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920A -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920A
KR20220074920A KR1020227014376A KR20227014376A KR20220074920A KR 20220074920 A KR20220074920 A KR 20220074920A KR 1020227014376 A KR1020227014376 A KR 1020227014376A KR 20227014376 A KR20227014376 A KR 20227014376A KR 20220074920 A KR20220074920 A KR 2022007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uidewire
protective tube
protective
coronary si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Publication of KR2022007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51Inserts in the coronary sinu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6Delivery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9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for hindering or preventing attachment of biological tissue
    • A61F2002/0091Having cellular growth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9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connected by a hinged linkage mechanism, e.g. of the single-bar or multi-bar linka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는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를 포함한다. 두 보호 튜브의 근위 부분은 두 보호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나란히 부착되어 스템 부분을 규정한다. 그 후에 두 보호 튜브의 원위 부분이 분리되어 힌지 부분을 규정한다. MLC 장치는 제2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스탑퍼를 가지며, 이 스탑퍼는 제2 보호 튜브가 심장 근육 안으로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보호 튜브는 힌지 부분과 제1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갖는다. 이 앵커는 관상 정맥동 안으로 박히고 조직 보호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심장 판막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승모판 폐쇄 부전증의 치료를 위한 카테터 경유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mitral regurgitation)은 심근증, 승모판 환형 확장 및 접착 불량에 기여하는 판막첨 견인을 특징으로 한다. 카테터 경유 승모판 루프 분리("MLC", transcatheter mitral loop cerclage) 장치는 심실 중격을 가로질러 관상 정맥동(coronary sinus)을 통해 루프를 생성함으로써 승모판 환절에 원주 방향 압축을 가하는 장치이다. 관상 정맥동 안으로 되밀리는 것으로부터 승모판 루프 분리 장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승모판 루프 서클라지(cerclage) 장치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카테터 경유 승모판 루프 분리(MLC)를 제공하는 것이다.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MLC 장치는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를 포함한다. MLC 장치는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서클라지 로프(cerclage rope)를 갖는다.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 각각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다. 두 보호 튜브의 근위 부분은 두 보호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나란히 부착되어 스템(stem) 부분을 규정한다. 그 후에 두 보호 튜브의 원위 부분이 분리되어 힌지 부분을 규정한다. MLC 장치는 제2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스탑퍼를 가지며, 이 스탑퍼는 제2 보호 튜브가 심장 근육 안으로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클라지 로프는 두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아치 부분을 갖는다. 제1 보호 튜브는 힌지 부분과 제1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갖는다. 이 앵커는 관상 정맥동 안으로 박히고 조직 보호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보호 튜브는 관상 정맥동을 통해 삽입되어 승모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튜브가 관상 정맥동을 통해 횡단할 때 그 제1 튜브가 미리 형성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도록 제1 보호 튜브는 미리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제2 보호 튜브는 삼첨판(tricuspid valve)을 통과하고 심실 중격의 우심실 측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튜브가 삼첨판을 통해 횡단할 때 그 제2 튜브가 미리 형성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도록 제2 보호 튜브는 미리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제2 보호 튜브는 장력이 가해질 때 구부려짐에 저항하도록 충분히 강성적이다.
