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931A - 전자식 변속기구 - Google Patents

전자식 변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931A
KR20220070931A KR1020200158005A KR20200158005A KR20220070931A KR 20220070931 A KR20220070931 A KR 20220070931A KR 1020200158005 A KR1020200158005 A KR 1020200158005A KR 20200158005 A KR20200158005 A KR 20200158005A KR 20220070931 A KR20220070931 A KR 2022007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nob
groove
rotation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희은
송기영
김우덕
김성태
배상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0931A/ko
Priority to DE102021207582.7A priority patent/DE102021207582A1/de
Priority to US17/387,635 priority patent/US11746890B2/en
Priority to CN202110910465.0A priority patent/CN114526326A/zh
Publication of KR2022007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31A/ko
Priority to US18/212,780 priority patent/US202303326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16H2059/0243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with push buttons, e.g. shift buttons arranged on steering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16H2061/185Means, e.g. catches or interlocks, for preventing unintended shift in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1Actuators providing feel or simulating a shift gate, i.e. with active force generation for providing counter forces for feed 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N/D단 변속조작과 P단 변속조작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홀센서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회전 및 이동상태를 센싱하도록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버튼어셈블리; 및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 상태에서 노브의 회전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조작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기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변속기구{Shift-by-wire system}
본 발명은 변속기구의 구조 변경을 통해 R/N/D단 변속조작과 P단 변속조작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전자식 변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레버타입/다이얼타입의 전자식 변속장치는 R단(Reverse)/N단(Neutral)/D단(Drive)의 변속을 위한 센싱구조와, P단 변속을 위한 센싱구조가 별개로 구성되어, R단/N단/D단 변속을 위한 변속스위치는 물론 P단 변속을 위한 PCB 및 변속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에, 운전자가 R/N/D단 변속조작과 P단 변속조작을 물리적으로 동시에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 오조작을 야기할 수 있고, 이에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65027 B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변속기구의 구조 변경을 통해 R/N/D단 변속조작과 P단 변속조작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전자식 변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싱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패키지를 축소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디자인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전자식 변속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홀센서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회전 및 이동상태를 센싱하도록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버튼어셈블리; 및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 상태에서 노브의 회전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조작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및 회전방향에 따라 P단을 제외한 변속단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에 따라 P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어셈블리는, 상기 노브의 단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 상기 바디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버튼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그넷이 장착된 마그넷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시조작 제한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조작방지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부에 불렛하우징이 고정되어, 샤프트가 불렛하우징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며; 상기 조작방지돌기부에 대응하는 불렛하우징의 단부에 조작방지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 내에 진입되도록 구성되어, 조작방지돌기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작방지돌기가 불렛하우징 단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조작방지돌기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버튼과 샤프트 사이에 버튼가이드가 체결되고; 상기 버튼가이드와 샤프트는 후크와 홈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마그넷홀더와 샤프트는 후크와 홈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홀더의 일단이 샤프트에 체결되고; 상기 마그넷홀더의 타단으로 이어지는 중간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홀더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마그넷이 삽입되고; 상기 장착홈 둘레에 융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융착돌기의 열융착을 통해 장착홈 내에 마그넷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회전구속부가 불렛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회전구속부와 축방향을 따라 끼워져 상대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불렛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이동구속부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이동구속부에 축방향으로 걸림 지지되어 상대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단부에 바디를 향하여 버튼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의 내면에 감싸지는 형상으로 이너노브가 조립되고; 상기 이너노브의 단부에 버튼레그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레그가 버튼레그삽입홀에 삽입되어 상대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단부에 버튼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버튼의 이동조작에 따른 버튼가이드의 축방향 이동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이동복원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복원수단은, 상기 불렛하우징의 단부에 지지되어,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그루브부재;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그루브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 돔 형상으로 돔부가 돌출 형성되어 버튼가이드에 의해 가압되는 리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가이드의 중앙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에 그루브부재를 향하여 가이드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부재의 단부 중앙에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측면에 가이드레그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른 버튼어셈블리의 회전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복원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복원수단은, 상기 버튼어셈블리와 회전 구속되면서 상기 불렛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불렛하우징과 마주하는 부분에 회전경로를 따라 'V'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된 