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373A -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373A
KR20220076373A KR1020210166862A KR20210166862A KR20220076373A KR 20220076373 A KR20220076373 A KR 20220076373A KR 1020210166862 A KR1020210166862 A KR 1020210166862A KR 20210166862 A KR20210166862 A KR 20210166862A KR 20220076373 A KR20220076373 A KR 2022007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unting
sensor
printing unit
thermal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헤이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3/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printing process
    • B41J2203/01Inspecting a printed medium or a medium to be printed using a sensing device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향하여 배치되고, 기록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가 실장된 센서 실장부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센서 실장부가 걸리는 걸림 돌출부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PRINTING UNIT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인자 유닛은,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로 기록지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지를 급지하면서 기록지의 인자면을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하여, 인자면을 발색시켜 인자를 행한다.
상기 종래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 서멀 헤드의 앞측에는, 서멀 헤드를 향하여 기록지를 안내하는 종이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또한, 종이 가이드부에는, 종이 가이드부를 따르는 기록지를 검출하는 센서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자 유닛에서는, 종이 가이드부에 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종이 가이드부와, 종이 가이드부와는 별도의 부재인 홀더 사이에 센서를 끼우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이 가이드부와 홀더 사이에 센서를 끼우는 구성에서는,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부품 점수의 증가가 발생한다. 또, 홀더를 종이 가이드부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홀더를 둘러싸도록 종이 가이드부가 배치되므로, 종이 가이드부의 외형의 증대에 의해 인자 유닛이 대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는, 기록지를 검출하는 센서의 고정 구조를 간소화하여 소형화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당기술 분야에서는, 소형화된 인자 유닛, 및 그 인자 유닛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의 제공이 기대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상기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기록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실장된 센서 실장부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센서 실장부가 걸리는 걸림 돌출부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의 면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측면을 갖는 타고넘기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타고넘기 돌출부가 삽입통과되는 제1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끝 가장자리에 노치되고, 상기 보스가 삽입통과되는 제2 피걸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실장부를 상기 센서의 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대좌(臺座)부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센서가 실장된 실장면, 및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상기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이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종이 가이드부는, 상기 서멀 헤드를 향하여 상기 기록지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종이 가이드부에는, 상기 센서 실장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면 상에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실장부보다 양측으로 크게,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개구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의 끝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노치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태브부는, 상기 한 쌍의 노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서멀 헤드의 두께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태브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에 대해 굴곡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굴곡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출부로의 걸림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형 단말은, 상기의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1개의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전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X-I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X-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전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I-XV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리고, 그들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1개의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1)은, 기록지(P)를 인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기록지(P)는, 열을 가하면 발색하는 감열지이며, 각종 라벨이나 영수증, 티켓 등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기록지(P)는, 중공 구멍을 갖도록 감겨진 롤지(R)의 상태로 휴대형 단말(1)에 세트되고, 롤지(R)로부터 인출된 부분에 대해 인쇄가 행해진다.
휴대형 단말(1)은, 케이싱(3)과, 표시부(4)와, 제어부(5)와, 인자 유닛(6)을 갖는다. 케이싱(3)은, ABS나 ABS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복합재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재료에 의해 중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은,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7)와, 본체부(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 본체부(7)의 두께 방향의 한쪽 측에 굴곡하는 롤지 수용부(8)를 갖는다. 본체부(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인자 유닛(6)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부(7)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에는, 배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3a)는, 인자 유닛(6)을 지나 인쇄된 기록지(P)가 배출된다. 본체부(7)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 측에 면하는 주면에는, 표시부(4)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4)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이며, 제어부(5)에 접속되어 각종의 정보를 표시한다. 롤지 수용부(8)에는, 롤지(R)가 수용된다. 인자 유닛(6)은, 이른바 서멀 프린터이다.