MLC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a) 대퇴부 정맥에 쉬스(sheath) 도입기를 삽입하는 단계; (b) 안내 카테터를 대퇴부 쉬스를 통해 관상 정맥동에 결합하게 삽입하는 단계; (c) 가이드와이어를 심실 중격 안으로 횡단시키고 우심실(RV) 공동 안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단계; (d) 대퇴부 쉬스를 통해 우심실 공동에 가이드와이어 캣처(catcher)를 배치하고, 빠져나가는 가이드와이어를 잡는 단계; (e) 가이드와이어가 대퇴부 정맥의 경로(하대 정맥(IVC) - 관상 정맥동(CS) - 우심실(RV) 공동 - 우심방(RA) - 하대 정맥(IVC) - 대퇴부 정맥)를 구성하도록 가이드와이어 캣처로 가이드와이어를 대퇴부 쉬스로 밖으로 당기는 단계; (f) 가이드와이어의 근위 단부를 장력 잠금 장치로 서클라지 로프에 연결하는 단계; (g) 가이드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당겨 가이드와이어를 제자리에서 서클라지 로프로 교체하는 단계; (h)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클라지 로프 위로 대퇴부 쉬스를 통해 MLC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 (i) MLC 장치가 최적의 장력으로 있을 때 앵커를 고정하여 MLC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단계; (j) MLC 장치가 제자리에 있을 때, 심장 초음파와 같은 실시간 영상의 안내를 받으면서 장력 잠금 장치를 통해 적절한 장력을 전달하는 단계; 및 (k) 절단 장치에 의해 상기 서클라지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테터 경유 승모판 루프 분리(MLC, transcatheter mitral loop cerclage)장치는 심실 중격을 가로질러 관상 정맥동(coronary sinus)을 통해 루프를 생성하여 승모판 환절에 원주 방향 압축을 가함으로써, 간편하게 간단하게 승모판 폐쇄 부전증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청구된 주제의 특징과 이점은 이에 부합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며, 이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은 스템 부분, 제1 튜브 및 제2 튜브를 포함하는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제2 아암에 있는 힌지 부분과 스탑퍼틀 나타내는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스탑퍼의 루멘과 제1 아암의 루멘을 나타내는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아치 부분과 외층을 포함하는 서클라지 로프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아치 부분과 외층을 포함하는 서클라지 로프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6은 MLC 장치가 서클라지 로프 위에서 전진되었을 때 그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MLC 장치가 서클라지 로프 위에서 전진되었을 때 그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은 MLC 장치가 서클라지 로프 위에서 전진되었을 때 그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는 MLC 장치가 어떻게 서클라지 로프 위에서 전진되는 지를 보여주는 그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a는 풍선 쐐기 카테터를 통한 관상 정맥 조영술이 가이드와이어가 전진되는 기저 중격 천공기 관상 정맥을 식별하는 시술을 나타낸다.
도 10b는 관상 정맥으로부터 교차된 가이드와이어를 잡기 위해 타겟-포획 장치가 우심실 유출로 안으로 위치되는 시술을 나타낸다.
도 10c는 가이드와이어가 통합된 관상 동맥 보호 요소를 포함하는 인장 장치와 교환되는 시술을 나타낸다.
도 10d는 장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보호 요소가 잡힌 구부려진 관상 동맥 가지의 압박을 방지하는 시술을 나타낸다.
도 10e는 이 꼬리 좌측 전방 경사 돌출부에서 승모판 루프 서클라지 시스템이 승모판 환형 평면을 둘러싸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 시술을 나타낸다.
도 10f는 장력 잠금 장치가 좌측 쇄골하 포켓에 내장된 시술을 나타낸다.
도 11은 장력 잠금 장치가 좌측 쇄골하 포켓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장력이 느슨할 때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장력이 가해질 때 MLC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스탑퍼가 IVS의 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는 제1 아암이 승모판을 에워싸는 것을 나타낸다.
도 16은 앵커가 제1 아암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7은 앵커가 제1 아암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8은 앵커가 제1 아암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9는 앵커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앵커가 관상 정맥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1은 바람직한 정착 지점을 나타낸다.
도 22는 바람직한 다른 가능한 정착 지점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특정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단지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원위" 및 "근위"라는 용어는, 환자 안으로 도입기 쉬스(sheath)를 삽입하는 의사의 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그 몸에 "더 가까운"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는 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단어, 그의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를 포함한다.
승모판 루프 서클라지("MLC")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튜브(20) 및 제2 튜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20)는 관상 정맥동(CS)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튜브(30)는 삼첨판(TV)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튜브(20)는 근위 단부(22), 원위 단부(23) 및 확장되는 루멘(24)을 갖는다. 제2 튜브(30)는 또한 근위 단부(32), 원위 단부(33), 및 이들 사이에서 확장되는 루멘(34)을 갖는다. 제1 튜브(20) 및 제2 튜브(30)의 근위 부분은 2개의 튜브(20, 30)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되어 스템 부분(14)을 규정하고, 제1 및 제2 튜브(20, 30)의 원위 부분은 그 후에 분리되어 힌지 부분(16)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튜브(20) 및 제2 튜브(30)는 합성, 고무, 연질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질 재료 또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템 부분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LC 장치(10)는 스템 부분(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20) 및 제2 튜브(30)의 근위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원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튜브(20)와 제2 튜브(30) 사이의 부착된 부분을 스템 부분(14)이라고 정의한다. 두 개의 튜브(20, 30)가 분리되기 시작하는 부분을 힌지 부분(16)이라고 정의한다. 스템 부분(14)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스템 부분(14)의 역할은, 제1 및 제2 튜브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튜브(20)와 제2튜브(30)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힌지 부분(16)이 관상 정맥동의 오리피스에 안착되면, MCL 장치(10)가 관상 정맥동 및 삼첨판 안으로 전진하는 것이 방지된다.
