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176A - 수의과용의 파보바이러스 항체 - Google Patents

수의과용의 파보바이러스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176A
KR20220071176A KR1020227003757A KR20227003757A KR20220071176A KR 20220071176 A KR20220071176 A KR 20220071176A KR 1020227003757 A KR1020227003757 A KR 1020227003757A KR 20227003757 A KR20227003757 A KR 20227003757A KR 20220071176 A KR20220071176 A KR 2022007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antibody
sequence
parvovirus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항준 잔
람 응웬
엘렌 랫클리프
리차드 친
샤이르 지안 리
Original Assignee
킨드레드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킨드레드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킨드레드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08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42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vi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5Complete light chain, i.e. VL + C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4Stability, e.g. half-life, pH, temperature or enzyme-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예를 들면, 개선된 발현 특성을 갖는, 개과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개과화된, 고양이과화된 및 키메라 항체를 포함하는 파보바이러스 항체에 관한 다양한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DCC, ADCP 및/또는 CDC 이펙터 기능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모노클로날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개 및 고양이 등의 대상체에서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공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수동 면역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의과용의 파보바이러스 항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880,650호, 2020년 1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968,970호 및 2020년 5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3/030,123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각각은 임의의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개선된 재조합 생산 및 개과 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feline parvovirus)에 대한 결합의 중화를 갖는 단리된 개과 파보바이러스 항체 및, 예를 들면,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한 수동 면역(passive immunity)을 제공하기 위해 및/또는 개 및 고양이 등의 반려 동물에서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과 파보바이러스(CPV)는 전 세계적으로 개를 감염시키는 가장 중요한 장내 바이러스이다1. CPV 비리온은 외피를 갖지 않는 DNA 바이러스이다. CPV-2a, CPV-2b 및 CPV-2c를 포함하여 본래 CPV에는 복수의 변이체(variant)가 있다. CPV-2의 변이체는 단지 수개의 아미노산만이 서로 상이하다2. 환경에서 매우 지속적이기 때문에, CPV는 수개월 동안 감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 CPV는 직접 및 간접 접촉을 통해 확산된다3. 구강 점막과 접촉하면, CPV는 국소 림프관에서 복제를 개시하고, 전신으로 확산한다. 4 내지 14일간의 잠복 기간에서, CPV는 골수, 림프구 및 장 음와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신속하게 분열하는 신체 세포를 표적화한다.
임상 질환은 발열과 우울증으로 나타나고, 이어서 구토, 설사(과다 출혈),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탈수 및 종종 속발성 패혈증 및 사망으로 나타난다. 개의 사망률은 70%를 초과할 수 있다3. 모체 항체가 쇠약해짐에 따라, 감염은 이유 후의 개에서 가장 일반적이다. 백신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CPV-2의 모든 변이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적절한 시기의 백신 접종은 예방적이지만, 파보바이러스 감염은 여전히 문제이다. 감수성 개과의 주요 모집단에는, 모체 유래의 항체가 비-예방 수준으로 저하하고, 백신 접종을 받기 전에 취약한 윈도우의 개가 포함된다(도 1 참조). 24주령 미만의 개는 CPV 질환의 위험이 가장 높다. 추가로, 모체 유래의 항체의 수동적 전달에 실패한 개는 또 다른 취약 모집단이다. 감염은 나이브 사육장과 피난소 모집단에서도 계속 발생한다.
이 시점까지 CPV 감염의 치료는 대체로 지지적이었다. 치료에는 통상 패혈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맥 수액, 항구토제 및 광범위한 항생제가 포함된다. 항바이러스제 및 과면역 혈장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타 치료법이 성공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다4. 다수의 소유자에게 비용이 많이 들고, 안락사의 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입원이 통상 추천된다. CPV 감염의 개를 입원시키는 것은 엄격한 격리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이는 동물병원 및 스태프에게 물류상의 곤란이 될 수 있다5. 따라서, 예방 및 치료적 치료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필요성이 존재한다.
현재, USDA 또는 FDA 승인을 받은 CPV 치료제는 없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파보바이러스 모노클로날(monoclonal) 항체는 CPV와 관련된 이환율 및 사망률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활성 CPV 감염을 갖는 개에 대한 치료적 개입으로 제공될 것이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파보바이러스 모노클로날 항체는 CPV 감염의 발증을 예방하기 위해 CPV에 감염된 개에 노출된 개에 대한 예방적 치료로서 이용될 것이다.
실시형태 1.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isolated antibody)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ii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iv)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8의 HC-FR1 서열; 또는 (b)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iv) 서열번호 45 또는 서열번호 46의 HC-FR1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2.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iii)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및 (iv) 서열번호 16의 LC-FR1 서열; 또는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및 (iv) 서열번호 55 또는 서열번호 56의 LC-FR1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 있어서, (a)의 항체가 서열번호 12의 HC-FR4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48의 HC-FR2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 또는 4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50의 HC-FR3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6. 실시형태 2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59의 HC-FR3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7. 실시형태 2 또는 6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61의 HC-F4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8.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또는 b)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개과화된(caninized) 또는 고양이과화된(felinized) 항체인,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9.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또는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개과화된 또는 고양이과화된 항체인,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10.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b) (i)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개과화된 또는 고양이과화된 항체인,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11.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개과화된 또는 고양이과화된 항체인, 단리된 항체.
실시형태 12. 실시형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키메라 항체인, 항체.
실시형태 13. 실시형태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불변 중쇄 영역 또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불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14. 실시형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IgG-A, IgG-B, IgG-C 및 IgG-D 불변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개과 중쇄 불변 영역; 또는 (b) IgG1, IgG2a 및 IgG2b 불변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고양이과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보체 고정 활성(complement fixation activity)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항체-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항체 의존성 세포 식세포 작용(ADCP)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b)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c)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d)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e)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f)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또는 g)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97, 서열번호 98 또는 서열번호 9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개과 κ 경쇄 불변 영역 또는 고양이과 κ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하나 이상의 N-글리코실화 부위를 갖지 않는 고양이과 κ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21. 실시형태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에피토프(epitope)에 결합하는, 항체.
실시형태 22. 실시형태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생물층 간섭계(biolayer interferometry)로 측정한 경우, 5×10-6 M 미만, 1×10-6 M 미만, 5×10-7 M 미만, 1×10-7 M 미만, 5×10-8 M 미만, 1×10-8 M 미만, 5×10-9 M 미만, 1×10-9 M 미만, 5×10-10 M 미만, 1×10-10 M 미만, 5×10-11 M 미만, 1×10-11 M 미만, 5×10-12 M 미만, 1×10-12 M 미만, 5×10-13 M 미만, 또는 1×10-13 M 미만의 해리 상수(Kd)로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
실시형태 23. 실시형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면역블롯 분석(immunoblot analysis) 및/또는 생물층 간섭계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
실시형태 24. 실시형태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00㎍/mL 농도의 항체가 적어도 8000, 적어도 16000, 적어도 32000의 혈구응집 억제 값을 갖는, 항체.
실시형태 25. 실시형태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모노클로날 항체인, 항체.
실시형태 26. 실시형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서열번호 7, 8, 45 또는 46의 (HC-FR1) 서열; (b) 서열번호 9, 47 또는 48의 HC-FR2 서열; (c) 서열번호 10, 49 또는 50의 HC-FR3 서열; (d) 서열번호 11, 12 또는 51의 HC-FR4 서열; (e) 서열번호 16, 55 또는 56의 가변 영역 경쇄 프레임워크(framework) 1(LC-FR1) 서열; (f) 서열번호 17 또는 57의 LC-FR2 서열; (g) 서열번호 18, 58 또는 59의 LC-FR3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19, 60 또는 61의 LC-FR4 서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27. 실시형태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85, 서열번호 86, 서열번호 40, 서열번호 62, 서열번호 63 또는 서열번호 88의 가변 중쇄 서열 및/또는 (b)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87, 서열번호 41, 서열번호 64, 서열번호 65 또는 서열번호 89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28. 실시형태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20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2의 가변 경쇄 서열; (b) 서열번호 21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2의 가변 경쇄 서열; (c) 서열번호 85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7의 가변 경쇄 서열; (d) 서열번호 86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7의 가변 경쇄 서열; (e) 서열번호 40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41의 가변 경쇄 서열; (f) 서열번호 62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4 또는 서열번호 65의 가변 경쇄 서열; (g) 서열번호 63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4 또는 서열번호 65의 가변 경쇄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88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9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29. 실시형태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i)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24, 서열번호 37, 서열번호 38, 서열번호 66, 서열번호 67 또는 서열번호 79의 중쇄 서열; 및/또는 (ii) 서열번호 25, 서열번호 39, 서열번호 68, 서열번호 69 또는 서열번호 80의 경쇄 서열; 또는 (b) (i) 서열번호 31, 서열번호 40 또는 서열번호 74의 중쇄 서열; 및/또는 (ii) 서열번호 32, 서열번호 33, 서열번호 41, 서열번호 75 또는 서열번호 76의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30. 실시형태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23 또는 서열번호 24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5의 경쇄 서열; (b) 서열번호 31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32 또는 서열번호 33의 경쇄 서열; (c) 서열번호 37 또는 서열번호 38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39의 경쇄 서열; (d) 서열번호 66 또는 서열번호 67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8 또는 서열번호 69의 경쇄 서열; (e) 서열번호 66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8의 경쇄 서열; (f) 서열번호 67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9의 경쇄 서열; (g) 서열번호 74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75 또는 서열번호 76의 경쇄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79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0의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31. 실시형태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서열번호 24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5의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실시형태 32. 실시형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항체를 암호화(encoding)하는 단리된 핵산.
실시형태 33. 실시형태 31의 핵산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host cell).
실시형태 34. 실시형태 32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항체를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체의 생산 방법.
실시형태 35. 실시형태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항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실시형태 36. 실시형태 35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인산염 완충 식염수인, 약제학적 조성물.
실시형태 37.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해 대상체에서 수동 면역을 제공하는, 방법.
실시형태 38. 실시형태 37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39. 실시형태 37 또는 38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노출된 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40. 실시형태 37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41. 실시형태 37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대상체가 발열, 구토, 설사, 림프구감소증 및 패혈증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나타낸 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42. 실시형태 37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는, 양성 케이지-측(positive cage-side) SNAP 시험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이,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가 분변에서 검출된 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43. 실시형태 37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은, 방법.
실시형태 44. 실시형태 37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지 않은, 방법.
실시형태 45. 실시형태 37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모체 유래 항체의 결핍 또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수동적 전달의 실패로 인해 출생 시에 보호되지 않는, 방법.
실시형태 46. 실시형태 37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손으로 양육되거나, 대상체의 모체가 우유를 생산하지 못하거나, 대상체가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산할 수 없는, 방법.
실시형태 47. 실시형태 37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로 오염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방법.
실시형태 48.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실시형태 49. 실시형태 48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대상체가 발열, 구토, 설사, 림프구감소증 및 패혈증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나타낸 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50. 실시형태 48 또는 49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는, 양성 케이지-측 SNAP 시험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이,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가 분변에서 검출된 후에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51. 실시형태 48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은, 방법.
실시형태 52. 실시형태 48 내지 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지 않은, 방법.
실시형태 53. 실시형태 48 내지 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로 오염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방법.
실시형태 54. 실시형태 48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인, 방법.
실시형태 55. 실시형태 48 내지 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실시형태 56. 실시형태 37 내지 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57. 실시형태 37 내지 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및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58. 실시형태 37 내지 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치료 유효량의 항체 또는 제35항 또는 제36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59. 실시형태 37 내지 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0. 실시형태 37 내지 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근육내 경로, 복강내 경로, 뇌척수내 경로, 피하 경로, 동맥내 경로, 활액내 경로, 척추강내 경로, 정맥내 경로 또는 흡입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1. 실시형태 37 내지 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정맥내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2. 실시형태 37 내지 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피하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3. 실시형태 37 내지 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1주령 미만, 2주령 미만, 3주령 미만, 4주령 미만, 5주령 미만, 6주령 미만, 6주령 미만, 7주령 미만, 8주령 미만, 9주령 미만, 10주령 미만, 11주령 미만, 12주령 미만, 6개월령 미만, 0 내지 12주령, 0 내지 10주령, 0 내지 8주령, 0 내지 6주령, 0 내지 4주령, 0 내지 2주령, 4 내지 12주령, 6 내지 12주령, 10 내지 12주령, 4주 내지 6개월령, 2개월 내지 6개월령, 4개월 내지 6개월령, 6개월 내지 1세 사이, 13주령 이상 또는 1세 이상인, 방법.
실시형태 64. 실시형태 37 내지 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13주령 이상인, 방법.
실시형태 65. 실시형태 37 내지 6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용량당 0.01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6. 실시형태 37 내지 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용량당 5mg/kg 체중의 양으로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7. 실시형태 37 내지 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단일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8. 실시형태 37 내지 6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반복적으로, 예컨대, 적어도 주 1회, 적어도 2주간 또는 3주간 연속하여 투여되는, 방법.
실시형태 69. 실시형태 37 내지 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고, 임의로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체의 투여는 1일 이상 분리되는, 방법.
실시형태 70. 실시형태 37 내지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전에 혈구응집 억제 검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20 미만의 혈구응집 억제 역가(titer)를 갖는, 방법.
실시형태 71. 실시형태 37 내지 7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전에 혈구응집 억제 검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파보바이러스 역가 음성인, 방법.
실시형태 72. 실시형태 37 내지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후,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서 생존하는, 방법.
실시형태 73. 세포의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 실시형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항체 또는 실시형태 35 또는 36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세포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실시형태 74. 실시형태 73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시험관내에서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노출되는, 방법.
실시형태 75. 실시형태 73 또는 74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포유동물 세포, 인간 세포, 개과 세포 또는 고양이과 세포인, 방법.
실시형태 76.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 샘플을 실시형태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항체 또는 실시형태 35 또는 36의 약제학적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샘플에서 항체와 파보바이러스 사이에 복합체가 형성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에서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검출하는 방법.
실시형태 77. 실시형태 76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개과, 고양이과 또는 인간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인, 방법.
실시형태 78. 하기를 포함하는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 a)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b)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c)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d)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e)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또는 f)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실시형태 79. 실시형태 78의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실시형태 80.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97, 서열번호 98, 또는 서열번호 9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실시형태 81. 실시형태 78 내지 80 중 어느 하나의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단리된 핵산.
실시형태 82. 실시형태 81의 핵산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
도 1은 CPV에 대한 감수성 윈도우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VP2에 대한 Mab A v2 및 Mab B v2 결합을 나타낸다.
도 3a는 Mab A 그룹에 대한 HI 검정 역가를 나타낸다.
도 3b는 Mab B 그룹에 대한 HI 검정 역가를 나타낸다.
도 3c는 Mab A 및 Mab B 그룹 모두에 대한 HI 검정 역가를 나타낸다.
도 4a는 Mab A v2의 2상 감쇠 속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Mab B v2의 2상 감쇠 속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5의 변이체 개과 IgG-B Fc 폴리펩티드 서열 및 개과 CD16의 구조적 모델을 나타낸다.
특정 서열의 설명
표 1은 본 명세서에 참조된 특정 서열의 목록을 제공한다.
[표 1a]
Figure pct00001