그루브부재; 상기 불렛하우징에 형성된 불렛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는 불렛; 상기 그루브를 향하여 불렛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렛삽입홈이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불렛삽입홈의 개구부가 그루브부재와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불렛삽입홈의 내측 단부와 불렛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홀센서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P단을 제외한 변속단을 형성하는 노브;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회전 및 이동상태를 센싱하도록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 P단을 형성하는 버튼어셈블리; 및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 상태에서 노브의 회전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조작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노브의 회전조작과 버튼의 누름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기구적으로 방지함으로써, P단 변속조작과 그 외의 R단 및 D단 변속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아, 변속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변속 오조작 우려에 따른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P단 변속과, R/N/D단 변속을 위한 홀센서 및 제어기를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변속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키지의 축소가 가능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는 한편,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져 운전자의 심미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구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구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식 변속기구 내에 버튼어셈블리의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버튼의 누름조작 상태에서 노브의 회전을 제한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조작방지돌기부와 조작방지홈부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노브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의 누름조작을 제한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조작방지돌기부와 조작방지홈부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디에 대한 불렛하우징의 회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바디에 대한 불렛하우징의 직선방향 움직이는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 내부에 이너노브가 조립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노브에 버튼이 조립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이동조작을 복원시키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복원수단의 실시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복원수단을 통한 노브의 회전 복원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구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기구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식 변속기구 내에 버튼어셈블리(Ab)의 배치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홀센서(120)가 구비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200); 상기 홀센서(120)에 의해 회전 및 이동상태를 센싱하도록 마그넷(640)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20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바디(100)의 축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버튼어셈블리(Ab); 및 상기 노브(200)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어셈블리(Ab)의 이동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Ab)의 이동조작 상태에서 노브(200)의 회전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조작 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10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운전자에 의해 운전 중 조작이 가능한 위치, 예를 들어 스티어링컬럼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바디(100)의 형상은 원통형의 형상 외에 다각형의 함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 내부에는 제어기(110)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기(110)에 마그넷(640)을 센싱하는 홀센서(120)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어기(110)는 PC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110)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120)는 R/N/D단 변속조작은 물론 P단 변속조작의 센싱이 가능하며, 센싱된 신호가 제어기(110)에 전달되어 해당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바디(100)의 단부에 노브(200)의 일단이 회전조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200)의 타단 중앙에 버튼(300)을 포함하는 버튼어셈블리(Ab)가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내장 구비되고, 상기 버튼(300)의 단부가 노브(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버튼(300)의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센서(120)에 의해 센싱되는 마그넷(640)이 버튼어셈블리(Ab)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640)이 버튼어셈블리(Ab)와 함께 이동 및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노브(200)의 회전조작시, 버튼어셈블리(Ab)가 함께 구속 회전되면서 노브(200)의 회전조작 및 회전방향에 따라 P단을 제외한 변속을 형성하게 된다. P단을 제외한 변속단은 R단/N단/D단일 수 있는 것으로, 노브(200)의 일방향 회전시 R단으로 변속되고, 노브(200)의 타방향 회전시 D단으로 변속되며, 노브(200)의 중립위치에서 N단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버튼어셈블리(Ab)의 축방향 직선이동 조작시, 노브(200)에 대해 버튼어셈블리(Ab)가 상대 이동되어 P단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노브(200)를 회전 조작한 상태에서 앞선 설명과 같이 버튼어셈블리(Ab)가 함께 회전되기는 하지만, 상기 버튼어셈블리(Ab)가 바디(100)의 내부에 물리적으로 걸려지게 되면서 버튼(300)의 직선이동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버튼어셈블리(Ab)를 이동 조작한 상태에서는 노브(200)가 바디(100)의 내부에 물리적으로 걸려지게 되면서 노브(200)의 회전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즉, R/N/D단 변속을 위한 노브(200)의 회전조작과 P단 변속을 위한 버튼(300)의 누름(이동)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도록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변속 오조작을 방지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전자식 변속기구는 변속 목적의 기구 외에도 회전/누름 조합에 따라 조작 가능한 모든 조작기구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브모드 스위치, 열선/통풍 시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바디(100)의 위치 역시 스티어링컬럼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휠, 콘솔박스, 크래시패드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패키징할 수 있고, 또한 노브(200)의 회전조작 단수 및 버튼(300)의 누름 조작 단수도 증감하여 조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어셈블리(Ab)를 도시한 도면으로, 크게 버튼(300), 샤프트(500), 마그넷홀더(6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버튼어셈블리(Ab)는, 상기 노브(200)의 단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300); 상기 바디(100)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버튼(300)에 연결되는 샤프트(500); 상기 샤프트(500)의 타단에 연결되고, 홀센서(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그넷(640)이 장착된 마그넷홀더(6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상기 버튼(300)이 후술하는 버튼가이드(400)를 통해 샤프트(500)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500)가 마그넷홀더(600)와 결합되며, 상기 마그넷홀더(600)에 마그넷(640)이 고정됨으로써, 버튼(300)의 움직임에 따라 마그넷(640)의 위치도 함께 변하게 된다.
