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055A -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 Google Patents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055A
KR20220075055A KR1020200161833A KR20200161833A KR20220075055A KR 20220075055 A KR20220075055 A KR 20220075055A KR 1020200161833 A KR1020200161833 A KR 1020200161833A KR 20200161833 A KR20200161833 A KR 20200161833A KR 20220075055 A KR20220075055 A KR 2022007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mat
wheelchair
sound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012B1 (ko
Inventor
우강섭
신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0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 A61G7/165Chair detachable from b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주로 생활하는 병상 구조물에 집음기를 일체로 설치하여 환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원거리에서 환자의 요구사항 등을 용이하게 접수할 수 있고, 환자에게 각종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간병인, 간호사, 의료인 등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A DEVICE OF VOICE COLLECTING FOR BED-RIDDEN PATIENT}
본 발명은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주로 생활하는 병상 구조물에 집음기를 일체로 설치하여 환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원거리에서 환자의 요구사항 등을 용이하게 접수할 수 있고, 환자에게 각종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간병인, 간호사, 의료인 등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노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약자, 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인한 장애인, 각종 사고에 따른 중환자들(이하, 사용자)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는 홀로 거동이 불편하여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 위에서 보내고 있다. 침대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사용자는 관절 기능이 퇴행되거나, 오랜 시간을 누워지냄에 따라 발생되는 욕창,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함에 따라 발생되는 기관지 질환 등의 2차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 침대 위에서 주기적으로 자세를 변경해주거나,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겨진후 산책 등을 목적으로 침대를 벗어나 이동해야 할 경우가 있다.
즉, 환자는 대부분 침대와 휠체어에서 보내는 시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간병인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환자가 낙상을 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의료인이 이를 인지하기 까지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는 환자 한 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을만한 여건이 갖춰지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이런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환자용 침대 주변에 호출기를 마련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환자가 호출기를 눌러 의료인을 호출하는 시스템을 갖추지만 이 경우, 환자가 호출기를 충분히 조작할 수 있는 상태에서만 통신 가능한 구조이기에 환자가 의식을 잃거나, 손이 호출기에 닿지 않는 응급상황에 놓이게 되면 의료인을 신속하게 호출할 수 없게 된다.
아울러, 환자가 휠체어에 탄 경우에도 이러한 호출기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593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환자가 주로 생활하는 침대 구조물에 집음기를 일체로 설치하여 환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원거리에서 환자의 요구사항 등을 용이하게 접수할 수 있고, 환자에게 각종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간병인, 간호사, 의료인 등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형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에 장착되는 침대용 매트로 구성되는 침대부; 상기 침대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음기; 및 다단으로 접히고 펼 수 있는 시트, 시트를 배면에서 지지하는 보드, 및 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부,로 구성되는 휠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프레임의 내측에 매트로 커버되지 않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휠체어부가 공간부에 채워지고 펼쳐지면 매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헤드프레임, 헤드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직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드프레임의 선단을 연결하는 크로스프레임, 크로스프레임의 중심에서 직교 결합되는 센터프레임, 센터프레임의 선단에서 직교 결합되는 레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프레임에는 상기 집음기를 수용하는 제1 집음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집음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 집음구가 형성되며, 상기 매트는, 헤드프레임과 크로스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매트, 센터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동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크로스프레임 및 레그프레임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매트의 일단과 타단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바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테나형으로써, 일단은 사이드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되어 레그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타단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확장 및 수축의 안내와 사이드프레임 내부 매몰을 방지하고, 손잡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레그프레임에 구비되어 손잡이를 고정 결합시키는 손잡이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주행부는, 전후 주행만이 가능한 한 쌍의 메인바퀴 및 360도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보조바퀴로 구성되되, 메인바퀴와 보조바퀴는 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메인바퀴를 연결하는 가로축, 가로축의 중심에서 수직 연결되어 보드와 연결되는 세로축, 세로축과 보드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메인바퀴가 시트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간부를 향하여 진입과 후퇴가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가 주로 생활하는 병상 구조물에 집음기를 일체로 설치하여 환자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하고, 원거리에서 환자의 요구사항 등을 용이하게 접수할 수 있고, 환자에게 각종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간병인, 간호사, 의료인 등이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하부의 모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휠체어부가 침대 매트용도로 펼쳐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휠체어부가 휠체어의 용도로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휠체어부가 휠체어의 용도로 접혀진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휠체어부의 프레임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특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프레임과 매트가 가이드바와 가이드레일을 통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특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프레임가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특수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휠체어부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10이 적용된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사용예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이하 집음 장치라 함)는 크게, 침대부(100), 휠체어부(200) 및 집음기(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집음기(300)는 침대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휠체어부(200)는 일부분이 침대부(100)로부터 탈착,분리되어 다단의 형태, 가령 3단으로 접히면서 휠체어의 기능을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침대와 휠체어를 별개로 사용하거나 침대와 휠체어 간 옮기는 불편함 없이, 침대 생활을 하다가 그대로 휠체어로 이동할 수 있고, 휠체어 이동 중에 그대로 침대로 옮겨갈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침대부(100)는 프레임(120), 매트(110), 침대다리(140), 침대바퀴(141), 난간(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침대 형상으로 매트(110)를 수용하고 지지하며, 침대다리(140)와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뼈대를 의미한다.