[표 1b]
Figure pct00002

[표 1c]
Figure pct00003

[표 1d]
Figure pct00004

[표 1e]
Figure pct00005

[표 1f]
Figure pct00006

[표 1g]
Figure pct00007

[표 1h]
Figure pct00008

[표 1i]
Figure pct00009

[표 1j]
Figure pct00010

[표 1k]
Figure pct00011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가 제공된다.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를 형성할 수 있는 항체 중쇄 및 경쇄도 또한 제공된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특정 상보적 결정 영역(CDR)을 포함하는 항체, 중쇄 및 경쇄가 제공된다.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제공된다.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거나 정제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한 수동 면역을 제공하는 방법, 및/또는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독자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기의 용어의 정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Kd 등의 수치 용어는, 과학적 측정을 기반으로 계산되므로, 적절한 측정 오차의 영향을 받는다. 경우에 따라, 수치 용어에는 가장 근사한 유효 숫자로 반올림된 수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a" 또는 "an"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복수의 종속 청구항의 문맥에서, 다른 청구항을 다시 언급할 때에 "또는"의 사용은 대체의 청구항만을 지칭한다.
예시적 파보바이러스 항체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신규 항체, 예를 들면,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모노클로날 항체, 키메라 항체, 개과화된 항체 및 고양이과화된 항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모노클로날 파보바이러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가변 중쇄 CDR(서열번호 4 내지 6), 가변 경쇄 CDR(서열번호 13 내지 15), 가변 영역 중쇄 프레임워크 서열(서열번호 7 및 8 내지 11), 및 Mab A에 대한 가변 영역 경쇄 프레임워크 서열(서열번호 16 내지 19)이 제공된다. 또한, 가변 중쇄 CDR(서열번호 42 내지 44), 가변 경쇄 CDR(서열번호 52 내지 54), 가변 영역 중쇄 프레임워크 서열(서열번호 45, 47, 49 및 51)) 및 Mab B에 대한 가변 영역 경쇄 프레임워크 서열(서열번호 55, 57, 58 및 60)이 제공된다. Mab A의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이 제공된다(각각 서열번호 각각 20 및 22). Mab B의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이 제공된다(각각 서열 62 및 64).
또한, 변이체 Mab A 및 Mab B 항체의 CDR의 아미노산 서열, 프레임워크 서열, 가변 중쇄 및 경쇄가 제공된다. Mab A 변이체 2(v2)의 가변 중쇄 CDR(서열번호 4 내지 6), 가변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서열번호 8 내지 10 및 12), 가변 중쇄(서열번호 21), 가변 경쇄 CDR(서열번호 13-15), 가변 경쇄 프레임워크 영역(서열번호 16 내지 19) 및 가변 경쇄(서열번호 22)가 제공된다. Mab B 변이체 2(v2)의 가변 중쇄 CDR(서열번호 42 내지 44), 가변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서열번호 46, 48, 50 및 51), 가변 중쇄(서열번호 63), 가변 경쇄 CDR(서열번호 52 내지 54), 가변 경쇄 프레임워크 영역(서열번호 56, 57, 59 및 61)이 제공된다.
또한, Mab A, Mab B, Mab A v2 및 Mab B v2로부터 유래하는 키메라 개과, 키메라 고양이과, 개과화된 및 고양이과화된 항체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과화된 및 고양이과화된 Mab A, Mab B, Mab A v2, 및 Mab B v2의 아미노산 서열, 예컨대, 서열번호 34 내지 41, 88, 77 내지 80, 88 및 89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ab A, Mab B, Mab A v2, 및 Mab B v2로부터 유래하는 키메라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예컨대, 서열번호 23 내지 25, 28 내지 33 및 66 내지 76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이들이 목적하는 항원-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한,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다중특이성 항체(예를 들면, 이중특이성(예: 이중특이성 T-세포 인게이저) 및 삼중특이성 항체 및 항체 단편(예: Fab, F(ab')2, ScFv, 미니바디,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및 테트라바디)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항체 구조를 포함한다. 개과, 고양이과 및 말 종은 다수의 포유동물이 공유하는 서로 상이한 종류(부류)의 항체를 갖는다.
용어 항체에는, Fv, 단일-사슬 Fv(scFv), Fab, Fab', di-scFv, sdAb(단일 도메인 항체) 및 (Fab')2(화학적으로 연결된 F(ab')2 포함) 등의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단편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항체의 파파인 소화에 의해, "Fab" 단편이라고 하는 2개의 동일한 항원 결합 단편이 생성되고, 각 단편에는 단일 항원 결합 부위를 갖고 나머지 "Fc" 단편은 이의 명칭이 용이하게 결정화하는 능력을 반영한다. 펩신 처리에 의해, 2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갖고, 여전히 항원을 가교할 수 있는 F(ab')2 단편이 생성된다. 용어 항체에는 또한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및 마우스, 인간, 시노몰구스 원숭이, 개과, 고양이과, 말 등의 다양한 종의 항체도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제공된 모든 항체 작제물에 대해, 다른 생물로부터의 서열을 갖는 변이체도 고려된다. 따라서, 항체의 뮤린 버전이 개시되는 경우, 당업자는 뮤린 서열에 기반하는 항체를 고양이, 개, 말 등의 서열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항체 단편에는 또한 단일 사슬 scFv, 탠덤 다이-scFv, 디아바디, 탠덤 트리-sdcFv, 미니바디 등의 배향도 포함된다. 항체 단편에는 또한 나노바디(sdAb, 단일 단량체성 도메인, 예컨대, 경쇄 없이 중쇄의 가변 도메인의 쌍을 갖는 항체)가 포함된다. 항체 단편에는 일부 실시형태(예를 들면, 마우스 scFv 또는 개과 scFv)에서 특정 종인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작제물의 공급원이 아니라, 비-CDR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서열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표지를 포함하거나, 제2 모이어티에 접합된다.
용어 "표지" 및 "검출 가능한 표지"는 항체 또는 이의 분석물에 부착하여 특정 결합 쌍의 구성원 사이의 반응(예: 결합)을 검출 가능하게 하는 모이어티를 의미한다. 특이적 결합 쌍의 표지된 구성원은 "검출 가능하게 표지된"이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용어 "표지된 결합 단백질"은 결합 단백질의 동정을 제공하는 표지가 도입된 단백질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지는, 시각적 또는 도구적 수단, 예를 들면, 방사성 표지된 아미노산의 도입 또는 표지된 아비딘(예를 들면, 광학 또는 비색 방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형광 마커 또는 효소 활성을 함유하는 스트렙트아비딘)에 의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검출 가능한 마커이다. 폴리펩티드에 대한 표지의 예에는 이하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방사성 핵종(예를 들면, 3H, 14C, 35S, 90Y, 99Tc, 111In, 125I, 131I, 177Lu, 166Ho 또는 153Sm); 발색체, 형광 표지(예: FITC, 로다민, 란타나이드 형광체), 효소 표지(예: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루시퍼라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화학발광 마커; 비오티닐 그룹; 2차 리포터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폴리펩티드 에피토프(예를 들면, 류신 지퍼 쌍 서열, 2차 항체에 대한 결합 부위, 금속 결합 도메인, 에피토프 태그); 및 가돌리늄 킬레이트 등의 자성제. 면역검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지의 대표적인 예에는 광을 생성하는 모이어티(예: 아크리디늄 화합물) 및 형광을 생성하는 모이어티(예: 플루오레세인)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이어티 자체는 검출 가능하게 표지되지 않을 수 있지만, 또 다른 모이어티와의 반응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용어 "모노클로날 항체"는 항체의 실질적으로 균질한 모집단의 항체를 지칭하고, 즉 모집단을 구성하는 개별 항체는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자연-발생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매우 특이적이고, 단일 항원 부위에 대해 지시된다. 추가로, 통상, 상이한 결정인자(에피토프)에 대해 지시된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폴리클로날 항체 조제물과는 대조적으로, 각각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항원 상의 단일 결정인자에 대해 지시된다. 따라서, 모노클로날 항체의 샘플은 항원 상의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수식어 "모노클로날"은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 모집단으로부터 수득되는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고,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면, 모노클로날 항체는 문헌[참조: Kohler and Milstein, 1975, Nature 256:495]에 의해 최초로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또한, 예를 들면, 문헌[참조: McCafferty et al., 1990, Nature 348:552-554]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파지 라이브러리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Mab A, Mab A v2, Mab B 또는 Mab B v2이다.
"아미노산 서열"은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의 서열을 의미한다. 용어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은 아미노산 잔기의 폴리머를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최소 길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아미노산 잔기의 이러한 폴리머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할 수 있고, 아미노산 잔기의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이량체, 삼량체 및 다량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장 단백질 및 이의 단편 둘 모두가 정의에 포함된다. 이 용어는 또한, 폴리펩티드의 발현후 변형, 예를 들면, 글리코실화, 시알릴화, 아세틸화, 포스포릴화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폴리펩티드"는, 단백질이 목적하는 활성을 유지하는 한, 천연 서열에 대한 결실, 부가 및 치환(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보존적) 등의 변형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변형은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유발 등에 의한 의도적인 것일 수도 있고, 단백질을 생성하는 숙주의 돌연변이 또는 PCR 증폭에 의한 오류 등에 의한 우발적인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파보바이러스"는 임의의 천연 존재 파보바이러스 또는 파보바이러스 변이체를 지칭하고, CPV-2a, CPV-2b 및 CPV-2c 등의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및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피토프"는, 항원 결합 분자(예를 들면, 항체, 항체 단편, 또는 항체 결합 영역을 함유하는 스캐폴드 단백질)이 결합하는 표적 분자(예를 들면, 항원, 예컨대, 단백질, 핵산, 탄수화물 또는 지질) 상의 부위를 지칭한다. 에피토프는 종종 아미노산, 폴리펩티드 또는 당 측쇄 등의 분자의 화학적 활성 표면 그룹을 포함하고, 특정 3차원 구조적 특성과 특정 전하 특성을 갖고 있다. 에피토프는 표적 분자의 인접 또는 병치된 비인접 잔기(예: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당, 지질 모이어티) 모두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인접 잔기(예: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당, 지질 모이어티)로부터 형성된 에피토프는, 통상, 변성 용매에 대한 노출로 유지되는 반면, 3차 폴딩에 의해 형성된 에피토프는, 통상, 변성 용매에서의 처리로 손실된다. 에피토프는 적어도 3개, 적어도 5개 또는 8 내지 10개의 잔기(예를 들면,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에피토프는 길이가 20개 미만의 잔기(예를 들면,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 15개 미만 또는 12개 미만의 잔기이다. 2개의 항체가 항원에 대해 경쟁적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2개의 항체는 항원 내에서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피토프는 항원 결합 분자 상의 CDR 잔기까지의 특정 최소 거리에 의해 동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피토프는 상기 거리에 의해 동정될 수 있고, 추가로 항체 잔기와 항원 잔기 사이의 결합(예를 들면, 수소 결합)에 관여하는 각각의 잔기로 한정될 수 있다. 에피토프는 또한 다양한 스캔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알라닌 또는 아르기닌 스캔은 항원 결합 분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잔기를 나타낼 수 있다.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한, 에피토프로서의 잔기 세트는 특정 항체에 대한 에피토프의 일부인 것으로부터 다른 잔기를 배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세트의 존재는 에피토프의 최소 시리즈(또는 종의 세트)를 지정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피토프로서 동정된 잔기 세트는, 항원 상의 에피토프에 대한 잔기의 배타적 목록이 아니라, 항원과 관련하는 최소 에피토프를 지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피토프는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용어 "CDR"은 당업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식별 방식에 의해 정의되는 상보성 결정 영역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DR은 초티아(Chothia) 넘버링 방식, 카뱃(Kabat) 넘버링 방식, 카뱃 및 초티아의 조합, AbM 정의, 접촉 정의, 또는 카뱃, 초티아, AbM 또는 접촉 정의의 조합 중 임의의 것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항체 내의 다양한 CDR은 CDR-H1, CDR-H2, CDR-H3,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적절한 수 및 사슬 유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용어 "CDR"은 또한 초가변 루프를 포함하는 "초가변 영역" 또는 HVR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b)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또는 (c)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b)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또는 (c)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b)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또는 (c)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b)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또는 (c)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또는 CDR-H1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b)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또는 CDR-H2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및/또는 (c)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또는 CDR-H3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또는 CDR-L1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b)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또는 CDR-L2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및/또는 (c)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또는 CDR-L3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또는 CDR-H1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b)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또는 CDR-H2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및/또는 (c)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또는 CDR-H3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또는 CDR-L1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b)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또는 CDR-L2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 및/또는 (c)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또는 CDR-L3의 1,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상이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이의 변이체를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가변 영역"은 적어도 3개의 CDR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변 영역은 3개의 CDR 및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영역("FR")을 포함한다. 용어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가변 중쇄"는 적어도 3개의 중쇄 CDR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용어 "경쇄 가변 영역" 또는 "가변 경쇄"는 적어도 3개의 경쇄 CDR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변 중쇄 또는 가변 경쇄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워크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HC-FR1, HC-FR2, HC-FR3 및 HC-FR4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쇄 프레임워크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LC-FR1, LC-FR2, LC-FR3 및 LC-FR4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경쇄 프레임워크 영역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 영역은 경쇄 CDR 사이 또는 중쇄 CDR 사이에 병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 가변 중쇄를 포함할 수 있다: (HC-FR1)-(CDR-H1)-(HC-FR2)-(CDR-H2)-(HC-FR3)-(CDR-H3)-(HC-FR4). 항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 가변 중쇄를 포함할 수 있다: (CDR-H1)-(HC-FR2)-(CDR-H2)-(HC-FR3)-(CDR-H3). 항체는 또한 하기 구조를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할 수 있다: (LC-FR1)-(CDR-L1)-(LC-FR2)-(CDR-L2)-(LC-FR3)-(CDR-L3)- (LC-FR4). 항체는 또한 하기 구조를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할 수 있다: (CDR-L1)-(LC-FR2)-(CDR-L2)-(LC-FR3)-(CDR-L3).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8의 가변 영역 중쇄 프레임워크 1(HC-FR1) 서열, (b) 서열번호 9의 HC-FR2, (c) 서열번호 10의 HC-FR3 서열, (d) 서열번호 11 또는 서열번호 12의 HC-FR4 서열, (e) 서열번호 16의 가변 영역 경쇄 프레임워크 1(LC-FR1) 서열, (f) 서열번호 17의 LC-FR2 서열, (g) 서열번호 18의 LC-FR3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19의 LC-FR4 서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서열번호 45 또는 서열번호 46의 가변 영역 중쇄 프레임워크 1(HC-FR1) 서열, (b) 서열번호 47 또는 서열번호 48의 HC-FR2, (c) 서열번호 49 또는 서열번호 50의 HC-FR3 서열, (d) 서열번호 51의 HC-FR4 서열, (e) 서열번호 55 또는 서열번호 56의 가변 영역 경쇄 프레임워크 1(LC-FR1) 서열, (f) 서열번호 57의 LC-FR2 서열, (g) 서열번호 58 또는 서열번호 59의 LC-FR3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60의 LC-FR4 서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87, 서열번호 41, 서열번호 64, 서열번호 65, 서열번호 89, 서열번호 82 또는 서열번호 84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85, 서열번호 86, 서열번호 40, 서열번호 62, 서열번호 63, 서열번호 88, 서열번호 81 또는 서열번호 83의 가변 중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20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2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21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 22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85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7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86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7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40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41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62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4 또는 서열번호 65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63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4 또는 서열번호 65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서열번호 88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9의 가변 경쇄 서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불변 영역"은 적어도 3개의 불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용어 "중쇄 불변 영역" 또는 "불변 중쇄"는 적어도 3개의 중쇄 불변 도메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 중쇄 불변 영역은 γ, δ, α, ε 및 μ를 포함한다. 각 중쇄 불변 영역은 항체 아이소타입에 상응한다. 예를 들면, γ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는 IgG 항체이고, δ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는 IgD 항체이고, α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는 IgA 항체이고, μ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는 IgM 항체이고, ε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는 IgE 항체이다. 특정 아이소타입은 추가로 서브클래스로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gG 항체에는 IgG1(γ1 불변 영역 포함), IgG2(γ2 불변 영역 포함), IgG3(γ3 불변 영역 포함) 및 IgG4(γ4 불변 영역 포함) 항체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IgA 항체에는 IgA1(α1 불변 영역 포함) 및 IgA2(α2 불변 영역 포함) 항체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IgM 항체에는 IgM1 및 IgM2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 "경쇄 불변 영역" 또는 "불변 경쇄"는 경쇄 불변 도메인, CL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 경쇄 불변 영역은 λ 및 κ를 포함한다. 도메인 내에서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 결실 및 변경은, 달리 명기되지 않는 한, 용어 "불변 영역"의 범위에 포함된다. 개과 및 고양이과에는 IgG, IgA, IgD, IgE 및 IgM 등의 항체 부류가 있다. 개과 IgG 항체 부류에는 IgG-A, IgG-B, IgG-C 및 IgG-D가 있다. 고양이과 IgG 항체 부류에는 IgG1, IgG2a 및 IgG2b가 있다.
용어 "키메라 항체" 또는 "키메라"는 중쇄 또는 경쇄의 일부가 특정 공급원 또는 종으로부터 유래하는 반면, 중쇄 또는 경쇄의 나머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공급원 또는 종으로부터 유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메라 항체는 제1 종(예: 마우스, 랫트, 시노몰구스 원숭이 등)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가변 영역 및 제2 종(예: 인간, 개, 고양이, 말 등)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메라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마우스 가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개과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메라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마우스 가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고양이과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메라 항체의 모든 가변 영역은 제1 종으로부터 유래하고, 키메라 항체의 모든 불변 영역은 제2 종으로부터 유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메라 항체는 반려 동물로부터의 불변 중쇄 영역 또는 불변 경쇄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키메라 항체는 마우스 가변 중쇄 및 경쇄 및 반려 동물 불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키메라 항체는 마우스 가변 중쇄 및 경쇄 및 개과 불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할 수 있거나; 키메라 항체는 마우스 가변 중쇄 및 경쇄 및 고양이과 불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키메라 항체는 마우스 가변 중쇄 및 경쇄 및 말 불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a) (i) 서열번호 23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25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b) (i) 서열번호 24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25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c) (i) 서열번호 31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32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d) (i) 서열번호 31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33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e) (i) 서열번호 66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68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f) (i) 서열번호 67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69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g) (i) 서열번호 74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75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 또는 (h) (i) 서열번호 74의 중쇄 아미노산 서열; (ii) 서열번호 75의 경쇄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i)에서와 같은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ii)에서와 같은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체를 포함한다.
"개과 키메라", "키메라 개과" 또는 "개과 키메라 항체"는 개로부터 유래하는 중쇄의 적어도 일부 또는 경쇄의 일부를 갖는 키메라 항체를 지칭한다. "고양이과 키메라", "키메라 고양이과", 또는 "고양이과 키메라 항체"는 고양이로부터 유래하는 중쇄의 적어도 일부 또는 경쇄의 일부를 갖는 키메라 항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과 키메라 항체는 마우스 또는 랫트 가변 중쇄 및 경쇄 및 개과 불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양이과 키메라 항체는 마우스 또는 랫트 가변 중쇄 및 경쇄 및 고양이과 불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IgG-A, IgG-B, IgG-C 및 IgG-D 불변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개과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IgG1, IgG2a 및 IgG2b 불변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고양이과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개과화된 항체"는, 비-개과 가변 영역의 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개과 가변 영역의 상응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항체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과화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개과 불변 영역(예를 들면, γ 불변 영역, α 불변 영역, δ 불변 영역, ε 불변 영역, μ 불변 영역 등)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과화된 항체는 Fab, scFv, (Fab')2 등의 항체 단편이다. 용어 "개과화된"는 또한, 키메라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사슬, 또는 비-개과 면역글로불린의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이들의 단편(예: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결합 서열)인 비-개과(예를 들면, 뮤린) 항체의 형태를 의미한다. 개과화된 항체는 수용자의 CDR로부터의 잔기가 목적하는 특이성, 친화도 및 용량을 갖는 마우스, 랫트 또는 래빗 등의 비-개과 종(공여자 항체)의 CDR로부터의 잔기에 의해 치환된 개과 면역글로불린(수용자 항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개과 면역글로불린의 Fv 프레임워크 영역(FR) 잔기는 상응하는 비-개과 잔기로 치환된다. 추가로, 개과화된 항체는, 수용자 항체에서도 수입된 CDR 또는 프레임워크 서열에서도 발견되지 않지만, 항체 성능을 추가로 정련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포함되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랫트 또는 마우스 가변 중쇄 또는 랫트 또는 마우스 가변 경쇄의 일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는 개과 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형된 사슬은 개과 불변 중쇄 또는 개과 불변 경쇄에 융합된다.
"고양이과화된 항체"는, 비-고양이과 가변 영역의 일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이 고양이과 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항체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양이과화된 항체는 적어도 하나의 고양이과 불변 영역(예를 들면, γ 불변 영역, α 불변 영역, δ 불변 영역, ε 불변 영역, μ 불변 영역 등)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고양이과화된 항체는 Fab, scFv, (Fab') 2 등의 항체 단편이다. 용어 "고양이과화된"은 또한, 키메라 면역글로불린, 면역글로불린 사슬, 또는 비-고양이과 면역글로불린의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이의 단편(예: Fv, Fab, Fab', F(ab')2 또는 항체의 다른 항원-결합 서열)인 비-고양이과(예를 들면, 뮤린) 항체의 형태를 의미한다. 고양이과화된 항체는, 수용자의 CDR로부터의 잔기가 목적하는 특이성, 친화도 및 용량을 갖는 마우스, 랫트 또는 래빗 등의 비-고양이과 종(공여자 항체)의 CDR로부터의 잔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고양이과 면역글로불린(수용자 항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고양이과 면역글로불린의 Fv 프레임워크 영역(FR) 잔기는 상응하는 비-고양이과 잔기로 치환된다. 추가로, 고양이과화된 항체는, 수용자 항체에서도 수입된 CDR 또는 프레임워크 서열에서도 발견되지 않지만, 항체 성능을 추가로 정련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포함되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마우스 가변 중쇄 또는 마우스 가변 경쇄의 일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는 고양이과 가변 영역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형된 사슬은 고양이과 불변 중쇄 또는 개과 불변 경쇄에 융합된다.
"단편 결정화 가능한 폴리펩티드" 또는 "Fc 폴리펩티드"는 이펙터 분자 및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항체 분자의 부분이다. 이것은 면역글로불린 중쇄의 C-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Fc 폴리펩티드는 Fc 폴리펩티드 전체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Fc 도메인의 단편을 포함한다. Fc 폴리펩티드의 "이펙터 기능"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임의의 항체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작용 또는 활성이고, 보체 고정 및/또는 ADCC(항체 의존적 세포독성) 유도 및/또는 ADCP(항체 의존성 세포 식작용)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c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FcRn에 결합하는 능력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c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C1q에 결합하는 능력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c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CD16에 결합하는 능력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c 폴리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단백질 A에 결합하는 능력이다.
용어 "IgX Fc"는 Fc 영역이 특정 항체 아이소타입(예: IgG, IgA, IgD, IgE, IgM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X"는 항체 아이소타입을 나타낸다. 따라서, "IgG Fc"는 γ 사슬의 Fc 영역을 나타내고, "IgA Fc"는 α 사슬의 Fc 영역을 나타내고, "IgD Fc"는 δ 사슬의 Fc 영역을 나타내고, "IgE Fc"는 ε 사슬의 Fc 영역을 나타내고, "IgM Fc"는 μ 사슬의 Fc 영역 등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IgG Fc 영역은 CH1, 힌지, CH2, CH3 및 CL1을 포함한다. "IgX-N-Fc"는 Fc 영역이 항체 아이소타입의 특정 서브클래스(예: 개과 IgG 서브클래스 A, B, C 또는 D; 또는 고양이과 IgG 서브클래스 1, 2a 또는 2b)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나타내고, 여기서 "N”은 서브클래스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IgX Fc 또는 IgX-N-Fc 영역은 개 또는 고양이 등의 반려 동물로부터 유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IgG Fc 영역은 IgG-A, IgG-B, IgG-C 또는 IgG-D 등의 개과 γ 중쇄로부터 단리된다. 일부 경우에, IgG Fc 영역은 IgG1, IgG2a 또는 IgG2b 등의 고양이과 γ 중쇄로부터 단리된다. IgG-A, IgG-B, IgG-C 또는 IgG-D의 Fc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는 재조합 생산 시스템에서 더 높은 발현 수준을 제공할 수 있다.
용어 "IgX Fc" 및 "IgX Fc 폴리펩티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야생형 IgX Fc 폴리펩티드 및 변이체 IgX Fc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는 반려 동물 종의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는 변이체 개과 IgG Fc 폴리펩티드 또는 고양이과 IgG Fc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예를 들면, 변이체 개과 IgG-A Fc 폴리펩티드, 변이체 개과 IgG-C Fc 폴리펩티드, 또는 변이체 개과 IgG-D Fc 폴리펩티드, 변이체 고양이과 IgG1a Fc 폴리펩티드, 변이체 고양이과 IgG1b Fc 폴리펩티드 또는 변이체 고양이과 IgG2 Fc 폴리펩티드)는 참조(예를 들면, 야생형) 폴리펩티드가 실질적으로 결여하는 활성을 갖는다.
항체는 반감기를 연장하거나 단축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더 높은 용량의 항체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더 짧은 반감기가 급성 치료에 바람직할 수 있다. 더 낮은 용량의 항체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더 긴 반감기가 연장된 치료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FcRn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IgG Fc의 돌연변이가 도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보체 고정 활성(또는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항체-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항체 의존성 세포 식작용(ADCP)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보체 고정 활성 및/또는 ADCC 활성 및/또는 ADCP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IgG Fc 폴리펩티드는 이펙터 기능을 갖거나 강화된 이펙터 기능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낮은 pH에서 개과 FcRn에 결합하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는 C1q에 결합하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는 CD16에 결합하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는 하나 이상의 아푸코실화된 글리칸을 포함하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예를 들면, 변이체 개과 IgG Fc 폴리펩티드 또는 변이체 고양이과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변형된 FcRn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산성 pH(예를 들면, 약 5.0 내지 약 6.5 범위의 pH, 예컨대, 약 5.0의 pH, 약 5.5의 pH, 약 6.0의 pH 또는 약 6.5의 pH)에서 증가된 FcRN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증가된 FcRn 결합 친화성을 갖는 예시적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도입되는 WO 제2020/0820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예를 들면, 변이체 개과 IgG Fc 폴리펩티드 또는 변이체 고양이과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변형된 C1q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증가된 C1q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증가된 C1q 결합 친화성을 갖는 예시적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도입되는 WO 제2020/139984호(예를 들면, 실시예 2)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예를 들면, 변이체 개과 IgG Fc 폴리펩티드 또는 변이체 고양이과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변형된 CD16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증가된 CD16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증가된 CD16 결합 친화도를 갖는 예시적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도입되는 WO 제2020/139984호(예를 들면, 실시예 2)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개과 IgG Fc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증강된 CD16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는, a)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 상응하는 위치에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b)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c)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d)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e)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f)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는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97, 서열번호 98 또는 서열번호 9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예를 들면, 변이체 개과 IgG Fc 폴리펩티드 또는 변이체 고양이과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변형된 단백질 A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 IgG Fc는, 참조 폴리펩티드와 비교하여 증가된 단백질 A 결합 친화성을 갖는다. 증가된 단백질 A 결합 친화도를 갖는 예시적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도입되는 WO 제2020/139984호(예를 들면, 실시예 2)에 개시되어 있다.
용어 "친화성"은 분자의 단일 결합 부위(예: 항체)와 그의 결합 파트너(예: 항원) 간의 비공유 상호작용의 합계의 강도를 의미한다. 파트너 Y에 대한 분자 X의 친화성은 일반적으로 해리 상수(KD)로 나타낼 수 있다. 친화성은, 예를 들면, 면역블롯, ELISA KD, KinEx A, 생물층 간섭계(BLI) 또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 장치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용어 "KD", "Kd", "Kd" 또는 "Kd 값"은 항체-항원 상호작용의 평형 해리 상수를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의 Kd는 공급자의 지시에 따라 Octet® 시스템(Pall ForteBio LLC, Fremont, CA) 등의 바이오센서를 사용하는 생물층 간섭계 검정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된다. 간단히 말해서, 비오틴화된 항원은 센서 팁에 결합되고, 항체의 결합은 90초 동안 모니터링되고, 해리는 600초 동안 모니터링된다. 희석 및 결합 단계를 위한 완충액은 20mM 인산염, 150mM NaCl, pH 7.2이다. 임의의 드리프트를 수정하기 위해, 완충액 전용 공백 곡선을 차감한다. 데이터는 ForteBio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2:1 결합 모델에 적합시키고, 결합 속도 상수(kon), 해리 속도 상수(koff) 및 Kd를 결정한다. 평형 해리 상수(Kd)는 koff/kon의 비율로서 계산된다. 용어 "kon"은 항원에 대한 항체의 회합에 대한 속도 상수를 지칭하고, 용어 "koff"는 항체/항원 복합체로부터 항체의 해리에 대한 속도 상수를 지칭한다.
