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631A -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631A
KR20220076631A KR1020200165323A KR20200165323A KR20220076631A KR 20220076631 A KR20220076631 A KR 20220076631A KR 1020200165323 A KR1020200165323 A KR 1020200165323A KR 20200165323 A KR20200165323 A KR 20200165323A KR 20220076631 A KR20220076631 A KR 2022007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vehicle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trigg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812B1 (ko
Inventor
이승준
김순범
김일범
Original Assignee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투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 촬영장치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IN-VEHICLE IMAGING DEVICE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인포테인먼트는 일상 생황에서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란, 정보(information)와 오락(entertainment)의 합성어로서, 정보와 재미를 융합시키는 현상이나 전략을 말한다.
이러한 인포테인먼트 기능들은 차량 내 네비게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 결합뿐만 아니라,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대중화, 정보기술(IT)의 발달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 스마트 네비게이션 및 차량 트래킹, 제스처 인식, 차량간 통신(V2V), 클라우드 접속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1184호(2017.03.23)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고객의 분실물을 확인 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고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 촬영장치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하고, 고객 주체로 차량 내 환경을 설정하며, 고객 주체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고객의 분실물을 확인 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고객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 중 제1 전자 장치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의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분실물 정보가 고객에게 제공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차량 외부로 제공되는 다양한 시각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고객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 중 제1 전자 장치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1)은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서버(400), 제1 네트워크(510) 및 제2 네트워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뒷자석(rear seat)에 구비되어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고객에게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고객은 제1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다양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는,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와,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 및 조정하는 서비스와,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고 재생하는 서비스와, 고객이 운전자에게 요청한 건의사항 및 건의사항에 대한 해결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이동성을 가지면서 차량 내에서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차량에 임베디드된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고정되거나 부착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 되는 고정된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생산 과정 이후 튜닝(tuning)을 통해 차량 내에 삽입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차량의 앞좌석에 구비되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일부와, 운전자의 운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운전관련 정보는, 고객의 호출에 응답한 횟수, 현재 누적 주행거리, 현재 누적 결제 정보, 평균 주행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즉,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경우, 제2 전자 장치(200)는 앞좌석에 탑승한 고객에게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차량의 생산 과정에서 차량 내에 삽입되는 컴퓨팅 장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차량 내에 설치되고 차량 내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구별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제3 전자 장치(30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제3 전자 장치(300)와 작동적(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전자 장치(300)가 차량 내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구별되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는 윈도우 열림/닫힘, 히터 온도 조절, 에어컨 온도 조정, GPS에 의한 네비게이션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엔진이나 자동변속기의 최적 제어, 급발진 제어, 크루즈 제어, 브레이크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는 서로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거나, 제1 네트워크(510)(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 중 어느 전자 장치는 서버(400)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 중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와 제2 네트워크(520)(예를 들어,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연결되어,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관련한 정보와, 운전자의 운전관련 정보와, 차량 내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구별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 등을 수집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의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입력부(140), 음향 출력부(142),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부(160), 센서부(162), 인터페이스(164), 연결 단자(166), 햅틱부(168), 카메라부(170), 전력 관리부(172), 배터리(174), 통신부(180), 안테나 모듈(184) 및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햅틱부(168) 또는 카메라부(17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 (162)(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디스플레이부(150)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0))을 실행하여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부(162) 또는 통신부(18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1)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21)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2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인 프로세서(11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12)(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12)는 메인 프로세서(11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12)는 메인 프로세서(11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12)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1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1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1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11)와 함께,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부(150), 센서부(162), 또는 통신부(18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12)(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부(170) 또는 통신부(18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0) 또는 센서부(162))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121)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30)은 메모리(12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31), 미들 웨어(132) 또는 어플리케이션(13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고객)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예를 들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음향 신호를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고객)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술한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부(160)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부(160)는 입력부(14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부(142),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300))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에는 독립 음장(Personal Sound Zone, Personal Audio)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와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고객이 독립적으로 다른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42)에 적용된 독립 음장 기술에 의해,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안내 음성을 듣고,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고객은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센서부(162)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객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62)는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4)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300))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64)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66)는 그를 통해서 제1 전자 장치(100)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및/또는 제3 전자 장치(3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66)는 