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811A -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811A
KR20220071811A KR1020200159378A KR20200159378A KR20220071811A KR 20220071811 A KR20220071811 A KR 20220071811A KR 1020200159378 A KR1020200159378 A KR 1020200159378A KR 20200159378 A KR20200159378 A KR 20200159378A KR 20220071811 A KR20220071811 A KR 2022007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evice
dust collector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경
박상혁
이주상
김대형
윤재현
이기형
이아영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1811A/ko
Priority to EP21898462.3A priority patent/EP4169428A4/en
Priority to CN202180068013.0A priority patent/CN116322452A/zh
Priority to PCT/KR2021/016681 priority patent/WO2022114636A1/ko
Priority to US17/532,565 priority patent/US20220160201A1/en
Publication of KR2022007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부; 상기 집진통에서 도킹 스테이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충전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를 포함하여, 팬 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를 위해,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집진된 이물질을 집집통으로부터 제거해 주어야 한다. 다만, 사용자가 이물질을 집진통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이물질이 재 비산되어 실내의 먼지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진공 청소기 및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면,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부; 상기 집진통에서 도킹 스테이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충전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 및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면서 상기 진공 청소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를 감지하는 집진통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종료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집진통은, 외력에 의해 가압 시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집진통에서 이탈되어 상기 집진통이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집진통을 개방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와 상기 집진통에서 도킹 스테이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를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흡입 장치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 및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면서 상기 진공 청소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를 감지하는 집진통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종료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통은, 외력에 의해 가압 시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집진통에서 이탈되어 상기 집진통이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집진통을 개방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의하면, 진공 청소기의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 충전뿐만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함으로써, 집진통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청소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배출 행정 중 제1 흡입 장치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집진통을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집진통을 개방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부가 집진통 도어를 가압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배출 행정 종료 시 진공 청소기의 제1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포집부의 포화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외부 상태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의 개폐 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흡입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가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포집부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 장치를 제어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 장치 및 진공 청소기의 흡입 장치 모두를 제어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포집부가 포화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집진통(15)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00)와, 진공 청소기(100)와 연결되어 집진통(15)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는, 본체(11)와,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관(20)과, 연장관(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 유닛(40)과,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통(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 흡입 장치(흡입 모터)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집진통(15)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15)은 제1 흡입 장치보다 공기 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 유닛(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필터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2)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례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필터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집진통(15)에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2)은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진공 청소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진공 청소기(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4)을 잡고, 청소기(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11)는 진공 청소기(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는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는 조작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7)에 마련된 전원버튼 등을 조작하여 진공 청소기(100)를 온/오프시키거나 흡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11)는 집진통(15)과 연장관(20) 및 흡입 유닛(40)을 연결시켜 집진통(15)으로 이물질을 가이드 하는 집진 가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가이드(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집진통(15)으로 가이드하면서 상술한 연장관(2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집진 가이드(30)는 연장관(20) 외 흡입 유닛(40)과 직접 결합되거나 보조 흡입 유닛과 같은 다른 구성들과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집진 가이드(30)와 결합시켜 청소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집진 가이드(30)에 연장관(20)의 일단이 결합되고, 연장관(20)의 타단에 흡입 유닛(40)이 연결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1)와 진공 청소기(100)가 결합(도킹)되도록 마련되는 도킹 하우징(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하우징(202)은, 집진통(15)이 안착되는 안착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00)는,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결합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200)과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0)의 집진통(15)을 안착부(281)에 결합시킴으로써, 진공 청소기(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에 거치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흡입 유닛(40)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201)의 하부에 지지 부재(20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05)는, 본체(201)의 일 측면에 연결되며, 본체(201)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 유닛(40)은 본체(201)와 바닥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본체(201) 전면에 배치되고 본체(20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204)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04)은 본체(201)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본체(201)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패널(204)이 본체(201)로부터 분리되면서 사용자는 후술할 포집부를 개방할 수 있고 포집부의 더스트 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전면에 마련되어, 도킹 스테이션(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280)의 위치 및 유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 및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15) 외에 진공 청소기(100) 전체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의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기류를 변화시켜 집진통(15)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면,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 흡입 장치(흡입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2 흡입 장치의 흡입력이 주기적으로 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면, 진공 청소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흡입 모터)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2 흡입 장치(흡입 모터)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집진통(15)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집진통(15)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행정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0)에서 집진통(15)을 분리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집진통(15)이 장착된 진공 청소기(100) 전체를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시킬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의 거치대 역할을 하면서도, 집진통(15)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가 결합되는 동안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를 충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킹 하우징(202)의 일 측에 마련되는 충전 단자(2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단자(275)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 단자(275)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도킹 스테이션(200)의 충전 단자(2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충전 단자(275)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이면, 제한이 없다.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를 충전하는 것은 뒤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청소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배출 행정 중 제1 흡입 장치의 동작에 따른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2 흡입 장치(흡입 장치)(250)를 포함하여 집진통(15)에 집진된 이물질을 집진통(15)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 장치(250)는 본체(2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를 이동 시키는 제2 흡입팬(253)과, 제2 흡입팬(253)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251)를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15)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290)는 본체(2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290)는 흡입 장치(250)보다 공기 유동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15)과 연결되는 일단과 흡입 장치(250)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흡입 장치(25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28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로(285)는, 도킹 하우징(202)과 흡입 장치(25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포집부(290)는, 흡입 유로(28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285)는, 도킹 하우징(202)과 포집부(290)를 연결함으로써, 집진통(15)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도킹 하우징(202)을 통해 포집부(290)로 흡입되도록 한다.
