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499A -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기반 하이드로겔 - Google Patents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기반 하이드로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499A
KR20220070499A KR1020227014070A KR20227014070A KR20220070499A KR 20220070499 A KR20220070499 A KR 20220070499A KR 1020227014070 A KR1020227014070 A KR 1020227014070A KR 20227014070 A KR20227014070 A KR 20227014070A KR 20220070499 A KR20220070499 A KR 2022007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zinc gluconate
mixture
hyaluronic acid
k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마스트로도나토
루카 스투치
알레산드라 세치
파브리치오 피코티
리타 지아니
Original Assignee
비엠지 파르마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지 파르마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비엠지 파르마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7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8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lfur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oxi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리포산, 또는 리포산 및 포름산으로 유리 하이드록실기에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글루콘산 아연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약 및 화장품 분야에서, 또는 국소 또는 주사 가능한 의료 기기로서의 상기 하이드로겔 및 이의 조성물의 용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기반 하이드로겔
본 발명은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리고 제약 및 화장품 분야에서, 또는 국소 또는 주사 가능한 의료 기기에서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연은 신체에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다. 이는 염증촉진성 사이토카인 조절 기전에 관여하며,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라디칼 스캐빈저 활성을 나타낸다 [A.S. Prasad, Frontiers in Nutrition, 2014, Vol. 1 pp. 1-10]. 이는 자유 라디칼의 대량 생성을 포함하는 골관절염과 같은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기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에서 아연 수준이 낮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A. Mierzecki, Biol Trace Elem. Res., 2011, 143, pp. 854-862]. 글루콘산 아연 [WO 2016/141946]은 이의 항균 특성 및 상처-치유 과정을 가속화하는 그 효과 때문에 사용된다. 아연은 통상 경구 투여되고, 장에서 흡수되며, 혈장에서 단백질에 의해 빠르게 격리되고(sequestered); 이는 회전율이 매우 빠르고,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다 [M. Jarosz, Inflammopharmacol, 2017, 25, pp. 11-24].
히알루론산은 글리코시드 결합 β1→4 및 β1→3을 통해, 글루쿠론산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교대로 함께 결합되는 반복 단위로 구성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다. 이는 결합 조직의 필수 요소이며, 또한 활액, 유리체액 및 탯줄에 존재한다.
WO2009/098127은 아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글루콘산 아연과 같은 사카라이드 아연 염을 매트릭스에 분산시켜서 함유하는 아연 전달용 생체 적합성 주사용 제품을 개시하였다. 상기 제품은 예를 들어 주름, 관절염 및 염증 치료를 위한, 의료 기기 또는 의약 또는 화장품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 리포에이트 에스테르 또는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에스테르는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록실기가 상이한 치환도 (degrees of substitution: DS)로 리포산 또는 리포산 및 포름산의 잔기로 에스테르화된, 에스테르 유도체이다. DS는 히알루론산의 반복 디사카라이드 단위당 리포에이트 또는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잔기와의 에스테르 결합에 관여하는 하이드록실기의 수를 의미한다. 히알루론산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에스테르는 항염, 항산화 및 피부-보호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WO2009080220), 이의 모발학 (trichology) 분야에서의 용도가 또한 보고되었다 (WO2012080223).
리포산 (또는 티옥트산)은 포유동물 간에서 유리된 천연 분자로서, 크렙 사이클(Krebs cycle)에서 피루베이트가 아세틸-CoA로 전환되는 것을 포함한, 많은 효소 반응에 필수적인 보조인자로서 작용한다. 체내의 리포산은 항산화제 비타민 C 및 E, 및 글루타티온의 생성을 관장한다. 또한 지질 조직에서 라디칼 스캐빈저 활성을 나타낸다. 금속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가져, 그것은 그 금속과 함께 안정한 수-불용성 복합체를 형성한다 [J. Fuchs "Lipoic acid in health and disease"]. 전이 금속, 구체적으로 아연에 대한 리포산의 친화도는 금속의 체내 체류 시간을 연장하는 시스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항염증 활성 및 자유 라디칼 흡수의 측면에서 유리한 생물학적 활성의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체의 낮은 수-용해성은 상기 사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및 제약 분야 또는 의료 기기에서 유용한 국소 및 주사 가능한 (중배엽, 피하 및 관절내) 적용을 위한 최적의 점탄성을 특징으로 하고, 아연을 전달하는데 특히 적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이다:
- 리포산, 또는 리포산 및 포름산으로 유리 하이드록실기에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 글루콘산 아연.