프레임(120)은 헤드프레임(121), 사이드프레임(122), 크로스프레임(123), 센터프레임(124), 레그프레임(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일자형의 헤드프레임(121), 헤드프레임(121)의 일단과 타단에 직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2), 사이드프레임(122)의 선단을 연결하는 크로스프레임(123), 크로스프레임(123)의 중심에서 직교 결합되는 센터프레임(124), 센터프레임(124)의 선단에서 직교 결합되는 레그프레임(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프레임(121) 주변으로는 환자가 침대부(120)에 누웠을 때 머리가 위치하게 되며, 헤드프레임(121)에는 후술 될 집음기(300)가 수용되는 제1 집음구(121a)와 제1 집음구(121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집음구(121a)의 경우 헤드프레임(121)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해 형성되고, 제2 집음구(121b)는 제1 집음구(121a)의 중앙에서 제1 집음구(121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헤드프레임(121)을 관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집음구(121a)와 제2 집음구(121b)는 서로 연통되어 대략 'ㅗ'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1 집음구(121a)와 제1 집음구(121b)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집음기(300)를 위치시키게 되면 헤드프레임(121) 주변으로 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집음하여 집음기(300)에 입력시킬 수 있다.
프레임(120)의 각 프레임들은 모두 동일 수평높이에서 위치한다.
이 중 헤드프레임(121), 크로스프레임(123), 레그프레임(125)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지니며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사이드프레임(122)과 센터프레임(124)은 상호 평행을 이루며, 상기 헤드프레임(121), 크로스프레임(123), 레그프레임(125)과 직각을 이룬다.
즉, 전체적으로 프레임(120)은 육면체의 막대 형태의 프레임 6개가 결합된 형상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사각형이 있고 하단에 지지대를 세운 형태가 된다.
매트(110)는 프레임(120)에 장착되는 침대용 매트리스로써, 환자 등 사용자가 몸을 뉘이고 침대 용도로 사용하는 쿠션이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사각형의 매트(110)의 형상에서 휠체어부(200)가 제외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매트(110)의 형상과 달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의 형상을 가진 매트(110)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집음기(300)는 헤드프레임(121) 주변의 소리가 입력되면 이를 증폭하여 목적음을 송출한다.
집음기(300)는 예컨대, 침대부(100)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에서 목적음을 수집하거나 음성에서 목적 음성을 수집하면서, 상기 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상기 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증폭하여 전송하는 집음 본체기와 상기 집음 본체기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집음 본체기에서 전송한 상기목적음 또는 상기 목적 음성을 출력하는 집음 출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집음 본체기는 상기 제1 집음구(121a) 또는 제2 집음구(121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집음 출력기는 환자를 보호 관리하는 보호자, 보호사, 의료인 등이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음기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10-2055173호에 개시된 집음 장치 또는 공지된 집음 장치들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보호자, 보호사, 의료인 등은 침대부(100)에 누은 환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응급상황 발생시 이에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 진다.
아울러, 환자가 후술 될 휠체어부(200)에 착석한 경우에 집음 본체기를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부(200)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 또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휠체어부(200)는 침대부(100)와 결합될 때는 침대의 매트(110)의 역할을 하고, 침대부(100)와 이격될 때는 휠체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트(210), 보드, 주행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트(210)는 사용자의 몸이 닿는 부위로써 침대의 매트(110) 역할을 하는 부위이며, 본 발명의 시트(210)는 3단으로 구성되어 접히고 펴질 수 있다.