힌지 부분
MLC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힌지 부분(16)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부분(16)은, 제1 튜브(20)와 제2 튜브(30)가 서로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는 부분으로 정의된다. 힌지 부분(16)은 도 12-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관상 정맥동의 오리피스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힌지 부분(16)의 역할은, 제1 및 제2 튜브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튜브(20)와 제2 튜브(30)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힌지 부분(16)이 관상 정맥동의 오리피스에 안착되면, MCL 장치(10)가 관상 정맥동 및 삼첨판 안으로 전진하는 것이 방지된다.
승모판을 위한 제1 아암
제1 튜브(20)는 근위 단부(22)와 원위 단부(23) 사이에서 연장하는 루멘(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튜브(20)의 제1 아암 부분(21)은 힌지 부분(16)으로부터 원위 단부(23)까지의 부분으로 정의된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아암 부분(21)은 합성, 고무, 연질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질 재료 또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미리 성형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제1 아암 부분은 관상 정맥동을 통해 횡단할 때 미리 형성된 형상을 유지한다. 도 12-13은 관상 정맥동을 통해 횡단하는 제1 아암 부분(21)을 나타낸다.
제1 아암 부분(21)은, 승모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관상 정맥동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력이 가해지면, 제1 아암 부분(21)은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승모판의 환절을 조이도록 구성된다.
서클라지 로프(50)가 MLC 장치(10) 안으로 삽입될 때, 제1 아암 부분(21)은 서클라지 로프(5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또한 관상 정맥동 및 그의 주변 조직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제1 아암 부분(2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환자 마다 다를 수 있다. 길이는 개별 환자의 이전 영상으로부터의 추정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삼첨판을 위한 제2 아암
제2 튜브(30)는 근위 단부(32)와 원위 단부(33) 사이에서 확장하는 루멘(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튜브(30)는, 힌지 부분(16)과 제2 튜브(30)의 원위 단부(33) 사이의 부분으로 정의되는 제2 아암 부분(31)을 포함한다.
제2 아암 부분(31)은 삼첨판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아암 부분(31)은 합성, 고무, 연질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질 재료 또는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미리 성형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제2 아암 부분은 삼첨판을 통과할 때 미리 형성된 형상을 유지한다. 제2 아암 부분(31)은 장력이 서클라지 로프(54)에 가해질 때 구부려짐에 저항하기 위해 충분히 강성적일 수 있다. 도 12-14는 삼첨판을 통과하는 제2 아암 부분(31)을 나타낸다. 제2 아암 부분(3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환자 마다 다를 수 있다. 길이는 개별 환자의 이전 영상으로부터의 추정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스탑퍼
제2 튜브(30)는 또한 스탑퍼(40)를 포함한다. 이 스탑퍼(40)는 제2 튜브(30)의 원위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탑퍼(40)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튜브(30)의 원위 단부(33)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스탑퍼(40)는 도 12-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심실 중격의 우심실 측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스탑퍼(40)는 심실 중격에 안착하여 제2 아암 부분(31)을 그의 미리 형성된 형상 및 위치를 유지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스탑퍼(40)는 또한 장력이 서클라지 로프(50)에 가해질 때 제2 아암 부분(31)을 삼첨판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부유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스탑퍼(40)는 제2 튜브(30)의 원위 단부(33)가 심실 중격 안으로 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탑퍼(40)는 서클라지 로프(50)가 루멘을 통해 횡단할 수 있는 중간부에서 루멘(4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탑퍼(41)의 크기, 형상 및 부피는 필요에 따라 환자 마다 다를 수 있지만, 제2 아암 부분(31)보다 직경이 커야 한다. 당업자는 스탑퍼(40)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디스크 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장력을 위한 서클라지 로프