하이드록실 작용기 수준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리포에이트 잔기 및 선택적으로 포르메이트 잔기를 도입함으로써 개질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과 같은 강한 친수성 담체의 사용은, 수성 용매에 용해되는 리포 잔기(lipoic residue) 및 아연 간의 복합체 형성을 위한 이상적인 시스템을 구성한다. 히알루론산 하이드록실 수준에서 에스테르화에 관여하기 때문에, 통상 금속과의 복합체 형성에 관여하는, 리포산의 카르복실 잔기의 부재는 아연 및 글루콘산 사이의 염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히알루론산 카르복실기가 관여하지 않아서, 수-용해도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은 바람직하게는 1 kDa 내지 4x103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히알루론산의 GlcNAc-GlcUA 디사카라이드 단위당 리포산 잔기의 수는 0.01 내지 0.5인 반면, 다시 히알루론산의 GlcNAc-GlcUA 디사카라이드 단위당 포름산 잔기의 수는 0 내지 0.1의 범위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글루콘산 아연의 양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 또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와 비교하여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5의 범위이다.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은 바람직하게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염의 형태를 취한다.
히알루론산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의 특성 및 제조는 WO2009/080220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참조를 위해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합성과 관련하여, WO2009/080220의 5페이지 20행에서 7페이지 5행 및 실시예 1-5를 특히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점성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 및 글루콘산 아연을 수중에서 혼합하고, 이후에 1 내지 48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이때 하이드로겔의 전형적인 점탄성 용액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하이드로겔 멸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20℃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혼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선택적으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물질 예컨대 마취제, 구체적으로 리도카인과 조합된, 본원에 기재된 하이드로겔을 함유하는 약학적 또는 회장료 조성물, 보충제 또는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 또는 기기는 하이드로겔의 국소, 점안 또는 주사 가능한 투여 또는 적용, 구체적으로 피부내, 중배엽 또는 관절내 투여에 적합한 형태 또는 구성을 갖는다. 국소 적용의 경우, 하이드로겔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 (O/W) 또는 유중수 (W/O) 에멀젼, 또는 겔 (gel), 폼 (foam) 또는 연고 (unguent)로 제제화된다.
상기 하이드로겔의 용도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성분의 존재와 관련이 있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전형적인 회복 및 유지 활성은 (i) 단백질, 구체적으로 티오네인 (thioneins)과의 상호작용 (Antioxidant-like properties of Zinc In Activated Endothelial Cells. Hennig B and McClain GJ,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18(2):152-158. 1999) 및 효소 예컨대 5-α-리덕타제 (Effect of a topical erythromycin-zinc formulation on sebum delivery. Evaluation by combined photometric-multi-step samplings with Sebutape. Pierard GE and Pierard-Franchimont C,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18(5):410-413. 1993)와의 상호작용; 및 (ii) 항-자극 활성 및 산화 스트레스의 감소 (Antioxidant-like properties of Zinc In Activated Endothelial Cells. Hennig B and McClain GJ,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18(2):152-158. 1999) 측면에서, 리포산의 항산화 특성 및 글루콘산 아연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과 조합된다.
구체적으로, 국소 의료 기기로 사용 가능한 조성물은 5-α-리덕타제에 대한 글루콘산 아연의 조절 활성으로 인한 피지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장애 예컨대 여드름;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 에스테르 및 글루콘산 아연과 같은 항-자극제의 조합된 존재로 인한 발진 및 화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특허와 관련된 하이드로겔 및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의 점탄성 및 습윤 특성, 그리고 리포산의 항산화 특성으로 인해 점안 적용을 가질 수 있다.
하이드로겔의 유동학적 특성, 구체적으로 힘을 가한 후 점탄성 구조의 가역성은 하이드로겔의 항산화제, 활택제 및 이의 성분의 재생 특성과 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피부 필러 (dermal filler)로서 주사용 의료 기기, 또는 관절의 점성 보충을 위해 매우 유용하게 한다. 그러므로 하이드로겔 및 상응하는 조성물은 주사 가능한 경로로 관절 캡슐 또는 진피로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들은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폴리머 사슬에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결합된 리포에이트 잔기를 함유하는 폴리사카라이드의 특수 분자 구조는 점탄성 시스템을 생성하는 상기 잔기와 글루콘산 아연의 상호작용과 조합되어 폴리머의 3차원 구조를 변경하고, 현재 시장에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의 전형적인 단순한 공유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가교보다 히알루로니다제에 의한 효소 공격에 대한 더 큰 내성을 갖게 한다.
