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801A - 골 이식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골 이식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801A
KR20220069801A KR1020210127084A KR20210127084A KR20220069801A KR 20220069801 A KR20220069801 A KR 20220069801A KR 1020210127084 A KR1020210127084 A KR 1020210127084A KR 20210127084 A KR20210127084 A KR 20210127084A KR 20220069801 A KR20220069801 A KR 20220069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graft
graft material
additive
bone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664B1 (ko
Inventor
박정복
Original Assignee
(주)메드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드파크 filed Critical (주)메드파크
Priority to KR102021012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6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08Bone, e.g. demineralised bone matrix [DBM], bone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이식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골 이식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점성을 가지며, 상기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계열의 첨가제 만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 점성의 점도는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이다.

Description

골 이식재 조성물{Bone graft composition}
본 발명은 골 이식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결손된 골의 재건을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골분말, 골칩, 골블록 등과 같은 골 이식재를 사용하거나, 결손된 골의 재건을 위해서 자가 이식, 동종 이식, 타종 이식 등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결손된 골의 재건을 위해 사용되는 골 이식재는 일반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성형외과, 흉부외과, 이비인후과, 구강악안면외과, 수의학과(동물병원), 피부과, 및 치과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크 수술 시 골 결손부에 사용되어 골 재생을 유도할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 및 구강 악골 결손 수복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간이나 동물의 결손된 골의 재건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3814호는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하이드로겔 및 인산 칼슘 화합물 입자를 포함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생체적합성, 점성, 형상유지성 등의 측면에서 골 이식 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3814호
본 발명은 골 이식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골 이식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점성을 가지며,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계열의 첨가제 만을 포함하여 점성의 점도가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가 되는 골 이식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점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골 이식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골 이식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점성을 가지며, 상기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계열의 첨가제 만을 포함하고, 상기 점성의 점도는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CPS)이고, 상기 메틸셀룰로오즈 계열의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meth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메틸셀룰로오즈 계열의 첨가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meth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점성의 점도가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가 되도록 골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 내지 3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이고, 골 이식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점성을 가지며, 상기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meth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의 양에 따라 상기 점성의 점도가 조절되며, 상기 점도는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일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이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점성의 점도가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가 되도록 골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 내지 3중량부 포함될 수 있고, 골 이식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점성을 가지며, 구형상물의 일측에 힘(N)을 가하여 형상변화가 개시되는 힘이 최대 파괴힘(Nmax)이고, 상기 구형상물의 직경(D)에 대해 상기 형상변화가 발생한 후의 단축길이(S)의 감소비율((D-S)/D)이 단축변화율일 때, 상기 최대 파괴힘(Nmax)을 상기 단축변화율로 나눈 형상유지성이 50이상이 되며, 상기 첨가제의 양에 따라 상기 점성의 점도가 조절되며, 상기 점도는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이며, 상기 첨가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일 수 있는 골 이식재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이식재 조성물은, 첨가제의 양에 따라 점성의 점도가 조절되며, 형상유지성이 우수하여 골 형성 활성화, 생체적합성, 사용편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대한 결과데이터(표 1)을 반영하여, 골이식재 및 HPMC 혼합물의 점성에 따른 체적감소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대한 결과데이터(표 2)를 반영하여, 골이식재 및 HPMC 혼합물의 점성 100CPS ~500,000CPS 범위에서의 HPMC 중량부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대한 결과데이터(표 3)를 반영하여, 골이식재 및 CMC 혼합물의 점성 100CPS ~500,000CPS 범위에서의 CMC 중량부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대한 결과데이터(표 4)를 반영하여, 골이식재 및 MC 혼합물의 점성 100CPS ~500,000CPS 범위에서의 MC 중량부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N)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시예들은, 골 이식재와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점성의 점도가 조절되며, 골 형성 활성화, 생체적합성, 사용편의성 효과가 우수할 수 있는 골 이식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은 보다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다른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하며, 그 설명이 생략되었다고 해서 그 부분이 본 발명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며 그 권리 범위는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인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이식재 조성물은 메틸셀룰로오즈 계열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골 이식재 조성물은 골 결손부에 이식되어 이를 충진하여 골 결손부의 수복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이란 강성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골 결손부에 적용되는 경우, 또는 강성을 가진 상태에서 골 결손부에 적용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골 이식재 조성물에 강성을 부여하여 골 결손부에 적용되는 것은, 형상 형성 장치(예를 들어, 3D 프린터 등)로 골 결손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강성을 가진 상태로 마련된 후 골 결손부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골 이식재는 천연 유래 골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일 수 있다. 천연 유래 골을 사용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다수의 기공을 포함함으로써 젖음성, 흡습성이 좋아 골 형성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결손된 골의 재건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성형외과, 흉부외과, 이비인후과, 구강악안면외과, 수의학과(동물병원), 피부과, 및 치과 등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인간이나 동물 등의 결손된 골의 재건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골 이식재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골 이식재 조성물의 골 결손부에 대한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첨가제에 의한 골 이식재 조성물에 형상유지성이 부여될 수 있다. 형상유지성이 우수할 경우 상악에 골 이식재 조성물을 적용하더라도 흘러내리지 않고 골결손부에 맞추어 적용됨으로써, 저작 운동 등으로 인한 충격이 있더라도 골 이식재 조성물이 골 결손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이식재 조성물에 있어서, 골이식재와 첨가제의 혼합 점성의 점도는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CPS)로 형성될 수 있다.