도 4는 서클라지 로프(50)를 나타낸다. 이 서클라지 로프(50)는 아치 부분(51)을 포함한다. 이 아치 부분(51)은 도 4-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외층(52)으로 덮여 있다. 외층(52)은 아치 부분(51) 상에 일체적으로 코팅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층은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더 길게 코팅될 수 있고 스탑퍼(40) 쪽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아치 부분(51) 및 그의 외층(52)은, 서클라지 로프(50)에 장력이 가해질 때 관상 동맥 및 그의 주변 심장 조직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서클라지 로프(50)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 재료, 금속(즉, 스테인레스강) 또는 나일론으로 코팅된 금속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코팅 부분(52)은 생체 적합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앵커
MLC 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앵커(70)를 더 포함한다. 도 16-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앵커(70)는 바람직하게는 힌지 부분(16)에 가까운 제1 아암 부분(21)에 위치된다. 앵커(70)는 또한 제1 아암 부분(21)을 따른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1-22는 제1 아암 부분(21) 및/또는 제2 아암 부분(31)을 따른 복수의 앵커(40) 위치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앵커(40) 위치는 힌지 부분(16) 가까이에서 제1 암 부분(21)을 따라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아암 부분(21, 31) 상의 다른 가능한 앵커 위치는 정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장력이 서클라지 로프(50)에 의해 가해질 수 있을 때, 앵커(70)는 MLC 장치(10)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장치(10)가 관상 정맥동 안으로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7-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앵커(70)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 헤드(71) 및 적어도 하나의 앵커 아암(72)을 포함할 수 있다. 앵커 헤드(71)는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정착 지점 안으로 박히도록 구성된다. 정착 아암(72)은 제1 아암 부분(21) 및/또는 제2 아암 부분(31)에 단단히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앵커(70)가 제1 아암 부분 및/또는 제2 아암 부분(31)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승모판 루프 서클라지(MLC) 시술
중간 진정(n=3) 또는 전신 마취(n=2) 하에서, 19-F x 15-cm 도입기 쉬스(Oscor, Palm Harbour, Florida)가 좌측 쇄골하 정맥(페이스메이커형 포켓을 통해)과 대퇴부 정맥 둘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수술자가 올바른 사타구니에 설 수 있도록 한다. 경식도 심장초음파(TEE) 또는 경흉부 심장초음파가 각각 마취 또는 진정 하에 사용되어 장력을 상호 작용적으로 조절하여 MR을 감소시킬 수 있다. >300초의 활성화된 응고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헤파린이 투여될 수 있다.
풍선 팁 관상 정맥동 유도 카테터(Cello, Medtronic)가 좌측 쇄골하 정맥으로부터 대심장 정맥 안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가압 조영제 정맥 조영술이 수행될 수 있다. 관상 정맥동 가이드를 통해, 이중 루멘 0.014-인치 마이크로카테터(Crusade, Kaneka Medix, Osaka, Japan)가 부드러운 0.014-인치 가이드 와이어(Whisper, Abbott, Chicago, Illinois) 위에서 기저 중격 천공기 관상 정맥에 위치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뻣뻣한 팁을 갖는 0.014-인치 주변 가이드 와이어(Astato XS 20, Asahi, Japan)를 심실 중격을 횡단하여 RVOT 안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풍선 쐐기 카테터를 통한 관상 정맥 조영술은, 가이드와이어가 전진될 수 있는 기저 중격 천공기 관상 정맥(화살촉)을 식별할 수 있다.
경대퇴부 풍선 쐐기 단부 구멍 카테터가 주 삼첨판 오리피스를 가로질러 폐동맥 안으로 전진되고 그런 다음에 타겟 및 포획 시스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우심실 유출로(RVOT)에서 월스텐트/올가미 조합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RVOT 내부에 있으면, 횡단 가이드와이어가 잡혀 대퇴부 정맥을 통해 외부화될 수 있다. 도 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겟-포획 장치가, 관상 정맥으로부터 교차된 가이드와이어를 잡기 위해 RVOT 안으로 위치될 수 있다.
서클라지 로프(50)는 열수축 튜브(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Cobalt Polymers, Cloverdale, California)를 사용하여 가이드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관상 정맥동 및 심실 중격을 통해 제위치로 당겨진다. 이 가이드와이어의 원위 팁은 루프 올가미를 사용하여 대퇴부로부터 쇄골하 쉬스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는 통합된 아치 부분(51)(화살촉)을 포함하는 서클라지 로프(50)와 교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MLC 장치(10)는 서클라지 로프(50)의 2개의 자유 단부(55, 56) 위로 전진될 수 있다. 도 9는 쉬스 내부에 포함된 제1 및 제2 튜브(20, 30)의 곧게 펴진 제1 및 제2 아암 부분(21, 31)을 나타낸다. 일단 서클라지 로프(50)가 제자리에 있으면, MLC 장치(10)의 곧게 펴진 제1 및 제2 아암 부분(21, 31)은 제1 및 제2 튜브(20, 30)의 원위 단부(23, 33)로 시작하여 서클라지 로프(50)의 두 단부(55, 56) 위로 공급된다. MLC 장치(10)가 심장 내에 위치되면, 제1 및 제2 아암 부분(21, 31)은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그의 미리 형성된 형상으로 복원된다.