도 2 및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6)은, 종동 기어(54)를 갖는 플래튼 롤러(50)와, 플래튼 롤러(50)를 회전축선(O)(소정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는 모터(60)와, 플래튼 롤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모터(60)가 고정된 본체 프레임(10)(프레임)과, 모터(60)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종동 기어(54)에 전달하는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와, 플래튼 롤러(50)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40)와,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됨과 더불어 서멀 헤드(40)가 고정된 헤드 지지체(45)와, 휴대형 단말(1)의 제어부(5)와 인자 유닛(6)의 각 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을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6)은, 플래튼 롤러(50)와 서멀 헤드(40) 사이를 지난 기록지(P)를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배출한다. 이하, 주로 인자 유닛(6)의 설명에서는, 화살표(A)를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 L1이라고 정의함과 더불어,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정의한다. 또, 상하 방향 L1에 직교하고, 기록지(P)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L2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하 방향 L1 및 좌우 방향 L2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 L3이라고 정의하고, 전후 방향 L3에 있어서 서멀 헤드(40)에 대한 플래튼 롤러(50) 측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은, 예를 들면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0)은, 상하 방향 L1에서 봐서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프레임(10)은, 좌우 방향 L2로 연장되는 배판부(11)와, 배판부(11)의 좌우 방향 L2에 있어서의 한쪽 측(좌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에 세워 설치된 제1 측벽부(12)와, 배판부(11)의 좌우 방향 L2에 있어서의 다른 쪽 측(우측)의 단부로부터 전방 및 후방에 세워 설치된 제2 측벽부(13)와, 제1 측벽부(12)와 제2 측벽부(13) 사이에 설치된 종이 가이드부(18)를 갖는다.
배판부(11)는, 전후 방향 L3으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12)는, 좌우 방향 L2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1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하여 깊게 파여진 제1 롤러 삽입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3)는, 좌우 방향 L2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하여 깊게 파여진 제2 롤러 삽입 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은, 좌우 방향 L2에서 봐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는, 플래튼 롤러(5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종이 가이드부(18)는, 플래튼 롤러(5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종이 가이드부(18)는, 좌우 방향 L2의 한쪽 측(좌측)의 단부가 제1 측벽부(12)의 내측면에 접속함과 더불어, 좌우 방향 L2의 다른 쪽 측(우측)의 단부가 제2 측벽부(13)의 내측면에 접속하고 있다. 종이 가이드부(18)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측벽부(13)의 외측에는, 기어 박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부(15)는, 제2 측벽부(13)의 주연으로부터 좌우 방향 L2의 외측을 향하여 세워 설치된 둘레벽부(16)를 갖는다. 즉, 기어 박스부(15)는, 제2 측벽부(13) 및 둘레벽부(16)에 의해 형성되고, 좌우 방향 L2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둘레벽부(16)는, 좌우 방향 L2에서 봐서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둘레벽부(16)에는, 하방을 향하여 오목한 한 쌍의 걸림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오목부(17)는, 둘레벽부(16)의 상방 개방부의 전후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오목부(17)에는, 기어 커버(30)가 결합된다. 기어 커버(30)는, 기어 박스부(15)의 내측을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기어 박스부(15)의 내부에는,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는, 서로 맞물려 있다.
모터(60)는, 출력축선(Q) 둘레 토크를 발생시킨다. 모터(60)는, 출력축선(Q)이 플래튼 롤러(50)의 회전축선(O)(도 2 참조)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모터(60)는, 배판부(11)를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50)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60)는, 제2 측벽부(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L2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60)의 출력축(61)은, 제2 측벽부(13)를 관통하고 있다. 출력축(61)은, 기어 박스부(15)의 내측에서 제1 감속 기어(31)에 맞물려 있다. 모터(60)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이 접속되어 있다. 모터(60)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을 통해 제어부(5)(도 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60)는, 제어부(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한다.
서멀 헤드(40)는, 기록지(P)(도 2 참조)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서멀 헤드(40)는, 전후 방향 L3에서 봐서 좌우 방향 L2를 길이 방향으로 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40)는, 그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 L3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은, 배판부(11)와는 반대측(전방)을 향하고 있다.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에는, 좌우 방향 L2로 다수의 발열 소자(41)가 배열되어 있다.