골이식재와 첨가제의 혼합 점도가 100CPS보다 낮으면 겔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골이식재를 둘러싸는 하이드로겔의 수분 보유량이 낮아 골이식재를 감쌀 수 없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이식재와 첨가제의 혼합 점도가 500,000CPS보다 높으면 형상유지성이 낮아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골이식재와 첨가제의 혼합 점도가 100CPS 이상 500,000CPS 미만일 경우, 겔의 강도가 높아 골이식재를 둘러싸는 하이드로겔의 수분 보유량이 높아지고 골이식재를 감싸는 하이드로겔이 경화되어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골이식재와 첨가제의 형상유지성이 우수하고 골 형성 활성화, 생체적합성, 사용편의성의 최적화를 위하여는 골이식재와 메틸셀룰로오즈 계열의 첨가제 만을 혼합하여 점도를 100CPS 이상 500,000CPS 미만으로 실시할 것이다.
상기 메틸셀룰로오즈 계열의 첨가제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ydroproxyl m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첨가제를 HPMC, CMC, MC로 실시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상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메틸셀룰로오즈 계열의 첨가제라면 종류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점성의 점도가 100CPS 이상 500,000CPS 이하가 되도록 골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 내지 3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골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 내지 3중량부가 포함되고, 점성이 100CPS 이상 500,000CPS 이하일 경우 형상유지성이 50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첨가제와 골 이식재 조성물에 있어서, 골 이식재 1 중량부 대비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형상유지성의 확보를 위해 0.03 내지 3 중량부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형상유지성은 더욱 강화된다. 후술할 실험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03 내지 3 중량부에서 단축 변화율은 증가하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 0.03 미만과, 3 초과 범위에서는 상기 단축변화율이 감소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증가 및 감소는 급격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골 이식재 조성물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골 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중량부 이상 3중량부 이하가 되는 것으로 구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골 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첨가제의 비중이 너무 작아 상기 첨가제의 첨가 효능이 미미하여 낮은 압력(힘)에도 쉽게 눌러지고 파괴되어 골 이식재로서의 형상유지성에 적절하지 않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다공성 골 이식재 1중량부 대비 3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첨가제의 비중이 너무 높아 오히려 작은 힘에도 쉽게 눌러지고 단축변화율도 커지게 되는 것으로 골 이식재로서 형상유지성에 적절하지 않다.
상기 형상유지성은, 구형상물의 일측에 힘(N)을 가하여 형상변화가 개시되는 힘이 최대 파괴힘(Nmax)이고, 상기 구형상물의 직경(D)에 대해 상기 형상변화가 발생한 후의 단축길이(S)의 감소비율((D-S)/D)이 단축변화율일 때, 상기 최대 파괴힘(Nmax)을 상기 단축변화율로 나눈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와 골 이식재의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골 이식재는, 골 이식재의 인체로의 적용, 예를 들어, 치아로의 적용을 위하여 수화의 성질이 담보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임계적인 삼투압성을 가져야 한다. 타용액(일예로 식염수)과의 혼합 시 일정 삼투비가 형성이 되도록 함은 일정한 농도 유지성, 그에 따른 일정한 형상유지성, 골 이식재의 기능 유지성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물성은 골 이식재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유량 및 용해물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의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치아에 골 이식재를 적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시술자가 치아 결손부에 골 이식재를 적용할 때, 파우더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골 이식재를 수화하여 골 결손부에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수화 과정에서, 골 이식재에 포함되어 있는 첨가제가 많이 유출(수화물의 삼투압 상승)되게 되면, 첨가제가 골 이식재에 포함되지 못하여, 골 이식재의 형상도 유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골 이식재가 뭉쳐지지 못해 시술도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골 이식재 조성물은 기 결정된 정도 내의 삼투압성을 가져야 외부의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골 이식재를 치아 결손부에 적용하였을 때 물, 침 등의 외부적 환경이 조성되는 경우, 골 이식재 조성물이 주위로 흘러버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외부물질이 결손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골 이식재는 기 결정된 정도 내의 삼투압성을 가져야 하며, 나아가 내부적 물성뿐만 아니라 외부적 조건에 대응하는 물성도 가져야 한다.
