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949A - 로보체인 조립체 - Google Patents

로보체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949A
KR20220070949A KR1020200158050A KR20200158050A KR20220070949A KR 20220070949 A KR20220070949 A KR 20220070949A KR 1020200158050 A KR1020200158050 A KR 1020200158050A KR 20200158050 A KR20200158050 A KR 20200158050A KR 20220070949 A KR20220070949 A KR 2022007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chain
link
connecting bar
end st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152B1 (ko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주)한신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체인 filed Critical (주)한신체인
Priority to KR102020015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로보체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 한 쌍의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수용물과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덮는 엔드 스테이를 포함하여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링크 플레이트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보체인 조립체 {ROBOCHAIN}
본 발명은 로보체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케이블류의 마모 현상을 저감시킴으로써 제품 공정의 완결성을 향상시키는 로보체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보체인은 각종 기계를 다루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간의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링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구부림 운동을 통해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공압 호스, 케이블 등(이하, '케이블류'라 함)을 왕복 운동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로보체인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의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1196888B1(특허문헌 1)이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링크유닛과, 링크유닛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링크유닛 각각에서 연결 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유닛의 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연결 부재가 오목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 부재에 형성된 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링크유닛의 상 하부 플레이트에 부딪쳐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상기 로보체인의 상하부 측으로 방출되면서 제품 공정에 치명적 결함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케이블류가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류 상호 간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1196888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로보체인 조립체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링크 플레이트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키는 로보체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링크 플레이트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공정 상의 완결성을 도모하게 하는 로보체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수개의 케이블류를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로보체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블류의 수용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케이블류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로보체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 조립체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 한 쌍의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수용물과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덮는 엔드 스테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드 스테이는, 엔드 스테이 본체; 및 상기 연결바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 커버부는,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와 소정 각도로 경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삽입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 커버부는, 상기 연결바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보체인 조립체는,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는,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디바이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 의하면, 엔드 스테이가 링크 플레이트를 덮어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링크 플레이트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링크 플레이트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엔드 스테이가 차단하여 제품 공정 상의 완결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케이블류를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류의 수용 공간에 디바이더를 배치시킬 수 있어 수용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케이블류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의 굴곡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링크 플레이트와 연결바가 결합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링크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커넥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연결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디바이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의 굴곡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링크 플레이트와 연결바가 결합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1)는, 엔드 브래킷(100), 링크 플레이트(200), 커넥트 부재(300), 연결바(400) 및 엔드 스테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로보체인 조립체(1)는 한 쌍의 엔드 브래킷(100)이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엔드 브래킷(10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링크 플레이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엔드 브래킷(100)과 링크 플레이트(200)는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엔드 브래킷(100)과 링크 플레이트(200)는 커넥트 부재(300)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엔드 브래킷(100)에는 연결바(400)가 한 쌍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마주보는 링크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연결바(40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와 한 쌍의 연결바(400)가 결합되어 내부에 유공압 호스 또는 케이블 등(이하, '케이블류'라 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엔드 브래킷(100)과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링크 플레이트(200)가 서로 링크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간의 구부림 운동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보체인 조립체(1)는 구부림 운동을 통해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공압 호스, 케이블 등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한 편, 엔드 브래킷(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링크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정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링크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 본체(210), 걸림턱(220), 제1 링크 돌기(230), 제2 링크 돌기(240), 커넥팅 홈부(250) 및 연결바 결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210)는 로보체인 조립체(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판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220), 제1 링크 돌기(230), 제2 링크 돌기(240) 및 커넥팅 홈부(2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트 본체(210)는 수용 공간을 향하여 배치되는 내측 면에서 걸림턱(220)과 거넥팅 홈부(2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210)의 외측 면에는 양측에 경사면(211, 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211)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경사를 가진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경사면(212)은 최상부에서 중단부까지는 제1 경사면(211)과 평행한 경사를 이루다가 중단부 이하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 부분(213)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면(211)과 제2 경사면(212)은 서로 인접한 링크 플레이트(210)가 절곡 부분(21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곡 부분(213)은 후술할 커넥팅 홈부(250)의 형성 위치와 동일 수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20)은 플레이트 본체(210)의 내측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220)은 플레이트 본체(210)의 외곽을 따라 돌출 형성된 측벽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링크 돌기(230)와 제2 링크 돌기(240)는 플레이트 본체(210)와 연결되고, 로보체인 조립체(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 돌기(230)와 제2 링크 돌기(240)는 플레이트 본체(210)를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대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 돌기(230)와 제2 링크 돌기(24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제1 경사면(211) 또는 제2 경사면(212)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링크 돌기(230)는 제1 경사면(211)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링크 돌기(240)는 제2 경사면(212)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링크 플레이트(200)가 복수 개 결합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어느 하나의 링크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제1 링크 돌기(230) 또는 제2 링크 돌기(240)가 다른 하나의 링크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걸림턱(220)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 이상의 링크 플레이트(200)가 서로 