항원 또는 에피토프에 "결합한다"는 용어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용어이고, 이러한 결합을 결정하는 방법도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분자는 특정 세포 또는 물질에 대해 반응, 회합 또는 친화성을 갖고, 반응, 회합 또는 친화성은, 예를 들면, 면역블롯, ELISA KD, KinEx A, 생물층 간섭계(BLI), 표면 플라즈몬 공명 장치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은, 예를 들면, BIAcore™ 시스템(BIAcore International AB, a GE Healthcare company, Uppsala, Sweden and Piscataway, NJ)을 사용하여, 바이오센서 매트릭스 내의 단백질 농도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실시간 생체특이적 상호작용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 현상을 의미한다. 추가의 상세에 대해서는 문헌[참조: Jonsson et al. (1993) Ann. Biol. Clin. 51:19-26]을 참조한다.
"생물층 간섭계"는 바이오센서 팁 상의 고정된 단백질 층과 내부 참조층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간섭 패턴을 분석하는 광학 분석 기술을 지칭한다. 바이오센서 팁에 결합된 분자 수의 변화는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간섭 패턴의 변화를 유발한다. 생물층 간섭계를 위한 비제한적인 예시적 장치는 Octet® 시스템(Pall ForteBio LLC)이다. 예를 들면, 문헌[참조: Abdiche et al., 2008, Anal. Biochem. 377: 209-277]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생물층 간섭계에 의해 측정하여, 5×10-6 M 미만, 1×10-6 M 미만, 5×10-7 M 미만, 1×10-7 M 미만, 5×10-8 M 미만, 1×10-8 M 미만, 5×10-9 M 미만, 1×10-9 M 미만, 5×10-10 M 미만, 1×10-10 M 미만, 5×10-11 M 미만, 1×10-11 M 미만, 5×10-12 M 미만 또는 1×10-12 M 미만의 해리 상수(Kd)로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생물층 간섭계에 의해 측정하여, 5×10-6 M 내지 1×10-6 M, 5×10-6 M 내지 5×10-7 M, 5×10-6 M 내지 1×10-7 M, 5×10-6 M 내지 5×10-8 M, 5×10-6 M 내지 1×10-8 M, 5×10-6 M 내지 5×10-9 M, 5×10-6 M 내지 1×10-9 M, 5×10-6 M 내지 5×10-10 M, 5×10-6 M 내지 1×10-10 M, 5×10-6 M 내지 5×10-11 M, 5×10-6 M 내지 1×10-11 M, 5×10-6 M 내지 5×10-12 M, 5×10-6 M 내지 1×10-12 M, 1×10-6 M 내지 5×10-7 M, 1×10-6 M 내지 1×10-7 M, 1×10-6 M 내지 5×10-8 M, 1×10-6 M 내지 1×10-8 M, 1×10-6 M 내지 5×10-9 M, 1×10-6 M 및 1×10-9 M, 1×10-6 M 내지 5×10-10 M, 1×10-6 M 내지 1×10-10 M, 1×10-6 M 내지 5×10-11 M, 1×10-6 M 내지 1×10-11 M, 1×10-6 M 내지 5×10-12 M, 1×10-6 M 내지 1×10-12 M, 5×10-7 M 내지 1×10-7 M, 5×10-7 M 내지 5×10-8 M, 5×10-7 M 내지 1×10-8 M, 5×10-7 M 내지 5×10-9 M, 5×10-7 M 내지 1×10-9 M, 5×10-7 M 내지 5×10-10 M, 5×10-7 M 내지 1×10-10 M, 5×10-7 M 내지 5×10-11 M, 5×10-7 M 내지 1×10-11 M, 5×10-7 M 내지 5×10-12 M, 5×10-7 M 내지 1×10-12 M, 1×10-7 M 내지 5×10-8 M, 1×10-7 M 내지 1×10-8 M, 1×10-7 M 내지 5×10-9 M, 1×10-7 M 내지 1×10-9 M, 1×10-7 M 내지 5×10-10 M, 1×10-7 M 내지 1×10-10 M, 1×10-7 M 내지 5×10-11 M, 1×10-7 M 내지 1×10-11 M, 1×10-7 M 내지 5×10-12 M, 1×10-7 M 내지 1×10-12 M, 5×10-8 M 내지 1×10-8 M, 5×10-8 M 내지 5×10-9 M, 5×10-8 M 내지 1×10-9 M, 5×10-8 M 내지 5×10-10 M, 5×10-8 M 내지 1×10-10 M, 5×10-8 M 내지 5×10-11 M, 5×10-8 M 내지 1×10-11 M, 5×10-8 M 내지 5×10-12 M, 5×10-8 M 내지 1×10-12 M, 1×10-8 M 내지 5×10-9 M, 1×10-8 M 내지 1×10-9 M, 1×10-8 M 내지 5×10-10 M, 1×10-8 M 내지 1×10-10 M, 1×10-8 M 내지 5×10-11 M, 1×10-8 M 내지 1×10-11 M, 1×10-8 M 내지 5×10-12 M, 1×10-8 M 내지 1×10-12 M, 5×10-9 M 내지 1×10-9 M, 5×10-9 M 내지 5×10-10 M, 5×10-9 M 내지 1×10-10 M, 5×10-9 M 내지 5×10-11 M, 5×10-9 M 내지 1×10-11 M, 5×10-9 M 내지 5×10-12 M, 5×10-9 M 내지 1×10-12 M, 1×10-9 M 내지 5×10-10 M, 1×10-9 M 내지 1×10-10 M, 1×10-9 M 내지 5×10-11 M, 1×10-9 M 내지 1×10-11 M, 1×10-9 M 내지 5×10-12 M, 1×10-9 M 내지 1×10-12 M, 5×10-10 M 내지 1×10-10 M, 5×10-10 M 내지 5×10-11 M, 1×10-10 M 내지 5×10-11 M, 1×10-10 M 내지 1×10-11 M, 1×10-10 M 내지 5×10-12 M, 1×10-10 M 내지 1×10-12 M, 5×10-11 M 내지 1×10-12 M, 5×10-11 M 내지 5×10-12 M, 5×10-11 M 내지 1×10-12 M, 1×10-11 M 내지 5×10-12 M 또는 1×10-11 M 내지 1×10-12 M의 해리 상수(Kd)로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면역블롯 분석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한다.
"야생형"은, 자연에서 존재하는 폴리펩티드의 비-돌연변이 버전 또는 이의 단편을 지칭한다. 야생형 폴리펩티드는 재조합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변이체"는, 서열을 정렬하고, 필요한 경우, 갭을 도입하여 최대 퍼센트 서열 동일성을 달성한 후, 천연 서열 폴리펩티드와 적어도 약 50%의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갖고,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서 보존적 치환을 고려하지 않는 생물학적 활성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의 N- 또는 C-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부가, 결실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는 상이한 아미노산에 의해 치환된 적어도 1, 2, 3, 4 또는 5개의 아미노산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는, 서열을 정렬하고, 필요한 경우, 갭을 도입하여 최대 퍼센트 서열 동일성을 달성한 후, 참조 핵산 분자 또는 폴리펩티드와 적어도 약 50%의 서열 동일성을 갖고, 서열 동일성의 일부로서 임의의 보존적 치환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변이체는,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의 N- 또는 C-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부가, 결실된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변이체는, 참조 핵산 또는 폴리펩티드의 서열과 적어도 약 50%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60%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65%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70%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75%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75%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80%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85%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90%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95%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97%의 서열 동일성, 적어도 약 98%의 서열 동일성 또는 적어도 약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위치 n에 상응하는 위치"(여기서 n은 임의의 수이다)는, 대상체 및 참조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정렬하고 갭을 도입한 후, 참조 폴리펩티드의 위치 n과 정렬되는 대상체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위치를 지칭한다. 대상체 폴리펩티드의 위치가 참조 폴리펩티드의 위치 n과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위한 정렬은, 예를 들면, BLAST, BLAST-2, CLUSTAL OMEGA, ALIGN 또는 MEGALIGN™(DNASTAR) 소프트웨어 등의 공적으로 이용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당업자의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당업자는, 비교되는 2개 서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최대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정렬을 위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 폴리펩티드 및 참조 폴리펩티드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점 돌연변이"는, 단일 아미노산 잔기가 관여하는 돌연변이이다. 돌연변이는 아미노산의 소실, 한 아미노산 잔기의 또 다른 아미노산 잔기로의 치환 또는 추가 아미노산 잔기의 삽입일 수 있다.
"아미노산 치환"은 폴리펩티드 중의 한 아미노산을 또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미노산 치환은 보존적 치환이다. 비제한적인 예시적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아미노산 치환을 목적 분자에 도입할 수 있고, 생성물을 목적하는 활성, 예를 들면, 유지/개선된 항원 결합, 감소된 면역원성, 또는 개선된 ADCC 또는 CDC 또는 증강된 약동학에 대해 스크리닝할 수 있다.
원래 잔기 예시적 치환
Ala (A) Val; Leu; Ile
Arg (R) Lys; Gln; Asn
Asn (N) Gln; His; Asp; Lys; Arg
Asp (D) Glu; Asn
Cys (C) Ser; Ala
Gln (Q) Asn; Glu
Glu (E) Asp; Gln
Gly (G) Ala
His (H) Asn; Gln; Lys; Arg
Ile (I) Leu; Val; Met; Ala; Phe; 노르류신
Leu (L) 노르류신; Ile; Val; Met; Ala; Phe
Lys (K) Arg; Gln; Asn
Met (M) Leu; Phe; Ile
Phe (F) Trp; Leu; Val; Ile; Ala; Tyr
Pro (P) Ala
Ser (S) Thr
Thr (T) Val; Ser
Trp (W) Tyr; Phe
Tyr (Y) Trp; Phe; Thr; Ser
Val (V) Ile; Leu; Met; Phe; Ala; 노르류신
아미노산은 일반적 측쇄 특성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1) 소수성: 노르류신, Met, Ala, Val, Leu, Ile;
(2) 중성 친수성: Cys, Ser, Thr, Asn, Gln;
(3) 산성: Asp, Glu;
(4) 염기성: His, Lys, Arg;
(5) 사슬의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 Gly, Pro;
(6)방향족: Trp, Tyr, Phe.
비보존적 치환은 이러한 부류 중 하나의 구성원을 다른 부류와 교환하는 것을 수반한다.
용어 "벡터"는, 클로닝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숙주 세포에서 증식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벡터는 하기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제 기점, 목적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또는 인핸서), 또는 하나 이상의 선택 가능한 마커 유전자(예를 들면,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비색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유전자, 예를 들면, β-갈락토시다제). 용어 "발현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목적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벡터를 지칭한다.
"숙주 세포"는 벡터 또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수용자일 수 있거나 수용자였던 세포를 지칭한다. 숙주 세포는 원핵 세포 또는 진핵 세포일 수 있다. 예시적 진핵 세포는 영장류 또는 비영장류 동물 세포 등의 포유동물 세포; 효모 등의 진균 세포; 식물 세포; 및 곤충 세포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 포유동물 세포는 NS0 세포, PER.C6® 세포(Crucell), 293 세포 및 CHO 세포,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293-6E, DG44, CHO-S 및 CHO-K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숙주 세포는 단일 숙주 세포의 자손을 포함하고, 자손은 자연적, 우발적 또는 고의적 돌연변이로 인해 원래의 모세포와 반드시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형태 또는 게놈 DNA 보체에서). 숙주 세포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아미노산 서열(들)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들)로 생체내 형질감염된 세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단리된"은, 그것이 자연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거나 생성되는 성분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분리된 분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폴리펩티드는, 그것이 생산된 세포의 성분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단리된" 것으로 지칭된다. 폴리펩티드가 발현 후에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경우,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상청액을, 폴리펩티드를 생성한 세포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폴리펩티드를 "단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유사하게,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그것이 통상 자연에서 발견되는 더 큰 폴리뉴클레오티드(예를 들면, 게놈 DNA 또는 DNA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경우의 미토콘드리아 DNA 등)의 일부가 아닌 경우에 또는, 예를 들면, RNA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경우, 그것이 생성된 세포의 성분 중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단리된" 것으로 지칭된다. 따라서, 숙주 세포 내부의 벡터에 포함된 DNA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리된"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단백질 A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및 CHT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된다.
"감소하다" 또는 "억제하다"는, 참조와 비교하여, 활동, 기능 또는 양을 저하, 감소 또는 저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감소하다" 또는 "억제하다"는 20% 이상의 전체적 감소를 야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감소하다" 또는 "억제하다"는 50% 이상의 전체적 감소를 야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감소하다" 또는 "억제하다"는 75%, 85%, 90%, 95% 또는 그 이상의 전체적 감소를 야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언급된 양은, 동일한 기간에 걸쳐 대조군 용량(예: 위약)과 비교하여, 일정 기간에 걸쳐 억제되거나 감소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참조"는 비교 목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샘플, 표준 또는 수준을 지칭한다. 참조는 건강한 샘플 또는 발병되지 않은 샘플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참조는 반려 동물의 발병되지 않은 또는 치료되지 않은 샘플로부터 수득된다. 일부 예에서, 참조는 특정 종의 하나 이상의 건강한 동물로부터 수득되고, 이는 시험 또는 치료되는 동물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 감소된"은 수치와 참조 수치 사이의 충분히 높은 수준의 감소를 나타내고, 당업자는 2개 수치 사이의 차이를 상기 수치에 의해 측정된 생물학적 특성의 맥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감소된 수치는, 참조 수치와 비교하여, 약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또는 100% 중의 어느 하나보다 대폭 감소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혈구응집 억제(HI) 검정 또는 바이러스 중화(VN) 검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항체의 부재하에 파보바이러스 역가와 비교하여, 개과 또는 고양이과에서 파보바이러스 역가를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적어도 25%,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45%, 적어도 50%,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100%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역가의 감소는 10% 내지 15%, 10% 내지 20%, 10% 내지 25%, 10% 내지 30%, 10% 내지 35%, 10% 내지 40%, 10% 내지 45%, 10% 내지 50%, 10% 내지 60%, 10% 내지 70%, 10% 내지 80%, 10% 내지 90%, 10% 내지 100%, 15% 내지 20%, 15% 내지 25%, 15% 내지 30%, 15% 내지 35%, 15% 내지 40%, 15% 내지 45%, 15% 내지 50%, 15% 내지 60%, 15% 내지 70%, 15% 내지 80%, 15% 내지 90%, 15% 내지 100%, 20% 내지 25%, 20% 내지 30%, 20% 내지 35%, 20% 내지 40%, 20% 내지 45%, 20% 내지 50%, 20% 내지 60%, 20% 내지 70%, 20% 내지 80%, 20% 내지 90%, 20% 내지 100%, 25% 내지 30%, 25% 내지 35%, 25% 내지 40%, 25% 내지 45%, 25% 내지 50%, 25% 내지 60%, 25% 내지 70%, 25% 내지 80%, 25% 내지 90%, 25% 내지 100%, 30% 내지 35%, 30% 내지 40%, 30% 내지 45%, 30% 내지 50%, 30% 내지 60%, 30% 내지 70%, 30% 내지 80%, 30% 내지 90%, 30% 내지 100%, 35% 내지 40%, 35% 내지 45%, 35% 내지 50%, 35% 내지 60%, 35% 내지 70%, 35% 내지 80%, 35% 내지 90%, 35% 내지 100%, 40% 내지 45%, 40% 내지 50%, 40% 내지 60%, 40% 내지 70%, 40% 내지 80%, 40% 내지 90%, 40% 내지 100%, 45% 내지 50%, 45% 내지 60%, 45% 내지 70%, 45% 내지 80%, 45% 내지 90%, 45% 내지 100%, 50% 내지 60%, 50% 내지 70%, 50% 내지 80%, 50% 내지 90%, 50% 내지 100%, 60% 내지 70%, 60% 내지 80%, 60% 내지 90%, 60% 내지 100%, 70% 내지 80%, 70% 내지 90%, 70% 내지 100%, 80% 내지 90%, 80% 내지 100% 또는 90% 내지 100%이다.
예시적 약제학적 조성물
용어 "약제학적 제형"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들)의 생물학적 활성이 유효하도록 하는 형태이고, 제형이 투여되는 대상체에 대해 용인할 수 없을 정도로 독성이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제형을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대상체에게 투여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함께 포함하는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무독성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캡슐화 물질, 제형 보조제 또는 담체를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 대해 무독성이고, 제형의 다른 성분과 양립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사용되는 제형에 적합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에는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인간 혈청 알부민, 개과 또는 기타 동물 알부민 등의 혈청 단백질;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트로메타민 또는 HEPES 완충제 등의 완충제; 글리신; 소르브산; 소르빈산 칼륨;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황산프로타민,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또는 삼규산마그네슘 등의 염 또는 전해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계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아르기닌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아미노산이 포함된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동결건조된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조 프로세스는 동결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개, 고양이 또는 말에 투여하기 전에, 전형적으로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수성 조성물로서 재조제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특히 항체가 열적 및 산화적 변성에 대해 매우 안정한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액체로서, 즉 수성 조성물로서 보존될 수 있고, 이는 개, 고양이 또는 말에게 직접 또는 적절한 희석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동결건조된 조성물은 멸균된 주사용수(WFI)로 재구성할 수 있다. 항균제(예를 들면, 벤질 알코올) 등의 정균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pH는, 투여되는 경우, 약 pH 5 내지 약 pH 8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이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멸균된다. 멸균은 멸균 여과막(예를 들면, 0.2 마이크론 막)에 의한 여과를 포함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몇몇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살균제는 항균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5.0 내지 6.2, 5.0 내지 6.0 또는 5.3 내지 5.7의 pH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담체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 pH 7.2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담체는 50mM Na시트레이트 pH 7, 150mM NaCl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균제를 포함한다.
항체 및 약제학적 조성물의 예시적 용도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한 수동 면역을 제공하고/하거나,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파보바이러스 감염"은 파보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되거나, 이에 의해 유발되거나, 이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는 케이지-측 ELISA 시험, 혈구응집 검정(HA), 조직병리학, 바이러스 분리 또는 바이러스 역가, 또는 PCR에 의해 확인된 감염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파보바이러스 감염에는 종종 발열, 구토, 설사,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탈수 및/또는 속발성 패혈증(secondary septicemia)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는 유익하거나 목적하는 임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치료"는 인간 및 반려 동물(예를 들면, 개과 또는 고양이과)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등의 대상체에서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임의의 투여 또는 적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유익하거나 목적하는 임상 결과는 하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증상의 완화, 사망의 예방, 질환의 정도 및 중증도의 감소, 질환의 확산 방지 또는 지연, 바이러스 배출 기간의 제거 또는 단축, 질환의 재발의 예방 또는 지연, 바이러스 세포변성 효과의 예방 또는 감소,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감속, 질환 상태의 개선, 질환 또는 질환 진행의 억제, 질환의 임상 징후의 해소, 질환 또는 이의 진행의 억제 또는 지연, 이의 발증의 저지 및 관해(부분적 또는 전체적). 또한 "치료"에 포함되는 것은 증식성 질환의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방법은 치료의 이러한 태양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고려한다. 상기와 같은 맥락에서, 용어 치료는 장애의 모든 측면을 100% 제거할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감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수동 면역을 제공하고/하거나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반려 동물(예를 들면, 개과 또는 고양이과) 또는 인간 등의 대상체에게 투여되어, 파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수동 면역을 제공하고/하거나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한다.
물질/분자,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치료 유효량"은 치료할 질환의 유형, 질병 상태, 개별 대상체의 면역 상태, 직면한 악성 바이러스 부하, 중증도 및 바이러스 혈증의 정도, 질환의 중증도 및 경과, 치료 목적의 유형, 이전의 치료, 임상 병력, 이전 치료에 대한 반응, 모체 유래의 항체 수동적 전달 상태, 개별 동물의 이전의 면역 상태, 담당 수의사의 재량, 대상체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대상체에서 목적하는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분자,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능력 등의 요인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은 또한 물질/분자,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임의의 독성 또는 유해한 효과가 치료학적으로 유익한 효과보다 더 큰 양이다. 치료 유효량은 1회 이상의 투여로 전달될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적 또는 예방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투여량 및 기간에서 효과적인 양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하 투여, 정맥내 주입 또는 근육내 주사에 의해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일 용량 또는 복수 용량의 볼루스 주사로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근육내, 정맥내, 복강내, 뇌척수내, 피하, 동맥내, 활막내, 척추강내 또는 흡입 경로에 의해 투여된다.
본원에 기재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용량당 0.01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용량당 0.5mg/kg 체중 내지 5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용량당 0.1mg/kg 체중 내지 1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용량당 0.1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용량당 1mg/kg 체중 내지 1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0.5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 1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 5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10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 20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 50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 1mg/kg 체중 내지 10mg/kg 체중 범위, 5mg/kg 체중 내지 10mg 범위 /kg 체중, 0.5mg/kg 체중 내지 10mg/kg 체중 범위, 0.01mg/kg 체중 내지 0.5mg/kg 체중 범위, 0.01mg/kg 체중 내지 0.1mg/kg 체중 범위, 또는 5mg/kg 체중 내지 5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0.5mg/kg 체중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 또는 반려 동물(예: 개과 또는 고양이과) 등의 대상체에게 한 번에 또는 일련의 치료에 걸쳐 단일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1회, 1회 초과, 적어도 2회, 적어도 3회, 적어도 4회, 또는 적어도 5회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용량은 적어도 연속 2주 또는 3주 동안 매주 1회 투여되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치료 사이클은 2회 이상 반복되고, 임의로 1주 이상의 무치료 기간이 산재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치료 유효량은 연속 2 내지 5일 동안 1일 1회 투여되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치료 사이클은 2회 이상 반복되고, 임의로 1일 이상 또는 수주 동안의 무치료 기간이 산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용량은 1주령 미만, 2주령 미만, 3주령 미만, 4주령 미만, 5주령 미만, 6주령 미만, 6주령 미만, 7주령 미만, 8주령 미만, 9주령 미만, 10주령 미만, 11주령 미만, 12주령 미만, 6개월령 미만, 0 내지 12주령, 0 내지 10주령, 0 내지 8주령, 0 내지 6주령, 0 내지 4주령, 0 내지 2주령, 4 내지 12주령, 6 내지 12주령, 10 내지 12주령, 4주 내지 6개월령, 2개월 내지 6개월령, 4개월 내지 6개월령, 6개월 내지 1세, 13주령 초과 또는 1세 초과의 인간 또는 반려 동물(예: 개과 또는 고양이과) 등의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파보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수동 면역을 제공하기 위해, 파보바이러스 항체 또는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출생 전 및/또는 출생 후에 유아 대상체에게 전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인간 또는 반려 동물(예를 들면, 개과 또는 고양이과) 등의 임신 중 또는 수유 중의 모체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임신 중의 대상체의 태반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해 유아 대상체에서 수동 면역을 제공하는 방법은, 임신 중 또는 수유 중의 모체 대상체에게,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임신 중 대상체의 태반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간호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것은, 파보바이러스 감염의 검출, 진단 및 모니터링을 위해 파보바이러스 항체, 폴리펩티드 및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것은 대상체가 파보바이러스 항체 요법에 반응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바이러스 혈청 중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파보바이러스 항체를 사용하여 대상체가 파보바이러스를 발현하는 세포를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검출 방법은 샘플을 항체,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접촉시키고, 결합 수준이 참조 또는 비교 샘플(예: 대조군)의 결합 수준과 상이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가 대상체에 적절한 치료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샘플은 생물학적 샘플이다. 용어 "생물학적 샘플"은 생물 또는 이전에 생물로부터 추출한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세포 파편, 세포 또는 세포/조직 용해물을 함유하는 면봉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혈액(예를 들면, 전혈), 혈장, 혈청, 소변, 활액, 림프 조직 및 상피 세포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포 또는 세포/조직 용해물을 파보바이러스 항체와 접촉시키고 항체와 세포 사이의 결합을 측정한다. 시험 세포가 동일한 조직 유형의 참조 세포와 비교하여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 이는 대상체가 파보바이러스 항체에 의한 치료로부터 이익을 수득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험 세포는 인간 또는 반려 동물(예를 들면, 개과 또는 고양이과) 등의 대상체의 조직으로부터 유래한다.
특정 항체-항원 결합을 검출하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 면역검정은 형광 편광 면역검정(FPIA), 형광 면역검정(FIA), 효소 면역검정(EIA), 신장측정 억제 면역검정(NIA),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ELISA) 및 방사선면역검정(RIA)을 포함한다. 지시자 모이어티 또는 표지 그룹은 대상체 항체에 부착될 수 있고, 검정 장비 및 호환성의 면역검정 절차에 의해 종종 결정되는 방법의 다양한 사용의 필요성을 충족하도록 선택된다. 적절한 표지에는 방사성핵종(예: 125I, 131I, 35S, 3H 또는 32P), 효소(예: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루시퍼라제 또는 b-갈락토시다제), 형광 모이어티 또는 단백질(예: 플루오레세인, 로다민, 피코에리트린, GFP 또는 BFP), 또는 발광 모이어티(예를 들면, 퀀텀 도트 코포레이션(Quantum Dot Corporation, Palo Alto, CA)에 의해 공급되는 Qdot™ 나노입자)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다양한 면역검정을 수행할 때에 사용되는 일반적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진단의 목적을 위해, 항체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는 방사성 동위원소, 형광 표지, 및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효소-기질 표지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로 표지될 수 있다. 표지를 항체에 접합시키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표지될 필요가 없고, 이의 존재는 제1 파보바이러스 항체에 결합하는 제2 표지된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파보바이러스 항체는 경쟁적 결합 검정, 직접 및 간접 샌드위치 검정 및 면역침전 검정 등의 임의의 공지된 검정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참조: Zola, Monoclonal Antibodies: A Manual of Techniques, pp. 147-158 (CRC Press, Inc. 1987)]. 파보바이러스 항체 및 폴리펩티드는 또한 생체내 영상화 등의 생체내 진단 검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는, 목적 세포 또는 조직이 면역신티오그래피를 사용하여 국재화될 수 있도록 방사성핵종(예: 111In, 99Tc, 14C, 131I, 125I, 3H, 또는 본 명세서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기타 방사성핵종 표지)으로 표지된다. 항체는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병리학에서 염색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항체는 진단을 위해 사용되고, 제2 항체는 치료제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항체는 상이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항체는 별개의 에피토프에 결합함으로써 둘 다 항원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특정 측면을 예시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키메라 개과 항체 Mab A 및 Mab B의 제조
8개의 상이한 중화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의 항체 단편과 복합체를 형성한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의 구조 분석이 문헌[참조: Hafenstein S., et al, J Virol. 2009 Jun, 83(11):5556-66]에 보고되었다. 불완전한 아미노산 서열 정보는, 시험관내 검정에서 개과 파보바이러스 중화를 나타내는 랫트 Mab E 및 Mab F Fab 단편에 대해 제공되었다. Mab E의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에 대한 불완전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1 및 82이다. Mab F의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에 대한 불완전 아미노산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83 및 84이다.
3차원 단백질 구조 분석을 수행하여, Mab E 및 Mab F의 중쇄 및 경쇄 모두에 대해 재설계된 제1 프레임워크 영역을 작제했다. Mab A 및 Mab B로 지정된 재설계된 모노클로날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0(Mab A 중쇄), 서열번호 22(Mab A 경쇄), 서열번호 62(Mab B 중쇄) 및 서열번호 64(Mab B 경쇄)이다.
키메라 항체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은 개과 불변 IgG-B 중쇄에 대한 Mab A VH(서열번호 20) 및 Mab B VH(서열번호 62)의 융합, 및 개과 불변 κ 경쇄에 대한 Mab A VL(서열번호 22) 및 Mab B LC(서열번호 64)의 융합을 위해 설계하여, 서열번호 23(키메라 A HC IgG-B), 서열번호 66(키메라 B HC IgG-B), 서열번호 25(키메라 A LC κ) 및 서열번호 68(키메라 B LC κ)을 수득했다. 중쇄 및 경쇄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하고, 포유동물 숙주 세포로의 형질감염에 적합한 발현 벡터에 삽입했다. 중쇄 및 경쇄 벡터 쌍을 세포 및 배양물로 형질감염시킨 후, CaptivA® 단백질 A 친화성 수지(Repligen)을 사용하여 배양 배지로부터 항체를 친화성 정제했다. 정제된 키메라 개과 Mab A 및 Mab B 항체는 SDS-PAGE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음).
키메라 항체는 또한, 개과 불변 IgG-A, IgG-C 및 IgG-D 중쇄에 대한 Mab A VH(서열번호 20) 및 Mab B VH(서열번호 62)의 융합을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2
키메라 개과 항체 Mab A 및 Mab B 활성
정제된 키메라 개과 Mab A 및 Mab B(PBS에서 제형화됨, 200㎍/mL에서 pH 7.2) 둘 다를 사용하여, 혈구응집 억제(HI) 검정을 사용하여 항-개과 파보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했다. 검정은 본질적으로 문헌[참조: Carmichael, et al., Am J of Vet Res. 1980, May, 41(5):784-9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스콘신 대학의 반려 동물 백신 및 면역 진단 서비스 실험실(Companion Animal Vaccine and Immuno Diagnostic Service Laboratory)에서 수행했다. CPV와 함께 인큐베이팅된 키메라 개과 Mab A 및 키메라 개과 Mab B 샘플의 연속 희석액을 제조했다. 이어서, 돼지 적혈구를 첨가했다. 개과 파보바이러스는 돼지 적혈구가 응집하도록 유도한다. 키메라 개과 Mab A 및 키메라 개과 Mab B 모두가 응집을 방지했다. 양 항체 모두는 40960의 CPV-2b HI를 생성한 반면, 무관계 개과 IgG는 <20의 HI를 생성했다. 대부분의 백신 접종된 개는 약 1280의 항체 HI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로, 살아있는 CPV가 세포를 감염시키고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체의 활성은 바이러스 혈청 중화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실시예 3
키메라 개과 Mab A 및 Mab B의 발현을 증강시키기 위한 변이체 VH VL 서열
키메라 개과 Mab A 및 키메라 개과 Mab B는 일시적 CHOS 또는 안정적 CHOK1 세포에서 일관하여 불충분하게 발현되었다. 발현 수준을 증강시키기 위해, 3차원 단백질 구조 분석을 수행하여 변형에 적합한 VH 및 VL 아미노산 잔기를 동정했다. VH 및 VL에서 다양한 돌연변이를 갖는 복수의 작제물이 생성되었다. 개과 IgG-B와 VH 및 VL 변이체의 조합을 갖는 항체의 발현 수준을 시험했다.
증강된 발현 변이체는 개과 파보바이러스 HI 검정에 의해 이들의 특이적 활성에 대해 분석되었다. 이들 실험에서, 시험된 항체 변이체 각각은 200㎍/mL의 PBS, pH 7.2에서 제형화되었다. 키메라 개과 Mab A(서열번호 23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서열번호 66 및 68) 둘 다는 10240의 CPV-2b HI를 입증했다. 증강된 발현 변이체, 키메라 개과 Mab A v2(서열번호 24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서열번호 67 및 69)는 10240의 동일한 HI 값을 유지한 반면, 다른 변이체는 더 낮은 특이적 활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
파보바이러스 감염 검정 활성( SVN )
살아있는 파보바이러스가 세포를 감염시키고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키메라 개과 Mab A v2(서열번호 24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서열번호 67 및 69)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혈청 바이러스 중화(SVN) 검정을 수행했다. 이 검정에서는, 마딘 다비 개과 신장(Madin Darby Canine Kidney; MDCK) 세포를 성장시켰다. 항체의 연속 희석액은 고정 역가의 파보바이러스와 혼합되었다. 이어서, 혼합물을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팅했다. 인큐베이팅 후, 세포를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바이러스 세포변성 효과(CPE)를 동정했다. 판독은 파보바이러스가 세포변성 효과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계에 도달한 항체 샘플의 최종 희석이다.
(1) 4℃로 유지하고 (2) 200ug/mL에서 7회의 동결-해동 사이클을 거친 양 키메라 개과 Mab A v2는 동일한 활성을 가졌다: CPV-2b 32000에 대한 SVN 및 CPV2c 8000에 대한 SVN.
실시예 5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Mab B v2의 안정성
25mg/mL에서의 키메라 개과 Mab A v2(서열번호 24 및 25) 및 20.5mg/mL에서의 키메라 개과 Mab B v2(서열번호 67 및 69)의 안정성을 시험했다.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는 각각 약 25mg/mL 및 약 20.5mg/mL의 농도에서 HI 검정에 의해 유사한 특이적 활성을 갖는다.
CHOK1 안정한 풀로부터 생산 및 정제된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 둘 다는 PBS, pH7.2에서 25mg/mL로 용이하게 농축될 수 있고, 이는 양 항체 모두에 용해성 문제가 없음을 시사한다.
크기 배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평가한 경우,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는, 중성 pH 및 pH 4.1에서 10시간 동안 보관한 후, 단량체(>99%)이다. 이 분석에서는, 아길런트(Agilent) 1100 시스템, KW-G 가드 컬럼을 갖는 쇼덱스(Shodex) KW803 컬럼(8mm×300mm) 및 2X PBS pH7.2(270mM NaCl, 5.4mM KCl, 8.6mM Na2HPO4, 2.8mM KPO4)의 이동상 완충액을 0.5mL/분의 일정한 유속으로 사용하여 SEC-HPLC에 의해 항체의 단량체와 응집체를 분리했다. 컬럼은 티로글로불린, γ-글로불린, 난백, 미오글로빈 및 비타민 B12로 구성된 Bio Rad 마커(카탈로그 번호 151-1901)를 사용하여 보정되었다.
(1) PBS, 25mg/mL의 pH 7.2 및 (2) 50mM Na시트레이트 pH 7, 25mg/mL의 150mM NaCl에서 다양한 온도로 키메라 개과 Mab A v2 실시간 안정성을 평가했다. 10개월 후의 HPLC-SEC 결과는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완충액 온도 %HMW 키메라 개과 Mab A v2 (단량체 %)


