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4609A -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609A
KR20220074609A KR1020200163301A KR20200163301A KR20220074609A KR 20220074609 A KR20220074609 A KR 20220074609A KR 1020200163301 A KR1020200163301 A KR 1020200163301A KR 20200163301 A KR20200163301 A KR 20200163301A KR 20220074609 A KR20220074609 A KR 20220074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ryogenic gas
storage container
pip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089B1 (ko
Inventor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20016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089B1/ko
Priority to CN202110344162.7A priority patent/CN114562674A/zh
Publication of KR2022007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1Thermal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cryogenic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45Fibres
    • F17C2203/035Glass w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14Single wall
    • F17C2203/0621Single wall with three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39Steels
    • F17C2203/0643Stainless st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6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5Bosses, e.g. boss co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2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of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3Manufacturing of particular parts or at special locations
    • F17C2209/238Filling of insu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5Facilitating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유지보수가 용이해진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는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이음부위에 결합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1 단열조립체; 및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2 단열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Insulation structure of flange joint for cryogenic gas}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저온 가스의 용기나 배관에 결합된 플랜지를 커버 및 단열해 줌으로써 플랜지 외부로 가스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기타 구조물의 해체 없이 단열조립체만 분리하여 누설 부위를 탐지 및 수리할 수 있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처럼 천연가스는 대기압에서 약 -163℃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만 액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온도에서 저장 및 이송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발에 의한 액화 가스의 손실을 낮추기 위하여 저장용기를 단열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1)는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10)와, 저장용기(1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관(20)과, 저장용기(10)의 이음부위 또는 저장용기(10)와 배관(20)의 이음부위를 연결하는 플랜지(30)와, 저장용기(10)와 배관(20)과 플랜지(30)를 커버하는 단열부재(40)와, 단열부재(40)를 커버하는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저장용기(10)의 이음부위나 배관(20)의 이음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외부의 구조물로 영향을 주지않으면서도 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커버부(50)가 저장용기(10)와, 배관(20)과, 플랜지(30)를 모두 커버하고 있는 구조여서 누수의 발생시 탐지 및 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저장용기(10)의 이음부위 또는 배관(20)의 이음부위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커팅기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부위로 추측되는 단열부재(40)와 커버부(50)의 일부를 절단해야 하는데, 외부에서는 저장용기(10)와 배관(20)의 이음부위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절단 부위를 잘못 설정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여러 번 절단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리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새로운 단열부재(40)와 커버부(50)를 마련한 후 설치해야만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9-0033827(2019.04.01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플랜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기 위한 단열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플랜지 주변에서 가스나 유체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기타 구조물의 해체 없이 단열조립체만 분리하여 수리를 진행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는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이음부위에 결합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1 단열조립체; 및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2 단열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단열부재와, 상기 제1 단열부재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단열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2 단열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버부는 원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 또는 상기 플랜지에 밀착되고, 내주면 일부가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의 양측 단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상기 제2 커버부보다 상기 플랜지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2 커버부가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었을 때 압착되며 상기 플랜지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유리섬유(Glass Woo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에는 상기 플랜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은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극저온 가스가 흐를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에는 상기 플랜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는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극저온 가스가 흐를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 및 상기 관로를 형성하는 상기 배관들의 이음부위를 긴밀히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1 단열조립체; 및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2 단열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단열부재와, 상기 제1 단열부재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단열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2 단열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의 결함으로 인해 극저온 가스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플랜지를 커버하고 있는 제2 단열조립체만 분리하여 수리를 진행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플랜지를 감싸고 있는 단열부재와 커버부를 절단하여 분리시킨 후 수리를 진행하기 때문에 절단된 부재들을 재사용할 수 없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플랜지를 감싸고 있는 제2 단열조립체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재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플랜지를 감싸고 있는 제2 단열조립체를 이용하여 플랜지의 외관을 단열 처리할 수 있으므로, 플랜지 주변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열손실로 인해 극저온 가스의 밀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극저온 가스용 저장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극저온 가스용 저장용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커버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플랜지가 관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배관의 이음부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극저온 가스용 