헤드면(40a)은, 기록지(P)의 인자면과 대향하여, 플래튼 롤러(5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협지(挾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서멀 헤드(40)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을 통해, 제어부(5)(도 1 참조)에 접속되고, 서멀 헤드(40) 상에 탑재된 드라이버 IC(도시하지 않음)가, 제어부(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발열 소자(41)의 발열을 제어하고 있다. 서멀 헤드(40)는, 발열 소자(41)의 발열이 제어되고,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기록지(P)의 인자면에 인쇄한다. 서멀 헤드(40)는, 헤드 지지체(45)에 붙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배판부(11)의 전방, 또한 종이 가이드부(18)보다 후방에서, 제1 측벽부(12) 및 제2 측벽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좌우 방향 L2를 길이 방향으로 한 판 형상의 부재이다. 헤드 지지체(45)는,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전면에서 서멀 헤드(40)를 고정하고 있다.
헤드 지지체(45)의 상단부에는, 헤드 지지체(4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45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45a)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 지지체(4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L2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45a)는, 본체 프레임(10)의 제1 측벽부(12)의 상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12a), 및 제2 측벽부(13)의 상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13a) 내에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헤드 지지체(45)의 회동에 수반하여 구멍부(12a, 13a) 내를 이동하고,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지지체(45)의 회동량을 규제하고 있다.
헤드 지지체(45)와 배판부(11) 사이에는, 탄성 부재(47)가 끼워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47)는, 헤드 지지체(45)와 배판부(11)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을 향하여 탄성가압하고 있다. 즉, 탄성 부재(47)는, 헤드 지지체(45)를 전방을 향하여 항상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47)는, 좌우 방향 L2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는, 회전축선(O)을 좌우 방향 L2에 일치시킨 상태로 서멀 헤드(40)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0)는, 서멀 헤드(40)와의 사이에 기록지(P)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축선(O)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P)를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송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는, 롤러 샤프트(51)와, 롤러 샤프트(51)에 외장된 롤러 본체(52)와, 롤러 샤프트(51)의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3)을 갖는다. 롤러 샤프트(51)는, 본체 프레임(10)의 제1 측벽부(12)와 제2 측벽부(13)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롤러 본체(52)는, 예를 들면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고, 좌우 방향 L2를 따라, 롤러 샤프트(51)의 양단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는,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3)이 본체 프레임(10)의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 삽입된다. 베어링(53)은,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된 걸림 스프링(19)에 의해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50)는,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플래튼 롤러(50)는, 걸림 스프링(19)을 탄성 변형시켜 베어링(53)을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 진퇴시킴으로써,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0)는,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롤지(R)(도 1 참조)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우고, 롤러 본체(52)가 서멀 헤드(40)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의 좌우 방향 L2에 있어서의 다른 쪽 측(우측)의 단부에는, 종동 기어(54)가 고정되어 있다. 종동 기어(54)는, 플래튼 롤러(50)가 제1 측벽부(12) 및 제2 측벽부(13)에 유지되었을 때에, 기어 박스부(15)의 상부에 장착된다. 종동 기어(54)는, 제2 감속 기어(32)에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모터(60)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를 통해 종동 기어(54)에 전달된다. 플래튼 롤러(50)는, 제1 측벽부(12) 및 제2 측벽부(13)에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기록지(P)(도 2 참조)를 송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통해, 서멀 헤드(40), 모터(60) 및 후술하는 센서(80)와, 휴대형 단말(1)의 제어부(5)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은, 서멀 헤드(40), 모터(60) 및 센서(80)에 전력을 공급함과 더불어, 제어부(5)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은, 배판부(11)의 하면을 따라 배치된 기부(71)와, 기부(71)로부터 분기한 인출부(72), 모터 접속부(73), 헤드 접속부(74) 및 센서 접속부(75)를 갖고 있다.
기부(71)는, 표리면이 상하 방향 L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부(71)는, 배판부(11)의 하면을 따라 좌우 방향 L2로 연장되어 있다. 인출부(72)는, 기부(71)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인출부(72)는, 제어부(5)에 접속되는 단자를 선단에 구비한다. 인출부(72)에는, 단자를 향하여 연장되는 모든 배선이 배치되어 있다. 모터 접속부(73)는, 모터(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 접속부(73)는, 기부(71)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부(72)의 하방 및 모터(60)의 하방을 지나 후방으로 연장된 후, 모터(60)에 접속되어 있다.
