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169B1 -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169B1
KR102127169B1 KR1020180172875A KR20180172875A KR102127169B1 KR 102127169 B1 KR102127169 B1 KR 102127169B1 KR 1020180172875 A KR1020180172875 A KR 1020180172875A KR 20180172875 A KR20180172875 A KR 20180172875A KR 102127169 B1 KR102127169 B1 KR 10212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ttern
lost
driver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환
황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checking presence/abs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의 종료 여부를 감지하는 주행 종료 판정부와,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와,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및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구비하므로, 차량 주변이나 차량 내부가 어두운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분실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그 분실물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st articl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소지품이나 짐이 탑재되기도 하는데, 간혹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서 소지품이나 짐을 차량 내부에 두고 내리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을 감지하거나 그 분실물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차량에 전혀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스스로 분실물에 대해 인식하기 전까지 차량에 방치되며, 운전자가 분실물의 확인을 위해 직접 차량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운전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을 즉시 인식하지 못하여 차량으로부터 상당 부분 멀어지거나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분실물을 찾고자 차량까지 다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불편함이 더 가중될 수 있다.
한편, 차량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 이미지로부터 분실물의 존재 여부를 분석한 다음 분실물이 존재하는 촬영 이미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차량을 어두운 장소에 주차하거나 야간인 경우에는 촬영에 의한 사물 분별이 어렵고, 촬영 이미지의 전송을 위해 과도한 데이터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을 감지하고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변이나 내부가 어두운 경우에도 분실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의 종료 여부를 감지하는 주행 종료 판정부;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영상 처리를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및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패턴은 격자 패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하는 패턴 표시수단; 및 상기 패턴 표시수단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하면, 그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할 경우, 그 변형된 패턴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분실물의 부피를 계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분실물에 대한 알림의 전송 시, 상기 산출된 분실물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상기 계산된 부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분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으로서, (1) 주행 종료 판정부가, 차량 주행의 종료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2) 촬영부가,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3) 영상 처리부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4)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5)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알림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패턴은 격자 패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1) 상기 촬영부의 패턴 표시수단이,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및 (2-1) 상기 촬영부의 촬영수단이, 상기 패턴 표시수단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하면, 그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할 경우, 그 변형된 패턴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분실물의 부피를 계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알림부는, 분실물에 대한 알림의 전송 시, 상기 산출된 분실물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상기 계산된 부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분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 주행의 종료 여부를 감지하는 주행 종료 판정부와,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와,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및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구비하므로, 차량 주변이나 차량 내부가 어두운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분실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그 분실물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거나 부피를 계산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촬영 이미지 자체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데이터를 소모하면서 분실물의 형태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촬영부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촬영부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가 촬영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기준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촬영부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촬영부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가 촬영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기준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은 주행 종료 판정부(110), 촬영부(120), 영상 처리부(130), 제어부(140) 및 알림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110)는 차량의 주행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주행 종료 판정부(11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이후에,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로부터 차량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잠금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주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종료 판정부(110)는 운전자의 스마트키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RF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하였는지 또는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주행 종료 판정부(110)는 차량에 탑재된 스마트키 모듈(SMK)로부터 잠금 신호의 수신 여부와 RF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주행 종료 판정의 판정 결과는 후술할 제어부(140)에 입력되어 촬영부(120)와 영상 처리부(130)의 제어 시점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20)는 차량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비되며, 패턴 표시수단(121) 및 촬영수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20)로부터 