저장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극저온 가스용 저장용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100)는 저장용기(110)와, 플랜지(120)와, 제1 단열조립체(130), 및 제2 단열조립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110)는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공간(110a)에는 -163℃의 극저온으로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 -196℃의 극저온으로 액화된 액화질소가스(LN2) 및 압축천연가스(CNG) 등과 같은 극저온 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용기(110)는 도면 상에서 종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110)의 양단부부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부에는 저장용기(110) 내부로 극저온 가스를 공급하거나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극저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공(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용기(110)는 복수의 몸체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용기(110)는 원기둥 형상의 제1 몸체(111)와, 제1 몸체(1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몸체(112) 및 제3 몸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110)의 몸체가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가공이 용이해지고, 내부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시 분해 가능하며, 압력이 집중되는 제2 몸체(112) 및 제3 몸체(113)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플랜지(120)는 저장용기(110)의 이음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20)는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 제1 몸체(111)와 제3 몸체(113)의 이음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이들을 긴밀히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 또는 제1 몸체(111)와 제3 몸체(113)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1 단열조립체(130)는 플랜지(120)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저장용기(110)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것으로서, 제1 단열부재(131)와, 제1 커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열부재(131)는 저장용기(110) 및 배관(150)의 내부로 흐르는 극저온 가스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열이 극저온 가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랜지(120)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저장용기(110)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열부재(131)는 탄성력을 갖는 유리섬유(Glass Wool)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두께로 제조되어 플랜지(120)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저장용기(110)와 배관(15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열부재(131)를 유리섬유로 설명하였으나,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과 같이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단열부재(131)가 플랜지(120)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저장용기(110)와 배관(15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플랜지(12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110)와 배관(150)의 이음부위에서 누수가 의심되는 경우, 가스 검출기를 이용하여 극저온 가스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극저온 가스의 누수 부위에 설치된 플랜지(120)를 교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와 같이 누수부위를 수리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단열부재(40)와 커버부(50)를 커팅키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1 커버부(132)는 제1 단열부재(131)의 외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132)는 내식성, 내습성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단열부재(131)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플랜지(120)가 설치된 부위를 단열 처리하지 않을 경우, 온도 차에 의해 해당 부위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열손실로 인해 극저온 가스의 밀도 변화가 일어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120)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2 단열조립체(140)를 더 구비하여 플랜지(120)를 단열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열조립체(140)는 플랜지(120)의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단열부재(141)와, 제2 커버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열부재(141)는 플랜지(12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열부재(141)는 제1 단열부재(131)와 마찬가지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열부재(141)는 유리섬유(Glass Wool) 재질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랜지(1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열부재(141)가 플랜지(12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플랜지(120) 주변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의 열기가 플랜지(12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극저온 가스의 밀도가 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2 커버부(142)는 내부에 제2 단열부재(14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4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물 없이도 탄성 재질의 제2 단열부재(141)를 압축시킨 후 수용공간(140a)에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제2 커버부(142)에 제2 단열부재(14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열부재(141)가 별도의 접착물 없이 제2 커버부(142)에 결합됨에 따라 제2 단열부재(141)의 손상이나 오염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 제2 단열부재(141)는 제2 커버부(142)보다 플랜지(120)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커버부(142)가 플랜지(120)에 결합되었을 때 압착되며 플랜지(120)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커버부(142)는 제1 커버부(132)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41)와, 제2 바디부(42), 및 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41)는 원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부(110) 또는 플랜지(120)에 밀착되고, 내주면 일부가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40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41)에 형성된 수용공간(140a) 또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수용공간(140a)에 제2 단열부재(141)가 끼워져 제2 단열조립체(14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부(42)는 제1 바디부(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바디부(41)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디부(42)가 제1 바디부(41)와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극저온 가스의 누설시 제1 바디부(41)와 제2 바디부(42)를 분리시키는 방법으로 수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결합부(43)는 제1 바디부(41)와 제2 바디부(42)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부위로서, 제1 바디부(41)의 양측 단부 및 제2 바디부(42)의 양측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43)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43a)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43)에 의하여 제1 바디부(41)와 제2 바디부(42)가 결합되는 경우, 관통공에 플랜지(120)가 위치하여 제2 단열조립체(140)와 플랜지(120)는 상호 밀착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플랜지가 관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배관의 이음부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100)는 저장용기(110)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150)은 저장용기(110)로 극저온 가스를 공급하거나 저장용기(110)에 저장된 극저온 가스의 배출시 극저온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저장용기(11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5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저장용기(110)의 연통공(110b)에 결합할 수 있다.