실험예 1
1. 골 이식재 및 HPMC(Hydroproxyl methylcellulose) 혼합물의 점성에 따른 체적감소율 확인 실험
골 이식재와 HPMC를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성(0 ~ 700,000)CPS를 달리하여 실험한다. 골 이식재와 HPMC의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하여 겔 형태의 골 이식재를 만들어, 최초 체적(A)과, 48시간 후의 체적(B)를 측정하여 48시간 후의 체적(B)에서 최초 체적(A)를 뺀 값을 100으로 나누어 산출된 값을 체적 감소율(%)로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화된 시편을 15ml 용량의 코니컬 튜브(conical tube)에 빈틈없이 담은 후 1차 체적을 측정한 다음, 코나컬 튜브에서 시편이 점유하지 않는 부분을 절단한다. 다음으로, 절단하고 남은 코니컬 튜브의 개방부를 메쉬(mesh)로 덮어 개방부를 통해 용해된 시편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인체의 온도(예를 들어, 37도)로 유지되는 초음파 세척기 내에 코니컬 튜브를 위치시키고, 정제수를 일정한 속도로 순환시켜 48시간 후 시편의 체적을 측정한다. 시편의 체적을 측정하기 전에 시편에 잔류하는 정제수는 제거될 수 있다.
골 이식재와 첨가제 혼합물의 점성에 따라, 인체와 유사한 환경에서 체적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체적 감소율이 클수록 시편의 용해도가 큰 것을 의미하고, 체적감소율이 작을수록 용해도가 작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용매(물)의 양은 상기 혼합물이 잘 녹을 수 있는 최적의 수화량으로, 혼합물 전체 중량의 0.5배 내지 2배의 중량을 할 것이고, 일 예로 1.2로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골이식재와 첨가제의 혼합물의 점성(CPS)이 0CPS에서 700,000CPS까지 높아질수록 체적감소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점성 구간에서 상기 체적감소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골이식재와 첨가제 혼합물의 점성이 90CPS ~ 100CPS 구간과 500,000CPS ~ 550,000CPS 구간에서는 체적감소율이 20%이상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실험예 1에 대한 결과데이터(표 1)를 반영하여, 골 이식재와 첨가제의 혼합물 점성 별 체적감소율 변화를 나타내었다. X축 그래프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상기 골 이식재와 첨가제 혼합물의 점성이 없는 것에 가까운 것을 의미하고, Y축 그래프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48시간 후 혼합물의 체적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 때, 48시간 후 체적은 의사가 환자에게 골 이식재를 시술한 이후, 환자의 골 결손부에서 상기 골 이식재가 안정화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실험예 2
2. 점성 100CPS ~ 500,000CPS 범위에서의 HPMC 중량부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N)을 이용한 형상유지성 확인 실험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골 이식재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최적의 강도와 비복원성을 필요로 한다. 하기 표 2에서는 HPMC의 비율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을 나타내었다. 도 2에서는 표 2의 수치를 반영하여, 골 이식재와 HPMC 혼합물의 점성 100CPS ~ 500,000CPS 범위 내에서의 HPMC의 중량비에 대한 「골 이식재 조성물 구(sphere) 최대 파괴힘(N)/ 골 이식재 조성물 구(sphere) 단축변화율」을 나타내었다.