차량 내부에 조사되는 특정한 패턴은 복수의 직선, 곡선, 마름모 및 허니콤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분실물의 크기나 부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격자 패턴으로 구비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2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차량 천장의 전방 측에 하나의 촬영부(120a)가 설치되어 운전석과 그 옆의 조수석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며, 차량 천장의 후방 측에 다른 촬영부(120b)가 더 설치되어 차량 뒷자석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 표시수단(121)은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엘이디(LED) 및 레이저 빔을 포함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빛이 통과하는 격자 형태의 슬롯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격자 형태로 빛을 조사하는 그리드 광원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패턴 표시수단(121)은 차량의 내부와 격자 패턴이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는 색광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촬영수단(122)은 차량 내부의 촬영을 위한 것으로, 특히, 패턴 표시수단(121)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촬영수단(122)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구조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수단(122)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에는 차량 내부의 좌석과 그 좌석에 표시된 격자 패턴이 함께 촬영되는데, 좌석에 특정한 형태의 분실물이 존재하게 되면 그 분실물에 격자 패턴이 표시된 형태로 촬영될 수 있다. 한편, 촬영수단(122)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후술한 영상 처리부(13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30)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영상 처리부(130)는 패턴 표시수단(121)에 의해 차량 내부에 표시되어 촬영수단(122)으로부터 촬영된 격자 패턴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전술한 격자 패턴의 추출을 위해 허프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30)는 촬영수단(122)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서 좌석 등이 배경이 제외된 패턴만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동시에 분실물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영상 처리부(130)로부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추출된 패턴과,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서로 비교한 다음,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특정한 형태의 분실물에 의해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하면 그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할 경우, 그 변형된 패턴의 가로 길이(W), 세로 길이(D) 및 높이(H)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분실물의 부피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에는 격자 패턴의 격자 간격에 대한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술한 격자 간격은 실험 등을 통해 사전에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50)는 분실물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알림부(150)는 주행 종료 판정부(110)로부터 판정되는 운전자와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것인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알림을 제공한 이후에,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이나 스마트키로부터 알림 정지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알림의 제공을 정지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알림부(150)는 주행 종료 판정부(110)로부터 운전자가 차량에서 완전하게 이탈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운전자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기설정된 음향 또는 경적을 울리는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알림부(150)는, 분실물이 있다는 문구가 포함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물이 있다는 문구와 함께, 제어부(140)로부터 산출된 분실물의 가로 길이(W), 세로 길이(D) 및 높이(H)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알림부(150)는 분실물에 대한 알림의 전송 시, 제어부(140)로부터 계산된 부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분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은 분실물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하고 이를 촬영하여 영상 처리하는 방식으로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지 판정하므로, 차량 주변이나 차량 내부가 어두운 경우에도 차량 내부의 분실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은 분실물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거나 부피를 계산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촬영 이미지 자체를 전송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데이터를 소모하면서 운전자가 분실물의 형태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주행 종료 판정부가 차량 주행의 종료 여부를 판정한다(S110).
이때, 주행 종료 판정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었는지 확인하고, 차량이 시동이 오프된 것으로 확인되면,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로부터 차량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잠금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전술한 잠금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주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음, 촬영부가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한다(S120).
이때, 촬영부로부터 조사되는 특정한 패턴은 격자 패턴일 수 있으며, 빛이 통과하는 격자 형태의 슬롯 또는 격자 형태로 빛을 조사하는 그리드 광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패턴 표시수단이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한 이후에(S121),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구조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로 구비되는 촬영수단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S122).
한편, 분실물의 크기나 부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격자 패턴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직선, 곡선, 마름모 및 허니콤 등의 다양한 형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영상 처리부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한다(S130).
이때, 영상 처리부는 허프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격자 패턴을 추출할 수 있으며, 전술한 알고리즘들 이외에도, 패턴의 추출에 사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는, 제어부가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0).
이때, 제어부는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하면 그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할 경우, 그 변형된 패턴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분실물의 부피를 계산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에는 격자 패턴의 격자 간격에 대한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술한 격자 간격은 실험 등을 통해 사전에 측정된 것일 수 있다.
그 다음,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알림부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한다(S150).