헤드 접속부(74)는, 서멀 헤드(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헤드 접속부(74)는, 기부(71)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배판부(11) 및 종이 가이드부(18) 사이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된 후, 서멀 헤드(40)에 접속되어 있다. 센서 접속부(75)는, 센서(80)(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센서 접속부(75)는, 기부(71)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기부(71)의 하방을 지나 전방으로 연장된 후, 배판부(11) 및 종이 가이드부(18) 사이에서 헤드 접속부(74)의 전방을 상방으로 연장되고, 종이 가이드부(18)에 지지되어 있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접속부(75)는, 센서(80)가 실장된 센서 실장부(76)와, 센서 실장부(76)로부터 기부(71)(도 4 참조)를 향하여 연장되는 태브부(77)를 구비한다.
센서(80)는, 후술하는 가이드면(20)에 의해 안내되고 서멀 헤드(40)를 향하는 기록지(P)를 검출한다. 센서(80)는, 예를 들면 반사형의 PI 센서이다. 센서(80)는, 발광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기록지(P)로 반사함으로써, 그 반사광을 수광부에서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1)의 제어부(5)는, 센서(80)의 수광부에서 소정 강도의 반사광을 검출했을 경우에, 기록지(P)가 센서(80)의 검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센서 실장부(76)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 실장부(76)는, 센서(80)가 실장된 실장면(76a)과, 실장면(76a)과는 반대측의 이면(76b)(도 7 참조)을 구비한다. 센서 실장부(76)는, 태브부(77)보다 휘기 어렵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실장부(76)는, 태브부(77)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센서 실장부(76)에는, 피걸림부(81)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81)는, 센서 실장부(76)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돌기 구조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81)는, 센서 실장부(76)의 길이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 각각에 노치되어 있다. 피걸림부(81)는, 각각 일정한 폭으로 센서 실장부(7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센서 실장부(76)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끝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노치(82)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노치(82)는, 센서 실장부(7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센서(80)에 대한 한쪽 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노치(82) 사이에는, 태브부(77)가 접속되어 있다.
태브부(77)는, 센서 실장부(76)보다 전방에 배치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태브부(77)는, 센서 실장부의 한 쌍의 노치(82) 사이에 대해 굴곡부(78)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태브부(77)는, 한 쌍의 노치(82) 사이로부터 센서 실장부(76)의 이면(76b)을 따라 연장된 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기부(71)에 접속하고 있다.
종이 가이드부(18)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가이드부(18)는, 좌우 방향 L2를 따라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이 가이드부(18)는, 인자 유닛(6)의 전방의 롤지(R)(도 1 참조)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서멀 헤드(40)와 플래튼 롤러(50) 사이에 안내하는 가이드면(20)을 갖는다. 가이드면(20)은, 전체적으로, 종이 가이드부(18)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40) 측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고, 인자 유닛(6)의 전방의 공간에 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면(20)은, 종이 가이드부(18)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20A)과, 제1 가이드면(20A)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면(20B)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면(20A) 및 제2 가이드면(20B)은, 각각 좌우 방향 L2를 따르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이드면(20A)은,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에 대해 37.5° 경사져 있다. 제1 가이드면(20A)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종이 가이드부(18)의 후면이 연속되어 있다. 제2 가이드면(20B)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종이 가이드부(18)의 하면이 연속되어 있다.