도 2의 X축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골 이식재 1 중량부 대비 HPMC의 중량부(0.005 ~ 30)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이에 따라 「최대 파괴힘(N)/ 단축변화율」의 수치를 Y축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혼합한 혼합물의 점성이 100CPS ~500,000CPS 범위 내에서 HPMC 중량에 따른 형상유지성을 확인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PMC 중량부 0.03 미만과, 3.0초과에서는 단축변화율이 높고, 최대 파괴힘(N)이 낮아 「최대 파괴힘(N)/ 단축변화율」의 수치가 낮게 형성되어 형성유지성이 우수하지 않다. 이는 약간의 힘에도 형상이 쉽게 변해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골 이식재의 시술 과정에서 매우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
또한, HPMC 중량부 0.03 내지 3.0이 포함된 골 이식재의 경우, 단축변화율 대비 최대파괴힘(N)의 수치가 50 이상을 형성하여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골 이식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실험예 3
3. 점성 100CPS ~ 500,000CPS 범위에서의 CMC(Carboxymethyl methyl Cellulose) 중량부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N)을 이용한 형상유지성 확인 실험
상기 실험예2와 같이, 하기 표 3에서는 CMC의 비율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을 나타내었다. 도 3에서는 표 3의 수치를 반영하여, 골 이식재와 CMC 혼합물의 점성 100CPS ~ 500,000CPS 범위 내에서의 CMC의 중량비에 대한 「골 이식재 조성물 구(sphere) 최대 파괴힘(N)/ 골 이식재 조성물 구(sphere) 단축변화율」을 나타내었다.
도 3의 X축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골 이식재 1 중량부 대비 CMC의 중량부(0.005 ~ 30)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이에 따라 「최대 파괴힘(N)/ 단축변화율」의 수치를 Y축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혼합한 혼합물의 점성이 100CPS ~500,000CPS 범위 내에서 CMC 중량에 따른 형상유지성을 확인한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MC 중량부 0.03 미만과, 3.0 초과에서는 단축변화율이 높고, 최대 파괴힘(N)이 낮아 「최대 파괴힘(N)/ 단축변화율」의 수치가 낮게 형성되어 형성유지성이 우수하지 않다. 이는 약간의 힘에도 형상이 쉽게 변해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골 이식재의 시술 과정에서 매우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
또한, CMC 중량부 0.03 내지 3.0이 포함된 골 이식재의 경우, 단축변화율 대비 최대파괴힘(N)의 수치가 50 이상을 형성하여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골 이식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실험예 4
4. 점성 100CPS ~ 500,000CPS 범위에서의 MC(methyl cellulose) 중량부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N)을 이용한 형상유지성 확인 실험
상기 실험예2와 같이, 하기 표 4에서는 MC의 비율에 따른 단축변화율에 대한 최대 파괴힘을 나타내었다. 도 4에서는 표 4의 수치를 반영하여, 골 이식재와 MC 혼합물의 점성 100CPS ~ 500,000CPS 범위 내에서의 MC의 중량비에 대한 「골 이식재 조성물 구(sphere) 최대 파괴힘(N)/ 골 이식재 조성물 구(sphere) 단축변화율」을 나타내었다.
도 3의 X축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골 이식재 1 중량부 대비 MC의 중량부(0.005 ~ 30)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이에 따라 「최대 파괴힘(N)/ 단축변화율」의 수치를 Y축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혼합한 혼합물의 점성이 100CPS ~500,000CPS 범위 내에서 MC 중량에 따른 형상유지성을 확인한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 중량부 0.03 미만과, 3.0초과에서는 단축변화율이 높고, 최대 파괴힘(N)이 낮아 「최대 파괴힘(N)/ 단축변화율」의 수치가 낮게 형성되어 형성유지성이 우수하지 않다. 이는 약간의 힘에도 형상이 쉽게 변해버리는 것을 의미하며, 골 이식재의 시술 과정에서 매우 불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
또한, MC 중량부 0.03 내지 3.0이 포함된 골 이식재의 경우, 단축변화율 대비 최대파괴힘(N)의 수치가 50 이상을 형성하여 형상유지성이 우수한 골 이식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골 이식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점성을 가지며,
    상기 첨가제는 골 이식재 조성물의 골 결손부에 대한 부착성을 가지고, 상기 골 이식재 조성물이 골 결손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Hydroxyproxyl methylcellulose)만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점성의 점도가 100 이상 500,000 이하 센티푸아즈가 되도록 골이식재 1중량부 대비 0.03 내지 3중량부 포함되는, 골 이식재 조성물.