예를 들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부(168)는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부(168)는 예를 들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부(17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172)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부(172)는,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74)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74)는 예를 들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제1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400))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프로세서(1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80)는 무선 통신부(181)(예: 셀룰러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부(182)(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부, 또는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부 중 해당하는 통신부는 제1 네트워크(510)(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520)(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부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84)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서버(400))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84)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84)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510) 또는 제2 네트워크(520)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어, 통신부(180)에 의하여 상술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술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부(18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84)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에게 다양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처리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일부(예를 들어, 하차 또는 목적지 변경)를 연결 단자(166) 또는 통신부(18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운전자가 확인 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처리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다른 일부(예를 들어, 온도 조절)를 연결 단자(166) 또는 통신부(180)를 통해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하여 제3 전자 장치(300)가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탑승중인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520)에 연결된 서버(400)를 통해서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및 제3 전자 장치(200,300)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 각각은 제1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 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고객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제1 전자 장치(100)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술한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술한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촬영장치(630)를 통해 분실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촬영장치(630)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할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는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일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경우, 촬영장치(630)는 촬영장치(630)의 촬영부가 고객 좌석을 향하도록 촬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기 전에는 촬영부는 시트를 향하도록 시트에 매립되고,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촬영부가 고객 좌석을 향하도록 회전함으로써 고객 좌석이 촬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사전에 고객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한 경우에만 촬영장치(630)는 고객 좌석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제1 전자 장치(100)를 통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하거나,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전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할 수 있다. 촬영장치(630)는 고객이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객 좌석 방향으로 촬영부가 향하도록 촬영부를 제어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고객 좌석이 촬영되지 않도록 촬영부가 고객 좌석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예를 들어, 시트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은 차량 내의 인물 객체 및 사물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장치(630)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 대해서 프로그램(도 3의 130)은 객체를 추출하여 인물 객체 및 사물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은 메모리(도 3의 12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도 3의 180)를 통해 고객에게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은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제공할 때 활용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에게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고(S110),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였는지 판별하고(S120), 고객이 분실물 감지 서비스에 동의한 경우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촬영장치로 고객 좌석을 촬영하여 객체가 차량 내부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30), 객체가 분실물로 판별되는 경우 하차한 고객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150).
단계 S11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에게 분실물 감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10은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자장치(도3의 100)를 통해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거나,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전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이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고객이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는 것은, 고객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객이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단계 S1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고객이 분실물 감지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은 경우, 도 5의 분실물 감지 서비스는 종료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촬영장치로 고객 좌석을 촬영하여 객체가 차량 내부에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인물 객체 및 사물 객체의 추출을 위해 촬영장치를 제어하여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인물 객체는 고객이고 사물 객체는 고객의 짐/가방 등 휴대 사물일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이미지 분석 기술(Image Recognition)을 활용하여 탑승 전과 후의 고객 좌석 사진을 대조하고, 탑승 전 사진에는 없었던 사물 객체가 탑승 후 사진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물 객체가 분실물에 해당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해당 사물 객체가 분실물에 해당하는지 자동으로 판별하거나, 해당 사물 객체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사물 목록을 제공받음으로써 판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는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는, 운전자가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해 운행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입력하는 것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는, 고객이 제1 전자 장치(100) 또는 별도의 전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운행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입력하는 것에 대응되는 신호 수 있다. 또한,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는, 운행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것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는, 제3 전자 장치(300)가 차량의 문이 열리고 닫힘을 인식하는 것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객체가 분실물로 판별되는 경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촬영장치에서 사물 객체를 소정 시간 이상 감지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해당 사물 객체를 분실물로 판별하고,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분실물 안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분실물 정보가 고객에게 제공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루프 박스는 디스플레이(610) 및 스피커(6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 박스는 차량(60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자율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0)에는 멀리서도 높은 시인 성을 확보할 수 있는 LED 패널(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고, 국문과 영문으로 승차 가능여부 및 예약 차량 확인 여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주간, 야간 외부 조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610)에 출력되는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610)는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와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거나, 제1 네트워크(510)(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분실물 시각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스피커(620)를 통해 분실물 음성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도1의 180)를 고객이 지정한 제3자에게 분실물 안내 알림이 통지될 수도 있다.