또한, 하이드로겔 및 상응하는 조성물은 폴리머 성분의 연화제 및 보습 특성과 아연 및 리포산의 조합의 진정 및 재생 특성의 조합으로 인해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용도는 노화 (항노화제) 또는 외부 요인 (항오염제)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는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하이드로겔은 또한 심미적 의약 적용 또는 메조테라피 (mesotherapy)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명시된 적용 및 용도를 위해, 하이드로겔은 리도카인, 비타민 및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한다.
실시예
방법
사용된 장치
Figure pct00001
치환도 (DS) 결정을 위해 z 구배를 갖는 5 mm 다핵 역방향 프로브가 장착된 VARIAN VNMR 500 MHz 분광계;
Figure pct00002
25℃로 온도 조절된 평행 플레이트 (직경 25 mm, 새틴-마감)가 장착된 Anton Paar MCR 301 레오미터.
치환도 (DS)
히알루론산 유도체 상의 리포산 에스테르의 치환도를 NMR 분광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은 z 구배를 갖는 5 mm 다핵 역방향 프로브가 장착된 VARIAN VNMR 500 MHz 분광계를 사용하여 D2O에서 수행되었다. 테스트는 측정 프로브를 298°K로 온도 조절하여 수행하였다.
리포산 에스테르에서 DS의 정량분석은 NMR 튜브에서 직접 NaOD로 완전 가수분해 (exhaustive hydrolysis) 후에 수행하였다.
가수분해물의 1H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 (메틸렌 및 메틴 양성자)에 기인한 신호 및 히알루론산 (2개의 아노머 양성자)에 기인하는 신호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의 비율은 치환도를 결정한다.
유동학 테스트 (rheology testing)에 의한 탄성 및 점성 계수의 결정.
겔의 유동학 테스트는 25℃로 온도 조절된 평행 플레이트 (직경 25 mm, 새틴-마감)가 장착된 Anton Paar MCR 301 레오미터로 수행하였다.
기계적 스펙트럼은 1 Hz의 일정한 주파수에서 진동 모드 (스트레스 스윕)의 각 겔에 대해 기록하였고, 이를 통해 탄성 계수 G' 및 점도 계수 G" (측정 단위 Pa)를 결정할 수 있었고; 일부 겔의 경우, 적용된 힘의 변화에 따라 점도 η (측정 단위 Pa*s)를 측정하는 유동 곡선 (flow curve)이 또한 기록되었다.
실시예 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MW: 1500 kDa; DS lip : 0.4; DS for : 0.02)의 합성
100 ml의 포름아미드 및 5 g의 HANa (분자량 1500 kDa)를 1-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264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24.0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온도 조절 장치를 끄고, 산성수 (acid water) 4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7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4, 포름산에서 DS 0.02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의 합성
100 ml의 포름아미드 및 10.05 g의 HANa (분자량 300 kDa)를 1-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528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25.0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8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6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5, 포름산에서 DS 0.03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MW: 50 kDa; DS lip : 0.5; DS for : 0.03)의 합성
100 ml의 포름아미드 및 10.0 g의 HANa (분자량 50 kDa)를 1-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500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DMSO (20.0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4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5, 포름산에서 DS 0.03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의 합성
200 ml의 포름아미드 및 10.0 g의 HANa (분자량 1500 kDa)를 1-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그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527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47.2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7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8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3, 포름산에서 DS 0.02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MW: 300 kDa; DS lip : 0.3; DS for : 0.01)의 합성
160 ml의 포름아미드 및 8 g의 HANa (분자량 300 kDa)를 1-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탄산나트륨 (Na2CO3-400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15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7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16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3, 포름산에서 DS 0.01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MW: 50 kDa; DS lip : 0.3; DS for : 0.01)의 합성
30 ml의 포름아미드 및 3 g의 HANa (분자량 50 kDa)를 500 ml의 가지 3개 달린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상기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150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DMSO (15.0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1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3, 포름산에서 DS 0.01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80 MW: 1500 kDa: 20 MW: 300 kDa; DS lip : 0.3; DS for : 0.02)의 합성
100 ml의 포름아미드 그 다음에 4 g의 HANa (분자량 1500 kDa) 및 1 g의 HANa (분자량 300 kDa)를 1 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90℃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상기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264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31.5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4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9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3, 포름산에서 DS 0.02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20 MW: 1500 kDa: 80 MW: 300 kDa; DS lip : 0.3; DS for : 0.02)의 합성
100 ml의 포름아미드 그 다음에 1 g의 HANa (분자량 1500 kDa) 및 4 g의 HANa (분자량 300 kDa)를 1 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9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상기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264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31.5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2.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산성수 4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9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3, 포름산에서 DS 0.02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1500 kDa; DS lip : 0.4; DS for : 0.02;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6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1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68000 Pa*s; G': 399.6 Pa; G": 88.7 Pa.