PBS pH 7.2
-80℃ (대조군) <LOQ 100
-20℃ <LOQ 100
4℃ <LOQ 100
25℃ 2.1% 97.9
50 mM Na시트레이트 pH 7, 150 mM NaCl -80℃ (대조군) <LOQ 100
-20 ℃ <LOQ 100
안정성은 또한 항체를 -70℃에서 동결하고, 실온에서 해동하는 3회의 동결-해동 사이클에 적용하여 시험했다. CPV-2b HI 및 CPV-2c HI 값 모두와 관련하여, 두 항체 모두에 대해 활성 손실이 관찰되지 않았다.
항체를 -20℃에서 동결하고, 실온에서 해동하는 7회의 동결-해동 사이클에 적용하여 안정성을 추가로 시험했다. 두 항체 모두는, HI 검정에 의해 측정한 경우, 완전한 활성을 유지했다.
시차 주사 형광(DSF)을 사용하여, 상이한 제형 및 pH 범위에 걸친 2개 항체의 열안정성을 분석했다. 상이한 조건에서 각 항체의 용융 온도(Tm)를 측정했다. 완충액 및 12㎍의 항체를 1X 단백질 열 이동 염료(Applied Biosystem, 카탈로그 번호 4461146)와 함께 혼합했다. 스텝원 실시간(StepOne Real Time) PCR 시스템(Applied Biosystem, 카탈로그 번호 4376357)을 사용하여 용융 곡선을 작성했다. 온도는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25℃에서 99℃로 증가시키고, 램프 속도를 1%로 했다. 이 데이터를 단백질 열 이동(Protein Thermal ShiftTM) 소프트웨어 v1.0(Applied Biosystem, Catalog No. 4466038)으로 분석하여, 단백질 용융 곡선의 1차 도함수를 취하여 수득된 최고 값으로 계산된 Tm을 결정했다. PBS pH7.2를 포함하여 시험된 각 제형에 대해, 키메라 개과 Mab A v2는 키메라 개과 Mab B v2보다 유의적으로 더 안정적이었다.
실시예 6
키메라 개과 항체 Mab A v2 및 Mab B v2의 VLP 결합
파보바이러스 VLP에 대한 키메라 개과 Mab A v2(서열번호 24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서열번호 67 및 69)의 외관상 친화성을 측정했다. 먼저, 비오틴화된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를 스트렙트아비딘 센서 팁에 결합시켰다. 이어서, Mab 결합 센서 팁에 대한 재조합 개과 파보바이러스 CPV2b 캡시드(Advanced ImmunoChemical Inc Cat #8-CPV)의 결합을 평가했다.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 항체는 각각 개과 CPV 2b VLP에 대한 친화성을 나타냈고, 치료 활성에 잠재적으로 충분한 동역학을 나타냈다. 결합 분석은 옥테트 바이어센서(Octet Biosenso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키메라 개과 Mab A v2(서열번호 24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서열번호 67 및 69)을 아민 화학에 의해 비오틴화했다. 유리 미반응 비오틴은 대규모 투석에 의해 제거했다. 비오틴화된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는 스트렙트아비딘 센서 팁에서 포획되었다. Mab A v2 또는 Mab B v2와 개과 CPV 2b VLP(40㎍/mL)의 회합을 300초 동안 모니터링했다. 해리를 300초 동안 모니터링했다. 비오틴화된 무관계 개과 IgG-B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포르테바이오(ForteBio™)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1:1 결합 모델에 적합시켜, kon, koff 및 Kd를 결정했다. 희석 및 모든 결합 단계용의 완충액은 20mM 포스페이트, 150mM NaCl, pH 7.2였다. 키메라 개과 Mab A v2 및 VLP2b의 Kd는 9.78×10-11 M이었고, 키메라 개과 Mab B v2 및 VLP2b의 Kd는 9.38×10-12 M이었다(도 2 참조).
실시예 7
Mab A v2 및 Mab B v2의 개과화
특히 항체 A 또는 B의 반복 투여가 필요한 경우, 잠재적 면역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Mab A v2 및 B v2의 VH 및 VL을 개과화(caninization)에 적용했다. 다수의 개과화된 VH 및 VL이 설계, 발현 및 정제되었다. CPV2b HI 검정을 사용하여, 특정 활성에 대해 우수한 발현체를 선택했다. 개과화된 A HC v3 IgG-B(서열번호 37) + 개과화된 A LC κ(서열번호 39) 및 개과화된 A HC v4 IgG-B(서열번호 38) + 개과화된 A LC κ(서열번호 39)는, 키메라 A HC IgG-B(서열번호 23) + 키메라 A LC κ(서열번호 25) 및 키메라 A HC v2 IgG-B(서열번호 24) + 키메라 A LC κ(서열번호 25)와 비교하여 완전한 활성을 유지했다. 개과화된 B HC v3 IgG-B(서열번호 79) + 개과화된 B LC v3 κ(서열번호 80)는 키메라 B HC IgG-B(서열번호 66) + 키메라 B LC κ(서열번호 68) 및 키메라 B HC v2 IgG-B(서열번호 67) + 키메라 B LC v2 κ(서열번호 69)와 비교하여 완전한 활성을 유지했다.
실시예 8
고양이과 키메라 Mab A 및 Mab B
키메라 개과 Mab A v2(서열번호 24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 v2(서열번호 67 및 69)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 HI 검정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200㎍/mL의 키메라 개과 Mab A v2는 262144의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 HI를 나타낸 반면, 200㎍/ml의 키메라 개과 Mab B v2는 131072의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 HI를 나타냈다.
따라서, Mab A 및 Mab B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키메라 고양이과 Mab A 가변 중쇄 및 고양이과 IgG-1은 키메라 고양이과 Mab A 가변 경쇄 및 고양이과 카파(서열번호 31 및 32)와 쌍을 이루도록 설계되었다. 잠재적 불균일성을 제거하기 위해, 글리코실화 부위를 제거하는 돌연변이를 도입하여, 키메라 고양이과 Mab A-IgG1을 비글리코실화된 카파(예를 들면, 서열번호 31 및 33)와 쌍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키메라 고양이과 Mab B 가변 중쇄 및 고양이과 IgG-1은 키메라 고양이과 Mab B 가변 경쇄 및 고양이과 카파(서열번호 74 및 75)와 쌍을 이루도록 설계되었다. 글리코실화 부위를 제거하는 돌연변이를 도입하여, 키메라 고양이과 Mab A-IgG1을 비글리코실화된 카파(예를 들면, 서열 74 및 76)와 쌍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9
의 안전성 및 약력학
키메라 개과 Mab A(서열번호 23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서열번호 66 및 68)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생체내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안전성, 개과 파보바이러스-2(CPV-2) 역가에 대한 키메라 개과 Mab A 및 키메라 개과 Mab B의 효과, 바이러스 중화, 및 목적을 갖고 사육된, 백신 미접종의 건강한 개에서 2개의 항체에 의한 치료 후에 일가 변형 생 백신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하기 표 4의 연구 설계의 요약을 참조한다.
속성 항-개과 파보바이러스 중화 항체
키메라 개과 Mab A (서열번호 23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 (서열번호 66 및 68).
프로토콜 번호 KB-030-PK-301
프로토콜 명칭 전용의 개에서 Mab A 및 Mab B의 파일럿 약역학적 및 안전성 연구
재료 및 방법 · 이 연구는 개방 표지였다
· 비-GLP
· 백신 미접종된, CPV-2 역가, 건강한 비글에서 단일-용량 실험실 PD 및 안전성 연구
· 개는 2개의 동일한 치료 그룹 중 하나로 랜덤화되었다(3 Aab A:3 Aab B)
· 스폰서에 의해 공급된 랜덤화 목록을 사용하여 할당이 발생했다
· 순응성 단계 동안, 콕시디아(coccidia) 및 헬민쓰(helminth) 예방을 위해 병용 약물이 제공되었다.
연구 모집단 · 6마리의 건강한 암컷 비글 개
· 10-12주령
· 최종 적어도 1.5 kg
· 위스콘신주 리글란 농장으로부터 공급
연구 일자 연구 개시/적응: 2019년 1월 21일TA 투여: 2019년 1월 28일
연구 종료: 2019년 5월 9일
랜덤화 후, 개를 2개 그룹(3개 Mab A(개 ID BDW-8, DEW-8 및 DFW-8):3개 Mab B(개 ID CTW-8, CWW-8 및 DHW-8))으로 할당했다. 개는 연구 0일차에 클립하여 준비한 두부 정맥을 통해 각각의 항체를 단일 정맥내 용량(5mg/kg)으로 제공받았다. 일가 CPV 백신인 노비박(Nobivac) 1-Pv(Merck Animal Health, Kenilworth, NJ)는 초기에 역가 80 이하로 개에 투여했다. 제2 용량은 제1 용량으로부터 21일차에 투여되었다. 제2 용량으로부터 약 21일 후에 개가 혈청전환되지 않은 경우는 제3 용량을 투여했다.
개는 혈구응집 억제(HI) 및 바이러스 중화(VN)를 사용하여 합계 100일 동안 모니터링했다. HI는 혈청 샘플 중의 항체 양을 정량화하고, VN은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세포를 감염 및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항체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는 또한, CPV 백신 접종 후에 혈청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적했다.
모든 개는 Mab A 또는 B 항체의 정맥내 투여 전에 0일차에 <20의 HI 역가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Mab A 또는 B 투여 후에 1일차의 HI 역가는 2560 내지 5120였다. 항체의 분해를 기록하고, 혈청 반감기를 평가하기 위해, 역가를 100일 동안 모니터링했다.
개별 개의 역가가 1:40으로 저하되기 시작한 37일차에 백신 CPV-2의 중화를 평가하기 위해 백신 접종을 개시했다. Mab A 또는 B 항체는 개의 다양한 수준에서 면역화를 차단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개에게 일정에 따라 백신 접종의 후속 용량을 제공하고, 반응을 확인했다. 백신의 혈청전환은 최종적으로 6마리의 개 중 5마리에서 발생했다. 2개 그룹의 동물에 대한 HI 검정 역가는 하기 표 5 및 도 3a(Mab A 그룹), 도 3b(Mab B 그룹) 및 도 3c(양 그룹을 조합한 것)에 반영되어 있다.
시간의 함수로서 HI를 사용하여, 고속 분포와 저속 위상 감쇠를 수득하기 위해, 2개의 위상 감쇠 동력학이 사용되었다. 키메라 개과 Mab A의 반감기는 10.1일(도 4a)인 반면, 키메라 개과 Mab B의 반감기는 8.6일(도 4b)이었다. 혈청 VN 검정은 HI 역가를 반영했다(하기 표 6 참조). 반감기는 모체 유래의 항체와 거의 일치한다[참조: Carmichael, LE, Joubert, JC and Pollock, RVH; "A Modified Live Canine Parvovirus Vaccine. II. Immune Response;" Cornell Vet, Volume 73, Pages 13-29; 1983].
이 초기 약력학 연구는 정맥내 투여된 키메라 개과 Mab A(서열번호 23 및 25) 및 키메라 개과 Mab B(서열번호 66 및 68)가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2560 내지 5120의 초기 항체 역가를 초래했음을 입증한다. 추가로, VN은 HI 역가에 엄밀하게 따른다. 항체의 대략적 반감기는 7일 내지 10일이다. 면역의 기간(즉, HI 역가가 80 이상으로 유지된 기간)은 키메라 개과 Mab A 또는 키메라 개과 Mab B의 1회 투여 후 30 내지 42일의 범위였다. 항체가 충분히 분해하여 백신 CPV-2를 더 이상 중화하지 않을 때까지, 백신 접종에 대한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키메라 개과 Mab A 및 키메라 개과 Mab B 둘 다는 높은 역가를 초래하고, 내성이 우수했고, 유해 사상 또는 주사 부위 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초기 CPV 백신 접종은 6마리 개 중 5마리에서 혈청전환이 발생하지 않았고, 이는 백신을 중화시키는 잔류 키메라 개과 Mab A 또는 B 항체에 기인할 수 있다. 개과 Mab A 또는 키메라 개과 Mab B 둘 다에 의한 백신 바이러스 복제 차단은 시험관내 중화 데이터에 대한 최초의 생체내 상관관계였다. 그 후, 3마리의 개가 2회차 백신 접종 후에 혈청전환되고, 1마리는 3회차의 백신 접종 후에 혈청전환되었다.
개 CWW-8과 관련하여, 56일차의 혈청전환은 37일차에 투여된 백신 접종 기간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 다른 개로부터 배출되는 백신 바이러스는 CWW-8을 노출했고, 역가가 <20으로 되면, 혈청전환을 생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12
연구 일 일 0 일 1 일 7 일 14 일 21 일 28 일 35 일 42 일 29 일 63 일 84
동물 ID 바이러스 중화 검정
BDW-8 <2 1024 512 256 128 32 32 16 8 2 2
DEW-8 <2 1024 512 256 128 64 32 32 16 4 1024
DFW-8 <2 1024 512 256 128 16 32 16 16 8 32
CTW-8 <2 512 256 64 64 32 16 4 4 >4096 1024
CWW-8 <2 512 256 128 64 32 16 16 4 >4096 4096
DHW-8 <2 1024 256 128 64 32 16 8 8 4 <2
밑줄 = 1차 일가 파보 백신 제공
이탤릭체 = 2차 일가 파보 백신 제공
실시예 10
예방 및 치료
이 생체내 연구에서는 MabA v2 항체를 사용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MabA v2의 장래의 중요한 연구에서 개를 챌린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살아있는 CPV-2의 용량을 검증하고, CPV-2 감염을 예방하는 예방적 치료로서 및 CPV-2 감염을 갖는 개의 치료적 치료로서 2개 적응증에 대한 MabA v2의 개념 증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하기 표 7의 연구 설계의 요약을 참조한다.
속성 항-개과 파보바이러스 중화 항체
키메라 개과 Mab A v2 (서열번호 24 및 25)
프로토콜 번호 KB-030-PLC-301
프로토콜 명칭 CPV-2 감염의 임상 징후를 예방하기 위해 개에서 예방적 및 치료적 치료로서 Mab A v2의 효능의 평가
재료 및 방법 · 이 연구는 개방 표지였다
· 비-GLP
· 백신 미접종된, CPV-2 역가 음성의 건강한 비글에서 실험실 PD 및 안전성 연구
· 개는 6개 동일한 치료 그룹 중 하나로 랜덤화했다
연구 모집단 · 12마리의 건강한 비글 개
· 동일한 수의 수컷 및 암컷
· 11주령
· 체중 적어도 1.5 kg
· 위스콘신주 리글란 팜스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공급
연구 일자 연구 1일: 2019년 6월 22일CPV-2 접종: 2019년 6월 25일
연구 종료: 2019년 7월 7일
12마리의 개를 랜덤화하고, 각 그룹에 수컷 및 암컷을 갖는 6개 그룹 중 하나로 할당했다. 그룹 1 내지 3은 3개의 상이한 바이러스 대수에서 필요한 이환율 및 사망률의 생성에 필요한 용량을 검증하기 위해, 살아있는 CPV-2 챌린지만을 제공받았다. 그룹 4 및 5의 개는, 살아있는 CPV-2b를 접종하기 전에, 예방적 치료로 Mab A v2를 제공받았다. 그룹 6의 개는, 챌린지 후에 Mab A v2를 제공했고, 분변 케이지-측 ELISA SNAP 시험에 의해 CPV-2 감염의 발생을 확인했다. CPV-2 접종 챌린지 일정은 표 8(하기)을 참조한다.
그룹 개의 수 챌린지 접종의 연구 일 경로 용량
1 2 CPV-2b 4일 IN 102 TCID50
2 2 CPV-2b 4일 IN 104 TCID50
3 2 CPV-2b 4일 IN 106 TCID50
4* 2 CPV-2b 4일 IN 106 TCID50
5* 2 CPV-2b 4일 IN 106 TCID50
6** 2 CPV-2b 4일 IN 106 TCID50
* 그룹 4 및 5는 표 9에 따라 1일차에 Mab로 치료했다
** 그룹 6은, 표 10에 따라 분변에서 바이러스의 검출(케이지-측 CPV-2 ELISA를 통해)에 의해 CPV-2 감염이 확인된 후, Mab로 치료했다
그룹 4 및 5에는 하기 표 9에 따라 연구 1일차에 MabA v2가 제공되었다.
그룹 개의 수 치료 치료의 연구 일 경로 용량
4 2 Mab A v2 일 1 IV 5 mg/kg
5 2 Mab A v2 일 1 SC 5 mg/kg
각 개가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하는 분변에서 CPV-2를 기록하는 양성 케이지-측 CPV-2 ELISA 시험을 개발한 후, 그룹 6은 연구 7일차에 Mab A v2를 제공했다. 하기 표 10을 참조한다.
그룹 개의 수 치료 치료의 연구 일 경로 용량
6 2 Mab A v2 분변에서 바이러스의 검출시 IV 5 mg/kg
이 연구는 피하 투여된 MabA v2에 관한 최초의 약력학적 데이터를 제공했다. 그룹 4의 개에게 정맥내 투여된 용량은 예측된 바와 같이 HI 역가의 순간적 상승을 제공했다. 그룹 5의 개에게 피하 투여된 용량은 24시간에 걸쳐 동등한 역가를 생성했다. 하기 표 11에서, MabA v2 HI 역가의 투여 후 피크가 달성되는 시점에서 정맥내 및 피하 용량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알 수 있다.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bA v2의 투여는 투여 후 24시간(IV) 및 48시간(SC) 이내에 개에서 순환 항체 역가를 생성했다. 고부하 독성 챌린지에 직면하여, 보호적 수동 항체 역가를 16일 동안 유지했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1일차에, 그룹 4와 5에 각각 MabA v2를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했다. 4일차에, 모든 6개 그룹의 12마리 개 모두에게 표 8의 접종 용량에 따라 독성 CPV-2를 비강내 투여했다. 합계 14일 동안, 개를 6시간마다 모니터링하여, 일반 건강 관찰(GHO)를 기록하고, 12시간마다 임상 스코어를 기록하고(검증된 시스템을 통해, Mohr et al, 2003), 혈액학, HI 및 VN 및 분변 혈구응집 검정(HA)을 위해 혈액을 빈번하게 샘플링했다. 추가로, 파보바이러스 감염이 언제 존재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양성으로 판정될 때까지, 모든 개에게 접종 후 매일 케이지-측 CPV-2 ELISA 시험을 실시했다. 표 13은 연구 중에 관찰된 CPV-2의 임상적 징후를 요약한 것이다.
그룹 개 ID 설사, 혈변 또는 점액 RT≥ 103.4 ℉ 림프구성
≥50%
분변 바이러스 HA 초기 안락사
1 AA1001 + - - + -
AA1101 - - - - -
2 AA2001 + - - + -
AA2101 + - + + + (연구 11일에서)
3 AA3001 - - + + + (연구 10일에서)
AA3101 + + + + + (연구 11일에서)
4 AA4001 - - - - -
AA4101 - - - - -
5 AA5001 - - - - -
AA5101 - - - - -
6 AA6001 - - + - -
AA6101 - - + + -
그룹 3 및 6의 개(106 살아있는 CPV-2로 챌린지되고, MabA v2로 전처리되지 않은 개)는 접종 후 3일차 또는 4일차에 케이지-측 CPV-2 ELISA 시험에서 양성을 나타냈다. 그룹 3(사실상 대조군)의 개 2마리는 우울증, 구토, 혈변 설사, 진행성 탈수증을 포함한 파보바이러스 감염의 심각한 전형적 임상 징후를 발증하고, 접종 후 7일까지 빈사 및 안락사시켰다. 그룹 6의 개 2마리는 살아있는 CPV-2 접종 3일 후에 케이지-측 CPV-2 ELISA 시험에서 양성을 나타냈다. 케이지-측 CPV-2 ELISA 시험에서 양성을 확인한 후, 5mg/kg의 Mab A v2를 정맥 주사로 치료했다. 이들은 추가의 보조적 또는 지지적 케어를 받지 않았다.
그룹 3의 개는 계속 병이 악화되어, 최종적으로 빈사 상태로 되어 인도적으로 안락사시켰지만, 그룹 6의 개는 연구 기간 동안 생존하여 완전한 임상 회복을 경험했다. 그룹 6의 개는 또한 음성 케이지-측 CPV-2 ELISA 시험으로 복귀하고, 이는 이들이 더 이상 바이러스 입자를 배출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방적 치료로서 Mab A v2를 투여한 그룹 4 및 5의 모든 개는 생존했을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유지했다(예: 양성 케이지-측 CPV-2 ELISA을 발증하지 않았고, 파보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적 징후를 나타내지 않음).
인도적 이유로 안락사가 조기에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예정된 연구 완료시에 인도적 안락사 후에 그룹 3 내지 6의 해부학적 조직병리학이 수행되었다. 그룹 4 및 5는 유의한 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룹 6은 흉선의 림프구 고갈을 나타냈지만, 검사된 다른 장기는 정상이었다. 그룹 3은 모든 림프 기관의 림프계 고갈, 중등도 내지 중증의 소장 융모 위축/괴사, CPV-2 감염을 나타내는 경도 내지 중증의 음와 괴사를 나타냈다.
이 파일럿의 개념 실증 연구는 Mab A v2가 예방적 및 치료적 개입으로서 유망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예방 그룹(n=4)의 모든 개는 파보바이러스 감염이 발증하지 않았고, 임상적으로 정상 상태를 유지했다. 파보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치료 그룹(n=2)의 모든 개는, 다른 보조적 또는 지지적 치료 없이 Mab A v2를 투여한 후, 생존하고 완전한 임상적 회복을 경험했다. 이 연구는 또한, 예방을 위한 Mab A v2의 피하 투여가 실행 가능한 옵션임을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이 생성물은 내성이 우수하고, 유해 사상 또는 주사 부위 반응이 없었다. 이 개념 실증 연구에서, 챌린지 전의 Mab A v2의 예방적 투여에 의해, 개의 100%가 CPV-2 감염으로부터 보호되었다. 추가로, 확인된 CPV 감염 후에 Mab A v2 치료를 받은 개는 100%가 생존 및 회복되었다.
실시예 11
치료적 치료의 중추 효과 연구
이 중추 연구는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의 치료제로서 Mab A v2의 효과를 평가한다. 이 연구의 만족스러운 완료와 효능의 입증은 "이 생성물은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에 대해 13주령 이상의 개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라는 라벨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이 GCP, 랜덤화, 맹검화, 위약 대조 연구는 적어도 7일간의 순응 기간 후 14일 기간이다. 합계 28마리의 나이브, CPV-2 역가 음성 개(0일차에서 13주령 미만, 성별, 체중 ≥ 1.5kg)는 표 14에 따라 2개 그룹(그룹 1에서 n=21마리 및 그룹 2에서 n=7)에 대해 3:1 비율로 연구에 랜덤화시켰다.
순응하는 동안, 개는 일반적 기생충 및 콕시디아 감염을 제거하기 위해 구충제 및 항생제를 투여받는 동안 섭식, 사육 및 취급 절차에 순응한다.
CPV-2b 챌린지 일은 0일차로 간주된다. 0일차에 그룹 1 및 2의 모든 개에게 약 1×106 TCID50의 비강내(IN)(약 1mL 용적, 비공당 약 0.5mL)의 용량으로 독성 CPV-2b를 투여한다. 분변에서 CPV가 검출된 당일(양성 케이지-측 CPV SNAP 시험을 통해), 각 개에게 루어-락 주사기를 사용하여 접근 가능한 정맥(예: 두부) 카테터로 정맥내(IV) 주사에 의해 Mab A v2 또는 대조군 생성물(CP;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을 투여한다. Mab A v2는 체중을 기준으로 5 mg/kg의 단일 용량으로 투여된다. CP의 pH는 7.2±0.2이다. Mab A v2Mab A v2 및 CP에 대한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체중 kg)×(5mg/kg)} ÷ {25mg/mL} = 주입되는 용적(mL)
표 15에 요약된 예정 시간에 각각의 개 건강은 신체 검사(PE), 일반 건강의 관찰(GHO), 직장 온도(RT)의 측정, 케이지-측 CPV SNP 시험, 혈청 HI, 분변 혈구응집 분석(HA), 혈청 생화학 및 혈액학에서 14일 동안 면밀하게 모니터링된다.
주요 효능 변수는 그룹 1의 개 대 그룹 2의 개에서 CPV 감염에 의한 사망의 예방이다.
하기 표 14의 치료 그룹을 참조한다.
그룹 개의 수 치료 경로 농도 (mg/mL) 용량
1 21 IVP 양성 CPV SNAP 시험의 일 IV 25 mg/mL 5 mg/kg
2 7 CP 양성 CPV SNAP 시험의 일 IV NA 그룹 1에 상당하는 용적
