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986A -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986A
KR20220068986A KR1020227006226A KR20227006226A KR20220068986A KR 20220068986 A KR20220068986 A KR 20220068986A KR 1020227006226 A KR1020227006226 A KR 1020227006226A KR 20227006226 A KR20227006226 A KR 20227006226A KR 20220068986 A KR20220068986 A KR 20220068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arabic
exchange resin
proteoglycan
plant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하라
마모루 츠치다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66Isolation or extraction of proteoglycans from org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3General processes for their isolation or fractionation, e.g. purification or extraction from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카시아속 식물(Acacia Senegal Willdenow 또는 Acacia Seyal Delile)의 줄기 또는 가지로부터 얻어진 아라비아 고무로부터 얻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350만이고, 또한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2.0 μ㏖ 당량/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및 그 용도
본 발명은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당단백질이 현저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당단백질의 하나인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복수의 글루코사미노글리칸 당쇄와 1개의 코어 단백질이 공유 결합한 화합물의 총칭이며, 그 높은 보습성이나 세포 증식 촉진 작용 때문에 화장품 성분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으로서는, 예컨대, 연어 코 연골, 상어 지느러미 연골 및 오징어 두부 연골을 유래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연골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장품 시장이나 식품 시장에서는, 동물 유래 성분보다 식물 유래 성분 쪽이 이미지가 뛰어나기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도 식물 유래 성분으로 대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식물에는,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은 아라비노갈락탄 당쇄와 코어 단백질이 공유 결합한 화합물의 총칭이며, 프로테오글리칸이다.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이 갖는 효과로서, 유화성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아라비아 고무는,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 아라비노갈락탄, 글리코프로틴의 혼합물이다(비특허문헌 1). 아라비아 고무는 아카시아(Acacia)의 삼출액으로부터 회수되는 수액이다. 아라비아 고무는, 증점 작용, 유화 작용을 갖기 때문에 화장품 용도에 있어서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매년 2000톤 정도가 국내에 수입되고 있다. 아라비아 고무는 국내에서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2006」, 식품 원료로서 「제8판 식품 첨가물 공정서」에 등록되어 있는 등, 안전성 등의 면에서도 많은 실적이 있어,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원료로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64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고 평성05-4164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고 평성3-16169호 공보
비특허문헌 1: Carbohydrate Research, 246(1993) p.303-318
특허문헌 1에는, 아라비아 고무를 60℃∼140℃에서 30분 이상 가열함으로써 유화력이 증강된 변성 아라비아 고무가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아라비아 고무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고, 또한 100℃∼160℃에서 가열 변성하면, 점도가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변성 아라비아 고무는, 변성 전의 아라비아 고무에 비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증가하게 되고, 생리 활성도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변성 아라비아 고무는,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생리 활성은 낮다. 또한 이 변성 아라비아 고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느낌이 있어,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사용감이 나쁘며, 냄새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대체물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특허문헌 3에는, 아라비아 고무를 양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여, 유화 안정성이 향상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정제 아라비아 고무는,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충분량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생리 활성이 낮아,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대체물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가지고,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사용감이 우수하며, 냄새에 문제가 없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가지고,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사용감이 우수하며, 냄새에 문제가 없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아카시아속 식물(Acacia Senegal Willdenow 또는 Acacia Seyal Delile)의 줄기 또는 가지로부터 얻어진 아라비아 고무로부터,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아카시아속 식물(Acacia Senegal Willdenow 또는 Acacia Seyal Delile)의 줄기 또는 가지로부터 얻어진 아라비아 고무로부터 얻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350만이고, 또한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2.0 μ㏖ 당량/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2] 하기의 공정 (A) 및 공정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제조 방법.
공정 (A): 농도가 0.5%(w/w)∼40%(w/w)인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공정 (B):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제공하는 공정
[3] 상기 [1]에 기재된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제.
[4] 상기 [1]에 기재된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포함하는 화장료.
