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449B1 - 불교의식용 양초 - Google Patents

불교의식용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449B1
KR102228449B1 KR1020190031311A KR20190031311A KR102228449B1 KR 102228449 B1 KR102228449 B1 KR 102228449B1 KR 1020190031311 A KR1020190031311 A KR 1020190031311A KR 20190031311 A KR20190031311 A KR 20190031311A KR 102228449 B1 KR102228449 B1 KR 102228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spheres
bead
shap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517A (ko
Inventor
진성복
진상준
Original Assignee
진성복
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복, 진상준 filed Critical 진성복
Priority to KR102019003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4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초에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와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염주형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는 복수의 구체가 모여 이루어지는 각각의 구체열이 복수 개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구체열의 구체는 사선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연속 배열되며, 상기 구체의 전체 갯수는 10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교의식용 양초{Candle for Buddhism rite}
본 발명은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초에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어두운 곳을 밝히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몸체는 파라핀과 같은 일정온도 이상에서 녹는 가연성 고체로 구성하고, 그 중심에는 불에 타들어갈 수 있는 심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형태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LED등의 보급화로 인해 각종 종교적인 의례(예: 제사, 기도, 미사, 예불 등)에 사용되어 경건함을 고취시키거나 분위기 연출이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야외 행사장, 카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부처님을 모셔놓은 법당에서 사용되는 양초는 불교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양초 표면에 문양이나 글귀를 새겨넣거나 특별한 장식으로 이루어진 촛대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양초의 형상 자체의 변화를 주지 못하여 불교신자들로 하여금 불교적 의미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20-0259905에는 양초의 기둥부 하단에 연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꽃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연꽃장식부는 기둥부의 하단에만 형성되어 단순히 촛대 역학을 대신하기 위한 장식용도로서 양초의 사용과정에서 불교적 의미를 크게 부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59905호 공개실용신안 제1998-0626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양초에 직접 염불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양초를 태우는 것만으로 불교의 정신을 함양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고, 그 밖에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불교의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염주형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는 복수의 구체가 모여 이루어지는 각각의 구체열이 복수 개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구체열의 구체는 사선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연속 배열되며, 상기 구체의 전체 갯수는 10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 의식용 양초를 제공한다.
상기 구체열의 마지막 구체에 연속하여 다음 번 구체열의 첫번째 구체가 배열되어 구체가 전체적으로 나선형으로 하향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미형성부로 구획되되, 상기 염주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는 염주형상부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염주형상부는 미형성부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하고, 심지가 연소하여 염주형상부의 구체가 녹을 때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하나 씩 구체가 연소되는 것에 의하여 촛농이 염주형상부의 외부를 통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체는 " 8 " 자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불교의식용 양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양초의 형상에 맞도록 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성형틀의 캐비티에 파라핀 재료를 충전하여 몰딩하는 단계; 및 성형틀에서 취출된 파라핀 재료의 양초를 연이어 배열하고 심지를 마지막 양초의 하부에서 부터 앞서의 양초까지 삽입하면서 심지가 꿰어진 양초 단위마다 심지를 절단하여 단위 양초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에 염주형상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초가 타는 과정에서 염주형상부가 서서히 녹아 소멸되는 과정이 불교신자의 백팔번뇌를 끊고 업장을 소멸시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불교신자는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에 좀더 정진[精進]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그 밖에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양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가 음각형태로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의 구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의 구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불교 의식용 양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양초에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염주의 형상을 적용하여 다양한 불교의식에 사용되거나 업장소멸[業障消滅]을 위한 기도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거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는 불교의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업장[業障]이란 것은 불도의 수행과 선행을 막는 장애로서, 무르익지 않은 업 깨달음을 방해하는 업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업장소멸[業障消滅]은 그동안에 지은 업장을 없애고 더 이상 짓지 않음으로써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다. 물론 업장소멸의 의미를 해석함에 있어서 불교신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인 의미는 같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불교의식용 양초(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0) 및 몸체부(10)의 중앙에 심지(20)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외주면에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구체(300)가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염주가 감싸는 형태로 염주형상부(30)가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30)는 복수의 구체(300)가 모여 이루어지는 각각의 구체열(31)이 복수 개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구체(300)는 몸체부(10)와 동일한 파라핀과 같은 재질로 일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300)가 인간의 백팔번뇌를 상징하도록 모두 108개의 구체(300)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구체열(31)은 13개의 구체(300)를 포함하며, 구체열(31)은 모두 8개 배열된다. 108에서 모자란 “4”의 숫자는 최선의 제1구체열에 4개의 구체(300a,300b,300c,300d)를 더 형성하여 보충한다. 