이에, 버튼(300)의 누름 조작시, 마그넷(640)이 버튼(300)의 누름 조작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제어기(110) 내의 홀센서(120)가 이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변속단 신호(P단 변속신호)를 차량에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버튼(300)의 누름 조작시, 버튼어셈블리(Ab)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함께 직선 이동되지만, 노브(200)는 함께 이동되지 않고, 제어기(110)와 후술하는 불렛하우징(9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노브(200)의 회전 조작시, 버튼어셈블리(Ab)가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마그넷(640)이 노브(2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제어기(110) 내의 홀센서(120)가 이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변속단 신호(R단/N단/D단 변속신호)를 차량에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노브(200)의 회전 조작시, 버튼어셈블리(Ab)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함께 회전되지만, 제어기(110)와 후술하는 불렛하우징(9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서 버튼(300)의 누름조작 상태에서 노브(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조작방지돌기부(510)와 조작방지홈부(910)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노브(200)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300)의 누름조작을 제한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조작방지돌기부(510)와 조작방지홈부(910)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시조작 제한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샤프트(500)의 측면에 조작방지돌기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00) 내부에 불렛하우징(900)이 고정되어, 샤프트(500)가 불렛하우징(900)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며; 상기 조작방지돌기부(510)에 대응하는 불렛하우징(900)의 단부에 조작방지홈부(9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500)의 일단 측면에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사각의 조작방지돌기부(5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양 단부가 개구 형성되어 샤프트(500)가 불렛하우징(900)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양 단부 중에서 버튼(300)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테두리에 사각의 조작방지홈부(91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조작방지돌기부(510)는 노브(200)가 일방 또는 타방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지 않은 중립상태에서 조작방지홈부(910)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노브(200)의 중립상태에서 버튼(300)을 누름 조작하게 되면 조작방지돌기부(510)가 조작방지홈부(910) 내에 진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튼(300)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 내에 진입되도록 구성되어, 조작방지돌기의 회전이 제한된다.
즉, 버튼(300)의 누름조작에 따라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 내에 진입되면, 상기 조작방지홈이 형성된 불렛하우징(900)이 바디(1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노브(200)를 회전조작 하더라도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의 내측면에 걸려지게 되어 노브(200)의 회전조작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더불어,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브(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작방지돌기가 불렛하우징(900) 단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조작방지돌기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즉, 노브(200)의 회전조작에 따라 버튼어셈블리(Ab)와 함께 조작방지돌기가 버튼어셈블리(Ab)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불렛하우징(900)이 바디(1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버튼(300)을 직선방향으로 누름조작 하더라도 조작방지돌기가 불렛하우징(900) 단부의 테두리 부분에 지지되어 버튼(300)의 누름조작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노브(200)의 회전조작과 버튼(300)의 누름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기구적으로 방지함으로써, P단 변속조작과 그 외의 변속단에 대한 변속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아, 변속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변속 오조작 우려에 따른 심리적 불안감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버튼어셈블리(Ab)를 구성하는 부품 간 결합구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버튼(300)과 샤프트(500) 사이에 버튼가이드(400)가 체결되고; 상기 버튼가이드(400)와 샤프트(500)는 후크와 홈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마그넷홀더(600)와 샤프트(500)는 후크와 홈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가 된다.