일부 주사기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42000 Pa*s; G': 98.1 Pa; G": 29.7 Pa.
실시예 10: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G': 117.9; Pa; G": 33.1 Pa.
일부 주사기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200000 Pa*s; G': 134.3 Pa; G": 7.7 Pa.
실시예 1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5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3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12: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1500 kDa; DS lip : 0.4;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1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2 g의 실시예 1 샘플을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일부 주사기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40000 Pa*s; G': 46.8 Pa; G": 12.6 Pa.
실시예 13: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1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14: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MW: 5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3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15: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1500 kDa; DS lip : 0.4; DS for : 0.02; Zn 0.15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6.8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1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일부 주사기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16500 Pa*s; G': 17.9 Pa; G": 6.3 Pa.
실시예 16: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50:50;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6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1 g의 실시예 4 샘플 및 1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2400 Pa*s; G': 19.6 Pa; G": 5.5 Pa.
실시예 17: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20:80;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6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0.4 g의 실시예 4 샘플 및 1.6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57,500 Pa*s; G': 53.4 Pa; G": 5.7 Pa.
실시예 18: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50:50;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1 g의 실시예 4 샘플 및 1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9: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DS lip : 0.3;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1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8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1800 Pa*s; G': 6.0 Pa; G": 5.2 Pa.
실시예 20: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80:20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5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1.6 g의 실시예 4 샘플 및 0.4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2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DS lip : 0.3;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2 g의 실시예 7 샘플을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22: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4 w/V; DS lip : 0.3;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4 g의 실시예 7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58800 Pa*s; G': 118.1 Pa; G": 40.0 Pa.
실시예 23: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6 w/V; DS lip : 0.3;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6 g의 실시예 7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60000 Pa*s; G': 184.2 Pa; G": 81.2 Pa.
실시예 24: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4 w/V; DS lip : 0.3;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4 g의 실시예 8 샘플을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57000 Pa*s; G': 122.9 Pa; G": 35.4 Pa.
실시예 25: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6 w/V; DS lip : 0.3; DS for : 0.02;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6 g의 실시예 8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고, 이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170000 Pa*s; G': 283.0 Pa; G": 84.3 Pa.
실시예 26: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80:20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0.5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22.5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1.6 g의 실시예 4 샘플 및 0.4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27: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300 kDa; DS lip : 0.5; DS for : 0.03; Zn 10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5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2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200000 Pa*s; G': 314 Pa; G": 29 Pa.
일부 주사기를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 주기를 수행하였다 (121℃; 15분). 하기 특성을 갖는 겔을 수득하였다: ηmax= 130000 Pa*s; G': 106.5 Pa; G": 9.9 Pa.
실시예 28: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Zn 0.5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22.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4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29: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1500 kDa; DS lip : 0.4; DS for : 0.02; Zn 0.5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22.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2 g의 실시예 1 샘플을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30: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50 kDa; DS lip : 0.3; DS for : 0.01;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6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3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MW: 1500 kDa; DS lip : 0.3; DS for : 0.02; Zn 0.1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4.5 mg의 글루콘산 아연 및 0.9 g의 NaCl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에 2 g의 실시예 4 샘플을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32: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 (MW: 1500 kDa; DS lip : 0.45; DS for : 0.0)의 합성
200 ml의 포름아미드 및 5 g의 HANa (분자량 1500 kDa)를 1-리터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그 혼합물을 75℃로 온도 조절하고, 폴리머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일정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온도를 25℃로 낮추고, 혼합물을 교반 하에 밤새 유지하였다.