배관(150)은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극저온 가스가 흐를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관로를 하나의 배관(150)으로 구성하면 가스의 누설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바람직하지만 공간의 제약, 생산의 한계 등으로 인해 복수의 배관(150)들을 연결하여 관로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110)와 배관(150)의 이음부위, 및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150)들의 이음부위에는 이들을 긴밀히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용기(110)와 배관(150) 또는 배관(150)들 사이에 개스킷을 개재한 후, 한 쌍의 플랜지(120)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극저온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120)는 제2 단열조립체(140)를 통해 커버 및 단열될 수 있고, 플랜지(120)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저장용기(110)와 배관(150)의 외부는 제1 단열조립체(130)에 의하여 커버 및 단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열조립체(130) 및 제2 단열조립체(14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배관(150)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플랜지(120) 또한 제2 단열조립체(140)에 의하여 커버됨에 따라, 배관(150)의 이음부위에서 극저온 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제1 단열조립체(130)의 해체 없이 제2 단열조립체(140)만 분리하여 수리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극저온 가스의 누설시 수리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플랜지(120)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한 쌍의 플랜지(12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거나, 플랜지(120)와 저장용기(110) 또는 플랜지(120)와 배관(150) 사이에 개재된 개스킷이 노후되어 플랜지(120) 외부로 극저온 가스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가스 검출기를 이용하여 의심되는 부위의 누설 여부를 판단한다.
극저온 가스의 누설이 확인되면 작업자는 누설이 의심되는 부위에 설치된 제2 단열조립체(140)를 분리한, 후 개스킷을 교체하거나 플랜지(120)를 조여주는 등의 수리를 진행한다. 이렇게 수리가 완료된 후에는 분리된 제2 단열조립체(140)를 다시 원위치에 조립시킨다. 이때, 제2 단열조립체(140)에 구비된 제2 단열부재(141)가 누설된 극저온 가스에 의해 오염된 경우, 제2 단열조립체(140)의 수용공간(140a)으로부터 제2 단열부재(141)를 분리시켜 교체한 후 제2 단열조립체(140)를 플랜지(120)의 외관에 조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극저온 가스용 저장용기(110)의 단열 구조(100)는 플랜지(120)의 결함으로 인해 극저온 가스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플랜지(120)를 커버하고 있는 제2 단열조립체(140)만 분리하여 수리를 진행하면 되므로 요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플랜지(120)를 감싸고 있는 단열부재와 커버부를 절단하여 분리시킨 후 수리를 진행하기 때문에 절단된 부재들을 재사용할 수 없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플랜지(120)를 감싸고 있는 제2 단열조립체(140)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재사용이 가능해지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플랜지(120)를 감싸고 있는 제2 단열조립체(140)를 이용하여 플랜지(120)의 외관을 단열 처리할 수 있으므로, 플랜지(120) 주변에 성에가 발생하거나 열손실로 인해 극저온 가스의 밀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저장용기
120: 플랜지
130: 제1 단열조립체
131: 제1 단열부재
132: 제1 커버부
140: 제2 단열조립체
141: 제2 단열부재
142: 제2 커버부
150: 배관

Claims (14)

  1.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이음부위에 결합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1 단열조립체; 및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2 단열조립체;
    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단열부재와,
    상기 제1 단열부재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단열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2 단열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원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 또는 플랜지에 밀착되고, 내주면 일부가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되었을 때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양측 단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상기 제2 커버부보다 상기 플랜지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2 커버부가 상기 플랜지에 결합되었을 때 압착되며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부재는 유리섬유(Glass Wool) 재질로 형성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와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에는 상기 플랜지가 더 설치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극저온 가스가 흐를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에는 상기 플랜지가 더 설치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12. 내부에 극저온 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개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극저온 가스가 흐를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이음부위, 및 상기 관로를 형성하는 상기 배관들의 이음부위를 긴밀히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1 단열조립체; 및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커버 및 단열하는 제2 단열조립체;
    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가 배치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배관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단열부재와,
    상기 제1 단열부재의 외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조립체는,