예컨대, 상기 버튼(300)의 단부에 버튼레그(310)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레그(310)에 버튼가이드(400)가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가이드(400)의 양측에 샤프트(500)를 향하여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가이드레그(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그(410)의 단부에 사각의 홀 형상으로 제1후킹홈부(4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500)의 측면 중 조작방지돌기부(5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웨지 형상의 제1후크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후크부(520)는 제1후킹홈부(4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샤프트(500)의 일단이 양측 가이드레그(410) 사이의 공간 내에 진입되는 상태에서 제1후크부(520)가 제1후킹홈부(420)에 끼워지면서 체결됨으로써, 버튼가이드(400)와 샤프트(500)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1후크부(520)에서 마그넷홀더(600) 방향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스토퍼 기능의 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레그(410)의 끝부분이 걸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샤프트(500)의 타단이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의 일면에 사각의 홀 형상으로 제2후킹홈부(5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홀더(600)의 일단에 경사면을 갖는 웨지 형상의 제2후크부(6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부(630)는 제2후킹홈부(5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샤프트(500)의 타단이 상기 마그넷홀더(600)의 타단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후크부(630)가 제2후킹홈부(530)에 끼워지면서 체결됨으로써, 샤프트(500)와 마그넷홀더(600)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마그넷홀더(600)의 일단이 샤프트(500)에 체결되고; 상기 마그넷홀더(600)의 타단으로 이어지는 중간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마그넷홀더(600)를 곡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그넷(640)이 회전하는 회전반경은 샤프트(500)가 회전하는 회전반경 대비 더 큰 회전반경을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어셈블리(Ab)의 직선 이동에 따른 마그넷(640)의 자기장 변화와, 버튼어셈블리(Ab)의 회전에 따른 마그넷(640)의 자기장 변화를 보다 확실하게 구분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홀센서(120)만을 이용하더라도 변속신호의 센싱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선 상기 마그넷홀더(600)에 장착홈(610)이 형성되어 마그넷(640)이 삽입되고; 상기 장착홈(610) 둘레에 융착돌기(620)가 형성되어 상기 융착돌기(620)의 열융착을 통해 장착홈(610) 내에 마그넷(640)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그넷홀더(600)의 타단에 원형의 장착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610) 내에 마그넷(6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장착홈(610)의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융착돌기(620)를 열융착함으로써, 마그넷(640)을 장착홈(610) 내에 융착 고정시키게 되고, 이에 마그넷(640)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디(100)에 대한 불렛하우징(900)의 회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바디(100)에 대한 불렛하우징(900)의 직선방향 움직이는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회전구속부(100a)가 불렛하우징(9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회전구속부(900a)와 축방향을 따라 끼워져 상대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이동구속부(900b)가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이동구속부(100b)에 축방향으로 걸림 지지되어 상대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 양측에 축방향을 따라 돌기 형상의 제1회전구속부(100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외주면 양측에 축방향을 따라 홈 형상의 제2회전구속부(900a)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구속부(100a)와 제2회전구속부(900a)는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회전구속부(100a)가 제2회전구속부(900a)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바디(100)에 대한 불렛하우징(9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더불어,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에 내측 반경방향으로 제1이동구속부(100b)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외주면 하단에 외측 반경방향으로 제2이동구속부(900b)가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이동구속부(900b)는 상기 제1이동구속부(100b) 기준으로 제어기(110) 측에 위치한다.