각각의 구체열(31)에서 구체(300)는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00)의 외주를 둘러 나선형으로 하향하도록 형성된다. 13개(제1구체열은 17개)의 구체(300)는 나선과 같이 하향 하면서 1주기(1피치)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그러면, 각각의 구체열(31)이 시각으로 어느 정도 구분되어 반복되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한 개의 구체열(31)의 배열이 완성된 후, 다음 구체열(31)은 이전 구체열(31)의 마지막 구체(300)에 이어 연속되도록 형성한다. 그러면 모두 108개의 구체(300)를 끊기지 않고 몸체부(10)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체(300)와 구체열(31)은 “108”의 숫자를 취할 수 있는 한 위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2개의 구체(300)로 이루어진 9개의 구체열(31)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11개의 구체(300)로 이루어진 9개의 구체열(31)을 형성하면서 마지막 구체열(31)에는 9개의 구체(300)를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염주형상부(30)의 구체(300)는 백팔번뇌를 끊고 백팔삼매를 얻고자하는 의미로 108개의 염주알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염주의 종류에 따라 1080, 540, 108, 54, 49, 27개 중에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49”의 경우 사구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체(300)는 서로 미세한 간극을 두고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맞닿아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 전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지만, 구체(300)의 개수에 맞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부(10)의 일정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0)는 구체열(31)에 의해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30)와 아무것도 돌출되어 있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으로 이루어진 미형성부(40)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염주형상부(30)는 몸체부(10)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40)는 염주형상부(30)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는 것이 사용상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30)를 미형성부(40)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으로 형성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10)에 형성된 염주형상부(30)가 서서히 녹아 소멸되는 과정이 불교신자의 업장을 소멸시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전달되면서 업장소멸을 위한 기도에 좀 더 집중하고 정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심지(20)에 불을 붙이면 양초(1)의 상단부터 녹기 시작하며, 사선으로 배열된 구체(300)가 위에서부터 차례로 하나씩 연소되는 과정에서 촛농이 염주형상부(30)의 외주를 따라 흘러내린다. 이러한 과정은 불교 신자로 하여금 인간의 백팔 번뇌가 차례로 하나씩 소멸되면서 눈물(촛농)이 흐르는 것과 같은 인상을 주어 내면을 정화하고 참회하며 불교 정신을 함양하는 기회를 준다. 즉, 단순히 구체(300)를 평행하게 중복 배열하는 것에 비하여 백팔 번뇌가 하나 씩 소진하는 정진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구체(300)가 모두 녹은 후에는 백팔 번뇌를 상징하지 않는 미형성부(400)가 녹게 되며 신자는 백팔 번뇌를 소진한 후의 명상과 깨달음의 시간을 계속 향유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30)는 미형성부(40)의 표면보다 오목한 음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앞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염주형상부(30)의 형성구간은 구체(300)의 개수가 지정되어 있다 하더라도(예를 들면 108염주) 사용자 또는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불공을 드리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구체(300)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간격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염주형상부(30)가 녹아내려 가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염주형상부(30)를 구성하는 구체(300)는 그 형태가 일반적인 염주알과 같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4와 같이 구체(300)의 형태가 " 8 " 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8자 형상의 구체(300)만으로 염주형상부(30)를 이룰 수 있고, 8자 형상의 구체(300)와 원형의 구체(300)를 혼합하는 형태로 염주형상부(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300)가 8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염주형상부(30)가 몸체부(10) 전체에 형성될 경우, 양초(1)에 부와 재물을 상징하는 숫자 8이 적용되어 일반사람들의 부를 기원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각 구체(300)의 연결부분에 염주끈을 형상화한 연결부(302)를 더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되는 구체(300)와 구체(30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간격을 좀 더 형성하고 그사이에 연결부(302)를 일체로 형성하여 실제 염주의 형상에 좀 더 가깝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10) 전체의 색상이 일반 양초색상에 해당하는 백색으로 형성되어 염주형상부(30)와 미형성부(40)의 색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염주형상부(30)의 색상을 실제 염주의 색상으로 흔히 사용되는 갈색이나 검정색으로 구성하고 미형성부(40)의 색상은 백색으로 구성하여 두 구간이 명확하게 구분되도록 할 경우, 염주형상부(30)가 실제 염주의 형태로 더 가깝게 보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불교 의식용 양초(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양초(1)는 사출 성형 몰딩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먼저,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양초(1)의 형상에 맞도록 성형틀을 제작한다(S10). 성형틀은 성형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틀은 상형 및 하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성형틀의 캐비티에 파라핀 재료를 충전하여 몰딩한다(S12).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고 완성된 양초(1)를 제품으로 취출한다. 성형틀의 캐비티의 중심에는 가느다란 직경의 핀을 삽입하여 심지(20)를 삽입할 개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2)의 과정을 반복하면 복수 개의 불교 의식용 양초(1)를 용이하게 다량 제작할 수 있다.
다음, 복수의 양초(1)를 연이어 배열하고 심지(20)를 마지막 양초(20)의 하부에서 부터 앞서의 양초(1)까지 삽입하면서(S20), 심지(20)가 꿰어진 양초(1) 단위마다 심지(20)를 절단하여(S22) 단위 양초(1)를 완성하여 각각 완제품으로 만든다. 이와 같이 작업하는 이유는 심지(20)를 하부에서부터 공급하면서 해당 양초(1)의 선단에서 매듭을 짓고 절단하여 완제품으로 만든 후 앞에 있는 양초(1)에 심지를 연속하여 삽입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양초 10 : 몸체부
20 : 심지 30 : 염주형상부
300 : 구체 302 : 연결부
40 : 미형성부