시트(210)는 머리와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11), 엉덩이를 기대는 좌석부(212), 다리를 얹는 다리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등받이부(211)의 일측과 타측에는 팔을 기대어 얹을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가진 육면체의 팔걸이(214)가 구비될 수 있다.
팔걸이(214) 또한 리클라이닝 상태일때는 침대 매트(110)처럼 사용되다가 휠체어로 사용시에만 등받이부(211)에서 분리되며, 팔걸이(214)의 일단은 등받이에 힌지 결합 등으로 고정되어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보드는 시트(210)의 배면에서 시트(210)를 지지하고 시트(210)의 변형을 도와주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즉, 보드는 시트(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되, 시트(210)가 접히거나 펴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 현 상태를 유지하게끔 또는 현 상태를 바꿀 수 있게끔 하는 기능도 한다.
보드 또한 시트(210)처럼 분할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 시트(210)의 구성에 따라 보드가 구비된다.
따라서 보드는 등받이부(211)를 지지하는 등받이보드(221), 좌석부(212)를 지지하는 좌석메인보드(222) 및 좌석보조보드(223), 그리고 다리부(213)를 지지하는 다리보드(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보드(221)에는 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는 핸들(225)이 부착될 수 있다.
등받이보드(221)에는 등받이고정판(221a)과 등받이가드(221b)가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고정판(221a)은 휠체어부(200)가 접혔을 때 즉 등받이부(211)가 좌석부(212)에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세워졌을 때 수직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등받이부(211)가 세워지고 난 후 등받이고정판(221a)이 아래로 향하면서 좌석메인보드(222)에 접하게 되고 판형으로 구성된 등받이고정판(221a)의 하단부에 마치 스토퍼처럼 걸치면서, 등받이부(211)는 뒤로 젖혀지지 않고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등받이고정판(221a)이 상기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등받이보드(221)와 등받이고정판(221a)이 밀착되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등받이가드(221b)가 구비된다.
등받이가드(221b)는 등받이보드(221)에 부착된 상태에서 등받이고정판(221a)을 내부에 수용한다.
등받이가드(221b)는 등받이고정판(221a)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면서 동시에 직선운동이 원활하도록 통로 역할을 지원한다.
휠체어부(200)가 매트(110) 용도로 펴진 상태에서 휠체어 용도로 접히는 경우, 등받이부(211)를 세우면서 등받이고정판(221a)을 하부로 향하게 하여 등받이보드(221)가 젖혀지지 않게 지지되어야 한다.
또한 휠체어부(200)가 휠체어 용도로 접힌 상태에서 매트(110) 용도로 펴지게 되는 경우, 등받이고정판(221a)을 상부로 당긴 다음 등받이부(211)를 수평으로 눕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등받이고정판(221a)이 상기 전환 동작을 지원할 수 있도록 등받이보드(22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등받이가드(221b)의 역할이다.
다리보드(224)는 다리부(2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휠체어부(200)가 매트(110) 용도로 펴졌을 때 다리부(213)가 접히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다리보드(224)에는 다리고정판(224a)이 구비된다.
다리고정판(224a)은 다리보드(224)와 다리부(213)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리고정판(224a)은 휠체어부(200)가 매트(110) 용도로 펴졌을 때 다리부(213)가 접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좌석보조보드(223)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리부(213)와 좌석부(212) 사이의 하단에 걸쳐 있어 상호 접히는 것을 차단한다.
반대로 휠체어부(200)가 휠체어 용도로 접힐때에는 다리고정판(224a)을 다리보드(224)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리부(213)와 좌석부(212)가 접힐 수 있도록 허용한다.
좌석부(212)를 지지하는 보드는 좌석메인보드(222)와 좌석보조보드(223)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에는 메인바퀴(241)와 보조바퀴(245)가 연결되어 있다.
주행부(240)는 휠체어의 이동성을 위해 휠체어의 하단, 특히 좌석부(212)의 하단에 구성되며, 메인바퀴(241)와 보조바퀴(245)로 구비된다.