이에, 상기 제2이동구속부(900b)가 상기 제1이동구속부(100b)의 돌출된 평면에 걸려지면서 지지됨으로써, 바디(100)에 대한 불렛하우징(900)의 직선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회전방향 및 직선 이동방향에 대한 움직임이 구속됨으로써, 상기 불렛하우징(900)이 바디(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200) 내부에 이너노브(210)가 조립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노브(210)에 버튼(300)이 조립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300)의 단부에 바디(100)를 향하여 버튼레그(310)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200)의 내면에 감싸지는 형상으로 이너노브(210)가 조립되고; 상기 이너노브(210)의 단부에 버튼레그삽입홀(22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레그(310)가 버튼레그삽입홀(220)에 삽입되어 상대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브(200)의 내주면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부(200a)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너노브(210)의 외주면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210a)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부(200a)와 끼움홈부(210a)는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노브(200)의 내부에 이너노브(210)가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버튼(300)의 단부에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버튼레그(310)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레그(310)는 상기 버튼(300)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을 이루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300)과 마주하는 이너노브(210)의 단부에 상기 버튼레그(310)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버튼레그삽입홀(220)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레그(310)가 삽입된다.
따라서, 노브(200)의 회전에 따른 이너노브(210)의 회전시, 버튼(300)이 함께 구속 회전되는 구조가 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300)의 이동조작을 복원시키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튼(300)의 단부에 버튼가이드(400)가 고정되고; 상기 버튼(300)의 이동조작에 따른 버튼가이드(400)의 축방향 이동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이동복원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복원수단은,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단부에 지지되어,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그루브부재(800);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그루브부재(800)에 결합되고, 타단에 돔 형상으로 돔부(710)가 돌출 형성되어 버튼가이드(400)에 의해 가압되는 리턴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도 15를 기준으로 상기 그루브부재(800)의 하단 중앙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부재(800)를 향하는 불렛하우징(900)의 상단이 그루브부재(800)의 개구된 중앙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에, 상기 그루브부재(800)의 하단 테두리가 불렛하우징(900)의 외주면 중간에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플랜지 부분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그루브부재(80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아울러, 도 13과 같이 상기 그루브부재(800)의 상단에 리턴부재(700)의 하단이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부재(700)의 양측에 버튼가이드(400)를 향하여 돔 형상의 돔부(7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돔부(710)는 탄성재이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가압부(430)에 의해 돔부(710)를 가압시 돔부(710)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부(430)를 밀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가이드(400)의 양측에는 상기 리턴부재(700)를 향하여 가압부(4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430)는 돔부(71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버튼(300)의 누름 조작시, 버튼가이드(400)에 형성된 가압부(430)가 돔부(710)를 눌러 돔부(710)가 압축되고, 버튼(300)의 누름 해제시, 돔부(710)의 반발력에 의해 버튼(300)이 복원 이동된다.
따라서, 돔부(710)가 복원되는 힘을 통해 P단 변속조작에 따른 조작감 및 절도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돔부(710)의 압축시 그루브부재(800)가 불렛하우징(900)에 지지됨으로써, 돔부(710)가 압축만 될 뿐 리턴부재(700)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300)의 직선 이동이 그루브부재(80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3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가이드(400)의 중앙에 가이드홀(44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440)의 단부에 그루브부재(800)를 향하여 가이드레그(410)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부재(800)의 단부 중앙에 가이드바(830)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440)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홀(440)의 측면에 가이드레그삽입홀(82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그(41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루브부재(800)에 형성된 가이드바(830)가 사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가이드(400)에 형성된 가이드홀(440)이 상기 가이드바(830)에 대응하는 사각의 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830)가 가이드홀(440)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홀(440) 양측에 가이드레그(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830)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그(410)에 대응하는 가이드레그삽입홀(820)이 직사각의 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그(410)가 가이드레그삽입홀(820)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된다.