진단 관상동맥 조영술은 서클라지 로프(50)의 통합된 아치형 부분(51)의 정밀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0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력을 가하는 동안에, 아치 부분(51)은 잡힌 구부려진 관상동맥 가지의 압박을 방지할 수 있다.
승모판 환형 치수 및 승모판 폐쇄 부전증의 의도된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경흉부 심장초음파 또는 TEE 동안 장력이 상호 작용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도 10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꼬리 좌측 전방 경사 돌출부에서, MLC 장치(10)는 승모판 환형 평면을 둘러싸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마지막으로, 좌측 쇄골하 포켓에 장력이 잠금될 수 있고 피부 절개부가 폐쇄될 수 있다. 도 10f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력 잠금 장치(58)는 좌측 쇄골하 포켓에 내장될 수 있다.
MLC 경대퇴부 시술
MLC의 경대퇴부 시술은 또한 앞에서 언급된 시술에 추가로 실행 가능할 수 있다. 경대퇴부 시술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대퇴부 정맥 안으로 쉬스 도입기를 삽입하는 단계; (2) 안내 카테터를 대퇴부 쉬스를 통해 관상 정맥동에 결합하게 삽입하는 단계; (3) 0.014" 가이드와이어를 심실 중격 안으로 횡단시키고 우심실(RV) 공동 안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단계; (4) 대퇴부 쉬스를 통해 RV 공동에 와이어 캣처(catcher)를 배치하고 빠져나가는 가이드와이어를 잡는 단계; (5) 가이드와이어가 대퇴부 정맥의 경로(하대 정맥(IVC) - 관상 정맥동(CS) - RV 공동 - 우심방(RA) - IVC - 대퇴부 정맥)를 구성하도록 캣처로 가이드와이어를 대퇴부 쉬스로 밖으로 당기는 단계; (6) 가이드와이어의 근위 단부를 장력 잠금 시스템(58)으로 서클라지 로프(50)에 연결하는 단계; (7) 가이드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당겨 가이드와이어를 제자리에서 서클라지 로프(50)로 교체하는 단계; (8)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클라지 로프(50) 위로 대퇴부 쉬스를 통해 MLC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 (9) MLC(10)가 최적의 장력으로 있을 때 앵커(70)를 고정하여 MLC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단계; (10) MLC 장치가 제자리에 있을 때, 심장 초음파와 같은 실시간 영상의 안내를 받으면서 장력 잠금 장치(58)를 통해 적절한 장력이 전달되는 단계; (11) 특수 절단 장치에 의해 서클라지 로프(50)를 절단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은 본 발명의 개시를 완성하기 위해 제공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알리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Claims (7)

  1.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서클라지 로프(cerclage rope)를 가지며, 제1 보호 튜브와 제2 보호 튜브 각각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지며, 두 보호 튜브의 근위 부분은 두 보호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나란히 부착되어 스템(stem) 부분을 규정하고, 그 후에 두 보호 튜브의 원위 부분이 분리되어 힌지 부분을 규정하며, 조직 보호 장치는 제2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스탑퍼를 가지며, 이 스탑퍼는 제2 보호 튜브가 심장 근육 안으로 더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클라지 로프는 두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아치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보호 튜브는 상기 힌지 부분과 제1 보호 튜브의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가지며, 이 앵커는 관상 정맥동 안으로 박히고 상기 조직 보호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튜브는 관상 정맥동을 통해 삽입되어 승모판의 적어도 일부분을 에워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가 관상 정맥동을 통해 횡단할 때 그 제1 튜브가 미리 형성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도록 상기 제1 보호 튜브는 미리 형성된 형상을 갖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튜브는 삼첨판(tricuspid valve)을 통과하고 심실 중격의 우심실 측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가 삼첨판을 통해 횡단할 때 그 제2 튜브가 미리 형성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도록 상기 제2 보호 튜브는 미리 형성된 형상을 갖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튜브는 장력이 가해질 때 구부려짐에 저항하도록 충분히 강성적인, 장치.