메인바퀴(241)는 큰 바퀴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전후 이동만이 가능하고 주행거리를 늘려 주행성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보조바퀴(245)는 360도 회전이 가능한 작은 바퀴가 한 쌍으로 구비되며, 방향전환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바퀴(241)는 좌석부(212)의 뒷부분, 좌석메인보드(222)의 하단에 위치하며 휠체어를 미는 역할을 하고, 보조바퀴(245)는 메인바퀴(241)의 전면에 위치하여 휠체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침대부(100)에는, 매트(110)가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면, 침대형상의 프레임(120)이 내측에 형성하는 사각형의 공간 중 매트(110)로 커버하지 못하는 공간부(134)가 형성된다.
휠체어부(200)가 공간부(134)에 채워지고 펼쳐지면 휠체어부(200)와 결합된 침대부(100)는 사각형의 매트(110)를 가진 침대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로써 휠체어부(200)를 침대용 매트(110)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침대부(100)는 프레임(120)의 네 군데 테두리의 모서리 하단에 침대바퀴(141)를 구비한 4개의 침대다리(1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침대부(100)의 각 측면에는 소정 개수의 난간(142)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낙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집음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집음 장치는 침대부(100)와 휠체어부(200)가 결합된 상황에서는 매트(110)리스가 구비된 일반적인 침대의 형상을 가진다.
침대부(100)는 ㄱ자 형태의 매트(110)로 구성되며, 매트(110)가 프레임(120)의 상단에 얹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휠체어부(200)는 3단의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며 상단은 매트(110)와 동일한 재질의 시트(210)로 구성되고, 하단은 매트(110)를 지지하는 경질의 보드로 구비되어 있다.
휠체어부(200)는 펼쳐있을 때는 평평한 형태로 매트(110)로 공간부(134)에 위치하며, 일반적인 사각형의 침대와 같이 사용된다.
이때 크로스프레임(123), 센터프레임(124), 레그프레임(125)은 매트(110)와 휠체어부(200)가 겹치는 영역의 프레임(120)으로써, 매트(110)의 일측면과 휠체어부(200)의 일측면이 동시에 걸칠 수 있도록 얹혀져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침대에서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려는 경우, 휠체어부(200)에 신체를 옮긴다. 이때 머리는 등받이부(211)에, 엉덩이는 좌석부(212)에, 다리는 다리부(213)에 위치하여 눕도록 한다.
이후 보조원이 사용자가 누워있는 펴진 상태의 휠체어부(200)를 공간부(134)에서 외부로 이탈시킨다.
이때 휠체어부(200)의 메인바퀴(241)는 전후이동만 가능하므로, 레그프레임(125)을 회전 또는 이동시켜 휠체어부(200)가 나갈 수 있도록 공간을 열어줄 수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수한 제 3 실시예에 따라 메인바퀴(241)를 회전수단(244)에 의해 90도 각도로 수평회전 시킨 후 침대부(100) 측면을 향해 그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휠체어부(200)가 침대부(100)에서 이격되고 나면, 휠체어부(200)의 각 시트(210)를 접어서 휠체어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우선, 등받이고정판(221a)을 머리쪽으로 올려서 등받이부(211)와 좌석부(212)의 접힘 방지상태를 풀어주고, 등받이부(211)를 세운다.
이후 등받이고정판(221a)을 놓아서 좌석메인보드(222) 상단에 접하게 하면 등받이고정판(221a)이 좌석메인보드(222)에 걸리면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211)는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임의로 펴지지 않게 된다.
이후 팔걸이(214)를 내려서 팔을 걸치게 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다리부(213)와 좌석부(212)를 접히게 하기 위해, 다리고정판(224a)을 다리보드(224)에서 외측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따라 다리부(213)와 좌석부(212)를 동시에 지탱하는 게 사라지고 다리부(213)가 접히게 된다.
보조원은 등받이보드(221)에 부착된 핸들(225)을 이용하여 휠체어부(200)를 조정할 수 있다.
휠체어부(200)의 이용이 끝난 후 침대부(100)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휠체어부(200) 이탈 시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우선 레그프레임(125)을 회전시켜 휠체어부(200)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로를 확보한 다음 공간부(134)의 전면에 휠체어부(200)를 위치시킨다.
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수한 제 3 실시예에 따라 메인바퀴(241)를 회전수단(244)에 의해 90도 각도로 수평회전 시킨 후 공간부(134)의 측면에 휠체어부(200)를 나란히 위치시킨다.