링크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간의 구부림 운동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커넥팅 홈부(250)는 후술할 커넥트 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팅 홈부(250)는 커넥트 부재(300)의 체결부(31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251) 및 커넥트 부재(300)의 조인부(320)가 수용될 수 있는 연결홈(25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 홈부(250)는 플레이트 본체(210)에서 돌출 형성된 벽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본체(21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바 결합부(260)는 후술할 연결바(4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바 결합부(260)는 연결바(400)의 결합홀(4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바 결합부(260)는 플레이트 본체(210)의 양 측벽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본체(210)의 양 측벽은, 인접한 링크 플레이트(200)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링크 플레이트(200)에는 한 쌍의 연결바(40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링크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엔드 스테이(500)와 결합되는 엔드 스테이 결합홈(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엔드 스테이 결합홈(270)은 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엔드 스테이 결합홈(270)의 내주면에는 엔드 스테이(5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커넥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커넥트 부재(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넥트 부재(300)는 링크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커넥팅 홈부(250)에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310)와, 서로 인접한 링크 플레이트(200)의 체결부(3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부(310)는 커넥팅 홈부(250)의 체결홈(251)에 끼워지도록 볼록부(311)와, 볼록부(311)에서 연장되는 선단돌기(312)와, 목부(313) 및 커넥팅 홈부(250)의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볼록부(311)에서 연장 형성되며 볼록부(311)보다 직경이 큰 덮개부(3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각 유닛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덮개부(314)에 의해 볼록부(311)와 밀착된 체결홈(251)의 둘레를 덮을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연결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연결바(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바(400)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를 연결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바(400)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는 연결바(400)에 의하여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링크 플레이트(200) 각각에는 두개의 연결바(40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한 쌍의 연결바(400)와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가 서로 결합되어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고, 한 쌍의 연결바(400)와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가 결합된 내부에는 케이블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400)는 납작한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바(400)에는 가이드홈(410) 및 결합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10)은 연결바(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420)은 가이드홈(410)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바(400)에는 후술할 엔드 스테이(5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바(400)에는 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디바이더(600)가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가 개시되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가 개시되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가 개시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엔드 스테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드 스테이(500)는 링크 플레이트(200)와 연결바(400)가 결합되어 형성된 수용 공간에 수용된 수용물과 링크 플레이트(20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링크 플레이트(200)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드 스테이(500)는 엔드 스테이 본체(510) 및 연결바 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스테이 본체(5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일측 면은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하여 배치되고(이하, '내측 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타측 면은 링크 플레이트(200)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이하 '외측 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때,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내측 면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 류와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이 매끄럽게 연마(polishing)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티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엔드 스테이 본체(510)는 링크 플레이트(200)에 삽입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링크 결합부(511)는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외측 면에서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크 결합부(511)는 링크 플레이트(200)의 엔드 스테이 결합홈(27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엔드 스테이 본체(510)는 후술할 디바이더(600)를 수용하는 디바이더 수용홈(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디바이더 수용홈(512)은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내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더 수용홈(512)은 타원에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바이더(600)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연결바 커버부(520)는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연결바(400)가 링크 플레이트(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바(4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즉, 연결바 커버부(520)는 링크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바(400)를 덮도록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양측 단부에서 한 쌍을 이루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바 커버부(520)는 엔드 스테이 본체(510)에서 내측(수용 공간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바 커버부(520)와 엔드 스테이 본체(510)의 경계가 되는 부분은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엔스 스테이 본체(510)의 내측 면에서부터 연결바 커버부(520)의 내측 면으로 이어지는 표면은 평면 및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엔드 스테이(500)와 마찰되어 마모에 의한 티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바 커버부(520)의 외측 면에는 연결바 결합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바 결합부(521)는 연결바 커버부(520)의 외측 면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바(400)의 결합홀(4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엔드 스테이(500)는 연결바(4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엔드 스테이(500)는 한 쌍의 연결바(400)와 각각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 조립체에서 디바이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디바이더(6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바이더(600)는 링크 플레이트(200)와 연결바(400)가 결합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을 나눌 수 있다. 즉, 디바이더(600)는 상기 내부 공간(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케이블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할(또는 구획)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바이더(600)는 한 쌍의 연결바(4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링크 플레이트(200)와 나란한 방향(연결바와 수직한 방향)을 따라 분할하는 수직 디바이더(610)와, 한 쌍의 엔드 스테이(50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링크 플레이트(200)와 수직한 방향(연결바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분할하는 수평 디바이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 디바이더(610)에는 돌기 형태의 연결바 결합부(611)가 형성되어 연결바(400)의 결합홀(5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디바이더(620)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디바이더 수용홈(512) 또는 수직 디바이더(610)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수직 디바이더(610)에는 수평 디바이더(6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디바이더(610) 및 수평 디바이더(620)가 하나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의 내부 공간을 4개 이상의 분할된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수직 디바이더(610)에는 수평 디바이더(6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6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디바이더(610) 및 수평 디바이더(620)가 하나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수평 디바이더(620)가 수직 디바이더를 관통하여 엔드 스테이(500)에 결합될 때에 비하여, 분할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다양하지고, 분할할 수 있는 공간의 갯수도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다수개의 케이블류가 물리적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공간에 배치되어, 서로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로보체인 조립체
100: 엔드 브래킷
200: 링크 플레이트
210: 플레이트 본체
230: 제1 링크 돌기
240: 제2 링크 돌기
250: 커넥팅 홈부
260: 연결바 결합부
270: 엔드 스테이 결합홈
300: 커넥트 부재
310: 체결부
320: 조인부
400: 연결바
420: 결합홀
500: 엔드 스테이
510: 엔드 스테이 본체
511: 링크 결합부
512: 디바이더 수용홈
520: 연결바 커버부
521: 연결바 결합부
600: 디바이더
610: 수직 디바이더
612: 관통홀
620: 수평 디바이더