랜덤화. 이 연구에서는 2단계 랜덤화가 필요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연구에 등록된 28마리 개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어서, 개는, 그룹 1 및 2에 대해 각각 3:1 비율로, 가능하다면 동배에 기초하여 블록 크기 4에서 랜덤화시킨다. 랜덤화는 시드 번호를 사용한 랜덤화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SAS(버전 9.4 이상, SAS Institute, Cary NC)에서 PLAN 절차에 의해 생성된 난수를 기반으로 한다.
시험 시설에 도착한 후, 개는 도착 순서에 따라 2개의 룸의 케이지에 배치되고, 동일한 동배/블록의 개는 가능하다면 동일한 룸에 체류시킨다. 개는 감염된 개로부터 유출된 바이러스에 2차 노출될 수 있다. 양 처리 그룹에 대해 유사한 수준의 2차 바이러스 노출을 유지하고, 시험 시설 직원의 맹검화를 유지하기 위해 각 룸에는 양 치료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28마리의 개를 선택한 후, 이들의 케이지는 1 내지 28까지 순차적으로 넘버링된다. 동일한 동배의 개는 인접한 케이지 번호를 갖고, 4마리의 동배는 룸당 이전 번호(예: 1 내지 4, 5 내지 8 등)를 사용한다. 한 룸에는 케이지 번호 1 내지 12가 포함되고, 다른 방에는 케이지 번호 13 내지 28이 포함되어야 한다. 개는 랜덤화 목록에서 케이지 번호의 순서로 등록된다.
맹검 연구. 조사자 및 기타 모든 시험 시설 직원(디스펜서 및 개의 투약을 제지하는 지정된 1명을 제외)은 0일차의 실제 치료 그룹의 할당에 대해 알지 못한다. 디스펜서 및 시험 시설에서의 투약 중에 개를 제지하도록 지정된 사람만이 각 개에 대한 실제 치료 그룹의 할당(Mab A v2 또는 CP)에 접근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및 개 제지원/홀더는 연구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
사양. 합계 적어도 30마리의 목적을 갖고 사육된 백신 미접종의 CPV-2 혈청 음성(HI < 20)의 건강한 비글 개를 조달한다. 개는 시험 시설에 도착한 때에 CPV SNAP 시험에 의해 CPV 음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등록에는 28마리의 개가 포함되지만, 스크리닝 및 순응 후에 개의 수가 실험에 충족되도록 추가로 2마리의 개를 구입한다. 이상적으로는, 30마리의 개는 배당 4마리 개를 갖는 7개의 동배 + 또 다른 배로부터의 2마리 개(부분 동배)로 구성된다.
중요한 효능 결정. 극히 중요한 효능 시리즈는 후속 시리즈의 방출 효능을 설정하고, 각 시리즈는, 방출에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기 위해, 효력 검정과 비교하여, 중추 효능 시리즈의 효력 이상이어야 한다. 효력 검정에 대한 마스터 참조를 설정하기 위해, 참조 모니터링 검정을 사용하여 중추 효능 시리즈를 시험한다. 시험은 연구 개에게 투여된 제1 효능 용량에 대해 투여 0일차 ± 7일차에 수행된다.
관찰
신체 검사(PE). 신체 검사는 적어도 -7일, -1일차, Mab A v2/CP 투여일, 13일차 및 필요에 따라 일정 외의 기준일에 시험 시설 수의사에 의해 모든 개에 대해 수행된다. 신체 검사에는 수분 상태 및 BW를 포함한 모든 신체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 평가가 포함되고, 기록된다.
음식물 소비. 1일 1회, 일반 건강 관찰(GHO)과 함께 음식물 소비에 대한 정성적 평가가 수행된다. 관찰된 음식물 소비의 모든 이상이 기록된다.
일반 건강 관찰(GHO) 및 직장 온도(RT) 측정. GHO는 시험 시설의 수의사 또는 그 피지명인에 의해 -7일차부터 -1일차까지 순응 기간 중에 적어도 1일 1회 수행된다. GHO는 0일차부터 12일차까지 12시간(±1시간)마다 수행된다. 0일차부터, 각 GHO와 함께 화씨 스케일로 보정된 온도계를 사용하여 RT도 측정된다.
특정 GHO 정보는 하기 4개의 파라미터에 대해 수집된다.
· 태도 - 정상, 경증 내지 중등도의 우울증, 중증의 우울증, 허탈 또는 빈사 상태로 기록된다
· 식욕 - 정상, 자발적으로 소량 섭취, 음식물에 대한 관심 없음 또는 제공되지 않음으로 기록된다
· 구토 - 부재, 경증(12시간당 1회), 중등도(12시간당 2 내지 5회) 또는 중증(12시간당 6회 이상)으로 기록된다
· 분변 - 충분히 형성되거나 부재, 연하거나 페이스트 상의 분변, 묽은 무혈성 설사 또는 물, 혈변성 설사로 기록된다
GHO는 이 4개 파라미터 외에 다른 관찰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각 관찰 기간에서 각 개에 대해 기록된다.
케이지-측의 CPV SNAP 시험. 케이지-측 CPV ELISA 시험은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IDEXX CPV SNAP 시험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공급업체로부터 -7일차에 도착하면, 모든 개에 대해 예비 CPV SNAP 시험을 수행하여, 개에게 활성 CPV 감염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후속 CPV SNAP 시험은 -1일차부터 연구 종료까지 일관된 아침 시간에 평가된다. 개가 CPV SNAP 시험에서 양성으로 판정되지 않고 따라서 Mab A v2/CP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그 개는 효능 분석으로부터 제외된다.
혈청 CPV-2 혈구응집(HI) 검사. 전혈 샘플은 모든 개로부터 경정맥, 두부 또는 외측 복재 정맥을 통해 혈청 분리기 튜브로 수집하고(약 1.5mL), -7, 0, 3, 4, 6, 8, 10 및 13일차에 혈청으로 처리하고, 독성 CPV-2b로 챌린지하기 전에 0일차의 샘플을 수집한다. 일정 외의 안락사 전에 샘플을 또한 수집한다. 샘플은 재고 관리되고, 드라이아이스로 실험실 조사원에게 가능한 조기에 배송되도록 출하된다. 샘플은 출하될 때까지 냉동 상태(≤ -60℃)에서 보관된다. 데이터가 기록된다.
분변 CPV-2 혈구응집 검정(HA) 시험. 벌크 분변 샘플은 연구 종료까지 0일차에 각 개로부터 수집한다. 벌크 분변은 각 개로부터 50mL 튜브에 수집하고, 개별적으로 냉동하고, CPV SNAP 시험 결과를 검증하고 4개 CPV-2b 감염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하기 위해 분변 HA 시험용으로 보관한다. 결과 및 샘플 크기의 정확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분변 샘플은 HA 시험 전에 균질화된다. 분변 수집, 보관 및 운송 절차는 실험실 조사원의 지시에 따른다. 데이터가 기록된다.
CPV-2b 감염 기준. CPV 감염 기준은 9 CFR §113.317, (c), (3), (i)에 준거한다. 이 규정은 활성 CPV 감염에 대한 4개 기준을 정의한다. 유효한 CPV-2b 챌린지에는 4개 기준 중 3개 또는 7마리의 CP 개 중 적어도 4마리에서 사망률이 수득되어야 한다. 9 CFR §113.317 정의에 따라, 파보바이러스의 4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체온 ≥ 103.4℉
· 챌린지전 정상치의 ≥ 50%의 림프구감소증
· 설사, 점액 및/또는 혈변
· 분변의 1:5 희석에서 ≥ 1:64 수준의 바이러스성 혈구응집소(또는 동일한 감도 시험)
이 4개 기준은 직장 온도(RT), 림프구 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정된 간격의 혈액학, 분변 HA를 통해 검증된 결과로 매일 수행되는 CPV SNAP 시험을 포함하는, q 12시간 GHO를 통해 모든 개에서 매일 모니터링된다. 챌린지 후, CPV 감염에 의해 사망한 어느 한 그룹의 개는 CPV 감염에 의한 사망으로 간주된다. 빈사 상태로 간주되어 구조 조항에 의해 안락사되어야 하는 개도 CPV 감염에 의한 사망으로 간주된다.
임상 병리학(혈액학 및 임상 생화학). -7일차에, 기준선 전혈구 계수(CBC) 및 생화학적 프로파일을 평가하여, 개가 건강하고 기존 상태가 없는지를 확인한다. -1, 0, 3, 4, 5, 6, 7, 8, 10 및 13일차에, 혈액 림프구 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CBC용으로 혈액을 수집한다. 샘플은 매일 아침 일정한 시간에 수집하고, 기록해야 한다. 혈액학을 위해 약 0.5mL의 혈액을 수집하고, 임상 생화학을 위해 접근 가능한 모든 정맥(예: 경정맥, 두부정맥 또는 외측 복재 정맥)을 통해 약 1mL의 혈액을 수집한다. 모든 샘플을 분석하여 CBC 데이터를 평가하고, 림프구감소증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는 9 CFR 113.317에 따라 활성 CPV와 일치하는 4개 임상 징후 중 하나이다.
효과 결과
주요 결과. 주요 효능 변수는 CPV에 의한 사망률이다. Mab A v2 및 CP 그룹의 사망률을 계산한다. 코취란-멘탈-헨스첼(Cochran-Mantel-Haenszel) 방법(SAS의 FREQ 절차, SAS Institute, Cary NC, 버전 9.4 이상)을 사용하여, Mab A v2 그룹을 층화 변수로서 Room을 사용하는 CP 그룹과 비교하기 위해, 방지율(PF) 및 95% 신뢰 한계의 하한이 계산된다. 데이터(예: 100% Mab A v2 생존율)로 인해 PF를 생성할 수 없고 결과가 룸 전체에 걸쳐 균일인 경우, 층화 변수로서 Room을 제외하고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다. PF의 95% 신뢰 하한이 > 0이고 CP 그룹의 사망률이 Mab A v2 그룹보다 높은 경우, 주요 효능 종점을 충족한다. Mab A v2/CP 개의 사망률은 CPV 감염에 의한 사망 또는 빈사 상태로 간주되어 구조 조항에 의해 안락사되어야 하는 개로서 정의된다. 개가 CPV SNAP 시험에서 양성으로 판정되지 않고 따라서 Mab A v2/CP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그 개는 효능 분석으로부터 제외된다.
구조 조항. 개별 개가 시험 시설 수의사에 의해 빈사 상태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구조 조항을 통해 그 개를 연구로부터 제외하고, 안락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인도적 이유로 연구로부터 제외된 개는, 안락사 이유가 CPV와 관계되지 않는 한, "사망률"로서 효능 평가에 포함된다.
이벤트 일정은 하기 표 15에 제공되어 있다.
Figure pct00015
하기는 개과 파보바이러스 챌린지 접종 절차이다.
1. 챌린지 재료가 투여되기 약 12시간 전에 음식물을 제거한다. 물은 계속 이용할 수 있다.
2. 초저온(-80℃) 냉동고로부터 챌린지 재료를 인출하고, 사용하기 약 1시간 전에 실온에서 해동한다.
3. 취급 오류의 경우에 백업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5개의 추가 분취량을 해동한다.
4. 챌린지 재료를 사용할 때까지 습윤 아이스 상에 보관한다.
5. 한 번에 1회 주사기에 1mL 분취량 챌린지 재료를 채운다.
6. 비강 캐뉼라를 갖는 주사기(바늘 없음)를 사용하여 각 비공에 0.5mL를 투여한다.
7. 제지는 수작업이고; 진정제는 필요하지 않다.
8. 핸들러는 투여하는 동안 코를 약간 올린 상태에서 개의 머리를 들어 올린다.
9. 개가 삼키고 편안해질 수 있도록 각 비공 사이에 수초의 시간을 둔다.
10. 일부 챌린지 재료가 비공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11. 투여가 완료되면, 개 ID, 일자 및 시간을 동물 챌린지 기록에 기록한다.
12. 투여 직후 모든 개에게 음식물을 반환한다.
13. 미사용의 챌린지 재료를 -80℃ 냉동고에 넣고, "보존 분취량, 일자"로 표지한다.
14.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분취량을 유지하고, 실험실 조사원에게 반환한다.
하기는 벌크 분변 수집 절차이다.
1. 가장 비정상적으로 생각되는 개별 분변 파일(pile)(또는 파일 섹션)을 선택한다.
2. 별도의 목제 혀 압자를 사용하여, 각 개로부터 최대 몇 그램의 분변을 수집한다 - 1일 1마리의 개에 대해 1회 수집한다. 설사가 심한 분변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집해야 할 수 있다.
3. 분변을 50mL 원뿔형 플라스틱 원심분리기 튜브에 넣는다. 튜브는 절반 이하로 충전되어야 한다.
4. 개 ID 및 일자를 라벨에 붙인다.
5. 일자 및 치료 그룹별로 그룹화하여 플라스틱 냉동 백에 보관한다.
6. 실험실 조사원에게 출하될 때까지 -80℃에서 동결한다.
7. 수집 기간이 종료하면, 수집된 모든 분변을 드라이아이스에 수송하여, 실험실 조사원에게 밤새 도착시킨다.
실시예 12
예방의 중추 효과 연구
이 중추 연구의 목적은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감염의 임상 징후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 요법으로서 Mab A v2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만족스러운 완료 및 효능의 입증은 "이 생성물은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에 대한 13주령 이상의 건강한 개의 수동 면역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라는 라벨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이 GCP, 랜덤화, 맹검화, 위약 대조군 연구는 적어도 7일간의 순응 기간 후 14일 길이이다. 표 16에 따라, 합계 25마리의 나이브 CPV-2 혈청음성(CPV 혈구응집 억제(HI) 역가 < 20)의 개를 2개의 그룹(그룹 1에서는 n=20마리 및 그룹 2에서는 n=5마리)으로 랜덤화한다. 개는 0일차 ≤ 13주령이고, 성별에 관계없이, 도착시의 체중 ≥ 1.5kg이고, 건강하고, 연구 개시시에 질환의 임상 징후가 없다.
순응하는 동안 개는, 일반적 기생충 및 콕시디아 감염을 제거하기 위해 구충제 및 항생제를 투여받는 동안, 섭식, 사육 및 취급 절차에 순응한다.
0일차에, 모든 개에게 할당된 Mab A v2(그룹 1) 또는 대조군 생성물[CP; 그룹 2;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를 피하(SC) 주사를 통해 투여한다. Mab A v2는 체중을 기준으로 5mg/kg의 단일 용량으로 투여된다. CP는 그룹 1과 동일한 용적에서 투여되는 7.2 ± 0.2의 pH를 갖는다. Mab A v2 및 CP에 대한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체중 kg)×(5mg/kg)} ÷ {25mg/mL} = 주입되는 용적(mL)
국소 및 전신 안전성 데이터는 0일차(치료 후)부터 2일차까지 수집된다. 3일차에, 그룹 1 및 2의 모든 개에게 약 1×106 TCID50/mL의 용량으로 독성 CPV-2b를 비강내(IN) 투여한다(비공당 약 0.5mL에 상등하는 용적).
표 17에 요약된 예정 시간에, 각각의 개 건강은 신체 검사(PE), 직장 온도(RT)의 측정, 케이지-측 CPV-2 ELISA IDEXX SNAP 시험(CPV SNAP 시험), 혈청 혈구응집 억제 분석(HI), 분변 혈구응집 검정(HA) 및 혈액학에 의해 14일 동안 면밀하게 모니터링된다.
주요 효능 변수는 9 CFR §113.317, (c), (3), (i)의 기준에서 정의된 그룹 1 개의 CPV 감염 예방이다.
· 체온 ≥ 103.4℉
· 사전-CPV-2b 챌린지 정상의 ≥ 50%의 림프구감소증
· 설사, 점액 및/또는 혈변
· 분변의 1:5 희석에서 ≥ 1:64 수준의 바이러스성 혈구응집소(또는 동일한 감도 시험)
그룹 2(CP) 개 중 적어도 80%가 9 CFR §113.317, (c), (3), (i)에 요약된 4개 기준 중 적어도 3개를 갖고 적어도 19 Mab A v2 치료된 개가 생존하고 4개의 가능한 임상 징후 중 ≤1을 나타내는 경우에 효능이 입증된다.
하기 표 16의 치료 그룹을 참조한다.
그룹 개의 수 치료 경로 농도 (mg/mL) 용량
1 20 Mab A v2 SC 25 mg/mL 5 mg/kg
2 5 CP SC 25 NA 그룹 1과 동등한 용적
랜덤화. 이 연구에서는 2단계 랜덤화가 필요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연구에 등록된 25마리 개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어서, 개는, 그룹 1 및 2에 대해 각각 4:1 비율로, 블록 크기 5에서 랜덤화된다. 랜덤화는 시드 번호를 사용한 랜덤화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SAS(버전 9.4 이상, SAS Institute, Cary NC)에서 PLAN 절차에 의해 생성된 난수를 기반으로 한다.
시험 시설에 도착한 후, 개는 도착 순서에 따라 2개의 룸의 케이지에 배치되고, 동일한 동배/블록의 개는 가능하다면 동일한 룸에 체류시킨다. 개는 감염된 개로부터 유출된 바이러스에 2차 노출될 수 있다. 양 처리 그룹에 대해 유사한 수준의 2차 바이러스 노출을 유지하고, 시험 시설 직원의 맹검화를 유지하기 위해 각 방에는 양 치료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25마리의 개를 선택한 후, 이들의 케이지는 1 내지 25까지 순차적으로 넘버링된다. 동일한 동배의 개는 인접한 케이지 번호를 갖고, 5마리의 동배는 룸당 이전 번호(예: 1 내지 5, 6 내지 10 등)를 사용한다. 한 룸에는 케이지 번호 1 내지 10이 포함되고, 다른 룸에는 케이지 번호 11 내지 25가 포함되어야 한다. 개는 랜덤화 목록에서 케이지 번호의 순서로 등록된다.
연구의 마스킹. 조사자 및 기타 모든 시험 시설 직원(디스펜서 및 개의 투약을 위해 제지하는 지정된 1명을 제외)은 0일차의 실제 치료 그룹의 할당에 대해 알지 못한다. 디스펜서 및 시험 시설에서의 투약 중에 개를 제지하도록 지정된 사람만이 각 개에 대한 실제 치료 그룹의 할당(Mab A v2 또는 CP)에 접근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및 개 제지원/홀더는 연구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
사양. 합계 적어도 27마리의 목적을 갖고 사육된 백신 미접종의 CPV-2 혈청 음성(HI < 20)의 건강한 비글 개를 조달한다. 개는 시험 시설에 도착한 때에 CPV SNAP 시험에 의해 CPV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등록에는 25마리의 개가 포함되지만, 스크리닝 및 순응 후에 개의 수가 실험에 충족되도록 추가로 2마리의 개를 구입한다. 이상적으로는, 27마리의 개는 배당 5마리 개를 갖는 5개의 동배 + 또 다른 배로부터의 2마리 개(부분 동배)로 구성된다.
관찰
신체 검사(PE). 신체 검사는 -7, 0, 3, 13일차 및 필요에 따라 일정 외의 기준일에 시험 시설 수의사에 의해 모든 개에 대해 수행된다. 신체 검사에는 수분 상태 및 BW를 포함한 모든 신체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 평가가 포함된다.
음식물 소비. 1일 1회, 일반 건강 관찰(GHO)과 함께 음식물 소비에 대한 정성적 평가가 수행된다. 관찰된 음식물 소비의 모든 이상이 기록된다.
주사 부위 관찰(ISO). ISO는, Mab A v2/CP 투여 후 4시간 ± 1시간에서, 1일차 및 2일차에 1일 1회, 국소 염증(예: 홍반, 열 또는 부종)의 임상 징후를 나타내기 위해 작성된다. 모든 반응의 크기가 기록된다. 관찰된 모든 이상이 기록된다.
일반 건강 관찰(GHO) 및 직장 온도(RT) 측정. GHO는 시험 시설 수의사 또는 그 피지명인에 의해 -7일차부터 -1일차까지 순응 기간 중에 적어도 1일 1회 수행된다. GHO는 0일차부터 12일차까지 12시간(±1시간)마다 또는 예정 외의 기준일에 수행된다. 0일차부터, 각 GHO와 함께, 화씨 스케일로 보정된 온도계를 사용하여 직장 온도(RT)도 측정된다. 일반적 건강 관찰에는 일반적 외모, 음식물 또는 물 섭취의 이상, 및/또는 구토 또는 설사 발생의 관찰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징후가 없는 개를 포함하여 모든 개의 상태가 기록된다.
케이지-측 CPV ELISA(CPV SNAP 시험). 케이지-측 CPV ELISA 시험은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IDEXX CPV SNAP 시험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공급업체로부터 -7일차에 도착하면, 모든 개에 대해 예비 CPV SNAP 시험을 수행하여, 개에게 활성 CPV 감염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후속 CPV SNAP 시험은 0일차, 3일차의 일관된 아침 시간(독성 CPV-2b 접종 전)에 평가하고, 이어서 연구 종료까지 매일 1회 평가한다. CPV SNAP 시험 데이터가 기록된다.
혈청 CPV-2 혈구응집(HI) 검사. 전혈 샘플은 모든 개로부터 경정맥, 두부 또는 외측 복재 정맥을 통해 혈청 분리기 튜브로 수집하고(약 1.5mL), -7, 0, 2, 3, 4, 6, 8, 10 및 13일차에 일관된 아침 시간에 혈청으로 처리하고, 3일차 샘플은 독성 CPV-2b 접종 전에 수집한다. 일정 외의 안락사 전에도 샘플을 수집한다. 샘플은 재고 관리되고, 드라이아이스로 실험실 조사원에게 가능한 조기에 배송되도록 출하된다. 샘플은 출하될 때까지 냉동 상태(≤ -60℃)에서 보관된다. 데이터가 기록된다.
분변 CPV-2 혈구응집 검정(HA) 시험. 벌크 분변 샘플은 연구 종료까지 0일차 및 3일차에 일관된 아침 시간에 각 개로부터 수집한다. 벌크 분변은 각 개로부터 50mL 튜브에 수집하고, 개별적으로 냉동하고, CPV SNAP 시험 결과를 검증하고 4개 CPV-2b 감염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하기 위해 분변 HA 시험용으로 보관한다. 결과 및 샘플 크기의 정확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분변 샘플은 HA 시험 전에 균질화된다. 분변 수집, 보관 및 운송 절차는 실험실 조사원의 지시에 따른다. 데이터가 기록된다.
CPV-2b 감염 기준. CPV 감염 기준은 9 CFR §113.317, (c), (3), (i)에 준거한다. 이 규정은 활성 CPV 감염에 대한 4개 기준을 정의한다. 유효한 CPV-2b 챌린지는 챌린지 대조군 개의 적어도 80%에서 4개 기준 중 3개를 생성해야 한다. 9 CFR §113.317 정의에 따라, 파보바이러스의 4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체온 ≥ 103.4℉
· 챌린지전 정상치의 ≥ 50%의 림프구감소증
· 설사, 점액 및/또는 혈변
· 분변의 1:5 희석에서 ≥ 1:64 수준의 바이러스성 혈구응집소(또는 동일한 감도 시험)
이 4개 기준은 직장 온도(RT), 림프구 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정된 간격의 혈액학, 분변 HA를 통해 검증된 결과로 매일 수행되는 CPV SNAP 시험을 포함하는, q 12시간 GHO를 통해 모든 개에서 매일 모니터링된다.
임상 병리학(혈액학 및 임상 생화학). -7일차에, 기준선 전혈구 계수(CBC) 및 생화학적 프로파일을 평가하여, 개가 건강하고 기존 상태가 없는지를 확인한다. 0, 3, 5, 6, 7, 8, 9, 10 및 13일차에, 혈액 림프구 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CBC용으로 혈액을 수집한다. 샘플은 매일 아침 일정한 시간에 수집하고, 기록한다. 혈액학을 위해 약 0.5mL의 혈액을 수집하고, 임상 생화학을 위해 접근 가능한 모든 정맥(예: 경정맥, 두부정맥 또는 외측 복재 정맥)을 통해 약 1mL의 혈액을 수집한다. 모든 샘플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CBC 데이터를 평가하고, 림프구감소증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는 9 CFR 113.317에 따라 활성 CPV와 일치하는 4개 임상 징후 중 하나이다.
효과 결과
일차 결과. 일차 효능 변수는 9 CFR §113.317, (c), (3), (i)의 기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CPV 감염의 예방이다.
· 체온 ≥ 103.4℉
· 사전-CPV-2b 챌린지 정상의 ≥50%의 림프구감소증(챌린지 전의 -7일, 0일 및 3일차의 평균)
· 설사, 점액 및/또는 혈변
· 분변의 1:5 희석에서 ≥ 1:64 수준의 바이러스성 혈구응집소(또는 동일한 감도 시험)
대조군 개의 80%가 9 CFR 113.317에 요약된 4개 기준 중 3개를 갖고, 적어도 19 Mab A v2 치료된 개가 생존하고, 4개의 가능한 임상 징후 중 ≤1을 나타내는 경우에 효능이 확립된다.
이차 결과. CPV SNAP 검사 결과, 혈청 HI 역가 또는 이의 기타 파라미터 등의 이차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안전성 결과. 이 중추 연구의 개는 Mab A v2 중추 필드 안전성 연구에서 치료되는 필수한 수의 개에 적용된다. 안전성 평가는 0일차(치료 후)부터 3일차까지의 모든 국소 및 전신 유해 사상(AE)의 조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개는 홍반, 열 및 부종 등의 주사 부위 반응(매일 ISO를 통해), 및 Mab A v2 투여 후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전신성 반응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AE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분석되지 않지만, 최종 보고를 위해 요약되고 표로 작성된다.
중증 AE. 중증 AE는 사망을 초래하고, 생명을 위협하고, 지속적 또는 중대한 장애/무능력, 또는 선천적 기형 또는 선천적 결함을 초래하는 모든 AE이다. 연구 조사원은 중증 AE가 발생한지 24시간 이내에 임상 개발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이벤트의 일정은 하기 표 17에 제공되어 있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하기는 개과 파보바이러스 챌린지 접종 절차이다.