종이 가이드부(18)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센서 실장부(76)를 수용하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1)는, 가이드면(20)에 개구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21)는, 가이드면(20)으로부터 종이 가이드부(18)의 후면 및 하면에 걸쳐 개구되어 있다. 수용부(21)는, 제2 가이드면(20B) 상에서, 센서 실장부(76)보다 좌우 방향 L2의 양측으로 크게, 서멀 헤드(40)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개구되어 있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전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21)에는, 제1 유지부(22), 제2 유지부(23) 및 대좌부(24)가 돌출되어 있다. 제1 유지부(22)는, 수용부(21)의 좌측의 측벽에서 우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2 유지부(23)는, 수용부(21)의 우측의 측벽에서 좌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 유지부(22) 및 제2 유지부(23)는, 각각 제1 가이드면(20A)과 제2 가이드면(20B)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유지부(22) 및 제2 유지부(23)는, 선단끼리 좌우 방향 L2로 간격을 두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유지부(22) 및 제2 유지부(23)는, 제2 가이드면(20B)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21)는, 제1 유지부(22) 및 제2 유지부(23) 사이, 그리고 제1 유지부(22) 및 제2 유지부(23)의 하방에서 개구되어 있다. 대좌부(24)는, 수용부(21)의 안쪽 벽으로부터 가이드면(20) 상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대좌부(24)는, 좌우 방향 L2에서 제1 유지부(22) 및 제2 유지부(2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2)는, 제1 지지면(22a)을 구비한다. 제1 지지면(22a)은, 좌우 방향 L2로 연장되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면(22a)은, 하방 및 후방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지지면(22a)은, 제1 가이드면(20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9는, 도 6의 IX-I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지부(23)는, 제2 지지면(23a)을 구비한다. 제2 지지면(23a)은, 좌우 방향 L2로 연장되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면(23a)은, 하방 및 후방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2 지지면(23a)은, 제1 지지면(22a)과 동일한 가상 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지지면(23a)은, 제1 가이드면(20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10은, 도 6의 X-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부(24)는, 제3 지지면(24a)을 구비한다. 제3 지지면(24a)은, 좌우 방향 L2로 연장되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지지면(24a)은, 상방 및 전방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3 지지면(24a)은, 제1 지지면(22a) 및 제2 지지면(23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3 지지면(24a)은, 좌우 방향 L2에서 봐서 제1 지지면(22a) 및 제2 지지면(23a)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제3 지지면(24a)과, 제1 지지면(22a) 및 제2 지지면(23a)의 간격은, 좌우 방향 L2에서 봐서 센서 실장부(76)의 두께와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21)에는, 센서 실장부(76)가 장착된다. 센서 실장부(76)는, 길이 방향과 좌우 방향 L2가 일치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센서 실장부(76)는, 좌우 방향 L2에서 봐서 제1 지지면(22a) 및 제2 지지면(23a)과, 제3 지지면(24a)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에서 도 10 참조). 센서 실장부(76)는, 길이 방향의 제1 단부(76c)가 제1 지지면(22a)과 겹쳐지고, 길이 방향의 제2 단부(76d)가 제2 지지면(23a)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센서 실장부(76)는, 센서(80)의 이면측으로부터 제3 지지면(24a)에 의해 지지된다. 센서 실장부(76)는, 태브부(77)와의 접속부가 제2 가이드면(20B) 상의 개구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센서 실장부(76)는, 태브부(77)와의 접속부에 설치된 굴곡부(78)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지지면(22a) 및 제2 지지면(23a) 측에 탄성가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실장부(76)는, 실장면(76a)이 가이드면(20) 상의 개구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지면(22a), 제2 지지면(23a) 및 제3 지지면(24a)은 제1 가이드면(20A)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센서(80)는 제1 가이드면(20A)의 법선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센서(80)는, 서멀 헤드(40)의 두께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센서(80)의 방향은, 센서 실장부(76)의 실장면(76a)의 법선 방향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가이드부(18)는, 수용부(21)에 수용된 센서 실장부(76)가 걸리는 걸림 돌출부(26)를 구비한다. 걸림 돌출부(26)는, 제1 지지면(22a)에 형성된 보스(27)와, 제2 지지면(23a)에 형성된 타고넘기 돌출부(28)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27)는, 제1 지지면(22a)으로부터 제1 지지면(22a)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27)의 측면은, 제1 지지면(22a)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스(27)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27)는, 센서 실장부(76)의 제1 단부(76c) 측의 피걸림부(81)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고넘기 돌출부(28)는, 제2 지지면(23a)으로부터 제2 지지면(23a)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타고넘기 돌출부(28)는, 센서 실장부(76)의 제2 단부(76d) 측의 피걸림부(81)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타고넘기 돌출부(28)의 측면은, 안내면(28a)을 갖는다. 