도킹 하우징(202)은 흡입 유로(285)와 연통되고 집진통(15) 안착되는 안착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81)는 도킹 하우징(202)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집진통(15)이 삽입되어 안착부(281)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안착될 시 집진통(15)과 도킹 스테이션(200)의 도킹이 완료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착부(281)의 내부에는 집진통(15)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안착될 시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와 도킹 스테이션(200)이 도킹된 상태를 위치 감지 센서의 출력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집진통(15) 내부에는 멀티 사이클론(18)이 배치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멀티 사이클론(18)의 하측(18a)으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1차적으로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집진부(15a)와 멀티 사이클론(18)에 의해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 집진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진부(15a)와 제2 집진부(15b)는 모두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시 외부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통(15)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시 집진통(15)에 포집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안착부(281)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진통(15)은, 도킹 스테이션(200)과 연결될 시 집진통(15)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집진통 도어(1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200)과 연결될 시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집진통 도어(19)의 일측을 가압하는 개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가이드는 안착부(281)의 내주면의 일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 가이드는 안착부(281)의 내주면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일 영역이나 내주면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리브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개방 가이드의 위치 및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집진통(15)의 안착 시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제한없이 개방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외력에 의해 가압 시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에서 이탈되어 집진통(15)이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도킹될 시 자동적으로 고정부재가 개방 가이드에 가압되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개방 가이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개방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방부재는, 위치에 따라 집진통(15)의 일 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집진통(15)이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개방부재의 위치에 따라, 집진통(15)의 결합 시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개방부재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더욱이,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 도어(19)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구동부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마련되는 경우, 도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집진통 도어(19)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흡입 유로(285)는 도킹 하우징(202)에서부터 본체(201)를 관통하여 흡입 장치(25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유로(285)는 흡입 장치(250)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의 흐름을 집진통(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 흡입 장치(250)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 기류가 흡입 유로(285)를 통해 포집부(290) 및 안착부(281)를 따라 집진통(15) 내부로 전달되고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 내부의 이물질이 기류의 흐름에 따라 집진통(15)에서 안착부(281)로 배출된 후 흡입 유로(285)를 통해 포집부(290)에 포집될 수 있다.
포집부(290)는 포집부 하우징(291)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하우징(29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포집부 하우징(291)은, 흡입 유로(285)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한다.
포집부(290)는 포집부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커버는 포집부 하우징(29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 커버는 패널(204)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집부(29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포집부 하우징(291)을 개폐할 수 있다.
포집부(290)는 포집부 하우징(29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흡입 유로(285)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더스트 백(29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스트 백(293)은 공기는 투과되고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어 집진통(15)에서부터 포집부(29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
더스트 백(293)은 흡입 유로(285)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더스트 백(293)은 포집부(29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이 구동되어 더스트 백(293)에 이물질이 포집될 시 사용자는 패널(204)을 분리하고 포집부 커버(292)를 개방하여 더스트 백(293)을 포집부(290)와 분리하고 도킹 스테이션(200)에서 포집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흡입 장치(250)는, 제2 흡입팬(253)과 제2 흡입팬(253)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251)를 포함하고, 제2 흡입팬(253)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 장치 하우징(20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장치 하우징(206)은 본체(201)에 배치되고 흡입 장치(250)의 내부를 개폐하는 흡입 장치 커버(207)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장치 커버(207)는 제2 흡입팬(25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흡입팬(253)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장치 하우징(206)의 내부 공간에서 흡입 유로(285)를 통하여 포집부(290)를 거쳐 집진통(15)으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흡입 장치(250)는, 제2 흡입팬(253)을 회전시킴으로써,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흡입팬(253)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집진통(15)에서 포집부(290)를 거쳐 도킹 스테이션(20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 장치(250)는, 제2 흡입팬(253)을 회전시킴으로써, 진공 청소기(100)의 필터 하우징(12)에 마련된 토출구(13)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 장치(250)는, 제2 흡입팬(253)을 회전시킴으로써, 진공 청소기(100)의 흡입 유닛(40)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흡입 유닛(40)으로 흡입된 공기가 연장관(20), 집진 가이드(30) 및 집진통(15)을 거쳐 흡입 장치 커버(207)를 통해 외부로 다시 토출될 수 있다.
이처럼, 도킹 스테이션(200)에서는 진공 청소기(100) 전체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외에도, 필터 하우징(12), 연장관(20), 집진 가이드(30) 및 흡입 유닛(40)에 잔존하는 이물질 역시 제거될 수 있다.