KR1020210127084A 2020-11-20 2021-09-27 골 이식재 조성물 KR10243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084A KR102435664B1 (ko) 2020-11-20 2021-09-27 골 이식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748 2020-11-20
KR1020210127084A KR102435664B1 (ko) 2020-11-20 2021-09-27 골 이식재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748 Division 2020-11-20 202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801A true KR20220069801A (ko) 2022-05-27
KR102435664B1 KR102435664B1 (ko) 2022-08-25

Family

ID=7658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084A KR102435664B1 (ko) 2020-11-20 2021-09-27 골 이식재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00658A1 (ko)
KR (1) KR102435664B1 (ko)
WO (1) WO2022108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623A (zh) * 2022-09-09 2023-01-31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适用于3d纤维沉积法制备多孔钛的钛浆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340A (en) * 1989-09-01 1995-06-06 Ammann; Arthur J. TGF-βformulation for inducing bone growth
KR100401941B1 (ko) * 2000-08-14 2003-10-17 이춘기 망상골형 골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9032173A1 (en) * 2007-08-29 2009-03-12 Etex Corporation Bone cement mix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43814B1 (ko) 2013-03-28 2014-09-30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0204A (ko) * 2013-05-28 2014-12-09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054090B1 (en) * 2006-08-24 2015-10-07 Graftys Macroporous and highly resorbable apatitic calcium-phosphate cement
EP3072538A1 (en) * 2015-03-24 2016-09-28 Orthovita, Inc. Bioactive flowable wash-out resistant bone graf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242B1 (ko) * 2020-03-31 2020-12-30 (주)메드파크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340A (en) * 1989-09-01 1995-06-06 Ammann; Arthur J. TGF-βformulation for inducing bone growth
KR100401941B1 (ko) * 2000-08-14 2003-10-17 이춘기 망상골형 골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EP2054090B1 (en) * 2006-08-24 2015-10-07 Graftys Macroporous and highly resorbable apatitic calcium-phosphate cement
WO2009032173A1 (en) * 2007-08-29 2009-03-12 Etex Corporation Bone cement mix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443814B1 (ko) 2013-03-28 2014-09-30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0204A (ko) * 2013-05-28 2014-12-09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072538A1 (en) * 2015-03-24 2016-09-28 Orthovita, Inc. Bioactive flowable wash-out resistant bone graf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Cherng et al., "Effect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nd othergelling agents on the handling properties of calciumphosphate cement", J Biomed Mater Res (1997), Vol. 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0658A1 (en) 2022-05-25
KR102435664B1 (ko) 2022-08-25
WO2022108017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midlin et al. Evaluation of moldable, in situ hardening calcium phosphate bone graft substitutes
JP2021072902A (ja) 脊椎円板を処置する方法
de Almeida Ferreira et al. Effect of Maxillary Sinus Membrane Perforation on Implant Survival Rate: A Retrospective Study.
Takauti et al. Assessment of bone healing in rabbit calvaria grafted with three different biomaterials
Schwarz et al. Influence of two barrier membranes on staged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osseo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s in dogs: part 1. Augmentation using bone graft substitutes and autogenous bone
Bassil et al. Clinical,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al analysis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using inorganic bovine in humans: preliminary results
KR102435664B1 (ko) 골 이식재 조성물
Aral et al. Injectable calcium phosphate cement as a graft material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an experimental pilot study
JP7483782B2 (ja) 骨移植片代用品
Guarnieri et al. Bone healing in extraction sockets covered with collagen membrane alone or associated with porcine-derived bone graft: A comparative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W201927277A (zh) 乾燥植入組合物及可注射之水性植入調配物
KR102618676B1 (ko)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주사가능한 수성 임플란트 제형
JP3389316B2 (ja) 吸収性生体材料とその製造方法
Nooh et al. Real-Time Assessment of Guided Bone Regeneration in Standardized Calvarial Defects in Rats Using Bio-Oss With and Without Collagen Membrane: An In Vivo Microcomputed Tomographic and Histologic Experiment.
TWI745094B (zh) 骨移植組合物及其製備方法
KR20220094613A (ko) 골 이식재 조성물 및 골 이식재 제조방법
KR20210126468A (ko)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302197A1 (en) Bone graf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364661B1 (ko) 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골 이식재 조성물
TWI745093B (zh) 骨移植組合物及其製備方法
TW202216220A (zh) 骨移植材料組合物
KR20230088879A (ko)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8120A (ko) 골 이식재 제조 방법 및 골 이식재 조성물
JPH04242658A (ja) 生体移植材とその製造方法
Abdal-Hameed Clinical and radiographical assessment of topical application of collagen fibrils on tooth socket h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