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685B1 - 불교의식용 양초 - Google Patents

불교의식용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85B1
KR102158685B1 KR1020180087141A KR20180087141A KR102158685B1 KR 102158685 B1 KR102158685 B1 KR 102158685B1 KR 1020180087141 A KR1020180087141 A KR 1020180087141A KR 20180087141 A KR20180087141 A KR 20180087141A KR 102158685 B1 KR102158685 B1 KR 102158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shape
bead
spheres
buddh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186A (ko
Inventor
진성복
진상준
Original Assignee
진성복
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복, 진상준 filed Critical 진성복
Priority to KR102018008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685B1/ko
Priority to PCT/KR2018/014263 priority patent/WO2019103432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초에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와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는 서로 이격된 형태가 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교의식용 양초{Candle for Buddhism rite}
본 발명은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초에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는 파라핀과 같은 일정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는 불에 타들어갈 수 있는 심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LED등의 보급화로 인해 각종 종교적인 의례(예: 제사, 기도, 미사, 예불 등)에 사용되어 경건함을 고취시키거나 분위기 연출이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야외 행사장, 카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부처님을 모셔놓은 법당에서 사용되는 양초는 불교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양초 표면에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넣거나 특별한 장식으로 이루어진 촛대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양초의 형상 자체의 변화를 주지 못하여 불교신자들로 하여금 불교적 의미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20-0259905에는 양초의 기둥부 하단에 연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꽃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연꽃장식부는 기둥부의 하단에만 형성되어 단순히 촛대 역학을 대신하기 위한 장식용도로서 양초의 사용과정에서 불교적 의미를 크게 부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59905호 공개실용신안 제1998-0626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양초에 직접 염불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양초를 태우는 것만으로 불교의 정신을 함양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고, 그 밖에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배열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체의 개수는 적용되는 염주의 종류에 따라 1080, 540, 108, 54, 49, 27개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미형성부로 구획되되, 상기 염주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는 염주형상부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주형상부는 미형성부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주형상부는 미형성부의 표면보다 더 함몰되는 형태의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체는 " 8 " 자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에 염주형상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초가 타는 과정에서 염주형상부가 서서히 녹아 소멸되는 과정이 불교신자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을 소멸시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불교신자는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에 좀더 정진[精進]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그 밖에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양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음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음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를 구성하는 구체가 " 8 " 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 사이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가 더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주형상부의 일정높이에 위치표시부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양초에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업장[業障]이란 것은 불도의 수행과 선행을 막는 장애로서, 무르익지 않은 업 깨달음을 방해하는 업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업장소멸[業障消滅]은 그동안에 지은 업장을 없애고 더 이상 짓지 않음으로써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다. 물론 업장소멸의 의미를 해석함에 있어서 불교신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인 의미는 같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불교의식용 양초(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 및 몸체부(10)의 중앙에 심지(20)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31)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31)는 인접하는 상하 및 좌우의 구체(31)와 소정 간격(d) 이격되어 배열된 형태로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30)가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30)는 복수의 구체(31)가 배열되어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구체(31)는 몸체부(10)와 동일한 파라핀과 같은 재질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염주형상부(30)가 서서히 녹아 소멸되는 과정이 불교신자의 업장을 소멸시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전달되면서 업장소멸을 위한 기도에 좀 더 집중하고 정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 주변에 염주가 감겨있는 형상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층층이 감겨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구체(31)가 나선형태로 연결되어 한줄의 염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염주형상부(30)의 구체(31) 개수는 적용되는 염주의 종류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보통 염주는 백팔번뇌를 끊고 백팔삼매를 얻고자하는 의미로 108개의 염주알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염주의 종류에 따라 1080, 540, 108, 54, 49, 27개 중에서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 전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지만, 구체(31)의 개수에 맞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부(10)의 일정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는 구체(31)에 의해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30)와 아무것도 돌출되어 있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으로 이루어진 미형성부(40)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40)는 염주형상부(30)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는 것이 사용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염주형상부(30)의 형성구간은 구체(31)의 개수가 지정되어 있다 하더라도(예를 들면 108염주) 사용자 또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불공을 드리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구체(31)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수직간격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염주형상부(30)가 녹아내려 가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형성부(40)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형성부(40)의 표면보다 더 함몰되는 형태의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31)가 인접하는 다른 구체(31)와 소정 간격(d) 이격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구체(31)끼리 맞닿아 연속하게 연결되는 경우 구체(31) 사이마다 존재하는 미세한 오목틈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붙고 특히 양초의 성분 상 먼지 등이 쉽게 점착하여 쌓이므로 미관 상 좋지 않고 먼지 등의 제거를 위한 청소 작업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이다. 간격(d)은 솔과 같은 소형 간이 청소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 충분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염주형상부(30)를 구성하는 구체(31)의 형태가 일반적인 염주알과 같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6과 같이 구체(31)의 형태가 " 8 " 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8자 형상의 구체(31)만으로 염주형상부(30)를 이룰 수 있고, 8자 형상의 구체(31)와 원형의 구체(31)를 혼합하는 형태로 염주형상부(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염주알의 개수와 관계없이 구체(31)가 8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염주형상부(30)가 몸체부(10) 전체에 형성될 경우, 양초(1)에 부와 재물을 상징하는 숫자 8이 적용되어 일반사람들의 부를 기원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구체(31) 사이에는 소정 간격(d)의 틈이 존재하도록 형성한다.
도 7은 각 구체(31)의 연결부분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32)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하의 구체(31)와 구체(31) 사이에 소정 간격(d)을 두고 좌우의 구체(31)사이의 연결부(32)도 적당히 늘려 자연스럽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염주의 형상에 좀더 가깝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10) 전체의 색상이 일반 양초색상에 해당하는 백색으로 형성되어 염주형상부(30)와 미형성부(40)의 색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염주형상부(30)의 색상을 실제 염주의 색상으로 흔히 사용되는 갈색이나 검정색으로 구성하고 미형성부(40)의 색상은 백색으로 구성하여 두 구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할 경우, 염주형상부(30)가 실제 염주의 형태로 더 가깝게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은 염주형상부(30)의 일정높이마다 위치표시부(50)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높이에 있는 구체(31)상에 문자, 숫자, 눈금 등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위치표시부(50)를 더 형성하여 염주형상부(30)가 녹아내려 가는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양초 10 : 몸체부
20 : 심지 30 : 염주형상부
31 : 구체 32 : 연결부
40 : 미형성부 50 : 위치표시부

