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29B1 -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29B1
KR102084329B1 KR1020180119655A KR20180119655A KR102084329B1 KR 102084329 B1 KR102084329 B1 KR 102084329B1 KR 1020180119655 A KR1020180119655 A KR 1020180119655A KR 20180119655 A KR20180119655 A KR 20180119655A KR 102084329 B1 KR102084329 B1 KR 10208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vehicle
region
hand
objec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홍
김정환
김선규
이태민
임용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osition of specific human body parts, e.g. face, eyes or h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능동적으로 유아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 및 판단하여, 유아의 흡입 및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한다.

Description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INFANT MONITORING METHOD IN VEHICLE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이의 물건 삼킴 및 흡입 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영유아의 경우, 물건을 무조건 입으로 가져가며 발생된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나, 보호자가 운전 중에 있거나, 작업 중에는 아이의 안전을 확인할 수 없어 빈번히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삼킴 및 흡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존 기술이 공지되었다. 다만, 기존 기술은 유아의 모습을 단순히 실시간 확인하는 것으로, 보호자가 운전 중이나 작업 중에는 아이들에게 집중할 수 없으므로, 사고를 예방하기 어렵다.
전술한 바와 같은, 어린 아이의 물건 삼킴 및 흡입 사고 외에 어린 아이의 차량 갇힘 사고 또한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현재 지역단위로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이나 유아원 등은 원생들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소형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유아의 승하차 시, 차량 내부에서 유아가 잠이 들거나 시야 밖으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 및 지도교사 등은 차량에 탑승했던 모든 유아들이 하차한 것으로 오판단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서한문 발송, 안전수칙 스티커 제작, 어린이 승하차 알림 앱 설치 등을 권장하지만, 같은 사고로 사망하는 어린 아이들은 해마다 발생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아이들이 3세 미만으로 클랙션을 누르는 등, 적극적인 행동을 할 수가 없어서 대책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800613호(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는 차량 내 각 시트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차량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며, 차량 내 카메라 및 온도감지부를 이용하여 유아의 얼굴을 인식하는 구성, 차량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하차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구성 및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경보를 출력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차량 내 유아의 존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에 불과하며, 유아의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은 유아 또는 사물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세부적인 기술적 특징의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능동적으로 유아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 및 판단하여, 유아의 흡입 및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및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에 대한 세부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에서의 인식 오차율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손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 영역을 계속적으로 추적하며, 물체 영역의 위치 및 유아의 손의 모양을 감지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유아의 위험 여부에 대한 오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위험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상기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역과 상기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의 존재 유무, 및 상기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서의 유아의 손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인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 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 상기 손 영역 및 상기 물체 영역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로 사용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을 이용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여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 상기 손 영역 및 상기 물체 영역의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유지하며,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100 픽셀의 범위를 포함하는 상기 주변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영역 내에서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물체 영역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에서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상기 물체 영역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하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과 상기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상기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거나, 상기 물체 영역이 상기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에서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상기 얼굴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할 때,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에서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상기 물체 영역이 상기 손 영역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상기 유아의 손에 상기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먹을 나타내는 상기 손 영역이 상기 얼굴 영역의 눈이나 입 근처로 접근하거나, 상기 주먹을 나타내는 손 영역과 상기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위험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차량 내 유아와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감지,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 내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을 인식하며,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고, 감지되는 차량 내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차량의 주행 종료 상태 또는 주차(P)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상기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얼굴 영역과 상기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의 존재 유무, 및 상기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서의 유아의 손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인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차량 내 설치되어 상기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차량 내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을 인식하며, 상기 판단부는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차량 내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는 차량의 주행 종료 상태 또는 주차(P)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적으로 유아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 및 판단하여, 유아의 흡입 및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및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에 대한 세부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에서의 인식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의 손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 영역을 계속적으로 추적하며, 물체 영역의 위치 및 유아의 손의 모양을 감지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유아의 위험 여부에 대한 오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에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에서, 유아의 차량 갇힘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각 영역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한 주변 영역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데이터에서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지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에 대한 알고리즘 및 차량 갇힘 사고에 대한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물체 인식 오차율을 감소시켜 보다 높은 정확도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기술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유아를 모니터링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흡입 및 삼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독거노인 또는 애견을 케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에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600)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은 차량의 주행 여부에 무관하며, 유아가 차량에 탑승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단계 