이 때, 제2 모터(251)가 지속적으로 온이 됨에 따라 동일한 흡입 기류가 집진통(15)에 공급되는 경우, 이물질 중 일부는 집진통(15)의 내부 구성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집진통(15) 내부 구성에 걸려, 흡입 기류에도 불구하고,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집진통(15) 내부에 잔존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 기류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이물질은 흡입 기류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 내부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2 흡입 장치(250)에 의해 집진통(15)에 흡입 기류가 공급되어 집진통(15)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동안, 흡입 기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함으로써, 집진통(15)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동안,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청소기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진공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 역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진공 청소기(100) 및 도킹 스테이션(200) 각각은, 상호 통신을 통하여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중에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청소기(10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동안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흡입 장치(150)는, 진공 청소기(100)의 본체(11) 내부에 마련되며, 제1 모터(151)와 제1 모터(15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흡입팬(153)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팬(153)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집진통(15)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2 흡입팬(253)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와 진행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즉, 제2 흡입팬(253)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하여, 제1 흡입팬(153)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팬(153)은, 제2 흡입팬(253)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제2 흡입팬(253)과 교번하여 동작하거나, 제2 흡입팬(253)이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상태에서 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집진통(15)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은, 제2 흡입팬(253)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흡입 유로(285)에 마련된 포집부(29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2 흡입 장치(250)를 동시에 제어하여,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함에 따라, 연장관(20), 집진 가이드(30) 및 흡입 유닛(40)에 잔존하는 이물질 역시 집진통(15) 내부로 모아질 수 있다.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제2 흡입 장치(250)(제2 모터(251))가 동작하는 동안, 제1 흡입 장치(150)(제1 모터(151))가 동작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입력부재 및 개방부재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재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집진통(15)은, 도킹 스테이션(200)과 연결될 시 집진통(15)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집진통 도어(1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200)과 연결될 시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집진통 도어(19)의 일측을 가압하는 개방 가이드(28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가이드(282)는 안착부(281)의 내주면의 일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집진통(15) 하단의 일 측에 배치되고, 집진통 도어(19)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9a)를 지지하여,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의 하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는, 외력에 의해 가압 시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에서 이탈되어 집진통(15)이 개방되도록 한다.
고정부재(21)는 결합돌기(19a)와 후크 결합되어 결합돌기(19a)가 집진통(15)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21)는 외력에 의해 가압될 시 회동되어 결합돌기(19a)와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푸시부(21a)와, 푸시부(21a)와 연동되고 결합돌기(19a)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는 푸시부(21a)에 의해 고정부재(21)가 가압되지 않을 시 후크부(21b)와 결합돌기(19a)가 후크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21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c)는 후크부(21b)가 결합돌기(19a) 방향으로 가압되어 후크 결합이 유지되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탄성부재(21c)가 바이어스되는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이 푸시부(21a)에 가압될 시 후크부(21b)는 푸시부(21a)와 연동되어 회동되고 후크부(21b)와 결합돌기(19a)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에서 이탈되어 집진통(15)이 개방될 수 있다.
푸시부(21a) 집진통(15)의 중심축의 반경 방향으로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도킹될 시 자동적으로 고정부재(21)가 개방 가이드(282)에 가압되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가이드(28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개방부재(28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방부재(283)는, 위치에 따라 집진통(15)의 일 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집진통(15)이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U)의 입력에 따른 개방부재(283)의 위치에 따라, 집진통(15)의 결합 시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방부재(283)는 상향으로 갈수록 본체(201)의 중심으로부터 외각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입력부는, 실시예에 따라, 개방 가이드(282)에 마련되는 개방부재(283)와 연결된 입력부재(235) 및 입력부재(23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 압전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재(235)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방부재(283)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U)는 입력부재(235)를 통하여 개방부재(283)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집진통(15)의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되게 하거나, 집진통(15)의 집진통 도어(19)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재(23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가이드(282)에 마련되는 개방부재(283)와 연결되는 일단과, 본체(201)의 상측으로 돌출된 타단을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재(235)의 위치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부재(283)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개방부재(283)는, 이동을 통하여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를 가압하는 제1 위치(도 6)에 위치하거나,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와 이격되는 제2 위치(도 7)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재(235)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입력부재(235)와 연결된 개방부재(283) 역시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부재(283)는, 고정부재(21)의 푸시부(21a)와 이격되어 푸시부(21a)를 가압하지 않아,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재(235)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입력부재(235)와 연결된 개방부재(283) 역시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부재(283)는, 고정부재(21)의 푸시부(21a)를 가압하여,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되도록 한다.