Claims (6)

  1.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가 입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체는 인접하는 다른 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형태가 되어 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미형성부로 구획되되, 상기 염주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는 염주형상부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어 상기 심지가 연소할 때 상기 염주형상부의 구체부터 녹아 촛농으로 흐르며
    상기 염주형상부를 구성하는 구체의 개수는 49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주형상부는 미형성부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주형상부는 미형성부의 표면보다 더 함몰되는 형태의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 8 " 자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
KR1020180087141A 2017-11-27 2018-07-26 불교의식용 양초 KR10215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141A KR102158685B1 (ko) 2018-07-26 2018-07-26 불교의식용 양초
PCT/KR2018/014263 WO2019103432A1 (ko) 2017-11-27 2018-11-20 불교의식용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141A KR102158685B1 (ko) 2018-07-26 2018-07-26 불교의식용 양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86A KR20200012186A (ko) 2020-02-05
KR102158685B1 true KR102158685B1 (ko) 2020-09-22

Family

ID=6951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141A KR102158685B1 (ko) 2017-11-27 2018-07-26 불교의식용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08B1 (ko) * 2020-12-01 2023-05-15 진성복 이벤트용 양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677A (en) * 1974-07-03 1976-10-05 Lundbom Terry L Method of manufacturing candles with decorative items cast into the surface thereof
KR910001010A (ko) * 1989-06-20 1991-01-30 이국재 야광장식양초와 그 제조방법
KR950001262U (ko) * 1993-06-11 1995-01-04 노수미 장식용 양초
KR19980062615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컵 홀더
KR100259905B1 (ko) 1997-09-18 2000-06-15 정선종 코드분할다중접속환경의트래픽과부하상태에서호시도제어방법
KR20100032016A (ko) * 2008-09-17 2010-03-25 장경분 야광 장식부가 점착된 양초, 양초제조장치 및 양초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86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694B1 (en) Candle with insert
US7878685B2 (en) Formed lighting fixtures
US20190021459A1 (en) Sheet shaped diamond inlay jewelry
US8348482B1 (en) Pendant light
KR102158685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102007703B1 (ko) 불교의식용 양초
US20060172241A1 (en) Decorative candle having an embedded design
CN101909476B (zh) 两层亭部装饰用钻石
CN101909475A (zh) 两层亭部装饰用钻石
KR102028481B1 (ko)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CN202216137U (zh) 吊灯
US1623086A (en) Illuminated ornamental device
US2503587A (en) Candle illuminated toy or ornament
KR102228449B1 (ko) 불교의식용 양초
US20040095754A1 (en) Candle lamp
KR102316291B1 (ko) 불교의식용 양초.
Myers Gaslighting in America: A guide for historic preservation
CN213577201U (zh) 一种宫灯
KR102532208B1 (ko) 이벤트용 양초
US20060223016A1 (en) Candle finial
KR200200373Y1 (ko)
KR200459924Y1 (ko) 부적을 구비한 양초
CN2839829Y (zh) 多用蜡烛台
CN108354283B (zh) 组合式吊坠
CN205842367U (zh) 新型面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