1. 챌린지 재료가 투여되기 약 12시간 전에 음식물을 제거한다. 물은 계속 이용할 수 있다.
2. 초저온(-80℃) 냉동고로부터 챌린지 재료를 인출하고, 사용하기 약 1시간 전에 실온에서 해동한다.
3. 취급 오류의 경우에 백업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5개의 추가 분취량을 해동한다.
4. 챌린지 재료를 사용할 때까지 습윤 아이스 상에 보관한다.
5. 한 번에 1회 주사기에 1mL 분취량 챌린지 재료를 채운다.
6. 비강 캐뉼라를 갖는 주사기(바늘 없음)를 사용하여 각 비공에 0.5mL를 투여한다.
7. 제지는 손으로 한다. 진정제는 필요하지 않다.
8. 핸들러는 투여하는 동안 코를 약간 올린 상태에서 개의 머리를 들어 올린다.
9. 개가 삼키고 편안해질 수 있도록 각 비공 사이에 수초의 시간을 둔다.
10. 일부 챌린지 재료가 비공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11. 투여가 완료되면, 개 ID, 일자 및 시간을 동물 챌린지 기록에 기록한다.
12. 투여 직후 모든 개에게 음식물을 반환한다.
13. 미사용의 챌린지 재료를 -80℃ 냉동고에 넣고, "보존 분취량, 일자"로 표지한다.
14.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분취량을 유지하고, 실험실 조사원에게 반환한다.
하기는 벌크 분변 수집 절차이다.
1. 가장 비정상적으로 생각되는 개별 분변 파일(또는 파일 섹션)를 선택한다.
2. 별도의 목제 혀 압자를 사용하여, 각 개로부터 최대 몇 그램의 분변을 수집한다 - 1일 1마리의 개에 대해 1회 수집한다. 설사가 심한 분변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집해야 할 수 있다.
3. 분변을 50mL 원뿔형 플라스틱 원심분리기 튜브에 넣는다. 튜브는 절반 이하로 충전되어야 한다.
4. 개 ID 및 일자를 라벨에 붙인다.
5. 일자 및 치료 그룹별로 그룹화하여 플라스틱 냉동 백에 보관한다.
6. 실험실 조사원에게 출하될 때까지 -80℃에서 동결한다.
7. 수집 기간이 종료하면, 수집된 모든 분변을 드라이아이스에 수송하여, 실험실 조사원에게 밤새 도착시킨다.
실시예 13
반감기 저하 및 항체 간섭의 결여
이 생체내 연구는 생체내 Mab A v2의 분해를 모니터링하고, 혈구응집 억제(HI) 역가 수준이 CPV의 백신 균주를 중화하기에 충분하게 유지되는 기간을 평가한다. 하기 목표가 해결된다:
· 피하(SC) 투여 후의 Mab A v2의 반감기의 저하를 특성화한다
· Mab A v2가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능동 면역화를 더 이상 억제하지 않는(항체 간섭의 결여 또는 LOAI) 투여후의 기간을 결정한다.
Mab A v2 투여 후의 HI 역가의 혈청학적 모니터링은 분해 반감기를 특징화할 수 있다. LOAI는, 각 그룹 내의 개 중 적어도 80%에서 백신 투여 후의,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능동 면역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활성 반응은 HI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1:80 희석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항체 역가의 달성을 수반하는 기준선(혈청전환)에 비해 4배의 역가 증가로서 정의된다. 이 수준의 항체 반응은, 면역 연구의 챌린지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개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을 제공한다[참조: Pollock and Carmichael, JAVMA 1982 Jan 1;180(1):37-42].
둘째로, 안전성 데이터는 치료 후 및 CPV 면역화 전에 수집되고, 이는 수의학 서비스 각서(VSM) No. 800.204를 충족하기 위해 USDA-CVB에 의한 300마리 개의 최소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필요한 개의 합계 수에 기여할 수 있다.
LOAI로부터 CPV로의 면역화가 발생한 경우의 이 연구 및 입증의 만족스러운 완료는 하기 2개 라벨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 "이 생성물은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의 예방을 위해 13주령 이상의 건강한 개를 수동 면역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이 생성물은 13주령 이상의 개에서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실시예 9에서는, 이전 연구 KB-030-PK-301에 대해 설명하지만, Mab A v2는 모체 유래의 항체와 매우 유사한 백신 CPV를 중화시켰다. 현재의 연구는 예방적 치료로서 Mab A v2를 투여한 후의 CPV 백신 접종 시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건강한 CPV 혈청 음성인 비글 개에서 수행된 랜덤화, 비맹검, 공개 라벨 GCP 연구이다. 연구는 7일의 순응 기간을 포함하여 최대 113일이다. 순응하는 동안, 개는 급식, 사육 및 취급 절차에 순응하고; 일반적 기생충 및 콕시디아 감염을 제거하기 위해 구충제 및 항생제를 제공받는다.
0일차에, 5mg/kg의 Mab A v2를 견갑골 부위에서 그룹 1 및 2에 SC 투여한다. 그룹 3 및 4는 Mab A v2를 제공받지 않는다. 0일차부터 41일차까지, 일반 건강 관찰(GHO), 신체 검사(PE) 및 주사 부위 관찰(ISO)을 다양한 시점에서 수집하여 Mab A v2에 대한 국소적 및 전신적 반응에 대해 개를 모니터링한다.
42일차에, 1개의 사전 할당된 1가 CPV 백신이 그룹 1 및 3에 투여되고, 다른 사전 할당된 1가 CPV 백신이 그룹 2 및 4에 투여된다. HI 역가에 대해 혈청을 채취한 후, 42일차에 각 개에게 사전 할당된 1가 CPV 백신(백신 1 또는 백신 2) 중 어느 하나를 투여한다. 전회의 백신 접종 이후에 백신 혈청전환이 기록되지 않은 경우는 최초 백신 접종 3주 후인 63일차에 추가 백신 접종("2차 CPV 백신")이 수행된다. 2차 CPV 백신 접종 후에 백신 혈청전환이 기록되지 않은 경우는 사전 할당된 1가 CPV 백신의 3회차 추가 부스터("3회차 부스터)가 84일차에 투여된다. 개별 개에 의한 연구 종료는 혈청전환을 기록하는 HI 결과를 수신한 때에 발생한다. 일부 개가 91일차 HI 역가 후에 백신 접종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개시하지 않은 경우, 4회차이자 최종 1가 CPV 부스터("4회차 부스터")가 105일차에 투여된다. 혈청 혈구응집 억제(HI) 역가는 Mab A v2의 분해 및 LOAI로부터 CPV로의 백신 접종이 발생하는 시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다양한 시점에서 측정된다.
43일차부터 연구 종료까지, 개의 일반 건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다양한 시점에서 GHO 및 PE가 수집된다.
이 연구에서 사전 할당되고 투여되는 2개의 1가 CPV 백신은 다음과 같다:
백신 1
등록된 명칭: Nobivac® 개과 1-PV
백신: 개과 파보바이러스(변형된 살아있는)
약제 형태: 멸균 주사 용액
시험 용량: 1mL(1회 용량)
투여 경로: 피하
제조사: 머크 애니멀 헬스(Merck Animal Health)
팩키징: 제조업자 팩키징당 개별 바이알
보관 조건: 2-7℃
책임 단위: 1 바이알
백신 2
등록된 명칭: Recombitek®
백신: 개과 파보바이러스(변형된 살아있는)
약제 형태: 멸균 주사 용액
시험 용량: 1mL(1회 용량)
투여 경로: 피하
제조사: 메리알(Merial)
팩키징: 제조업자 팩키징당 개별 바이알
보관 조건: 2-7℃
책임 단위: 1 바이알
하기 표 18의 치료 그룹을 참조한다.
그룹 개의 수 치료 경로 농도 (mg/mL) 용량 투여되는 1가 백신
1 ≥10 Mab A v2 SC 25 mg/mL 5 mg/kg 백신 1
2 ≥10 Mab A v2 SC 25 mg/mL 5 mg/kg 백신 2
3* ≥5 없음 NA NA NA 백신 1
4* ≥5 없음 NA NA NA 백신 2
백신 1 = 노비백(Nobivac) 개과 1-PV®(Merck); 백신 2 =Recombitec®(Merial)
랜덤화. 개(0일차에 13주령 이하, 임의 성별, 체중 ≥1.5kg)는 스폰서 연구 프로그래머가 제공한 랜덤화 목록을 사용하여, 0일차 또는 그 이전에 그룹 1로부터 4에 대해 2:2:1:1 비율로 랜덤화한다. 치료는 6마리의 개의 각 블록 내에서 랜덤으로 할당된다. 랜덤화는, 시드 번호를 사용한 랜덤화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SAS(SAS Institute, Cary NC, 버전 9.4 이상)의 PLAN 절차에 의해 생성된 난수를 기반으로 한다.
관찰
신체 검사(PE). PE는 7일차, 0일차, 연구 종료일, 및 필요에 따라 일정 외의 기준에서 모든 일에 수행된다. 신체 검사에는, 수분 상태 및 체중(BW)을 포함하는, 모든 신체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 평가가 포함된다.
주사 부위 관찰(ISO). -3일차에, 주사 부위는 0일차에 투여의 준비를 위해 클리핑한다. 투약 전에, 클리핑된 주사 부위는 염증 또는 클리퍼 화상이 없는 것으로 평가 및 기록된다. 0일차부터, 주사 부위는, 홍반, 열 및 부종(예: 결절)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국소 주사 부위 반응에 대해 14일차까지 매일 1회 평가된다. 임의 반응의 크기가 기록된다. 관찰된 임의의 주사 부위 반응은 주사 부위 관찰 양식에 기록되고, 유해 사상(AE)으로 기록된다.
일반 건강 관찰(GHO). GHO는 연구 조사원 또는 피지명인에 의해 -7일차부터 연구 종료까지 1일 1회 수행한다. 일반적 건강 관찰에는, 일반적 신체적 외모 관찰, 음식물 또는 물 소비량의 이상, 및/또는 구토 또는 설사의 발생 관찰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징후가 없는 개를 포함하는 모든 개의 상태는 각 관찰 기간에서 각 개에 대한 일반 건강 관찰 양식에 기록된다. PE가 수행되는 -7, 0일차 및 연구 종료시에 PE가 GHO를 대체한다.
혈청 CPV-2 혈구응집(HI) 시험. 전혈 샘플은, 경정맥, 두부 또는 외측 복재 정맥을 통해 모든 개로부터 수집하고(약 1.5mL), 혈청 분리 튜브에 넣고, -7, 0, 1, 7, 14, 21, 28, 35, 42, 49, 56, 63, 70, 77, 84, 91, 98, 105, 112일차에 혈청으로 처리한다. 혈청전환이 HI에 기록되는 경우, 그 후의 예정된 샘플링은 중지되고, 개별 개는 연구를 종료한다. 샘플은 가능한 조기에 분석 실험실에 전달될 때까지 냉동 조건(60 내지 -80℃)에서 보관된다.
임상 병리학. -7일차에, 기준선의 전혈구 계수(CBC) 및 생화학적 프로파일을 평가하여, 개가 건강하고 기존 상태가 없는 것을 확인한다. 혈액학을 위해 약 0.5mL의 혈액이 수집되고, 임상 생화학을 위해 경정맥, 두부 또는 외측 복재 정맥으로부터 약 1mL가 수집된다.
유해 사상(AE). AE는, 개의 관찰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예상하지 않은 및 의도하지 않은 것으로서 정의되고, 제품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동물용 생성물의 사용 후에 발생한다. 실험적 치료가 개시되면(Mab A v2가 투여되는 0일차), 임의의 비정상 GHO, PE 또는 ISO는 AE로 간주된다.
주요 종점. 각 그룹의 주요 종점은 0일차부터 그룹 내의 80% 이상의 개가 혈청 HI 역가를 통해 1가 CPV 백신 접종으로 CPV 혈청전환을 입증한 일자까지의 일수이다. 혈청전환은, 혈청 HI 역가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1:80 희석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항체 역가의 달성을 수반하여 기준선에 대한 역가의 4배 증가로서 정의된다.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나타낸 그룹당 개의 수와, 이것이 발생한 연구 일은, 통계적으로 분석되지 않지만, 최종 보고를 위해 요약되고 표로 작성된다.
하기 표 19의 이벤트 일정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실시예 14
건강한 개에서 다중 센터, 중추 안전성 연구
이 생체내 필드 안전성 연구는 MabA v2의 국소적 및 전신적 내성을 평가한다. 개별 개는, 주사 부위 염증(홍반, 열 및/또는 부종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음) 및 전신 반응(예: 아나필락시스)에 대해 관찰된다.
피하(SC)(n=150) 또는 정맥내(IV)(n=150) 경로를 통해 최소 300마리의 개에게 Mab A v2를 투여한다. 이 연구 중에 수집된 안전성 데이터는 미국 농무부 수의 생물학 센터(USDA-CVB)의 중추 필드 안전성 300마리 개 요건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만족스러운 완료와 안전성의 입증은 하기와 같은 2개 라벨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 "이 생성물은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의 예방을 위해 10주령 이상의 건강한 개의 수동 면역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 "이 생성물은 10주령 이상의 개의 개과 파보바이러스(CPV)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젊고 건강하며 목적을 갖고 사육된 개를 대상으로 수행된, 랜덤화, 비마스크, GCP 필드 안전성 연구이다. 이 연구는 각 연구 장소에서 16일 동안 진행된다. 성별에 관계없이 최소 연령의 개(10주령 이하)가 적어도 100마리, 및 성별에 관계없이 최소 연령보다 오래된 개(10주령 이상)가 적어도 200마리가 연구에 등록된다.
제외 기준. 개는
· 현재 다른 연구에 등록되어 있다.
· 과거 30일 이내에 다른 연구에 등록되었다.
· -2일차의 ≤ 90일 전까지 키메라 생물학적 제제를 제공받았다.
· 연구 절차에 협조적이지 않다.
· 연구 기간 동안 생존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 ISO를 혼란시킬 수 있는 기존의 피부 상태가 있다.
· 중대한 병존증(예: 다뇨증, 다갈증, 다식증, 구토 또는 설사,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등)을 시사하는 현재의 병력이 있다.
최소 연령의 개는 1개 장소(Ridglan Farms(Mount Horeb, WI))에 있는 반면, 나머지 개는 3개의 지리적 지역의 시험 시설에 분할된다. 유전학을 가능한 한 다양화하기 위해, 3개의 별개의 지리적 지역에 위치한 최소 3개의 시험 시설과 고유한 번식 콜로니가 사용된다. 각 장소에서, 개는 표 20에 따라 그룹 1, 2, 3 및 4에 1:1:1:1로 랜덤화된다.
0일차에, 모든 개에게 SC 또는 IV 중 어느 하나로 Mab A v2를 투여한다. 이 연구에서는 Mab A v2의 2개의 상이한 사전 라이선스 시리즈(PLS)가 관리된다. 각 연령 그룹 및 치료 방법 그룹 내에서, 약 절반의 개는 랜덤으로 PLS No. 1을 제공받고, 나머지 절반은 랜덤으로 PLS No. 2를 제공받는다.
용량 용적은, 0일차의 체중(BW)을 기준으로 EDC 시스템에 의해 mL 단위로 계산된다. 선량은 EDC 시스템에 의해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체중 kg)×(5 mg/kg)} ÷ {TBD mg/mL} = 주사되는 용적(mL)
피하 용량은 견갑골간 영역의 피하에 투여된다. 정맥내 용량은 두부 정맥에 재투여된다.
표 20에 요약된 예정 시간에, 개별 개의 건강은 신체 검사(PE), 주사 부위 관찰(ISO) 및 일반 건강 관찰(GHO)에 의해 면밀히 모니터링된다.
안전성 평가는 모든 유해 사상(AE)의 조회에 의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개는 홍반, 열 또는 부종 등의 주사 부위 반응(매일 ISO를 통해) 및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전신 반응에 대해 Mab A v2 투여 후에 모니터링된다. AE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분석되지 않지만, 요약되고 표로 작성된다.
하기 표 20의 치료 그룹을 참조한다.
그룹 최소 연령의 개의 수
(≤0주령)
노년기의 개의 수
(>10주령)
Mab A v2 치료 경로 농도 (mg/mL) 용량
1 ≥25 ≥50 PLS No. 1 SC TBD 5 mg/kg
2 ≥25 ≥50 PLS No. 2 SC TBD 5 mg/kg
3 ≥25 ≥50 PLS No. 1 IV TBD 5 mg/kg
4 ≥25 ≥50 PLS No. 2 IV TBD 5 mg/kg
랜덤화. 적절한 연령의 개를 사육하고 있는 시험 시설을 발견하는 데 곤란함이 있기 때문에, 약 100마리의 최소 연령 개는 1개 장소로부터 조달된다. 잔류하는 약 200마리의 개는 적어도 3개 지리적 영역의 시험 시설에 분할되고, 시험 시설에 가능한 한 균등하게 분할된다. 랜덤화는 시험 시설 장소에 의해 4마리 개를 포함하는 블록으로 계층화된다. 각 장소 내에서, 개는 그룹 1(PLS No. 1, SC), 2(PLS No. 2, SC), 3(PLS No. 1, IV) 및 4(PLS No. 2, IV)에 대해 1:1:1:1 비율로 랜덤화된다. 랜덤화는, 시드 번호를 사용한 랜덤화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SAS(SAS Institute, Cary NC, 버전 9.4 이상)의 PLAN 절차에 의해 생성된 난수를 기반으로 한다.
순응. 이 연구는 개가 식이, 주거, 취급 절차 등에 대해 사전에 순응시킨 시험 시설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개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고, -2일차에 주사 부위를 클립하기 위해 2일간의 순응 단계만이 실행된다.
신체 검사(PE). PE는 -2일차, 0일차(투여 전), 7일차 및 14일차에 현장의 수의사에 의해 수행된다. PE에는 일반적 외관 및 태도, 귀, 안구, 구강, 점막, 호흡기, 심혈관, 위장, 신경학적, 근골격계, 외피 및 비뇨생식기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포함된다. VeDDRA의 저수준 용어는 특정 PE의 이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0일차 이후에 기록된 이상(기존의 상태 및 악화되는 이상을 제외)은 AE로 간주된다.
주사 부위 관찰(ISO). -2일차에, 주사 부위는 0일차의 투여를 준비하기 위해 클리핑된다. 치료 전에, 클리핑된 주사 부위는, 염증 또는 클리퍼 화상이 없는 것으로 평가 및 기록된다. 0일차부터 14일차까지, 주사 부위의 위치는 홍반, 열, 부종(예: 결절)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국소 주사 부위 반응에 대해 1일 1회 평가된다. 모든 반응의 크기가 기록된다. 관찰된 모든 주사 부위의 반응은 AE로서 기록된다.
일반 건강 관찰(GHO). GHO는 1개의 예외를 제외하고 순응으로부터 연구 종료까지 1일 1회 수행된다: PE가 수행되는 -2, 0, 7 및 14일차에, PE가 GHO를 대체한다. 일반적 건강 관찰에는 일반적 신체적 외모, 음식물 또는 물 소비의 이상, 및/또는 구토 또는 설사 발생의 관찰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VeDDRA 저수준 용어는 특정 관찰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정상적 징후가 없는 개를 포함하여 모든 개의 상태가 기록된다.
체중. 0일차에, BW(킬로그램(kg)으로 기록됨)가 보정된 스케일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기록된다. 개는 체중을 칭량하거나, 금식할 수 있다. 체중이 기록되어 있다.
안전성 모집단. 안전성 모집단은 Mab A v2를 제공받는 모든 개들로 구성된다.
안전성 결과. 안전성 평가는 모든 AE의 조회에 의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개는 홍반, 열 또는 부종(매일 ISO를 통해) 등의 주사 부위 반응, 및 Mab A v2 투여 후의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전신 반응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AE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분석되지 않지만, 요약되고 표로 작성된다.
유해 사상(AE). AE는, 개의 관찰로, 바람직하지 않은, 예상치 못한, 의도하지 않은 것으로서 정의되고, 생성물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동물용 생성물의 사용 후에 발생한다. 모든 AE는 낮은 수준의 VEDDRA 용어를 사용하여 문서화되고 기록된다.
중증 AE. 치명적 또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한 AE(예: 개의 건강 상태는 개를 안락사시키거나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사원이 결정할 정도이다).
비-증증 AE. 전문가의 개입 또는 연구로부터 개의 제거를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하지 않은 AE.
하기 표 21의 이벤트 일정을 참조한다.
이벤트 -2일 0일 1-6일 7일 8-13일 14일 예정외
주사 부위에 클립 헤어
포함/제외 기준
징후
체중과 함께 신체 검사
Mab A v2 투여
일반 건강 관찰 (GHOs)*
주사 부위 관찰 (ISO)**
유해 사상 기록
연구 출구
* GHO에는 일반적 신체적 외모 관찰, 음식물 또는 물의 소비량의 이상, 구토 또는 설사 발생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 주사 부위는 국소 염증의 임상 징후(홍반, 열, 부종, 결절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음)에 대해 0일차부터 14일차까지 1일 1회 평가된다. 반응의 크기가 기록된다.
실시예 15
증강된 ADCC 활성을 위한 변이체 개과 IgG -B Fc 폴리펩티드의 동정
개과 CD16 및 개과 IgG-B Fc의 구조 모델은 인간 IgG1 Fc/CD16 복합체(1e4k1.pdb)의 구조적 좌표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제조되었다[참조: Sondermann P., "The 3.2-A Crystal Structure of the Human IgG1 Fc Fragment-Fc gammaRIII complex", Nature 406(6793):267-73(2000)]. 야생형 개과 IgG-B Fc(서열번호 91)와 개과 CD16(서열번호 90)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아미노산 잔기가 동정되었다. 개과 IgG-B Fc 서열번호 91의 Ser10 및 Ile103 둘 모두는 개과 CD16 서열번호 90의 Lys148에 근접하고 있다. 정전기 상호작용을 수득하기 위해, 개과 IgG-B Fc 서열번호 90의 Ser10 및/또는 Ile103을 산성 아미노산 Asp 또는 Glu로 치환하여 개과 CD16 서열번호 90의 K148에 염 가교를 도입할 수 있다. Ser10Asp와 Lys148 사이의 거리; Ser10Glu와 Lys148 사이의 거리; Ile103Asp와 Lys148 사이의 거리; Ile103Glu와 Lys148 사이의 거리는 각각 4Å 미만이다(도 5). 증강된 ADCC 활성을 위한 예시적 변이체 개과 IgG-B Fc 폴리펩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97, 서열번호 98 및 서열번호 99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이체 개과 IgG-B Fc 폴리펩티드는, 야생형 개과 IgG-B Fc 대신에 사용하여, 파보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의 사멸을 증강시킬 수 있다.
참조문헌:
1. S. Nandi, Manoj Kumar. Canine Parvovirus: Current Perspective. Indian J. Virol. 2010; 21(1):31-44.
2. Carla Miranda, Gertrude Thompson. Canine parvovirus: the worldwide occurrence of antigenic variants. Journal of General Virology. 2016; 97, 2043-2057.
3. Melissa Kennedy, Adesola Odunayo. Canine Parvovirus. Clinician’s Brief. 2017.
4. Brindhalakshmi B, Mukhopadhyay HK, Antony PX, Thanislass J, Vijayalakshmi P, Mangadevi N. Iso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anine and feline parvovirus strains - an updated review. Journal of Dairy, Veterinary & Animal Research. 2016; 3(5):164-169.
5. Emilee Venn, Karolina Preisner, Pedro Boscan, David Twedt, Lauren A. Sullivan. Evaluation of an outpatient protocol in the treatment of canine parvoviral enteritis. Journal of Veterinary Emergency and Critical Care. 2017; 27(1):52-65.