안내면(28a)은, 센서 실장부(76)의 면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안내면(28a)은, 제2 지지면(23a)의 면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면(20B) 상의 개구 측으로부터 수용부(21)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제2 지지면(23a)을 연장한 가상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센서 실장부(76)를 종이 가이드부(18)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제2 가이드면(20B) 상의 수용부(21)의 개구로부터 센서 실장부(76)의 제1 단부(76c)를 삽입하고, 센서 실장부(76)의 제1 단부(76c) 측의 피걸림부(81)에 보스(27)를 삽입시킨다. 이 때, 피걸림부(81)는 노치이므로, 센서 실장부(76)를 휘게 하지 않고 센서 실장부(76)를 걸림 돌출부(26)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어서, 걸림 돌출부(26)를 중심으로 하여 센서 실장부(76)를 회전시켜 센서 실장부(76)의 제2 단부(76d)를 수용부(21)에 삽입한다. 센서 실장부(76)의 제2 단부(76d)를 수용부(2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센서 실장부(76)의 제2 단부(76d)는 타고넘기 돌출부(28)의 안내면(28a)에 접접(摺接)하여 타고넘기 돌출부(28)에 얹힌 후, 제2 단부(76d) 측의 피걸림부(81)에 타고넘기 돌출부(28)가 삽입된다. 이상에 의해, 센서 실장부(76)가 종이 가이드부(18)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6)은, 센서(80)가 실장된 센서 실장부(76)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과, 센서 실장부(76)가 걸리는 걸림 돌출부(26)를 갖는 본체 프레임(10)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실장부(76)를 본체 프레임(10)의 걸림 돌출부(26)에 걸리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10)에 별도의 부재를 조합하지 않고 센서 실장부(76)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에 별도의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센서 실장부를 본체 프레임에 장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소형화된 인자 유닛(6)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걸림 돌출부(26)는, 측면에 센서 실장부(76)의 면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안내면(28a)을 갖는 타고넘기 돌출부(28)를 구비한다. 센서 실장부(76)는, 센서 실장부(76)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타고넘기 돌출부(28)가 삽입통과되는 피걸림부(81)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실장부(76)를 그 면방향을 따라 변위시켜 타고넘기 돌출부(28)의 안내면(28a)에 접접시킴으로써, 센서 실장부(76)를 타고넘기 돌출부(28)에 얹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피걸림부(81)를 타고넘기 돌출부(28)에 가까이 가도록, 타고넘기 돌출부(28)에 얹힌 센서 실장부(76)를 그 면방향을 따라 추가로 변위시킴으로써, 피걸림부(81)에 타고넘기 돌출부(28)를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실장부(76)를 걸림 돌출부에 걸리게 할 때에, 작업자가 센서 실장부(76)를 그 두께 방향으로 들어 올리도록 취급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센서 실장부(76)에 과잉적인 힘이 걸려 센서 실장부(76)가 크게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센서 실장부(76)에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6)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걸림 돌출부(26)는, 센서 실장부(76)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27)를 구비한다. 센서 실장부(76)는, 끝 가장자리에 노치되고, 보스(27)가 삽입통과되는 피걸림부(81)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실장부(76)를 그 면방향을 따라 변위시킴으로써, 보스(27)를 피걸림부(81)의 내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 실장부(76)를 그 두께 방향으로 변위시키지 않고, 센서 실장부(76)를 보스(27)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실장부(76)를 걸림 돌출부에 걸리게 할 때에, 작업자가 센서 실장부(76)를 그 두께 방향으로 들어 올리도록 취급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센서 실장부(76)에 과잉적인 힘이 걸려 센서 실장부(76)가 크게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센서 실장부(76)에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6)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은, 센서 실장부(76)를 센서(80)의 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대좌부(24)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8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센서(80)에 의한 기록지(P)의 검출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은, 센서 실장부(76)로부터 센서 실장부(76)의 이면(76b)을 따라 연장되는 태브부(77)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장면(76a) 측에는 기록지(P)가 배치되므로, 태브부(77)를 센서 실장부(76)의 이면(76b)을 따르게 함으로써, 태브부(77)가 기록지(P)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태브부(77)의 접촉에 의한 기록지(P)의 오손을 억제할 수 있다.
