ID=7874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53A KR20210142392A (ko) 2020-05-18 2020-05-18 이벤트용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3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994B1 (ko) * 2022-05-12 2022-10-17 진성복 장식용 러브커플양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994B1 (ko) * 2022-05-12 2022-10-17 진성복 장식용 러브커플양초
WO2023219293A1 (ko) * 2022-05-12 2023-11-16 진성복 장식용 러브커플양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2392A (ko) 이벤트용 양초
US20070009846A1 (en) Decorative oil lamp with candle support template
US6607377B2 (en) Candle holder for mounting on a support
KR20210142411A (ko) 이벤트용 양초
KR20100040541A (ko) 조립식 양초
KR102532208B1 (ko) 이벤트용 양초
US20060048652A1 (en) Cake decorating device
KR102007703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20220076829A (ko) 이벤트용 양초
KR20220076842A (ko) 이벤트용 양초
US20130203002A1 (en) Customizable Candle and Candle Holder
US5567145A (en) Celebration candle
KR20170040519A (ko) 양초
KR102316291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102028481B1 (ko)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US1842904A (en) Candle lamp
KR102158685B1 (ko) 불교의식용 양초
US343567A (en) Samuel clarke
US20220275927A1 (en) Control Means for Vortex Flame Device
KR20210063790A (ko) 촛농 수거 및 재활용이 가능한 양초.
JP4839429B2 (ja) 燃焼剤多重構造キャンドル
US10168045B2 (en) Candle pot
JP3066697U (ja) 蝋燭覆い及びそれを配置した配置台
JP3201603U (ja) 積層構造キャンドル
KR102014829B1 (ko) 별 모양의 양초 심지, 심지 클립 및 이것들을 포함하는 양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