110에서 인식되는 인식 결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각 영역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한 주변 영역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서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110은 차량 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아의 얼굴 영역(310), 손 영역 및 물체 영역(320)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110은 영상 데이터 내 얼굴 영역(310)에서 눈(311) 및 입(312)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차량 내 보조 좌석 및 뒷좌석을 촬영할 수 있으며, 설정방향에서의 유아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는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어라운드뷰 모니터링으로 차량 내부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3D 구면 파노라마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는 다시점으로 변환이 가능한 구면 파노라마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므로, 차량 내 사각지대 없이 뒷좌석뿐만 아니라 보조 좌석까지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는 차량에 단일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주변의 조도가 낮을 경우,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의 인식율이 낮아지므로, 단계 110은 카메라 외에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로 사용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를 이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여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물체 영역의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10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인식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에 비해 영상 데이터가 어두운 경우,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 때,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대비 또는 차이(contrast)의 정도가 크지 않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110은 손 영역 내 물체 영역(320)이 존재하는 경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유지하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100 픽셀의 범위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410)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110은 물체 영역(320)에 대한 좌표 정보(x, y)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야간, 안개, 터널 진입, 주차장 진입 등의 주변환경이 변화하여 물체 영역(320)에 대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최종적으로 획득되어 저장된 좌표 정보를 중심으로 한 주변 영역(410)에서 물체 영역(320)을 재인식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유아의 손에 의해 물체 영역(320)이 가려지는 경우나 주변 환경에 의해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서도 물체 영역(320)을 계속적으로 추적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영역(410)은 물체 영역(320)의 중심 좌표 정보로부터 상, 하, 좌, 우 100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0은 최종적으로 획득되어 저장된 좌표 정보에서 물체 영역(320)을 재인식하는 것이 아닌, 좌표 정보를 중심으로 한 주변 영역(410)에서 물체 영역(320)을 재인식함으로써, 물체 영역(320)이 가려지거나, 주변 환경에 의해 인식이 불가능한 도중에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물체 영역(320)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주변 영역(410)의 픽셀은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주변 영역(410)의 픽셀 영역은 전술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에 따라, 단계 110은 손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 영역(320)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주변 영역(410) 내에서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320)의 좌표 정보를 추적하여 물체 영역(320)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더욱이, 단계 110은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하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물체 영역(320)이 사라진 경우,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한 후, 물체 영역(320)의 좌표 정보를 계속적으로 추적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손에 의해 물체 영역(320)이 가려지는 경우나 주변 환경에 의해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서, 단계 110은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할 수 있으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영역의 모양이 펼쳐진 경우라면, 유아의 손에 물체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단계 11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영역의 모양을 주먹으로 인식하면, 유아의 손에 물체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손 영역에서 물체 영역을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영역의 모양이 펼쳐진 경우라면, 단계 110은 유아의 손에 물체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단계 120을 통해 물체 영역(320)의 위치를 추적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영역의 모양을 ‘주먹’으로 인식하면, 단계 110은 손 영역 부근의 물체 영역(320)의 좌표 정보를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을 피고 있다면, 물체를 잡을 수 없는 것이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먹을 쥐고 있다면, 물체를 잡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의 단계 110은 사람의 주먹 모양과 손바닥 모양의 서로 다른 윤곽을 감지하고, 외곽선을 산출하여 주먹을 쥐고 있는지, 손을 피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을 인식하기 위해 단계 110은 HSV 색 공간을 이용하여 손 영역의 살색을 검출하고, 검출된 살색의 부피를 산출하여 손 영역의 주먹 모양 또는 손바닥 모양을 추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1에서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이 인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20에서,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 손 영역 내 물체 영역의 존재 유무, 및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서의 유아의 손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인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단계 111에서,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이 인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30을 통해 ‘감지’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경고음을 차단(Buzzer Off)하고, LED의 경고등을 파란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 120은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거나, 물체 영역이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20은 인식된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여 두 영역이 가까워지거나, 물체 영역이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20은 유아의 얼굴 영역 내 입으로, 물체 영역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단계 120은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에 기반하여 위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20은 물체 영역이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를 1단계,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0인 경우를 2단계,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 근접한 경우를 3단계,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4단계, 및 그 외를 5단계로 강도를 설정하여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0은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얼굴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된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할 때,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의 손 영역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단계 120은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에 따라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120은 전술한 상기 단계에서 위험 강도에 따라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0은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손 영역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유아의 손에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에, 단계 120은 주먹을 나타내는 손 영역이 얼굴 영역의 눈이나 입 근처로 접근하거나, 주먹을 나타내는 손 영역과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120은 전술한 상기 단계에서 위험 강도에 따라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 120은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손 영역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유아의 손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경우라면, 유아의 손에 물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120은 유아의 손에 물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에 따라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의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고, 유아의 손이 펼쳐진 경우라면, 물체는 유아의 손을 벗어나거나, 유아의 입 속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120은 유아의 손 영역 내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에 따라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120은 전술한 상기 단계에서 위험 강도에 