이때, 알림부(150)는 운전자와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것인지 판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에서 완전하게 이탈한 것으로 판정되면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운전자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기설정된 음향 또는 경적을 울리는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알림부는 분실물에 대한 알림의 전송 시, 기산출된 분실물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기계산된 부피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거나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분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주행 종료 판정부
120 : 촬영부
130 : 영상 처리부
140 : 제어부
150 : 알림부

Claims (12)

  1. 차량의 주행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주행 종료 판정부;
    차량 주행이 종료되면,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영상 처리를 통해,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부;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상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및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는, 운전자의 스마트키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이탈하였는지 또는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하면, 그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변형된 패턴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여 분실물의 부피를 계산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에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기설정된 음향 또는 경적을 출력하고,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에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정하면,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분실물에 대한 알림과 함께 상기 계산된 분실물의 부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분실물에 대한 알림과 상기 계산된 분실물의 부피에 대한 정보와 함께,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분 이미지를 전송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패턴은 격자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하는 패턴 표시수단; 및
    상기 패턴 표시수단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으로서,
    (1) 주행 종료 판정부가, 차량의 주행 종료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2) 촬영부가, 차량 내부에 특정한 패턴의 빛을 조사하고 그 빛이 조사된 영역을 촬영하는 단계;
    (3) 영상 처리부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한 패턴의 빛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4) 제어부가, 상기 추출된 패턴과 사전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비교하여 차량 내부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에 두고 내린 분실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5) 차량 내부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경우 알림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비상등 및 음향을 출력하거나 운전자의 스마트키에 진동 동작을 요청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는, 운전자의 스마트키로부터 RF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이탈하였는지 또는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정하며,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패턴에 변형이 존재하면, 그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에 분실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변형된 패턴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산출하여 분실물의 부피를 계산하며,
    상기 제 (5)단계에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에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기설정된 음향 또는 경적을 출력하고, 상기 주행 종료 판정부에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밖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정하면, 분실물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분실물에 대한 알림과 함께 상기 계산된 분실물의 부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분실물에 대한 알림과 상기 계산된 분실물의 부피에 대한 정보와 함께, 변형이 존재하는 위치의 부분 이미지를 전송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패턴은 격자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2-1) 상기 촬영부의 패턴 표시수단이, 차량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격자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 및
    (2-1) 상기 촬영부의 촬영수단이, 상기 패턴 표시수단에 의해 격자 패턴이 표시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분실물 알림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72875A 2018-12-28 2018-12-28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75A KR102127169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875A KR102127169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69B1 true KR102127169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875A KR102127169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31A (ko) * 2020-12-01 2022-06-08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911A (ja) * 2003-09-16 2005-04-28 Denso Corp 車両内忘れ物防止装置
KR101245622B1 (ko) * 2011-03-31 2013-03-20 주식회사 미르기술 스테레오 비전과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20170040015A (ko)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1779590B1 (ko) * 2016-03-09 2017-09-19 주식회사 에스원 패턴무늬를 이용한 면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면 감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911A (ja) * 2003-09-16 2005-04-28 Denso Corp 車両内忘れ物防止装置
KR101245622B1 (ko) * 2011-03-31 2013-03-20 주식회사 미르기술 스테레오 비전과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KR20170040015A (ko)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1779590B1 (ko) * 2016-03-09 2017-09-19 주식회사 에스원 패턴무늬를 이용한 면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면 감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31A (ko) * 2020-12-01 2022-06-08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4812B1 (ko) * 2020-12-01 2023-05-22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 내부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24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objects in a vehicle
US102278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runk of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US9955326B2 (en) Responding to in-vehicle environmental conditions
CN110114246B (zh) 3d飞行时间有源反射感测系统和方法
US73622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EP3239945A1 (en) Vehicle safety system
US10525873B2 (en) Turn by turn activation of turn signals
JP2018195301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753509B2 (ja) 被測定物情報取得装置
KR102128048B1 (ko)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을 이용한 차량용 웰컴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KR20010005883A (ko) 탑승자 유형 및 위치 검출 시스템
JP6765100B2 (ja) 視野外障害物検知システム
US1104070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intrus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127169B1 (ko) 차량 내 분실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349926A (ja) 障害物検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障害物検出用プログラム
JP2018148530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212090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958238B1 (ko) 통학차량용 안전관리 시스템
JP2007133644A (ja) 歩行者認識装置
GB2572006A (en) Vehicle alighting assistance device
CN115257537A (zh) 车辆的遗留提醒装置、方法、车辆及存储介质
KR102084329B1 (ko)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2019087017A (ja) ドライバ状態検出装置
JP2021157699A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機械学習方法、及び機械学習モデル等
KR101076984B1 (ko) 다수의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