Claims (82)

  1. 개과 파보바이러스(canine parvovirus)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feline parvovirus)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isolated antibody)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ii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iv)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8의 HC-FR1 서열; 또는
    (b)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iv) 서열번호 45 또는 서열번호 46의 HC-FR1 서열
    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2.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iii)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및 (iv) 서열번호 16의 LC-FR1 서열; 또는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및 (iv) 서열번호 55 또는 서열번호 56의 LC-FR1 서열
    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3. 제1항에 있어서, (a)의 항체가 서열번호 12의 HC-FR4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4. 제1항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48의 HC-FR2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50의 HC-FR3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6. 제2항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59의 HC-FR3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b)의 항체가 서열번호 61의 HC-F4 서열을 포함하는, 단리된 항체.
  8.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또는
    b)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을 포함하는 개과화된(caninized) 또는 고양이과화된(felinized) 항체인, 단리된 항체.
  9.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또는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을 포함하는 개과화된 또는 고양이과화된 항체인, 단리된 항체.
  10.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b) (i)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을 포함하는 개과화된 또는 고양이과화된 항체인, 단리된 항체.
  11. 개과 파보바이러스 및/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로서,
    상기 항체는
    a)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 및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
    을 포함하는 개과화된 또는 고양이과화된 항체인, 단리된 항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키메라 항체인, 항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불변 중쇄 영역 또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불변 경쇄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IgG-A, IgG-B, IgG-C 및 IgG-D 불변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개과 중쇄 불변 영역; 또는
    (b) IgG1, IgG2a 및 IgG2b 불변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고양이과 중쇄 불변 영역
    을 포함하는, 항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보체 고정 활성(complement fixation activity)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variant) IgG Fc를 포함하는, 항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항체-의존성 세포 세포독성(ADCC)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하는, 항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항체 의존성 세포 식세포 작용(ADCP) 활성을 갖는 야생형 또는 변이체 IgG Fc를 포함하는, 항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b)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c)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d)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e)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f)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또는
    g)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97, 서열번호 98 또는 서열번호 99의 아미노산 서열
    을 포함하는, 항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개과 κ 경쇄 불변 영역 또는 고양이과 κ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하나 이상의 N-글리코실화 부위를 갖지 않는 고양이과 κ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에피토프(epitope)에 결합하는, 항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생물층 간섭계(biolayer interferometry)로 측정한 경우, 5×10-6 M 미만, 1×10-6 M 미만, 5×10-7 M 미만, 1×10-7 M 미만, 5×10-8 M 미만, 1×10-8 M 미만, 5×10-9 M 미만, 1×10-9 M 미만, 5×10-10 M 미만, 1×10-10 M 미만, 5×10-11 M 미만, 1×10-11 M 미만, 5×10-12 M 미만, 1×10-12 M 미만, 5×10-13 M 미만, 또는 1×10-13 M 미만의 해리 상수(Kd)로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면역블롯 분석(immunoblot analysis) 및/또는 생물층 간섭계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개과 파보바이러스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항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0㎍/mL 농도의 항체가 적어도 8000, 적어도 16000, 적어도 32000의 혈구응집 억제 값을 갖는, 항체.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모노클로날(monoclonal) 항체인, 항체.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서열번호 7, 8, 45 또는 46의 (HC-FR1) 서열; (b) 서열번호 9, 47 또는 48의 HC-FR2 서열; (c) 서열번호 10, 49 또는 50의 HC-FR3 서열; (d) 서열번호 11, 12 또는 51의 HC-FR4 서열; (e) 서열번호 16, 55 또는 56의 가변 영역 경쇄 프레임워크(framework) 1(LC-FR1) 서열; (f) 서열번호 17 또는 57의 LC-FR2 서열; (g) 서열번호 18, 58 또는 59의 LC-FR3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19, 60 또는 61의 LC-FR4 서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체.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85, 서열번호 86, 서열번호 40, 서열번호 62, 서열번호 63 또는 서열번호 88의 가변 중쇄 서열; 및/또는
    (b)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87, 서열번호 41, 서열번호 64, 서열번호 65 또는 서열번호 89의 가변 경쇄 서열
    을 포함하는, 항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20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2의 가변 경쇄 서열;
    (b) 서열번호 21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2의 가변 경쇄 서열;
    (c) 서열번호 85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7의 가변 경쇄 서열;
    (d) 서열번호 86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7의 가변 경쇄 서열;
    (e) 서열번호 40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41의 가변 경쇄 서열;
    (f) 서열번호 62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4 또는 서열번호 65의 가변 경쇄 서열;
    (g) 서열번호 63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4 또는 서열번호 65의 가변 경쇄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88의 가변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9의 가변 경쇄 서열
    을 포함하는, 항체.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i)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24, 서열번호 37, 서열번호 38, 서열번호 66, 서열번호 67 또는 서열번호 79의 중쇄 서열; 및/또는 (ii) 서열번호 25, 서열번호 39, 서열번호 68, 서열번호 69 또는 서열번호 80의 경쇄 서열; 또는
    (b) (i) 서열번호 31, 서열번호 40 또는 서열번호 74의 중쇄 서열; 및/또는 (ii) 서열번호 32, 서열번호 33, 서열번호 41, 서열번호 75 또는 서열번호 76의 경쇄 서열
    을 포함하는, 항체.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a) 서열번호 23 또는 서열번호 24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5의 경쇄 서열;
    (b) 서열번호 31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32 또는 서열번호 33의 경쇄 서열;
    (c) 서열번호 37 또는 서열번호 38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39의 경쇄 서열;
    (d) 서열번호 66 또는 서열번호 67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8 또는 서열번호 69의 경쇄 서열;
    (e) 서열번호 66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8의 경쇄 서열;
    (f) 서열번호 67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69의 경쇄 서열;
    (g) 서열번호 74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75 또는 서열번호 76의 경쇄 서열; 또는
    (h) 서열번호 79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80의 경쇄 서열
    을 포함하는, 항체.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서열번호 24의 중쇄 서열 및 서열번호 25의 경쇄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를 암호화(encoding)하는 단리된 핵산.
  33. 제31항의 핵산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host cell).
  34. 제32항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항체를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체의 생산 방법.
  35.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인산염 완충 식염수인, 약제학적 조성물.
  37.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해 대상체에서 수동 면역(passive immunity)을 제공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전에 투여되는,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노출된 후에 투여되는,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후에 투여되는, 방법.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대상체가 발열, 구토, 설사,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및 패혈증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나타낸 후에 투여되는, 방법.
  42.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는, 양성 케이지-측(positive cage-side) SNAP 시험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이,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가 분변에서 검출된 후에 투여되는, 방법.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은, 방법.
  44.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지 않은, 방법.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모체 유래 항체의 결핍 또는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수동적 전달의 실패로 인해 출생 시에 보호되지 않는, 방법.
  46. 제3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손으로 양육되거나, 대상체의 모체가 우유를 생산하지 못하거나, 대상체가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산할 수 없는, 방법.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로 오염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방법.
  48.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결합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가, 대상체가 발열, 구토, 설사, 림프구감소증 및 패혈증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나타낸 후에 투여되는, 방법.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날 항체는, 양성 케이지-측 SNAP 시험에 의해 결정된 것과 같이,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가 분변에서 검출된 후에 투여되는, 방법.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은, 방법.
  52.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이전에 파보바이러스 백신을 투여받지 않은, 방법.
  53. 제48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로 오염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방법.
  54. 제48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개과 또는 고양이과인, 방법.
  55. 제48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56. 제37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또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7. 제37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i)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4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및
    (b) (i) 서열번호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5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를 포함하는 치료 유효량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8. 제37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치료 유효량의 항체 또는 제35항 또는 제36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9. 제37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60. 제37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근육내 경로, 복강내 경로, 뇌척수내 경로, 피하 경로, 동맥내 경로, 활액내 경로, 척추강내 경로, 정맥내 경로 또는 흡입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방법.
  61. 제37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정맥내 투여되는, 방법.
  62. 제37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피하 투여되는, 방법.
  63. 제37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1주령 미만, 2주령 미만, 3주령 미만, 4주령 미만, 5주령 미만, 6주령 미만, 6주령 미만, 7주령 미만, 8주령 미만, 9주령 미만, 10주령 미만, 11주령 미만, 12주령 미만, 6개월령 미만, 0 내지 12주령, 0 내지 10주령, 0 내지 8주령, 0 내지 6주령, 0 내지 4주령, 0 내지 2주령, 4 내지 12주령, 6 내지 12주령, 10 내지 12주령, 4주 내지 6개월령, 2개월 내지 6개월령, 4개월 내지 6개월령, 6개월 내지 1세, 13주령 이상 또는 1세 이상인, 방법.
  64. 제37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13주령 이상인, 방법.
  65. 제37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용량당 0.01mg/kg 체중 내지 100mg/kg 체중 범위의 양으로 투여되는, 방법.
  66. 제37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용량당 5mg/kg 체중의 양으로 투여되는, 방법.
  67. 제37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단일 용량으로 투여되는, 방법.
  68. 제37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반복적으로, 예컨대, 주 1회, 적어도 2주간 또는 3주간 연속하여 투여되는, 방법.
  69. 제37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고, 임의로 2개 이상의 상이한 항체의 투여는 1일 이상 분리되는, 방법.
  70. 제37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전에 혈구응집 억제 검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20 미만의 혈구응집 억제 역가(titer)를 갖는, 방법.
  71. 제37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전에 혈구응집 억제 검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파보바이러스 역가 음성인, 방법.
  72. 제37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후, 개과 또는 고양이과 파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서 생존하는, 방법.
  73. 세포의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제35항 또는 제36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세포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시험관내에서 항체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노출되는, 방법.
  75. 제73항 또는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포유동물 세포, 인간 세포, 개과 세포 또는 고양이과 세포인, 방법.
  76. 파보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조건하에, 샘플을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제35항 또는 제36항의 약제학적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샘플에서 항체와 파보바이러스 사이에 복합체가 형성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로부터의 샘플에서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검출하는 방법.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개과, 고양이과 또는 인간으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인, 방법.
  78. 하기를 포함하는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
    a)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b) 서열번호 91의 위치 10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c)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d) 서열번호 91의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e)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또는
    f) 서열번호 91의 위치 10 및/또는 위치 103에서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79. 제78항의 변이체 IgG Fc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80. 서열번호 92, 서열번호 93, 서열번호 94, 서열번호 95, 서열번호 96, 서열번호 97, 서열번호 98, 또는 서열번호 9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81. 제78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단리된 핵산.
  82. 제81항의 핵산을 포함하는 숙주 세포.
KR1020227003757A 2019-07-30 2020-07-30 수의과용의 파보바이러스 항체 KR20220071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0650P 2019-07-30 2019-07-30
US62/880,650 2019-07-30
US202062968970P 2020-01-31 2020-01-31
US62/968,970 2020-01-31
US202063030123P 2020-05-26 2020-05-26
US63/030,123 2020-05-26
PCT/US2020/044302 WO2021022067A2 (en) 2019-07-30 2020-07-30 Parvovirus antibodies for veterinary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176A true KR20220071176A (ko) 2022-05-31