따라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1에서 유아의 위험을 판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30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130은 위험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차량 내 유아와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감지,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차량 내 유아와 물체가 존재하는 ‘감지’를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차단(Buzzer Off)하고, LED의 경고등을 파란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유아의 위험이 판단되는 경우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Buzzer On)하고, LED의 경고등을 빨간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130은 단계 120에서 판단된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및 5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130은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및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다른 단말들 및/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에서, 유아의 차량 갇힘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600)에 의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차량 갇힘 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알고리즘은 차량이 정차되거나, 종료된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40에서,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140은 차량 내 위치하는 복수의 온도 감지 센서로부터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종료 상태 또는 주차(P)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보조 좌석 또는 뒷좌석 각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단계 110은 유아의 얼굴 영역을 인식한다. 단계 110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111에서, 유아의 얼굴 영역이 인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20에서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단계 111에서, 유아의 얼굴 영역이 인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30을 통해 ‘감지’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경고음을 차단(Buzzer Off)하고, LED의 경고등을 파란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단계 120은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고, 감지되는 차량 내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1에서, 차량에 유아가 탑승하고, 차량 내부의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130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단계 130은 위험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는 경우에, 감지,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130은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는 ‘감지 또는 주의’를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Buzzer On)하고, LED의 경고등을 노란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 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유아의 위험이 판단되는 경우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Buzzer On)하고, LED의 경고등을 빨간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 130은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의 응급 상황 서버 또는 119 서버로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와 차량 갇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600)은 인식부(610), 판단부(620) 및 출력부(6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600)은 데이터 획득부(640), 온도 감지부(650) 및 제어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610)는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한다.
인식부(610)는 데이터 획득부(6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물체 영역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인식부(610)는 영상 데이터 내 얼굴 영역에서 눈 및 입을 인식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640)는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획득부(640)는 차량 내 설치되어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차량 내 보조 좌석 및 뒷좌석을 촬영할 수 있으며, 설정방향에서의 유아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는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어라운드뷰 모니터링으로 차량 내부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3D 구면 파노라마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는 다시점으로 변환이 가능한 구면 파노라마 형식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므로, 차량 내 사각지대 없이 뒷좌석뿐만 아니라 보조 좌석까지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는 차량에 단일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 주변의 조도가 낮을 경우,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의 인식율이 낮아지므로, 인식부(610)는 카메라 외에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로 사용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를 이용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여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물체 영역의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식부(61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인식하고, 기 설정된 기준값에 비해 영상 데이터가 어두운 경우,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 때,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대비 또는 차이(contrast)의 정도가 크지 않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식부(610)는 유아의 손 영역 내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유지하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100 픽셀의 범위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식부(61)는 손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주변 영역 내에서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추적하여 물체 영역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더욱이, 인식부(610)는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하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판단부(620)는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 손 영역 내 물체 영역의 존재 유무, 및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서의 유아의 손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인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620)는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거나, 물체 영역이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620)는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에 기반하여 위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620)는 물체 영역이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를 1단계,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0인 경우를 2단계,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 근접한 경우를 3단계, 얼굴 영역과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4단계, 및 그 외를 5단계로 강도를 설정하여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620)는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얼굴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된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할 때,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620)는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손 영역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유아의 손에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에, 판단부(620)는 주먹을 나타내는 손 영역이 얼굴 영역의 눈이나 입 근처로 접근하거나, 주먹을 나타내는 손 영역과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단부(620)는 손 영역 내에서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물체 영역이 손 영역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유아의 손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경우라면, 유아의 손에 물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620)는 유아의 손에 물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에 따라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620)는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위험 강도에 따른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650)는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감지부(650)는 차량의 주행 종료 상태 또는 주차(P)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부(610)는 차량 내 유아의 얼굴 영역을 인식하며, 온도 감지부(650)로부터 감지되는 차량 내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판단부(620)는 유아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630)는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630)는 위험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차량 내 유아 및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감지,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아의 흡입 또는 삼킴 사고에 대한 알고리즘에서, 출력부(630)는 차량 내 유아와 물체가 존재하는 ‘감지’를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차단(Buzzer Off)하고, LED의 경고등을 파란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유아의 위험을 판단되는 경우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Buzzer On)하고, LED의 경고등을 빨간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갇힘 사고에 대한 알고리즘에서, 출력부(630)는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는 ‘감지 또는 주의’를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Buzzer On)하고, LED의 경고등을 노란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 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유아의 위험이 판단되는 경우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발생(Buzzer On)하고, LED의 경고등을 빨간색으로 점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출력부(630)는 판단부(620)에서 판단된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및 5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600)의 제어부(660)는 차량을 소유한 소유자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 119 서버, 차량 안전 모니터링 서버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및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다른 단말들 및/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상기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얼굴 영역과 상기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의 존재 유무, 및 상기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서의 유아의 손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인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 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 상기 손 영역 및 상기 물체 영역 각각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유지하며,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100 픽셀의 범위를 포함하는 상기 주변 영역을 인식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로 사용하고,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을 이용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여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 상기 손 영역 및 상기 물체 영역의 인식율을 향상시키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영역 내에서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추적하여 상기 물체 영역의 위치 및 이동을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에서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상기 물체 영역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손 영역의 모양을 인식하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계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얼굴 영역과 상기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상기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거나, 상기 물체 영역이 상기 얼굴 영역으로 침범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에서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최종으로 획득되어 유지된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와 상기 얼굴 영역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할 때, 유아의 위험을 판단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손 영역 내에서 상기 물체 영역이 인식된 이후에, 상기 물체 영역이 상기 손 영역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유아의 손이 주먹이라면, 상기 유아의 손에 상기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먹을 나타내는 상기 손 영역이 상기 얼굴 영역의 눈이나 입 근처로 접근하거나, 상기 주먹을 나타내는 손 영역과 상기 얼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보다 근접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위험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차량 내 유아와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감지, 주의, 경고 또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 경고등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 이전에,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 내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을 인식하며,
    상기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고, 감지되는 차량 내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차량의 주행 종료 상태 또는 주차(P)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15.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유아의 얼굴 영역, 손 영역 및 상기 유아가 소지하는 물체 영역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얼굴 영역과 상기 물체 영역 간의 산출되는 거리 값,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의 존재 유무, 및 상기 물체 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주변 영역에서의 유아의 손의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인하여 유아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차량 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 상기 손 영역 및 상기 물체 영역 각각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손 영역 내 상기 물체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유지하며, 상기 물체 영역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100 픽셀의 범위를 포함하는 상기 주변 영역을 인식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차량 내 설치되어 상기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차량 내 상기 유아의 얼굴 영역을 인식하며,
    상기 판단부는
    차량 내 유아가 존재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차량 내 온도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아의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부는
    차량의 주행 종료 상태 또는 주차(P) 상태인 경우에만 차량 내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119655A 2018-10-08 2018-10-08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08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55A KR102084329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55A KR102084329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29B1 true KR102084329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55A KR102084329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7776A (zh) * 2020-07-07 2020-10-20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姿态的幼儿监控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117A (ko) * 2003-06-30 2005-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질식사 방지장치
KR20100075272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케이티 로봇을 이용한 영유아 돌보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117A (ko) * 2003-06-30 2005-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질식사 방지장치
KR20100075272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케이티 로봇을 이용한 영유아 돌보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7776A (zh) * 2020-07-07 2020-10-20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姿态的幼儿监控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085B1 (ko) 횡단보도 인식 결과를 이용한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267461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US9955326B2 (en) Responding to in-vehicle environmental conditions
US10372972B2 (en) Face detection apparatus, fac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20190049955A1 (en) Driver state recognition apparatus, driver state recognition system, and driver state recognition method
KR20200110702A (ko) 기본 미리 보기 영역 및 시선 기반 운전자 주의 산만 검출
WO2018046015A1 (zh) 车辆报警方法、装置及终端
BR112015032507B1 (pt) Método para derivar pontuação de fadiga e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sonolência
US11666247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optical image data of patient surroundings and for identifying a patient check-up
JP2010191793A (ja) 警告表示装置及び警告表示方法
US20140267758A1 (en) Stereo infrared detector
KR20120086577A (ko) 카메라를 이용한 측면차량 검출 장치 및 방법
Puli et al. Safety Alerting System For Drowsy Driver
KR102084329B1 (ko) 차량 내 유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535517B1 (ko) 통학 차량 안전 경보 시스템
KR102290353B1 (ko) 객체 인식을 이용한 무단횡단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62124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819519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195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ate
KR20160056189A (ko) 보행자 검출 경보 장치 및 방법
JP4888707B2 (ja) 不審者検知装置
JP6773854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および検出プログラム
TW201510961A (zh) 盲人用影像識別偵測器
CN114586077A (zh) 监视系统以及程序
JP2011170663A (ja) 車両周囲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