그리고 등받이고정판(221a)을 위로 올린 채 등받이부(211)를 조심스럽게 뒤로 젖힌 후 등받이고정판(221a)을 원위치 시킨다.
동시에 다리부(213)를 좌석부(212)와 평행하게 올린 후 다리고정판(224a)을 좌석보조보드(223) 방향으로 밀어넣어서, 다리부(213)와 좌석부(212)의 접합부가 접히지 않도록 지탱하게끔 한다.
이후 천천히 공간부(134)를 향하여 휠체어부(200)를 완전히 밀어넣는다.
그리고 나서, 레그프레임(125)을 원위치 시키거나 또는 메인바퀴(241)를 원래 각도로 수평회전 시킨다.
이상으로 침대부(100)와 휠체어부(200)가 합체된 완전한 형태의 침대가 완성된다.
필요에 따라 휠체어의 탈착과 부착 시 난간(142)을 제거하고 설치하는 동작이 수반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을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수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매트(110)는 헤드프레임(121)과 크로스프레임(123)의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매트(111)와 센터프레임(124)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동매트(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매트(110)는 ㄱ자형의 형상을 가지되 일체형 구조가 아닌 분리형 구조를 가지며, 고정매트(111)의 위치는 고정되되 이동매트(112)는 센터프레임(124)의 일측과 타측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크로스프레임(123) 및 레그프레임(125)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123a, 125a)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매트(112)의 일단과 타단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바(123a, 125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이드레일(112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매트(112)는 크로스프레임(123)과 레그프레임(125)의 가이드바(123a, 125a)에 결합된 채 센터프레임(124)의 일측과 타측을 이동할 수 있다.
이는 공간부(134)의 위치가 일측과 타측에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결국 휠체어부(200)가 침대부(100)의 일측과 타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가령 센터프레임(124)의 일측에 공간부(134)가 형성된 침대부(100)는, 일측이 벽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공간부(134)의 조정이 불가하다면 휠체어부(200)는 무용지물이 된다.
하지만 센터프레임(124)의 타측에 구비된 이동매트(112)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면, 공간부(134)는 센터프레임(124)의 타측에 이전 형성되고 휠체어부(200)의 결합과 분리가 문제없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병원, 요양원 등의 다인실의 경우 등 침대의 배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본 발명의 특수한 제 1 실시예에 따라 집음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때 이동매트(112)는 상단은 쿠션이 있는 매트(110)리스의 재질이며, 하단부 즉 프레임(120)과 접하는 부분은 가이드레일(112a)이 형성되고 프레임(120)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수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수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이동매트(112)와 휠체어부(200)가 프레임(1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치를 안정감 있게 고정시켜 주기 위해 프레임가드(13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가드(130)는 안테나형으로써 확장과 수축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가드(130)의 일단은 사이드프레임(122)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되어 레그프레임(12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가드(130)의 타단에는 손잡이(131)가 부착되고, 레그프레임(125)의 일단에는 상기 손잡이(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손잡이삽입부(132)가 구비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31)는 프레임가드(130)가 사이드프레임(122) 측으로 수축되어 있을 때 프레임가드(130)가 사이드프레임(122) 내부로 매몰되지 않도록 사이드프레임(122)의 외측으로 노출된 걸쇠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가드(130)가 수축된 상태에서 손잡이(131)를 잡고 레그프레임(125)을 향해 잡아당기면 안테나형의 프레임가드(130)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다.
이후 손잡이(131)를 레그프레임(125)에 구비된 손잡이삽입부(132)에 장착한다.
그렇게 되면 프레임가드(130)는 센터프레임(124)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센터프레임(124)과 레그프레임(125)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연결한 외곽 펜스와 같은 형상으로 가드를 구성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매트(112)와 휠체어부(200)가 프레임(120) 외곽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고 안정감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휠체어부(200)를 프레임(120)에서 이탈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그프레임(125)에 결합된 손잡이(131)를 잡고 손잡이삽입부(132)에서 분리시킨 뒤 사이드프레임(12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프레임가드(130)는 안테나형으로 수축되며 가드를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특수한 제 2 실시예를 위해 프레임가드(130)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2)에 각각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수한 제 3 실시예에 따라,
휠체어부(200)는 메인바퀴(241)의 각도를 90도 수평회전시켜 휠체어부(200)가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조바퀴(245)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되 메인바퀴(241)는 전후 주행만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120)의 공간부(134)는 휠체어의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정작 휠체어부(200)는 길이방향 위주로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공간부(134)를 향하여 휠체어부(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측면에서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한계를 가진다.