Family

ID=7422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757A KR20220071176A (ko) 2019-07-30 2020-07-30 수의과용의 파보바이러스 항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267414A1 (ko)
EP (1) EP4004035A4 (ko)
JP (1) JP2022542275A (ko)
KR (1) KR20220071176A (ko)
CN (1) CN114466862A (ko)
AU (1) AU2020321376A1 (ko)
BR (1) BR112022000249A2 (ko)
CA (1) CA3143785A1 (ko)
MX (1) MX2022001104A (ko)
WO (1) WO20210220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4224A1 (en) * 2018-11-13 2022-03-03 Novobind Livestock Therapeutics, Inc. Antibodies against disease causing agents of canines and felines and uses thereof
CN116735873B (zh) * 2023-08-09 2023-10-31 北京纳百生物科技有限公司 特异性结合犬细小病毒vp2蛋白的单克隆抗体在检测试剂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3951B2 (ja) * 2003-06-20 2009-05-13 財団法人日本生物科学研究所 イヌ化抗体の作成方法および使用
US8052971B2 (en) * 2005-11-21 2011-11-08 MG Biologics Oral use of specific antibodies for intestinal health
GB201106395D0 (en) * 2011-04-14 2011-06-01 Hubrecht Inst Compounds
WO2012164372A1 (en) * 2011-06-01 2012-12-06 Indian Immunologicals Limited Recombinant anti-canine parvovirus antibody and uses thereof
US10030052B2 (en) * 2011-07-25 2018-07-24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arvovirus Vp1 unique region polypeptides and compositions thereof
CN104364264B (zh) * 2012-06-06 2018-07-24 硕腾服务有限责任公司 犬源化抗ngf抗体和其方法
GB201404503D0 (en) * 2013-07-09 2014-04-30 Mars Inc Canine health product
WO2015200073A1 (en) * 2014-06-23 2015-12-30 Bionomics, Inc. Antibodies that bind lgr4
CN110267674A (zh) * 2016-07-08 2019-09-20 奥美药业有限公司 包含瘦素的融合蛋白及其生产和使用方法
WO2019035010A1 (en) * 2017-08-15 2019-02-21 Kindred Biosciences, Inc. IGG VARIANTS FOR VETERINARY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2067A8 (en) 2021-10-14
MX2022001104A (es) 2022-02-14
US20220267414A1 (en) 2022-08-25
BR112022000249A2 (pt) 2022-05-17
CA3143785A1 (en) 2021-02-04
JP2022542275A (ja) 2022-09-30
EP4004035A2 (en) 2022-06-01
WO2021022067A3 (en) 2021-07-15
AU2020321376A1 (en) 2022-02-03
EP4004035A4 (en) 2023-06-28
CN114466862A (zh) 2022-05-10
WO2021022067A2 (en)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9000B2 (en) Anti-CCR8 antibodies and uses thereof
EP3277722B1 (en) Antibodies to canine interleukin-4 receptor alpha
US20190062428A1 (en) Combination of anti-cd47 antibodies and cell death-inducing agents, and uses thereof
US10150810B2 (en) Anti-IL31 antibodies for veterinary use
RU2644214C2 (ru) СТАБИЛЬНЫЕ ПРЕПАРАТЫ СВЯЗЫ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НА ОСНОВЕ IgG4
KR20180129991A (ko) Il-17 길항제를 사용한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 방법
SK50672005A3 (sk) Prípravok imunoglobulínu a spôsob jeho prípravy
US20130315913A1 (en) Anti-light antibody therap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220071176A (ko) 수의과용의 파보바이러스 항체
CN115803057A (zh) 治疗多发性骨髓瘤的方法
KR20210089719A (ko) Hla-감작된 환자에서 탈감작화 및 신장 이식의 개선을 위한 클라자키주맙의 용도
KR20200143718A (ko) 이식편 거부반응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항-cd40 항체
CN113518626A (zh) 用于治疗黄热病的方法和组合物
JP2006501283A (ja) LFA−1αサブユニット抗体と利用方法
JP2023113655A (ja) 小児の障害を処置する方法
US11299540B2 (en) IL17A antibodies and antagonists for veterinary use
CN114174337A (zh) 针对犬ctla-4的犬源化抗体
US20240174734A1 (en) Parvovirus antibody
US20240101715A1 (en) Tnf alpha and ngf antibodies for veterinary use
KR20240077746A (ko) 파보바이러스 항체
US20240084024A1 (en) Cd40l antagonist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lupus nephritis
US20230241211A1 (en) Bispecific antibody against cd3 and cd20 i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US20240182588A1 (en) Anti-CCR8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20220062405A1 (en) Ungulate-derived polyclonal immunoglobulin specific for coronavirus protein and uses thereof
CN116867803A (zh) 用于兽用的TNFα和NGF抗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