이처럼, 가이드바(830)가 가이드홀(440) 내에서 가이드됨과 동시에 가이드레그(410)가 가이드레그삽입홀(820) 내에서 가이드됨으로써, 버튼(300) 및 버튼가이드(400)의 직선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복원수단의 실시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회전복원수단을 통한 노브(200)의 회전 복원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브(200)의 회전조작에 따른 버튼어셈블리(Ab)의 회전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복원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복원수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회전복원수단은, 상기 버튼어셈블리(Ab)와 회전 구속되면서 상기 불렛하우징(90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불렛하우징(900)과 마주하는 부분에 회전경로를 따라 'V'형상의 그루브(810)가 형성된 그루브부재(800); 상기 불렛하우징(900)에 형성된 불렛삽입홈(920)에 삽입되어 상기 그루브(810)에 지지되는 불렛(930); 상기 그루브(810)를 향하여 불렛(9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94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더불어, 상기 불렛삽입홈(920)이 바디(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불렛삽입홈(920)의 개구부가 그루브부재(800)와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940)은 상기 불렛삽입홈(920)의 내측 단부와 불렛(9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불렛하우징(900)의 양측 내부에 불렛삽입홈(920)이 형성되고, 상기 불렛삽입홈(920) 내에 불렛(930)이 삽입된다. 그리고, 리턴스프링(940)이 코일스프링 구조로서 리턴스프링(940)의 일단이 불렛삽입홈(920)의 내부단에 지지되고, 리턴스프링(940)의 타단이 불렛(930)의 일단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불렛삽입홈(920)과 마주하는 그루브부재(800)에 'V'자의 홈 프로파일 형상을 갖는 그루브(810)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810)의 내면에 불렛(930)의 타단이 지지된다.
즉, 노브(200)의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조작시, 버튼(300)과 함께 그루브부재(80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그루브(810)의 골 부분에 위치한 불렛(930)이 그루브(810)의 경사진 프로파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리턴스프링(94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에, 불렛(930)의 이동에 따라 리턴스프링(940)이 압축되면, 리턴스프링(9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불렛(930)이 그루브(810)의 경사면을 타고 다시 그루브(810)의 골 부분을 향해 복원 이동되려 하고, 이에 그루브부재(800)가 회전되기 전의 상태, 즉 노브(200)의 중립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리턴스프링(940)의 압축 및 탄성복원력에 의해 불렛(930)이 그루브(810)를 타고 이동되어 노브(200)와 복원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노브(200)의 회전조작에 따른 조작감 및 절도감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식 변속기구를 이용한 변속조작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P단 변속조작에 대해 살펴보면, 버튼(300)을 오른쪽 도면과 같이 바디(100)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버튼(300)을 포함한 버튼어셈블리(Ab)가 버튼(300) 이동방향으로 이동되고, 마그넷(640) 역시 버튼(300)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이에, 마그넷(640)이 버튼(300)의 누름 조작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게 됨으로써, 제어기(110) 내의 홀센서(120)가 이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여 P단 변속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이를 차량에 전달하여 P단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버튼(300)의 누름조작에 따라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의 내측면에 걸려지게 되어 노브(200)의 회전조작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3과 같이, 버튼(300) 누름 조작시, 버튼가이드(400)에 형성된 가압부(430)가 돔부(710)를 눌러 돔부(710)가 압축된 상태가 되는데, 버튼(300)에서 손을 떼어 버튼(300)의 누름을 해제하는 경우, 돔부(710)의 반발력에 의해 버튼(300)이 복원 이동됨으로써, P단 변속조작에 따른 조작감 및 절도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R단 및 D단 변속조작에 대해 살펴보면, N단 상태에서 노브(200)를 좌측 끝부분 도면과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노브(200)와 함께 버튼어셈블리(Ab)가 노브(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마그넷(640) 역시 노브(200)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이에, 마그넷(640)이 노브(200)의 회전 조작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게 됨으로써, 제어기(110) 내의 홀센서(120)가 이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여 D단 변속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이를 차량에 전달하여 D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N단 상태에서 노브(200)를 우측 끝부분 도면과 같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노브(200)와 함께 버튼어셈블리(Ab)가 노브(20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마그넷(640) 역시 노브(200)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이에, 마그넷(640)이 노브(200)의 회전 조작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게 됨으로써, 제어기(110) 내의 홀센서(120)가 이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하여 R단 변속신호를 생성하게 되고, 이를 차량에 전달하여 R단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노브(200)의 회전조작에 따라 조작방지돌기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조작방지돌기가 불렛하우징(900) 단부의 테두리 부분에 지지되어 있어, 버튼(300)을 누름 조작하더라도 버튼(300)의 누름조작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6과 같이, 노브(200)의 일방 또는 타방으로의 회전 조작시, 불렛(930)이 그루브(810)의 경사진 프로파일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리턴스프링(94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200)에서 손을 떼게 되면, 리턴스프링(9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불렛(930)이 그루브(810)의 경사진 프로파일을 따라 골 부분을 향해 복원 이동되면서 노브(200)가 중립위치로 복원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리턴스프링(9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노브(200)가 회전 복원됨으로써, R단 및 D단 변속조작에 따른 조작감 및 절도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브(200)의 회전조작과 버튼(300)의 누름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기구적으로 방지함으로써, P단 변속조작과 그 외의 R단 및 D단 변속조작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아, 변속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변속 오조작 우려에 따른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P단 변속과, R/N/D단 변속을 위한 홀센서(120) 및 제어기(110)를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변속기구의 구조를 단순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키지의 축소가 가능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는 한편,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져 운전자의 심미적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바디