종이 가이드부(18)는, 서멀 헤드(40)를 향하여 기록지(P)를 안내하는 가이드면(20)을 갖는다. 종이 가이드부(18)에는, 센서 실장부(76)를 수용하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1)는, 가이드면(20) 상에서 좌우 방향 L2에 있어서 센서 실장부(76)보다 양측으로 크게, 서멀 헤드(40)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개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21)에 서멀 헤드(40)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부터 센서 실장부(76)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21)에 센서 실장부(76)를 수용할 때에 센서 실장부(76)를 통과시키는 공간을 종이 가이드부(18)와 서멀 헤드(40) 사이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멀 헤드(40)에 종이 가이드부(18)를 가까이 하여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6)을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센서 실장부(76)의 끝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노치(82)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태브부(77)는, 한 쌍의 노치(8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실장부(76)와 태브부(77)의 접속부에 걸리는 응력을 노치(82)에 집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응력이 센서(80)의 장착부(납땜부)에 파급하여 센서(80)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6)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80)는, 서멀 헤드(40)의 두께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실장부(76)가 서멀 헤드(40)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므로, 서멀 헤드(4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센서 실장부(76)가 차지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6)을 서멀 헤드(4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소형화하여, 기록지(P)의 롤지(R)를 보다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인자 유닛(6)으로 할 수 있다.
태브부(77)는, 센서 실장부(76)에 대해 굴곡부(78)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센서 실장부(76)는, 굴곡부(78)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 돌출부(26)로의 걸림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걸림 돌출부(26)로부터 센서 실장부(76)의 탈락을 규제하는 구조를 센서 실장부(76) 및 본체 프레임(1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하지 않고, 센서 실장부(76)를 본체 프레임(10)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80)의 고정 구조의 복잡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1)은, 상술한 소형화된 인자 유닛(6)을 구비하므로, 종래보다 소형화된 휴대형 단말로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가이드면(120A)의 경사 각도가 제1 실시 형태의 제1 가이드면(20A)과 상이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11에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6A)의 본체 프레임(10)은, 제1 실시 형태의 종이 가이드부(18)를 대신하여, 종이 가이드부(118)를 구비한다. 종이 가이드부(118)는, 가이드면(120)을 갖는다. 가이드면(120)은, 전체적으로, 종이 가이드부(118)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40) 측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고, 인자 유닛(6A)의 전방의 공간에 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면(120)은, 종이 가이드부(118)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면(120A)과, 제1 가이드면(120A)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면(120B)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면(120A) 및 제2 가이드면(120B)은, 각각 좌우 방향 L2를 따르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가이드면(120A)은,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에 대해 80° 경사져 있다.
종이 가이드부(118)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센서 실장부(76)를 수용하는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실장부(76)는,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 L2에 일치시킨 상태로 수용부(121)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부(121)는, 가이드면(120)에 개구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21)는, 가이드면(120)으로부터 종이 가이드부(118)의 후면 및 하면에 걸쳐 개구되어 있다. 수용부(121)는, 제2 가이드면(120B) 상에서, 센서 실장부(76)보다 좌우 방향 L2의 양측으로 크게, 서멀 헤드(40)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개구되어 있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전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I-XV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21)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용부(21)와 동일하게, 제1 유지부(22), 제2 유지부(23) 및 대좌부(24)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121)에는, 센서 실장부(76)가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80)는, 제1 가이드면(120A)의 법선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센서(80)는, 서멀 헤드(40)의 두께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6A)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6)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술적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자 유닛(6, 6A)은, 걸림 스프링(19)에 의해 본체 프레임(10)의 롤러 삽입 홈(14A, 14B) 내에 플래튼 롤러(50)를 유지한다. 그러나, 인자 유닛은, 본체 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아암에 의해 롤러 삽입 홈 내에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다.