도 7은 차량 외부로 제공되는 다양한 시각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도 6의 600)의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차량 외부의 고객 및 제3자에게 다양한 시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 정보는 빈차, 예약, 휴무, 운행, 긴급,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표시는 분실물 감지 서비스와 관련된 표시로써,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이후 분실물에 해당하는 사물 객체가 소정의 시간 이상 촬영장치에 의해 감지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차량 외부의 고객 및 제3자에게 안내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긴급 표시는 고객 안심 서비스와 관련된 표시로써, 이상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차량 외부의 제3자에게 긴급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트리거 신호는 고객 이상 트리거 신호, 여정 이상 트리거 신호 및 차량 이상 트리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트리거 신호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제공되는 긴급 표시의 문구는 상이할 수 있다. 이상 트리거 신호에 관해서는 도 9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고객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객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촬영장치(630)를 통해 시각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내부의 소리를 녹음하는 차량 내부 녹음장치(640)를 통해 음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촬영장치(630) 및 녹음장치(64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할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는 이상 트리거 신호일 수 있다.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경우, 촬영장치(630)는 촬영부가 고객 좌석을 향하도록 촬영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경우, 녹음장치(640)는 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기 전에는 촬영부는 시트를 향하도록 매립되고,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촬영부가 고객 좌석을 향하도록 회전함으로써 고객 좌석이 촬영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기 전에는 녹음장치(640)가 비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하고,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면 녹음장치(640)가 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사전에 고객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한 경우에만 촬영장치(630)는 고객 좌석을 촬영하고, 녹음장치(640)는 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제1 전자 장치(100)를 통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하거나,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전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할 수 있다. 고객 안심 서비스를 위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고객이 동의하는 경우, 고객은 고객 본인 또는 제3자에게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전달하기 위한 연락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연락처 정보는 핸드폰 번호, SNS 주소, 이메일 주소 등 고객이 보유한 전자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관련 정보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영장치(630)는 고객이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객 좌석 방향으로 촬영부가 향하도록 촬영부를 제어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고객 좌석이 촬영되지 않도록 촬영부가 고객 좌석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예를 들어, 시트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녹음장치(640)는 고객이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은 차량 내의 인물 객체, 사물 객체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장치(630)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 대해서 프로그램(도 3의 130)은 객체를 추출하여 인물 객체 및 사물 객체를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은 메모리(도 3의 12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도 3의 180)를 통해 고객 또는 고객이 지정한 제3자에게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은 고객 안심 서비스를 제공할 때 활용됨으로써 고객의 안전 및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고객의 동의만 있다면,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과 상관 없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촬영장치(630) 및 녹음장치(64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고객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에게 고객 안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고(S210), 고객이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였는지 판별하고(S220), 고객이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신할 수신자의 정보를 수신하고(S230),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전, 운행 중 및 운행 종료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수집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S240).
단계 S21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에게 고객 안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10은 단계 S11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22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이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고객이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는 것은, 고객이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객이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동의한 경우, 단계 S2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고객이 고객 안심 서비스 이용에 동의하지 않은 경우, 도 9의 고객 안심 서비스는 종료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신할 수신자의 연락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자는 고객 본인, 또는 제3자(예를 들어, 보호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객은 제1 전자장치(도 3의 100)를 통해 수신자의 연락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고객 또는 제3자는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전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수신자의 연락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연락처 정보는 핸드폰 번호, SNS 주소, 이메일 주소 등 고객 또는 제3자가 소지한 전자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관련 정보 일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24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전, 운행 중 및 운행 종료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수집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운행 전에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으로써 여정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정 정보는, 고객이 탑승한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탑승지, 목적지, 예상 경로 및 운행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운행 중에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으로써 촬영장치(도 8의 630)를 이용하여 수집한 영상 정보와 녹음장치(도 8의 640)를 이용하여 수집한 음성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집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 일체를 제공하거나, 용량 절감을 위해 수집된 정보의 해상도 및 음질을 하향 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운행 종료 후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으로써 주행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주행 정보는, 도착 위치, 총 여정 시간, 도착 시간, 결제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트리거 신호는 고객 이상 트리거 신호, 여정 이상 트리거 신호 및 차량 이상 트리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이상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때, 그동안 수집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기설정된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이상 트리거 신호는 촬영장치로부터 수집한 영상 정보에서 고객의 위치가 일정 이상 변경되거나, 고객 외에 제3의 인물이 인식되는 경우 고객 이상 트리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이상 트리거 신호는 녹음장치로부터 수집한 음성 정보에 있어서 일정 기준치 이상 크기의 음성이 검출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정 이상 트리거 신호는 고객이 지정한 목적지가 변경된 경우, 목적지는 동일하나 주행 경로가 변경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이상 트리거 신호는 차량의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을 벗어나거나, 차량의 위치가 도로가 아닌 곳에 위치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전자 장치