100a : 제1회전구속부
100b : 제1이동구속부
110 : 제어기
120 : 홀센서
200 : 노브
200a : 끼움돌기부
210 : 이너노브
210a : 끼움홈부
220 : 버튼레그삽입홀
300 : 버튼
310 : 버튼레그
400 : 버튼가이드
410 : 가이드레그
420 : 제1후킹홈부
430 : 가압부
440 : 가이드홀
500 : 샤프트
510 : 조작방지돌기부
520 : 제1후크부
530 : 제2후킹홈부
600 : 마그넷홀더
610 : 장착홈
620 : 융착돌기
630 : 제2후크부
640 : 마그넷
700 : 리턴부재
710 : 돔부
800 : 그루브부재
810 : 그루브
820 : 가이드레그삽입홀
830 : 가이드바
900 : 불렛하우징
900a : 제2회전구속부
900b : 제2이동구속부
910 : 조작방지홈부
920 : 불렛삽입홈
930 : 불렛
940 : 리턴스프링
Ab : 버튼어셈블리

Claims (17)

  1. 내부에 홀센서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회전 및 이동상태를 센싱하도록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이동조작되는 버튼어셈블리; 및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 상태에서 노브의 회전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조작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및 회전방향에 따라 P단을 제외한 변속단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에 따라 P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셈블리는,
    상기 노브의 단부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
    상기 바디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버튼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홀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그넷이 장착된 마그넷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시조작 제한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조작방지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내부에 불렛하우징이 고정되어, 샤프트가 불렛하우징에 대해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며;
    상기 조작방지돌기부에 대응하는 불렛하우징의 단부에 조작방지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조작방지돌기가 조작방지홈 내에 진입되도록 구성되어, 조작방지돌기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작방지돌기가 불렛하우징 단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조작방지돌기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샤프트 사이에 버튼가이드가 체결되고;
    상기 버튼가이드와 샤프트는 후크와 홈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마그넷홀더와 샤프트는 후크와 홈의 체결구조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홀더의 일단이 샤프트에 체결되고;
    상기 마그넷홀더의 타단으로 이어지는 중간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홀더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마그넷이 삽입되고;
    상기 장착홈 둘레에 융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융착돌기의 열융착을 통해 장착홈 내에 마그넷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회전구속부가 불렛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회전구속부와 축방향을 따라 끼워져 상대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불렛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이동구속부가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이동구속부에 축방향으로 걸림 지지되어 상대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단부에 바디를 향하여 버튼레그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의 내면에 감싸지는 형상으로 이너노브가 조립되고;
    상기 이너노브의 단부에 버튼레그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버튼레그가 버튼레그삽입홀에 삽입되어 상대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단부에 버튼가이드가 고정되고;
    상기 버튼의 이동조작에 따른 버튼가이드의 축방향 이동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이동복원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복원수단은,
    상기 불렛하우징의 단부에 지지되어,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그루브부재;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그루브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에 돔 형상으로 돔부가 돌출 형성되어 버튼가이드에 의해 가압되는 리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버튼가이드의 중앙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단부에 그루브부재를 향하여 가이드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부재의 단부 중앙에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측면에 가이드레그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에 따른 버튼어셈블리의 회전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복원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전복원수단은,
    상기 버튼어셈블리와 회전 구속되면서 상기 불렛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불렛하우징과 마주하는 부분에 회전경로를 따라 'V'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된 그루브부재;
    상기 불렛하우징에 형성된 불렛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는 불렛;
    상기 그루브를 향하여 불렛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불렛삽입홈이 바디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불렛삽입홈의 개구부가 그루브부재와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불렛삽입홈의 내측 단부와 불렛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17. 내부에 홀센서가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P단을 제외한 변속단을 형성하는 노브;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회전 및 이동상태를 센싱하도록 마그넷이 구비되고,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 P단을 형성하는 버튼어셈블리; 및
    상기 노브의 회전조작 상태에서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버튼어셈블리의 이동조작 상태에서 노브의 회전조작을 기구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조작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기구.