Claims (6)

  1.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상기 링크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수용물과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마찰을 방지하는 엔드 스테이;
    를 포함하는 로보체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스테이는,
    엔드 스테이 본체; 및
    상기 연결바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 커버부;
    를 포함하는 로보체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 커버부는,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와 소정 각도로 경사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에 삽입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
    를 포함하는 로보체인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 커버부는,
    상기 연결바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바 결합부;
    를 포함하는 로보체인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디바이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 스테이 본체는,
    상기 디바이더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디바이더 수용홈;
    을 포함하는 로보체인 조립체.
KR1020200158050A 2020-11-23 2020-11-23 로보체인 조립체 KR10263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50A KR102630152B1 (ko) 2020-11-23 2020-11-23 로보체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50A KR102630152B1 (ko) 2020-11-23 2020-11-23 로보체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49A true KR20220070949A (ko) 2022-05-31
KR102630152B1 KR102630152B1 (ko) 2024-01-29

Family

ID=8178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50A KR102630152B1 (ko) 2020-11-23 2020-11-23 로보체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1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69Y1 (ko) * 1996-03-04 1999-08-02 심술진 케이블 베어의 슬라이딩장치
KR200269610Y1 (ko) * 2001-12-14 2002-03-25 (주) 코닥터 케이블 베어의 조립 구조
JP2004324851A (ja) * 2003-04-28 2004-11-18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0890176B1 (ko) * 2008-08-27 2009-03-25 씨피시스템(주)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KR101196888B1 (ko) 2012-05-07 2012-11-01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KR20130012546A (ko) * 2011-07-25 2013-02-04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2017509B1 (ko) * 2018-04-12 2019-10-21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베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69Y1 (ko) * 1996-03-04 1999-08-02 심술진 케이블 베어의 슬라이딩장치
KR200269610Y1 (ko) * 2001-12-14 2002-03-25 (주) 코닥터 케이블 베어의 조립 구조
JP2004324851A (ja) * 2003-04-28 2004-11-18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0890176B1 (ko) * 2008-08-27 2009-03-25 씨피시스템(주)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KR20130012546A (ko) * 2011-07-25 2013-02-04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196888B1 (ko) 2012-05-07 2012-11-01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KR102017509B1 (ko) * 2018-04-12 2019-10-21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베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152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564B2 (en) Protector
US7174702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845900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TW548382B (en) Protective guide for cables and the like
TWI509168B (zh) 纜線類保護導引構件
US6510682B2 (en) Cable drag chain
TWI584546B (zh) 纜線類保護引導裝置
JP642110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JP414486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933822B2 (ja) ロボチェーンとこれに使用される連結部材
US20190081469A1 (en) Clamp
TWI515985B (zh) 纜線類保護引導裝置
JP2008248999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220070949A (ko) 로보체인 조립체
US20190024684A1 (en) Pneumatic clamping component
KR102017509B1 (ko) 케이블 베어
US20040237498A1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6614981B2 (en) Fiber optic cable restraint
TWI687607B (zh) 長條物之導引裝置以及分隔構件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2555943B1 (ko)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US9004080B2 (en) Water-bearing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a suspension apparatus with attachment means formed by openings through the base body
KR20090064654A (ko)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US6960030B2 (en) Optical connector boot with controlled rotation feature
KR20160005313A (ko) 와이어 권취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