즉, 개방부재(283)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 장치(1)는, 입력부재(235)의 위치에 기초하여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될 것으로 판단하고,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면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개방부재(283)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는 개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개방부재(283)가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 장치(1)는, 입력부재(235)의 위치에 기초하여 개방부재(283)가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에 집진통 도어(19)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구동부가 마련되는 경우, 도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개방부재(283)의 위치와 무관하게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부(260)가 집진통 도어(19)를 가압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배출 행정 종료 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의 개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조작부(17), 도킹 스테이션(200)의 입력부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의 이물질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거나, 포집부(290)가 포화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할 수 있다.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 도어(19)를 가압할 수 있는 도어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어 구동부(260)를 포함하는 경우,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을 폐쇄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60)는, 집진통 도어(19)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구동부(260)는, 안착부(28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집진통(15)으로부터 이탈된 집진통 도어(19)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263)와 가압부재(263)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엑추에이터(2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60)는, 배출 행정이 종료된 경우 엑추에이터(261)를 동작시켜 가압부재(263)를 연장시킴으로써, 집진통 도어(19)가 닫히도록 한다. 즉, 도어 구동부(260)는, 배출 행정이 종료되는 경우, 가압부재(263)를 연장하도록 엑추에이터(261)를 제어한다. 이때, 가압부재(263)는, 엑추에이터(261)에 의해 연장되어,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263)는, 엑추에이터(261)에 의해 연장되어, 집진통 도어(19)의 결합돌기(19a)가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와 후크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의 하단에 결합되어, 집진통(15)이 폐쇄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이 종료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로부터 도어 구동부(26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어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가압부재(263)가 단축되도록 엑추에이터(261)를 제어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고정부재(21)가 개방 가이드(282)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가압부재(263)가 단축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 구동부(260)는, 가압부재(263)를 연장하거나 단축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다만, 도어 구동부(260)의 구현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추에이터(261)의 동작에 따라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어 구동부(260)는 집진통 도어(19)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자성체의 위치를 벽여하도록 엑추에이터(261)를 제어하여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도 있다.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행정 종료 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를 고속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강력한 흡입 기류를 집진통 도어(19)로 공급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청소기(100)는,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흡입 장치(150) 고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1 흡입 장치(150)의 고속 회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의 고속 회전으로 유발되는 강력한 흡입 기류는, 집진통 도어(19)가 닫히도록 하여 집진통(15)의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즉, 제1 흡입 장치(150)는, 배출 행정이 종료되는 경우, 고속 회전하여 강력한 흡입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흡입 장치(150)는, 고속 회전하여 강력한 흡입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의 결합돌기(19a)가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와 후크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의 하단에 결합되어, 집진통(15)이 폐쇄될 수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도어 구동부(260) 또는 제 1 흡입 장치(150)를 이용하여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가 닫혀 집진통(15)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집진통 도어(19)가 닫힌 상태를 제공받음으로써,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진공 청소기(100)를 청소에 투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청소 장치(1)가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청소 장치(1)가 포집부(290)의 포화를 알리는 경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이 포집부(290)의 포화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포집부 센서(215)의 출력에 기초하여 포집부(290)의 포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되지 않은 경우 제1 광(예: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제2 광(예: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의 더스트 백(293)이 교체될 때까지 제2 광(예: 적색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포집부 센서(215)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유로(285)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 센서(29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 하우징(291)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 기류의 압력 측정을 위한 위치이면, 포집부 센서(215)의 위치에는 한정이 없으며, 흡입 장치 하우징(206)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집부 센서(215)는, 포집부(290)가 포화되어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 기류를 방해하는 경우, 정상 동작 시와 상이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 센서(215)가 정상 동작과 상이한 압력을 출력하는 경우, 포집부(290)가 포화됨을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포집부 센서(215)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집부 하우징(291)에 마련되어 포집부(290)의 포화를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 또는 카메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80)는, 안착부(281)에 마련되어 안착부(281) 내부에서 집진통(15)으로 광을 조사하는 내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되지 않은 경우 제1 광(예: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제2 광(예: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의 더스트 백(293)이 교체될 때까지 제2 광(예: 적색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청소 장치(1)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킹 스테이션(200)에 연결된 집진통(15)에 흡입 기류를 변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구성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110)와, 집진통(15)의 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는 집진통 센서(120)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30)와,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 행정이나 집진통(15)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행정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40)와, 흡입 기류를 제공하는 제1 흡입 장치(150)와, 배터리(16)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100)의 각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진공 청소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구성 외의 구성(예: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예: flash memory, RAM, HDD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 센서(11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 센서(110)는, 집진통(15)의 일 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결합되지 않는 경우의 출력과는 다른 출력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110)는, 적외선 센서, 압전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집진통(15)의 결합 여부에 따라 출력 값을 달리할 수 있는 센서이면 제한없이 위치 감지 센서(110)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센서(120)는, 집진통(15)의 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진통 센서(120)는, 집진통(15)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 초음파 센서, 압력 센서 등으로 마련되어 집진통(15)의 포화도에 따라 상이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집진통 센서(120)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센서, 홀센서 등 집진통(15)의 포화도로 인한 제1 모터(151)의 동작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집진통 센서(120)의 위치 및 유형에는 제한이 없으며, 집진통(15)의 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200) 및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기 공지된 유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출 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하면서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제어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흡입 장치(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모터(151)와, 제1 모터(15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는 제1 흡입팬(1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실시예를 우선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청소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1 흡입 장치(150)가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제어하고, 제2 흡입 장치(250)가 온이 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가 서로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 및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흡입 장치(150)가 온이 되도록 제어하고, 제2 흡입 장치(250)가 온오프를 반복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1 흡입 장치(150) 및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라도 배출 행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집진통 센서(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도킹 스테이션(200)의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행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조작부(17)를 통하여 배출 명령을 입력받거나, 통신부(1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입력 받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흡입 장치(250)는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의 이물질이 우선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온이 되는 동안 제1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2 흡입 장치(250)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동안 제1 흡입 장치(150)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제1 흡입 장치(150)를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과, 제1 흡입 장치(150)의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팬(253)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흡입팬(153)을 동작함으로써,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제2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흡입 장치(150)가 지속적으로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흡입 장치(150)는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 없이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과 집진통 도어(19) 사이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이 다시 집진통(15)으로 흡입될 수 있어, 집진통(15)과 집진통 도어(19) 사이의 실링을 완전히 하여 청소 행정 시의 흡입력을 보장하고, 집진통(15)과 집진통 도어(19) 사이의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배출 행정이 종료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의 제1 흡입팬(153)이 고속 