이의 해결을 위해, 메인바퀴(241)가 수평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특수한 제 3 실시예에서 휠체어부(200)는, 한 쌍의 메인바퀴(241)를 연결하는 가로축(242), 가로축(242)의 중심에서 수직 연결되어 좌석메인보드(222)와 연결되는 세로축(243), 그리고 세로축(243)과 좌석메인보드(222)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회전수단(2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244)에 의해 메인바퀴(241)는 좌석메인보드(222)에 수직축으로 연결된 채 휠체어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부(134)를 향하여 전진과 후퇴가 수월하게 가능해진다.
회전수단(244)은 전동모터 등 전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수동 조작용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공지의 기술을 인용하도록 한다.
이때 메인바퀴(241)와 보조바퀴(245)는 축에 의해 연결되지 않으며, 메인바퀴(241)는 좌석메인보드(222)에 연결되고 보조바퀴(245)는 좌석보조보드(223)에 각각 별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수한 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집음 장치의 사용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고, 각 특수한 실시예를 선택적으로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된 침대와 휠체어를 옮겨 타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안전사고와 불편함 없이, 침대에서 생활하고 곧바로 휠체어로 이동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편안하다.
또한, 3단의 접이식 휠체어가 침대 프레임에 장착되고 침대 매트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 효율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다.
또, 침대가 어떤 방향으로 벽면을 마주하더라도 침대의 매트를 레일을 통해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침대의 설치 및 휠체어의 탈부착에 있어 장소 및 방향의 구애를 받지 않는다.
또한, 침대에서 이동 가능한 매트와 침대에 탈부착이 되는 휠체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드해주는 프레임가드가 구비되어 있어 환자가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다.
또, 휠체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한 회전수단이 구비되고 휠체어의 메인바퀴가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휠체어가 옆으로 침대에 탈부착 할 때 메인바퀴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침대의 공간부에 휠체어를 진입시키고 후퇴시키는 탈부착 과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침대부
110 : 매트
111 : 고정매트
112 : 이동매트
112a : 가이드레일
120 : 프레임
121 : 헤드프레임
122 : 사이드프레임
123 : 크로스프레임
124 : 센터프레임
125 : 레그프레임
123a, 125a : 가이드바
130 : 프레임가드
131 : 손잡이
132 : 손잡이삽입부
134 : 공간부
140 : 침대다리
141 : 침대바퀴
142 : 난간
200 : 휠체어부
210 : 시트
211 : 등받이부
212 : 좌석부
213 : 다리부
214 : 팔걸이
221 : 등받이보드
221a : 등받이고정판
221b : 등받이가드
222 : 좌석메인보드
223 : 좌석보조보드
224 : 다리보드
224a : 다리고정판
225 : 핸들
240 : 주행부
241 : 메인바퀴
242 : 가로축
243 : 세로축
244 : 회전수단
245 : 보조바퀴

Claims (5)

  1. 침대형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에 장착되는 침대용 매트로 구성되는 침대부;
    상기 침대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음기; 및
    다단으로 접히고 펼 수 있는 시트, 시트를 배면에서 지지하는 보드, 및 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주행부,로 구성되는 휠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프레임의 내측에 매트로 커버되지 않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휠체어부가 공간부에 채워지고 펼쳐지면 매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헤드프레임, 헤드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직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드프레임의 선단을 연결하는 크로스프레임, 크로스프레임의 중심에서 직교 결합되는 센터프레임, 센터프레임의 선단에서 직교 결합되는 레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프레임에는 상기 집음기를 수용하는 제1 집음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집음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 집음구가 형성되며,
    상기 매트는,
    헤드프레임과 크로스프레임의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매트, 센터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동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크로스프레임 및 레그프레임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바가 돌출 형성되고, 이동매트의 일단과 타단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바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안테나형으로써, 일단은 사이드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되어 레그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타단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확장 및 수축의 안내와 사이드프레임 내부 매몰을 방지하고, 손잡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레그프레임에 구비되어 손잡이를 고정 결합시키는 손잡이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전후 주행만이 가능한 한 