다음날 온도를 40℃로 증가시키고; 그 다음에 탄산나트륨 (Na2CO3-660 mg)을 부가하고, 0.5시간 후에 아세톤 (46.9 g; 20%) 중 리포일-이미다졸리드 용액을 약 1.5시간 내에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산성수 40 ml를 부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후에 진공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그 미정제 반응 생성물을 아세톤 및 메탄올로 수회 세척한 후에 각각 진공 여과하여 정제하였다. 침전물을 진공하에 실온에서 약 19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0 mg의 샘플을 0.9 ml의 산화중수소 (D2O) 중에 가용화시키고, NMR 테스트 튜브에 옮겼다.
NaOD (중수소화 수산화나트륨)를 부가하여 리포산 및 포름산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킨 후에, NMR 스펙트럼은 리포산에서 DS 0.45, 포름산에서 DS 0.0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3: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2 w/V; DS lip : 0.3; DS for : 0.0; Zn 0.2 mM)의 제조
100 ml의 주사용수, 9.2 mg의 글루콘산 아연, 0.9 g의 NaCl 및 0.3 g의 리도카인을 200 ml의 플라스크에 도입하였다. 2 g의 실시예 32 샘플을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시스템을 Ultra-turrax로 혼합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혼합물을 주사기에 분배하였다.
실시예 34: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포르메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복합체 (2 w/V; MW: 1500 kDa; DS lip : 0.4; DS for : 0.02; Zn 0.1 mM) 및 BDDE로 가교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에 기반한 상업용 하이드로겔
실시예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로겔 (121℃의 15분 동안 열 주기에 의해 멸균시킨, 2 ml의 겔 2 w/v ; MW: 1500 kDa; DSlip: 0.4; DSfor: 0.02; Zn 0.1 mM을 함유하는 주사기)의 효소 분해에 대한 내성은 경시적으로 탄성 계수 (G')의 감소를 측정하여 분해 동역학에 따라 평가하였다. 0.5 ml의 겔을 주사기로부터 레오미터의 하부 플레이트로 직접 압출하고, 25℃의 온도에서 일정한 주파수 (1 Hz) 및 힘 (1 Pa)에서 탄성 계수 G'를 평가하였다. 30 mM 아세테이트 버퍼 pH 5.5 (활성 1500 U/ml) 중에 소 (bovine)의 고환 히알루로니다제의 용액 50 μl를 0.5 ml의 겔에 부가하여 분해 동역학 (breakdown kinetics)을 수행하였다. 폴리머 사슬의 절단을 나타내는 경시적 탄성 계수 G'의 감소를 평가하였고, 분해 동역학은 포스페이트-버퍼 식염수 pH 7 중에 2%의 농도로 1 ml의 주사기로 시판되는 BDDE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로 가교된 통상의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여, 비교 목적으로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 수행하였다. 히알루로니다제 부가 60분 후에 탄성 계수는 G'60으로 표시되며, 비교 파라미터로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G'의 측정값을 보여주며, 이는 효소 분해에 대한 저항성 및 초기 계수와 비교하여 60분 후에 잔류 탄성 계수를 나타낸다.
하이드로겔 2 G' zero [Pa] G' 60 [Pa] 잔류 G'
실시예 9 95 38 41
BDDE로 가교된 상업용 제품 79 7 9

Claims (15)

  1. 하기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 리포산, 또는 리포산 및 포름산으로 유리 하이드록실에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 글루콘산 아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1 kDa 내지 4x103 kDa인 것인 하이드로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GlcNAc-GlcUA 디사카라이드 단위당 리포산 잔기의 수는 0.01 내지 0.5인 것인 하이드로겔.
  4.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GlcNAc-GlcUA 디사카라이드 단위당 포름산 잔기의 수는 0 내지 0.1인 것인 하이드로겔.
  5. 청구항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염은 나트륨 염인 것인 하이드로겔.
  6. 청구항 1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글루콘산 아연의 양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 또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리포에이트 및 포르메이트의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범위인 것인 하이드로겔.
  7.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6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방법:
    (a) 글루콘산 아연 및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을 수중에서 점성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
    (b) (a)에서 수득된 점성 용액을 1 내지 48시간 동안 정치하는 단계.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의 멸균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중에서의 혼합은 20℃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하이드로겔.
  11. 청구항 1 내지 6 및 10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선택적으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과 조합하여 함유하는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료 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리도카인, 비타민 및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또는 기기.