Claims (6)

  1.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중앙에 심지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는 양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염주알의 형상을 갖는 염주형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는 복수의 구체가 모여 이루어지는 각각의 구체열이 복수 개 이어져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구체열의 구체는 사선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연속 배열되며, 상기 구체의 전체 갯수는 108개이며,
    상기 염주형상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부는 입체적인 형태의 염주형상부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미형성부로 구획되되, 상기 염주형상부는 몸체부의 상부에 먼저 형성되고 미형성부는 염주형상부가 끝난 구간부터 형성되며,
    상기 염주형상부는 미형성부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형태의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하고, 심지가 연소하여 염주형상부의 구체가 녹을 때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하나씩 구체가 연소되는 것에 의하여 촛농이 염주형상부의 외부를 통해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열의 마지막 구체에 연속하여 다음 번 구체열의 첫번째 구체가 배열되어 구체가 전체적으로 나선형으로 하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 의식용 양초.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는 " 8 " 자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교의식용 양초.
  6. 제 1항의 불교의식용 양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양초의 형상에 맞도록 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성형틀의 캐비티에 파라핀 재료를 충전하여 몰딩하는 단계; 및
    성형틀에서 취출된 파라핀 재료의 양초를 연이어 배열하고 심지를 마지막 양초의 하부에서 부터 앞서의 양초까지 삽입하면서 심지가 꿰어진 양초 단위마다 심지를 절단하여 단위 양초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90031311A 2019-03-19 2019-03-19 불교의식용 양초 KR102228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311A KR102228449B1 (ko) 2019-03-19 2019-03-19 불교의식용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311A KR102228449B1 (ko) 2019-03-19 2019-03-19 불교의식용 양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17A KR20200111517A (ko) 2020-09-29
KR102228449B1 true KR102228449B1 (ko) 2021-03-16

Family

ID=726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311A KR102228449B1 (ko) 2019-03-19 2019-03-19 불교의식용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4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070B2 (ja) * 1993-08-11 2001-06-18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トンネル壁体の補強構造
KR200259905Y1 (ko) 2001-09-28 2002-01-09 김항임 양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010A (ko) * 1989-06-20 1991-01-30 이국재 야광장식양초와 그 제조방법
KR19980062615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컵 홀더
KR100259905B1 (ko) 1997-09-18 2000-06-15 정선종 코드분할다중접속환경의트래픽과부하상태에서호시도제어방법
KR100927303B1 (ko) * 2008-01-24 2009-11-18 이재흥 입체 형상을 갖는 양초 및 그 제작 방법
KR20100032016A (ko) * 2008-09-17 2010-03-25 장경분 야광 장식부가 점착된 양초, 양초제조장치 및 양초제조방법
JP3177070U (ja) * 2012-05-07 2012-07-19 株式会社フーズネクスト キャンド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070B2 (ja) * 1993-08-11 2001-06-18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トンネル壁体の補強構造
KR200259905Y1 (ko) 2001-09-28 2002-01-09 김항임 양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707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17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9153A (en) Candle sculpture for exposing a non-flammable object
US20060172241A1 (en) Decorative candle having an embedded design
KR102228449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102007703B1 (ko) 불교의식용 양초
KR102158685B1 (ko) 불교의식용 양초
US2143084A (en) Imitation stone
KR102028481B1 (ko) 49제를 위한 불교의식용 양초
JP5175544B2 (ja) 装飾性要素及び/又は、機能性要素を有するキャンドル製造方法
US5567145A (en) Celebration candle
CN102334423A (zh) 艺术葫芦生长造型法
CN100563520C (zh) 浮雕卫生龙香及其制造方法
KR102316291B1 (ko) 불교의식용 양초.
JP4834850B2 (ja) 芯露出空間を有するキャンドル
CN1957077B (zh) 制造具有装饰性和/或功能性元素的蜡烛的方法
KR200459924Y1 (ko) 부적을 구비한 양초
US2543981A (en) Method of making an artificial flame log assembly
CN100465572C (zh) 百变烟花爆竹
CN2883380Y (zh) 防外燃安全性工艺蜡烛
KR102240730B1 (ko) 양초의 2색 현출에 따른 문양 형성방법
KR20070013523A (ko) 리필이 가능한 양초와 그 제조방법
CN201636828U (zh) 一种烛台
JP6283841B1 (ja) 燃焼芯構造体及びこの燃焼芯構造体を備えるキャンドル
JP6283841B6 (ja) 燃焼芯構造体及びこの燃焼芯構造体を備えるキャンドル
KR200290633Y1 (ko) 쌍심지초를 이용한 장식품
CN201121873Y (zh) 一种易熄灭的工艺蜡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