KR1020200158005A 2020-11-23 2020-11-23 전자식 변속기구 KR20220070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05A KR20220070931A (ko) 2020-11-23 2020-11-23 전자식 변속기구
DE102021207582.7A DE102021207582A1 (de) 2020-11-23 2021-07-16 Shift-by-wire system
US17/387,635 US11746890B2 (en) 2020-11-23 2021-07-28 Shift-by-wire system
CN202110910465.0A CN114526326A (zh) 2020-11-23 2021-08-09 线控换挡系统
US18/212,780 US20230332680A1 (en) 2020-11-23 2023-06-22 Shift-by-wir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05A KR20220070931A (ko) 2020-11-23 2020-11-23 전자식 변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31A true KR20220070931A (ko) 2022-05-31

Family

ID=8145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05A KR20220070931A (ko) 2020-11-23 2020-11-23 전자식 변속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46890B2 (ko)
KR (1) KR20220070931A (ko)
CN (1) CN114526326A (ko)
DE (1) DE1020212075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3025B2 (en) 2021-03-09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electric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931A (ko) * 2020-11-23 202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027B1 (ko) 2013-12-13 2015-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버튼으로 구성된 통합형 컨트롤러를 이용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오토레버 제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8527A4 (en) * 2014-04-03 2017-11-15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witch device
EP3196101A1 (en) * 2014-08-28 2017-07-26 LS Automotive Corp Torque sensor device
EP3194230A1 (en) * 2014-09-18 2017-07-2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and operated auxiliary drive and retard torque control
US20170191561A1 (en) * 2016-01-04 2017-07-06 Dura Operating, Llc Shift detection system
US10100919B1 (en) * 2016-06-10 2018-10-16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I, Inc. Shifter assembly
US11014450B2 (en) * 2017-02-24 2021-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alk mounted telescoping rotary shift knob
KR102165848B1 (ko) * 2019-03-15 2020-10-1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20220070931A (ko) * 2020-11-23 202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변속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027B1 (ko) 2013-12-13 2015-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버튼으로 구성된 통합형 컨트롤러를 이용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오토레버 제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3025B2 (en) 2021-03-09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f electric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6890B2 (en) 2023-09-05
US20230332680A1 (en) 2023-10-19
US20220163107A1 (en) 2022-05-26
DE102021207582A1 (de) 2022-05-25
CN114526326A (zh)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0931A (ko) 전자식 변속기구
CA2309067C (en) Shift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JP2003162337A (ja) シフトロック装置
US8024990B2 (en) Shift lever apparatus
JP5647531B2 (ja) シフト切替装置
US6072390A (en) Position sensing system for manually operated shift lever of a vehicle transmission
CN106347121A (zh) 换挡杆装置
KR20230027672A (ko) 폴더블 전자식 페달장치
JP481338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17168002A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2003154868A (ja) シフト装置
JP4758011B2 (ja) シフト装置
KR101612377B1 (ko) 주사위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CN110886837B (zh) 车辆用变速装置
JP2969053B2 (ja)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構造
JP390837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2555472Y2 (ja) 変速操作機構のミスシフト防止装置
JP370531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3795549B2 (ja) 操作スイッチ
CN217381574U (zh) 电子档位切换装置
JPS6313061Y2 (ko)
JP390837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S6233163Y2 (ko)
JP7448278B2 (ja) シフト装置
KR20240071295A (ko) 차량의 수동 변속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