회전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배출 행정의 개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조작부(17)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강력한 흡입 기류를 형성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로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배출 행정의 종료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배출 행정의 종료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강력한 흡입 기류를 형성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로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집진통 도어(19)가 닫힌 상태를 제공받음으로써,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진공 청소기(100)를 청소에 투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제1 흡입 장치(150)의 제1 흡입팬(153)이 제2 흡입 장치(250)에 의한 흡입 기류에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1 흡입팬(153)의 회전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로 배터리(16)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흡입 장치(15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2 흡입 장치(250)에 의해 유도된 흡입 기류로 제1 흡입 장치(150)가 전력 공급에 의할 때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에서 유도되는 전류를 배터리(16)로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6)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는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터리(16)를 완충하기 위한 전력을 진공 청소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배터리(16)의 충전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충전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배출 행정이 수행되어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중에는 배터리(16)가 충전되지 않으며, 배출 행정이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16)가 충전되도록 충전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흡입 장치(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51)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1 모터(151)의 동작에 따라 제1 흡입팬(153)이 회전함으로써, 흡입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6)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부(16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안착되어 도킹 스테이션(200)의 충전 단자(275)와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16)를 충전하도록 충전 단자(275)와 배터리(16)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충전부(160)는,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배출 행정 동안에는 배터리(16)로부터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배터리(16)와 제1 흡입 장치(150)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은, 각종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210)와,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230)와, 배출 행정을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는 제2 흡입 장치(250)와, 집진통(15)의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도어 구동부(260)와,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270)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도킹 스테이션(200)의 각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도12에 도시된 구성 외의 구성(예: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예: flash memory, RAM, HDD 등))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는, 각종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21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 센서(211)와, 집진통(15)의 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는 집진통 센서(213)와, 포집부(290)의 포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포집부 센서(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 센서(21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 센서(211)는, 집진통(15)이 연결되는 안착부(281)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연결되는 경우 집진통(15)이 안착부(281)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출력과는 다른 출력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211)는, 적외선 센서, 압전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집진통(15)의 안착부(281)에의 결합 여부에 따라 출력 값을 달리할 수 있는 센서이면 제한없이 위치 감지 센서(221)로 이용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211)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충전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통 센서(213)는, 집진통(15)의 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진통 센서(213)는, 안착부(28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마련되어 집진통(15)의 포화도에 따라 상이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집진통 센서(213)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센서, 홀센서 등 집진통(15)의 포화도로 인한 제2 모터(251)의 동작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집진통 센서(213)의 위치 및 유형에는 제한이 없으며, 집진통(15)의 포화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 센서(215)는, 포집부(290)의 포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 센서(215)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포집부(290)가 포화되어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 기류를 방해하는 경우, 정상 동작과 상이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40)는, 포집부 센서(215)가 정상 동작과 상이한 압력을 출력하는 경우, 포집부(290)가 포화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포집부 센서(215)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 센서 또는 카메라 등 포집부(290)의 포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2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진공 청소기(100) 및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20)는, 기 공지된 유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230)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본체(201)에 마련될 수 있으며, 물리 버튼, 스위치, 노브,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30)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 또는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입력부(230)의 위치 및 유형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배출 행정에 대한 동작 명령 또는 정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30)는, 실시예에 따라, 개방 가이드(282)에 마련되는 개방부재(283)와 연결된 입력부재(235)와 입력부재(23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 압전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재(235)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방부재(283)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U)는 입력부재(235)를 통하여 개방부재(283)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집진통(15)의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되게 하거나, 집진통(15)의 집진통 도어(19)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재(235)는, 개방 가이드(282)에 마련되는 개방부재(283)와 연결되는 일단과, 본체(201)의 상측으로 돌출된 타단을 포함하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U)는, 입력부재(235)를 통한 입력으로, 개방부재(283)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배출 행정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는 입력부재(235)의 위치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부재(283)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개방부재(283)는, 이동을 통하여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를 가압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거나,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와 이격되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개방부재(283)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재(283)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는 개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U)의 입력에 따라 개방부재(283)가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도킹 스테이션(200)에 진공 청소기(100)가 결합되면 즉,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집진통(15)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출 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제2 흡입 장치(250)만을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를 모두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제2 흡입 장치(250)만을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과,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를 모두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면서 진공 청소기(100)으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함으로써,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흡입 장치(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모터(251)와, 제2 모터(25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는 제2 흡입팬(25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한편, 진공 청소기(100)으로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온이 되도록 제어하고, 제1 흡입 장치(1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가 서로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하도록 통신부(220) 및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제1 흡입 장치(150)가 온이 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면, 제2 흡입 장치(250)를 단독으로 동작시키거나,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를 모두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통신부(220) 및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라도 배출 행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집진통 센서(213)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진공 청소기(100)의 집진통 센서(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행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입력부(2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30)가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재(235)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입력부재(235)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 개방부재(283)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는 위치(집진통(15)의 고정부재(21)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0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진공 청소기(100)로부터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팬(253)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흡입팬(153)을 동작하여,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거나, 진공 청소기(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도킹 스테이션(200)이 도어 구동부(260)를 포함하는 경우,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을 폐쇄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60)는, 집진통 도어(19)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구동부(260)는, 안착부(28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집진통(15)으로부터 이탈되어 집진통 도어(19)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263)와 가압부재(263)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엑추에이터(2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26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배출 행정이 종료된 경우 엑추에이터(261)를 동작시켜 가압부재(263)를 연장시킴으로써, 집진통 도어(19)가 닫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어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가압부재(263)가 단축되도록 엑추에이터(261)를 제어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고정부재(21)가 개방 가이드(282)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가압부재(263)가 단축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배출 행정 종료 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의 