    상기 플랜지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 단열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2 단열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KR1020200163301A 2020-11-27 2020-11-27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KR10249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01A KR102499089B1 (ko) 2020-11-27 2020-11-27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CN202110344162.7A CN114562674A (zh) 2020-11-27 2021-03-31 用于极低温气体的法兰接头的隔热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01A KR102499089B1 (ko) 2020-11-27 2020-11-27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09A true KR20220074609A (ko) 2022-06-03
KR102499089B1 KR102499089B1 (ko) 2023-02-14

Family

ID=8171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01A KR102499089B1 (ko) 2020-11-27 2020-11-27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089B1 (ko)
CN (1) CN114562674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0273A (ja) * 1985-03-01 1986-09-04 ト−ヨ−カネツ株式会社 二重殻低温タンクの工事方法
JPH09203498A (ja) * 1996-01-29 1997-08-05 Koike Medical:Kk 液化ガス容器及び人工空気の供給装置
KR100804789B1 (ko) * 2007-03-19 2008-02-20 주식회사 엔케이 저압용 액화수소 저장용기
KR101485110B1 (ko) * 2011-05-12 2015-0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의 구조
KR20170043013A (ko) * 2015-10-12 2017-04-20 (주)진성테크 선박 배관용 플랜지 커버
KR20180060574A (ko) * 2016-11-29 2018-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KR20190033827A (ko)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엔케이 극저온 가스용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 및 단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191A (ja) * 1996-10-31 1998-05-22 Dia Chem Kk 配管保温の施工方法及び保温材
KR200262897Y1 (ko) * 2001-11-13 2002-03-18 김영대 원통형 저장탱크
CN2684073Y (zh) * 2004-01-20 2005-03-09 广州市地下铁道总公司 长距离输送的冷冻水管
JP2011075081A (ja) * 2009-10-01 2011-04-14 Csc Co Ltd 配管用保温部材
CN201857036U (zh) * 2010-10-12 2011-06-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装运容器
CN206191262U (zh) * 2016-09-22 2017-05-24 茂名华粤华源气体有限公司 一种自动去杂质高强度二氧化碳充装设备
CN210069179U (zh) * 2019-06-14 2020-02-14 湖北惠源水利水电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防水施工管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0273A (ja) * 1985-03-01 1986-09-04 ト−ヨ−カネツ株式会社 二重殻低温タンクの工事方法
JPH09203498A (ja) * 1996-01-29 1997-08-05 Koike Medical:Kk 液化ガス容器及び人工空気の供給装置
KR100804789B1 (ko) * 2007-03-19 2008-02-20 주식회사 엔케이 저압용 액화수소 저장용기
KR101485110B1 (ko) * 2011-05-12 2015-0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의 구조
KR20170043013A (ko) * 2015-10-12 2017-04-20 (주)진성테크 선박 배관용 플랜지 커버
KR20180060574A (ko) * 2016-11-29 2018-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KR20190033827A (ko)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엔케이 극저온 가스용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 및 단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089B1 (ko) 2023-02-14
CN114562674A (zh)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6150B (zh) 用于密封隔热罐的气体穹顶构造
CN108413244B (zh) 用于密封隔热罐的气体圆顶结构
US20090025815A1 (en) Pipe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at Pipeline
KR20110046627A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 패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5101094B2 (ja) 冷凍媒体の輸送に使用するラインパイプ
JP7232342B2 (ja) 船舶エンジンの燃料供給用液化天然ガス輸送管
KR102111473B1 (ko) 진공 단열 배관
CN113614439B (zh) 密封热绝缘罐、转移系统、运载器及其装载或卸载的方法
CN116045114A (zh) 在低温流体的供应管线的两个部分之间的包括附加隔热腔室和流体膨胀腔室的优化连接组件
EP3798495B1 (en) Insulation device for low-temperature pipe
KR102499089B1 (ko) 극저온 가스용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구조
US7137651B2 (en) Fluid piping systems and pipe spools suitable for sub sea use
US7013935B1 (en) Fail safe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for a cryogenic liquid transport pipeline
KR20180071457A (ko) 진공 단열 배관, 그 조립체 및 제조 방법
JP2023163168A (ja) 貫通導管を備えたタンク壁
KR10168650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2304651B1 (ko) 선박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600047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595975B1 (ko) 누출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극저온 저장탱크의 가스 돔 구조
KR20220095378A (ko)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단열시스템의 고정장치
KR20220036384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9828167U (zh) 一种管道防结露结构
US20230294510A1 (en) Fuel line safety protection system
KR20130045500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단열구조
KR102084995B1 (ko) 액화가스 화물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