  13. 청구항 11 내지 12에 있어서, 안구 적용; 주사 가능한 투여, 특히 피부내, 중배엽, 관절내 또는 안내 주사; 및 점안 투여로부터 선택되는 국소 투여에 적합한 형태인 것인 조성물.
  14. 피부 질환, 특히 여드름, 홍반 및 화상의 치료, 또는 관절 염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6 및 10에 따른 하이드로겔 또는 청구항 11 내지 13에 따른 조성물.
  15. 피부 잡티 (skin blemishes)를 치료하기 위한, 또는 항노화제 또는 항오염 제로서의, 청구항 1 내지 6 및 10에 따른 하이드로겔 또는 청구항 11 내지 13에 따른 조성물.
KR1020227014070A 2019-09-27 2020-09-25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기반 하이드로겔 KR202200704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9000017387 2019-09-27
IT102019000017387A IT201900017387A1 (it) 2019-09-27 2019-09-27 Idrogelo a base di zinco gluconato ed esteri dell’acido ialuronico
PCT/EP2020/076840 WO2021058715A1 (en) 2019-09-27 2020-09-25 Hydrogel based on zinc gluconate and hyaluronic acid es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499A true KR20220070499A (ko) 2022-05-31

Family

ID=6946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070A KR20220070499A (ko) 2019-09-27 2020-09-25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기반 하이드로겔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20287947A1 (ko)
EP (1) EP4037635A1 (ko)
JP (1) JP2022550111A (ko)
KR (1) KR20220070499A (ko)
CN (1) CN114502134A (ko)
AU (1) AU2020354515A1 (ko)
BR (1) BR112022005459A2 (ko)
CA (1) CA3152462A1 (ko)
IL (1) IL291510A (ko)
IT (1) IT201900017387A1 (ko)
MX (1) MX2022003685A (ko)
WO (1) WO2021058715A1 (ko)
ZA (1) ZA202204665B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2416A1 (it) * 2007-12-21 2009-06-22 Sigea Srl Derivati polisaccaridici dell'acido lipoico, loro preparazione ed uso come dermocosmetici e presidi medicali
FR2927255B1 (fr) * 2008-02-07 2011-08-12 Keysan Consulting Produits injectables biocompatibles a liberation de zinc et/ou de sel de saccharide sous forme de zinc et leurs utilisations.
IT1403886B1 (it) 2010-12-15 2013-11-08 Sigea Srl Uso di esteri lipoati di glicosamminoglicani in campo tricologico
FR3006689A1 (fr) * 2013-06-11 2014-12-12 Benedicte Vincente Tauzin Procede de reticulation de l'acide hyaluronique; procede de preparation d'un hydrogel injectable; hydrogel obtenu; utilisation de l'hydroget obtenu
US9125892B2 (en) * 2014-02-03 2015-09-08 George D. Petito Composition for reduced scar formation of wounds
DK178786B1 (en) 2015-03-11 2017-02-06 Dantrace-Danfeed Ivs Use of zinc and copper gluconate in the treat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2204665B (en) 2023-11-29
IL291510A (en) 2022-05-01
AU2020354515A1 (en) 2022-05-12
CA3152462A1 (en) 2021-04-01
MX2022003685A (es) 2022-04-25
IT201900017387A1 (it) 2021-03-27
WO2021058715A1 (en) 2021-04-01
EP4037635A1 (en) 2022-08-10
CN114502134A (zh) 2022-05-13
JP2022550111A (ja) 2022-11-30
BR112022005459A2 (pt) 2022-08-30
US20220287947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7347B1 (en) Method of cross-linking hyaluronic acid with divinylsulfone
US8530450B2 (en) Mixed butyric-formic esters of acid polysaccharid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skin cosmetics
US8202986B2 (en) Branched hyaluronic aci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071757B2 (en) Aryl/alkyl vinyl sulfon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WO2017027177A1 (en) Improved hyaluronan and modified-hyaluronan in biomedical applications
KR20220070499A (ko) 글루콘산 아연 및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기반 하이드로겔
CN115667376A (zh) 基于至少两种糖胺聚糖的组合物
US20210260244A1 (en) Fatty acid-grafted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 formulations comprising same, process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AU2008329154B2 (en) Mixed butyric-formic esters of acid polysaccharid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as skin cosmetics
KR20220105655A (ko) 가교된 히알루론산 부티레이트 또는 부티레이트-포르메이트 유도체 및 이의 가교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