  7. 환자의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a) 대퇴부 정맥에 쉬스(sheath) 도입기를 삽입하는 단계;
    (b) 안내 카테터를 대퇴부 쉬스를 통해 관상 정맥동에 결합하게 삽입하는 단계;
    (c) 가이드와이어를 심실 중격 안으로 횡단시키고 우심실(RV) 공동 안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단계;
    (d) 대퇴부 쉬스를 통해 우심실 공동에 가이드와이어 캣처(catcher)를 배치하고, 빠져나가는 가이드와이어를 잡는 단계;
    (e)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대퇴부 정맥의 경로(하대 정맥(IVC) - 관상 정맥동(CS) - 우심실(RV) 공동 - 우심방(RA) - 하대 정맥(IVC) - 대퇴부 정맥)를 구성하도록 가이드와이어 캣처로 가이드와이어를 대퇴부 쉬스로 밖으로 당기는 단계;
    (f) 가이드와이어의 근위 단부를 장력 잠금 장치로 서클라지 로프에 연결하는 단계;
    (g) 가이드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당겨 가이드와이어를 제자리에서 서클라지 로프로 교체하는 단계;
    (h)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클라지 로프 위로 대퇴부 쉬스를 통해 MLC 장치를 전진시키는 단계;
    (i) MLC 장치가 최적의 장력으로 있을 때 앵커를 고정하여 상기 MLC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단계;
    (j) 상기 MLC 장치가 제자리에 있을 때, 심장 초음파와 같은 실시간 영상의 안내를 받으면서 장력 잠금 장치를 통해 적절한 장력을 전달하는 단계; 및
    (k) 절단 장치에 의해 상기 서클라지 로프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의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227014376A 2019-10-03 2020-10-02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4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9929P 2019-10-03 2019-10-03
US62/909,929 2019-10-03
US202063086710P 2020-10-02 2020-10-02
PCT/IB2020/059290 WO2021064689A1 (en) 2019-10-03 2020-10-02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itral valve regurgitation
US63/086,710 2020-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920A true KR20220074920A (ko) 2022-06-03

Family

ID=7533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376A KR20220074920A (ko) 2019-10-03 2020-10-02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551089A (ko)
KR (1) KR20220074920A (ko)
WO (1) WO2021064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572A1 (en) * 2021-10-04 2023-04-13 Tau Medical, Inc. Cerclage device for treating mitral valve regurg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4485B2 (en) * 2003-02-03 2008-01-01 Cardiac Dimensions, Inc. Mitral valve device using conditioned shape memory alloy
KR101116867B1 (ko) * 2009-08-28 2012-03-06 김준홍 관상정맥동과 삼천판막의 조직보호기구, 매듭 전달 기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KR20160029548A (ko) * 2014-09-05 2016-03-15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첨판막 손상 방지용 카테터
US10583461B2 (en) 2017-07-06 2020-03-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figurable pulser circuit operable across a range of supply voltages
KR102053451B1 (ko) * 2017-11-24 2020-01-08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서클라지 심방 제세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51089A (ja) 2022-12-07
WO2021064689A1 (en)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558B2 (en) Coronary sinus mitral valve annuloplasty procedure and coronary artery and myocardial protection device
CN111163701B (zh) 包括使用磁性工具的用于重塑心脏瓣膜瓣环的递送系统和方法
US9011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mitral valve
JP2020093122A (ja) 弁膜逆流の治療のための僧帽弁インプラント
US20070265658A1 (en) Anchoring and tethering system
US8764626B2 (en) Method of treating a dilated ventricle
WO2017151292A1 (en) Transcatheter coronary sinus mitral valve annuloplasty procedure and coronary artery and myocardial protection device
JP2007535335A (ja) 弁輪の縮小システム
WO200903872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shaping heart valve annulus, including the use of magnetic tools
US998713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unctional tricuspid valve regurgitation
US11452601B2 (en) Wire annuloplasty ring
KR20220074920A (ko) 승모판 폐쇄 부전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0062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itral valve regurgitation
EP4037614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mitral valve regurgitation
WO2023059572A1 (en) Cerclage device for treating mitral valve regurgitation
CN118119351A (zh) 用于治疗二尖瓣反流的环扎装置
JP2022540108A (ja) 物体を解剖学的標的位置に導入するための医療装置
JP2024500328A (ja) 解剖学的血管壁を横断するための方法
KR20210030926A (ko) 이식 가능한 심장 판막 개선 디바이스, 시스템 및 절차
Reuter Percutaneous Mitral Valve Repair: Mitral Annuloplasty via the Coronary Sinus
Reuter 37 Percutaneous mitral valve repair: percutaneous mitral annuloplasty via the coronary sin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