200: 제2 전자 장치
300: 제3 전자 장치
400: 서버
500: 네트워크
600: 택시

Claims (10)

  1. 차량 내부 촬영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차량 내부 촬영장치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이후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부가 고객 좌석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상기 촬영부는 고객 좌석 방향이 아닌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 수집에 동의한 경우, 상기 촬영장치를 구동하여 차량 내부의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수집하는 단계는,
    차량 내의 인물 객체, 사물 객체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차량 내에 사물 객체가 소정의 시간 이상 감지될 경우, 상기 사물 객체를 분실물로 결정하고, 상기 고객 및 상기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상기 분실물에 대한 분실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는 운행 종료 트리거 신호인 것인,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표시등을 통해 분실물 시각 정보를 제공하거나, 차량 외부에 배치된 스피커를 통해 분실물 음성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고객이나 상기 고객이 지정한 제3자의 전자장치를 통해 분실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운행 전에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으로써 여정 정보를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운행 종료 후에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으로써 주행 정보를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트리거 신호로써 이상 트리거 신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고객 관련 인포메이션을 고객 및 고객이 지정한 제3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트리거 신호는 고객 이상 트리거 신호, 여정 이상 트리거 신호 및 차량 이상 트리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65323A 2020-12-01 2020-12-01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23A KR102534812B1 (ko) 2020-12-01 2020-12-01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23A KR102534812B1 (ko) 2020-12-01 2020-12-01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31A true KR20220076631A (ko) 2022-06-08
KR102534812B1 KR102534812B1 (ko) 2023-05-22

Family

ID=8198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323A KR102534812B1 (ko) 2020-12-01 2020-12-01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8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535A (ja)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内忘れ物防止方法及び装置
KR20130082834A (ko) * 2011-12-20 2013-07-22 와이엠디(주)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20160107997A (ko) * 2015-03-06 2016-09-19 김진화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101721184B1 (ko) 2014-10-30 2017-03-30 (주)피엑스디 콜택시 서비스 방법 및 콜택시 서비스 서버
KR20170049917A (ko) * 2015-10-29 2017-05-1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6856A (ko) * 2017-08-25 2018-12-26 정대교 택시용 거스름돈 반환 장치
KR20200038097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생명체와 물건의 차량 내 방치 방지시스템 및 그 방치 방지방법
KR102127169B1 (ko) * 2018-12-28 2020-06-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535A (ja)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内忘れ物防止方法及び装置
KR20130082834A (ko) * 2011-12-20 2013-07-22 와이엠디(주) 안심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KR101721184B1 (ko) 2014-10-30 2017-03-30 (주)피엑스디 콜택시 서비스 방법 및 콜택시 서비스 서버
KR20160107997A (ko) * 2015-03-06 2016-09-19 김진화 스마트 택시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170049917A (ko) * 2015-10-29 2017-05-1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을 영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36856A (ko) * 2017-08-25 2018-12-26 정대교 택시용 거스름돈 반환 장치
KR20200038097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생명체와 물건의 차량 내 방치 방지시스템 및 그 방치 방지방법
KR102127169B1 (ko) * 2018-12-28 2020-06-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812B1 (ko) 202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2862B1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US10576993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ice output service in vehicle
KR102589468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IL290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connectivity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vehicle touch screen
US9613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hicle interaction
US201101063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latform for entertain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control and computing applications in vehicles
KR20170089328A (ko) 자동차 제어 시스템과 그의 운영 방법
US116999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obile device in vehicle
CN110341627B (zh) 控制车内行为的方法和装置
US2021018809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16986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ereby
KR102534812B1 (ko)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80156B1 (ko)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3544860B1 (en) Vehicle operat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ng apparatus
KR1024686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41746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9015862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ggregate vehicle data from infotainment application accessories
US20190116255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ggregate vehicle data from infotainment application accessories
KR102524945B1 (ko) 목적지 설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20121412A1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22157491A (ja) 端末、撮影機器、プログラム等
CN117302248A (zh) 车辆控制方法、车辆及设备
JP2024040264A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06521A (ko) 차량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22124905A (ja) 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