고속 회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의 고속 회전으로 유발되는 강력한 흡입 기류는, 집진통 도어(19)가 닫히도록 하여 집진통(15)의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도어 구동부(260) 또는 제 1 흡입 장치(150)를 이용하여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가 닫혀 집진통(15)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집진통 도어(19)가 닫힌 상태를 제공받음으로써,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진공 청소기(100)를 청소에 투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면, 배터리(16)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충전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충전부(27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와 접촉할 수 있는 충전 단자(27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 단자(275)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시 배터리(1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시 집진통(15)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을 하지 않고 집진통(15)에 집진된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 행정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충전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충전부(270)의 충전 단자(275)와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접촉하여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충전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충전부(270)의 부하 변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포집부 센서(215)의 출력에 기초하여 포집부(290)의 포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포집부(290)가 포화되지 않은 경우 제1 광(예: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제2 광(예: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의 더스트 백(293)이 교체될 때까지 제2 광(예: 적색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80)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80)는,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20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킹 스테이션(200) 외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80)는, 안착부(281)에 마련되어 안착부(281) 내부에서 집진통(15)으로 광을 조사하는 내부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포집부(290)가 포화되지 않은 경우 제1 광(예: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제2 광(예: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의 더스트 백(293)이 교체될 때까지 제2 광(예: 적색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280)의 위치 및 유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 및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포집부 센서(215)의 출력에 기초하여 포집부(290)의 포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되는 경우, 알림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하는 동작 또는 알림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포집부(290)의 포화를 알릴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진공 청소기(100) 및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어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청소 장치(1)가 집진통(15)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외부 상태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조건 없이 배출 행정 및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충전부(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다만,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여러 정보에 기초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 명령이 입력되거나,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1 설정값) 이상인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수신하거나, 진공 청소기(100)의 조작부(17) 또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입력부(230)를 통하여 사용자(U)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청소기(10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통신부(22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입력 받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입력부(2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30)가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재(235)를 포함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입력부재(235)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 개방부재(283)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는 위치(집진통(15)의 고정부재(21)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100)의 집진통 센서(120) 또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집진통 센서(213)를 통하여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집진통(15)의 포화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배출이 필요한 경우에만,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청소기(100)는, 집진통 센서(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도킹 스테이션(200)의 집진통 센서(213)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행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 센서(213)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은,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된 진공 청소기(100)의 집진통 센서(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행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 수행 중이더라도,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1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지 않고,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에 대한 충전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라도 배출 행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배출 행정 또는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외부 상태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수행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의 개폐 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흡입 장치(150, 250)로의 전력 공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하고,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되면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도, 집진통(15)의 포화도 또는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하여 배출 행정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집진통 도어(19)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한 후 배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시간 경과 전이라도,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처럼,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의 개시와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출 행정 수행 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2 흡입 장치(250)가 지속적으로 온이 됨에 따라 동일한 흡입 기류가 집진통(15)에 공급되는 경우, 이물질 중 일부는 집진통(15)의 내부 구성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집진통(15) 내부 구성에 걸려, 흡입 기류에도 불구하고,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집진통(15) 내부에 잔존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 기류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이물질은 흡입 기류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 내부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에 따른 흡입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제2 흡입 장치(250)만을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과,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을 공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고전력을 공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저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에 따른 흡입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동작시킴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장치(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2 흡입 장치(250)가 온이 되고, 제1 흡입 장치(1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행정이 개시되는 경우, 제2 흡입 장치(250)에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1 흡입 장치(150)에는 전력이 주기적으로 변경되면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하는 것과,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가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공 청소기(100)는, 일정 시간 동안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을 공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가 주기적으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공 청소기(100)는, 일정 시간 동안 제1 흡입 장치(150)로 고전력을 공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1 흡입 장치(150)로 저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 공급을 개시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청소기(100)는,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때 진공 청소기(100)는,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한편,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행정이 개시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에는 전력이 교번하여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입 장치(1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제2 흡입 장치(250)에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1 흡입 장치(150)에 공급되는 전력 보다 낮은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흡입 장치(25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에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2 흡입 장치(250)에 공급되는 전력보다 낮은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가 제2 흡입 장치(250)와 교번하여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청소기(100)는,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때 진공 청소기(100)는,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한편, 제2 흡입 장치(250)가 제1 흡입 장치(150)와 교번하여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제1 흡입 장치(150)가 온이 되고,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흡입력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행정이 개시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에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2 흡입 장치(250)에 공급되는 전력이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과,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가 온이 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청소기(100)는,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때 진공 청소기(100)는,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동안,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되도록 진공 청소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 역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진공 청소기(100) 및 도킹 스테이션(200) 각각은, 상호 통신을 통하여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흡입 장치(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집진통(15)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2 흡입 장치(2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와 진행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즉, 제2 흡입 장치(2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하여, 제1 흡입 장치(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흡입 장치(150)는, 제1 흡입팬(153)을 회전시킴으로써, 집진통(15)에서 필터 하우징(12)에 마련된 토출구(13)를 향하는 흡입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 장치(150)는,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동작함으로써,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집진통(15)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은, 제2 흡입 장치(250)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흡입 