쌍의 메인바퀴 및 360도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보조바퀴로 구성되되, 메인바퀴와 보조바퀴는 축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메인바퀴를 연결하는 가로축, 가로축의 중심에서 수직 연결되어 보드와 연결되는 세로축, 세로축과 보드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메인바퀴가 시트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간부를 향하여 진입과 후퇴가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KR1020200161833A 2020-11-27 2020-11-27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KR10252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833A KR102524012B1 (ko) 2020-11-27 2020-11-27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833A KR102524012B1 (ko) 2020-11-27 2020-11-27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055A true KR20220075055A (ko) 2022-06-07
KR102524012B1 KR102524012B1 (ko) 2023-05-02

Family

ID=8198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833A KR102524012B1 (ko) 2020-11-27 2020-11-27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01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997A (ja) * 1998-03-19 1999-11-24 Murata Mach Ltd 多機能ベッド
KR200165584Y1 (ko) * 1999-07-22 2000-02-15 손종은 다기능 침대
JP2001258954A (ja) * 2000-03-22 2001-09-25 Yanagihara Mechax:Kk 車椅子組込型介護ベッド
JP2002078756A (ja) * 2000-09-05 2002-03-19 Maeda Shigeo ベッド及び車椅子
KR20110045932A (ko) 2009-10-28 2011-05-04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휠체어 가변 침대 및 이의 변형 방법
JP5554877B2 (ja) * 2011-03-16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ッド、及びその分離方法
KR20180073966A (ko) * 2016-12-23 2018-07-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 가변형 휠체어
KR102055173B1 (ko) * 2018-10-23 2019-12-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집음 장치
KR20200068848A (ko) * 2018-12-06 2020-06-16 (주)옵토닉스 분리형 전동휠체어를 포함하는 침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14B2 (ja) * 1992-04-16 2001-07-16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引裂性の改良された合成紙及びそれを用いた航空タッ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997A (ja) * 1998-03-19 1999-11-24 Murata Mach Ltd 多機能ベッド
KR200165584Y1 (ko) * 1999-07-22 2000-02-15 손종은 다기능 침대
JP2001258954A (ja) * 2000-03-22 2001-09-25 Yanagihara Mechax:Kk 車椅子組込型介護ベッド
JP2002078756A (ja) * 2000-09-05 2002-03-19 Maeda Shigeo ベッド及び車椅子
KR20110045932A (ko) 2009-10-28 2011-05-04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휠체어 가변 침대 및 이의 변형 방법
JP5554877B2 (ja) * 2011-03-16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ッド、及びその分離方法
KR20180073966A (ko) * 2016-12-23 2018-07-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 가변형 휠체어
KR102055173B1 (ko) * 2018-10-23 2019-12-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 집음 장치
KR20200068848A (ko) * 2018-12-06 2020-06-16 (주)옵토닉스 분리형 전동휠체어를 포함하는 침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012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1518B2 (en) Impaired person care system and method
JP3442863B2 (ja) 離脱枠と離脱枠の移動昇降装置を持つ傷病者用ベッド
US4717169A (en) Convertible bed and wheelchair unit
US9173797B2 (en) Siderail assembly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US9254233B2 (en) Apparatus for lifting persons
US7918473B2 (en) Structure of wheelchair that is convertible into push-cot
US20120198628A1 (en) Manually removable foot section
JP2005304626A (ja) 車椅子機能を有する介護用ベッドの構成方法及び介護用ベッド
CN113573681B (zh) 护理装置
CN111163739A (zh) 轮椅床
KR102289619B1 (ko) 휠체어 탈부착식 침대
KR102524012B1 (ko) 병상 환자용 집음 장치
CN109662848A (zh) 结合轮椅的照护床
JP3201241U (ja) 介護用ベッド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JP2002078756A (ja) ベッド及び車椅子
JPH074019Y2 (ja) 多目的ベット
CN111358627A (zh) 一种兼具床椅功能的抱式侧移位车
CN214909413U (zh) 一种防坠床改良病床
KR200165584Y1 (ko) 다기능 침대
WO2019081792A1 (es) Sillón para discapacitados
CN220967534U (zh) 照护床主机及其中的照护床组件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KR102636755B1 (ko)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CN210698058U (zh) 改进医护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