Claims (17)

  1.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상기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기록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실장된 센서 실장부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센서 실장부가 걸리는 걸림 돌출부를 갖는 프레임
    을 구비하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의 면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측면을 갖는 타고넘기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타고넘기 돌출부가 삽입통과되는 제1 피걸림부를 구비하는, 인자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끝 가장자리에 노치되고, 상기 보스가 삽입통과되는 제2 피걸림부를 구비하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실장부를 상기 센서의 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대좌(臺座)부를 갖는, 인자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센서가 실장된 실장면, 및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상기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태브(tab)부를 구비하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이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종이 가이드부는, 상기 서멀 헤드를 향하여 상기 기록지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종이 가이드부에는, 상기 센서 실장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면 상에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실장부보다 양측으로 크게,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개구되어 있는, 인자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의 끝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노치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태브부는, 상기 한 쌍의 노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인자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서멀 헤드의 두께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 인자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태브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에 대해 굴곡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굴곡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출부로의 걸림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는, 인자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출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끝 가장자리에 노치되고, 상기 보스가 삽입통과되는 제2 피걸림부를 구비하는, 인자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센서 실장부를 상기 센서의 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대좌부를 갖는, 인자 유닛.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센서가 실장된 실장면, 및 상기 실장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상기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는, 인자 유닛.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이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종이 가이드부는, 상기 서멀 헤드를 향하여 상기 기록지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종이 가이드부에는, 상기 센서 실장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면 상에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센서 실장부보다 양측으로 크게,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개구되어 있는, 인자 유닛.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실장부의 끝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노치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태브부는, 상기 한 쌍의 노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인자 유닛.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서멀 헤드의 두께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고 있는, 인자 유닛.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상기 센서 실장부로부터 연장되는 태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태브부는, 상기 센서 실장부에 대해 굴곡부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센서 실장부는, 상기 굴곡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출부로의 걸림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는, 인자 유닛.
  17.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
KR1020210166862A 2020-11-30 2021-11-29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KR20220076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7976A JP2022086129A (ja) 2020-11-30 2020-11-30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JPJP-P-2020-197976 2020-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373A true KR20220076373A (ko) 2022-06-08

Family

ID=7881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862A KR20220076373A (ko) 2020-11-30 2021-11-29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05809B1 (ko)
JP (1) JP2022086129A (ko)
KR (1) KR20220076373A (ko)
CN (2) CN216761233U (ko)
TW (1) TW202237419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7189B2 (ja) * 2016-07-26 2020-10-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携帯型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7419A (zh) 2022-10-01
CN216761233U (zh) 2022-06-17
CN114571870A (zh) 2022-06-03
EP4005809B1 (en) 2023-11-29
JP2022086129A (ja) 2022-06-09
EP4005809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2084B1 (en) An ink jet recording head, an ink jet head cartridge, and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2002192769A (ja) テープ印刷装置
TWI671210B (zh) 印字單元及熱列印機
US8493424B2 (en) Printer
US20110262203A1 (en) Printer selectively having configurations for receipt printer and for ticket printer
CN216761234U (zh) 印字单元和便携型终端
KR20220076373A (ko)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CN109318604B (zh) 单元装配构造及打印装置
US20100242057A1 (en) Traverse of light scribe disk drive
CN214164499U (zh) 印字单元和打印机
CN216183861U (zh) 印字单元、热敏打印机
CN220700721U (zh) 印字单元和便携型终端
CN219096311U (zh) 印字单元和便携型终端
EP3278996B1 (en) Printer
JP2020131482A (ja) 印刷装置
US20070274756A1 (en) Ink ribbon cassette and printer including ink ribbon
JP6194690B2 (ja) 基板取付構造及びテープ印字装置
JP2024004551A (ja)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JP2022131038A (ja) プリンタ、センサ装置
JP2008093877A (ja) 電子装置
MXPA97005776A (en) Ink jet registration head, ink jet head cartridge, and it jet registration apparatus
JP2001138536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