유로(285)에 마련된 포집부(29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 장치(250)가 온된 상태에서 제1 흡입 장치(1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하거나, 제1 흡입 장치(150)와 제2 흡입 장치(250)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하거나, 제1 흡입 장치(150)가 온된 상태에서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함에 따라, 연장관(20), 집진 가이드(30) 및 흡입 유닛(40)에 잔존하는 이물질 역시 집진통(15) 내부로 모아질 수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보관 또는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도킹 스테이션(200)을 이용하여 집진통(15)에 집진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집진통(15)의 분리 없이 진공 청소기(100) 전체를 도킹 스테이션(200)에 거치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집진통(15)에 집진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고,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의 제2 흡입 장치(25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를 변화시켜 집진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장치(1)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행정 종료 시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을 공급하여 강력한 흡입 기류를 집진통 도어(19)로 공급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청소기(100)는,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흡입 장치(150) 고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청소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제1 흡입 장치(150)의 고속 회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도록 고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흡입 장치(150)의 고속 회전으로 유발되는 강력한 흡입 기류는, 집진통 도어(19)가 닫히도록 하여 집진통(15)의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즉, 제1 흡입 장치(150)는, 배출 행정이 종료되는 경우, 고속 회전하여 강력한 흡입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흡입 장치(150)는, 고속 회전하여 강력한 흡입 기류를 생성함으로써, 집진통 도어(19)의 결합돌기(19a)가 집진통(15)의 고정부재(21)와 후크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의 하단에 결합되어, 집진통(15)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를 폐쇄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이 종료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200)은, 진공 청소기(100)로부터 도어 구동부(26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청소 장치(1)는, 도어 구동부(260) 또는 제 1 흡입 장치(150)를 이용하여 배출 행정 종료 시 집진통 도어(19)가 닫혀 집진통(15)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00)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집진통 도어(19)가 닫힌 상태를 제공받음으로써,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진공 청소기(100)를 청소에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기류를 변칙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제1 흡입 장치(150) 또는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기 전, 미리 설정된 시간(Ta1) 동안 제2 흡입 장치(250)가 지속적으로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흡입 장치(250)는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a1) 동안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의 이물질이 우선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Ta1) 동안 제2 흡입 장치(250)가 지속적으로 온 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a1)이 경과한 후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가 제공되는 시간(Ta2) 동안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흡입 장치(250)가 온된 상태에서 제1 흡입 장치(1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제1 흡입 장치(150)가 온된 상태에서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제2 흡입 장치(250)만이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기류를 변칙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제1 흡입 장치(150) 또는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한 이후,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Ta3) 동안 제1 흡입 장치(150)가 지속적으로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과 집진통 도어(19) 사이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이 다시 집진통(15)으로 흡입될 수 있어, 집진통(15)과 집진통 도어(19) 사이의 실링을 완전히 하여 청소 행정 시의 흡입력을 보장하고, 집진통(15)과 집진통 도어(19) 사이의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Ta3) 동안 제1 흡입 장치(150)가 지속적으로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진공 청소기(100)의 배터리(16)를 충전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는 경우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를 도킹 스테이션(200)의 통신부(22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200)의 충전부(270)는, 배터리(16)를 완충하기 위한 전력을 진공 청소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배터리(16)의 충전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충전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배출 행정이 수행되어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중에는 배터리(16)가 충전되지 않으며, 배출 행정이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16)가 충전되도록 충전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부(160)는,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안착되어 도킹 스테이션(200)의 충전 단자(275)와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16)를 충전하도록 충전 단자(275)와 배터리(16)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161)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충전부(160)는, 제1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배출 행정 동안에는 배터리(16)로부터 제1 흡입 장치(15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스위치(161)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배터리(16)와 제1 흡입 장치(150)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163)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200)이 포집부(290)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하는 것 외에, 포집부(290)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2100)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290)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21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되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포집부(190)의 더스트 백(193)에 대한 교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 장치를 제어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2210의 예),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하고(2200),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2230).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고,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제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도, 집진통(15)의 포화도 또는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하여 배출 행정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집진통 도어(19)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때,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에 따른 흡입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200)은,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없이 제2 흡입 장치(250)만을 동작시켜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 장치(2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과,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온오프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을 공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가 주기적으로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킹 스테이션(200)은,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고전력을 공급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제2 흡입 장치(250)로 저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2240의 예),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2250).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한 후 배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시간 경과 전이라도,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도킹 스테이션(200)의 흡입 장치(250) 및 진공 청소기(100)의 흡입 장치(150) 모두를 제어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2310의 예),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70)를 제어하고(2320),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고(2330), 배출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청소기 흡입 장치(150)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2340).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고,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제공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의 동작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충전부(270)에 진공 청소기(100)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도, 집진통(15)의 포화도 또는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하여 배출 행정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집진통 도어(19)는, 실시예에 따라,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200)은,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청소 장치(1)는, 제2 흡입 장치(250)의 동작에 따른 흡입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1 흡입 장치(150)를 동작시킴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2 흡입 장치(250)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제1 흡입 장치(150) 및 제2 흡입 장치(250)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제2 흡입 장치(250)를 제어하는 한편, 제1 흡입 장치(150)가 제2 흡입 장치(250)와 교번하여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2350의 예), 집진통 도어(19)가 폐쇄되도록 도어 구동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2360).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배출 행정을 개시한 후 배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시간 경과 전이라도,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실시예에 따라,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진공 청소기(100)의 제1 흡입 장치(150)가 고속 회전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진공 청소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배출 행정을 종료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배출 행정을 개시하고(2410),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경과 시(2420의 예), 배출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2460). 즉, 청소 장치(1)는,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청소 장치(1)는,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2420의 아니오), 진공 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2430의 예) 사용자로부터 배출 행정에 대한 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2440의 예), 또는 집진통(15)의 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도(2450의 예), 배출 행정을 종료할 수 있다(2460).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포집부(290)가 포화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되는 경우(2510의 예),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2520).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포집부 센서(215)의 출력에 기초하여 포집부(290)의 포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되지 않은 경우 제1 광(예: 청색광)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00)은,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제2 광(예: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290)의 더스트 백(293)이 교체될 때까지 제2 광(예: 적색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되는 경우(2510의 예), 포집부(290) 포화의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2530).
즉,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290)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1300)를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은, 포집부(290)의 포화에 대한 알림 정보(1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 장치(1)는, 포집부(290)가 포화되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포집부(190)의 더스트 백(193)에 대한 교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청소 장치 100: 진공 청소기
110: 위치 감지 센서 120: 집진통 센서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제1 흡입 장치 151: 제1 모터
153: 제1 흡입팬 200: 도킹 스테이션
210: 센싱부 211: 위치 감지 센서
213: 집진통 센서 215: 포집부 센서
220: 통신부 230: 입력부
240: 제어부 250: 제2 흡입 장치
251: 제2 모터 253: 제2 흡입팬
260: 도어 구동부 270: 충전부
280: 디스플레이부

Claims (30)

  1.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부;
    상기 집진통에서 도킹 스테이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충전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 및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면서 상기 진공 청소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를 감지하는 집진통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종료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외력에 의해 가압 시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집진통에서 이탈되어 상기 집진통이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집진통을 개방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15.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진공 청소기가 결합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부와 상기 집진통에서 도킹 스테이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를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여 배출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배출 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온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회전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 종료 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의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흡입 장치가 흡입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동안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진공 청소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출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흡입 장치 및 상기 청소기 흡입 장치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면서 상기 진공 청소기로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를 감지하는 집진통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의 포화도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종료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출 행정의 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은,
    외력에 의해 가압 시 상기 집진통 도어가 상기 집진통에서 이탈되어 상기 집진통이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집진통을 개방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진공 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배출 행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 도어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20200159378A 2020-11-24 2020-11-2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1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378A KR20220071811A (ko) 2020-11-24 2020-11-2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1898462.3A EP4169428A4 (en) 2020-11-24 2021-11-15 CLEANING APPARATUS COMPRIS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2180068013.0A CN116322452A (zh) 2020-11-24 2021-11-15 包括真空清洁器和扩展坞的清洁设备及其控制方法
PCT/KR2021/016681 WO2022114636A1 (ko) 2020-11-24 2021-11-15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532,565 US20220160201A1 (en) 2020-11-24 2021-11-22 Cleaning device includ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378A KR20220071811A (ko) 2020-11-24 2020-11-2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811A true KR20220071811A (ko) 2022-05-31

Family

ID=8175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378A KR20220071811A (ko) 2020-11-24 2020-11-2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71811A (ko)
WO (1) WO2022114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95A1 (ko) * 2022-07-08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역기전력에 의해 배터리 구동 청소기 본체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무선 청소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8618B2 (ja) * 2016-04-14 2020-02-14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JP7054611B2 (ja) * 2017-06-22 2022-04-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US11039725B2 (en) * 2018-09-05 2021-06-22 Irobot Corporation Interface for robot cleaner evacuation
KR20200073975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N116250762A (zh) * 2019-05-01 2023-06-13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真空清洁器以及与真空清洁器一起使用的对接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95A1 (ko) * 2022-07-08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역기전력에 의해 배터리 구동 청소기 본체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무선 청소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636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393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2489657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37573B2 (en) Cleaning apparatus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4169428A1 (en)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03543A (ko)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JP2018500998A (ja) 排出ステーション
EP2692271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220071811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1810A (ko) 로봇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350755B2 (ja) 電気掃除機
JP2011183100A (ja) 電気掃除機
JP5620131B2 (ja) 電気掃除機
WO2022201586A1 (ja) 掃除システム
CN115778235B (zh) 具有真空清洁器和对接站的清洁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5131136A (ja) 電気掃除機
WO2023021733A1 (ja) 掃除機から塵埃を回収する回収装置及び回収装置に接続可能な掃除機
WO2023058277A1 (ja) 掃除機から塵埃を回収する回収装置及び回収装置に接続される掃除機
KR20230054122A (ko)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32111A (ja) 電気掃除機
JP2014171667A (ja) 電気掃除機
JP2011183030A (ja) 電気掃除機
JP2012050572A (ja) 電気掃除機
JP2008113788A (ja) 電気掃除機
JP2012235863A (ja) 空気吸引噴射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8132110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