[5] 상기 [3]에 기재된 세포 증식 촉진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기지의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가지고, 인간의 피부에 대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 및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식물성이기 때문에, 화장료 원료에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보습 효과 및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가지며, 이미지도 좋은 화장료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아라비아 고무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아라비아 고무의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아라비아 고무의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아라비아 고무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2의 탈염 아라비아 고무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3에서, 아라비아 고무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4에서, 아라비아 고무의 겔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8에서 얻어진 변성 아라비아 고무에 대해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이란, 아카시아속 식물(Acacia Senegal Willdenow 또는 Acacia Seyal Delile)의 줄기 또는 가지로부터 얻어진 아라비아 고무로부터, 주로 아라비노갈락탄과 글리코프로틴을 제외한 정제물로서, 유효량의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며, 세포 증식 활성을 저해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총 알데히드 함유량에 의해 규정된다. 즉,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의 전체 피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을 때, 그 값이 90만∼350만이고,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을 때, 그 값이 2.0 μ㏖ 당량/g 이하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만∼300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만∼250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만∼200만이다. 또한, 상기 총 알데히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5 μ㏖ 당량/g∼2.0 μ㏖ 당량/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μ㏖ 당량/g∼1.7 μ㏖ 당량/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μ㏖ 당량/g∼1.0 μ㏖ 당량/g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μ㏖ 당량/g∼0.8 μ㏖ 당량/g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만을 초과하는 경우,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 성분은 증가하지만, 점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생리 활성 성분으로 하여 화장료를 조제할 때에,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SEC 측정)
중량 평균 분자량은, 다각도 광산란 검출기와 시차 굴절률 검출기를 온라인 접속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각도 광산란 검출기를 「MALS 검출기」, 시차 굴절률 검출기를 「RI 검출기」라고도 칭하며, 다각도 광산란 검출기 및 시차 굴절률 검출기를 온라인 접속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SEC 측정」이라고 칭한다. 상기 SEC 측정에 따르면, 상기 RI 검출기에 의해 측정 대상물의 농도가 산출되고, 상기 MALS 검출기에 의해 절대 분자량이 산출되기 때문에,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SEC 측정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i) 시스템: Prominence HPLC 시스템(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
(ii) 컬럼: Superose 6 10/300 GL(GE 헬스케어·재팬 주식회사 제조)
(iii) 유속: 0.5 mL/min
(iv) 용출 용매: 0.2 M 염화나트륨 수용액
(v) 시료 조제: 분석 시료를 용출 용매로 희석 후 1시간 혼합하여, 25℃에서 18시간 정치하고, 0.45 ㎛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멤브레인 필터로 불용물을 제거한 액을 측정용 시료로 한다.
(vi) 시료 농도: 0.4%(w/v)
(vii) 시료액 주입량: 100 μL
(viii) 컬럼 오븐 온도 조절: 30℃
(ix) RI 검출기: Optilab T-rEX(온도 조절 25℃)(WYATT Technology Corporation 제조)
(x) MALS 검출기: DAWN HELEOS II 8+(WYATT Technology Corporation 제조)
(xi) dn/dc: 0.141
(xii) 데이터 플롯 모델: Berry
(중량 평균 분자량)
상기 조건에서 행한 SEC 측정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Astra Ver. 6.1.2.84(WYATT Technology Corporation 제조) 등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이 구해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은, SEC 측정에 의해 RI 검출기 및 MALS 검출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의 용출 개시점부터 용출 종료점까지를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그 위의 전체 피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총 알데히드 함유량)
총 알데히드 함유량은, 알데히드 정량 키트 Amplite(Trade Mark) Colorimetric Aldehyde Quantitation Kit(Product Number 10051)(AAT Bioquest사)를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총 알데히드 함유량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i) 검출 용기: 96 웰 클리어 보텀 마이크로플레이트
(ii) 표준 용액 조제: 키트 부속 Adlehyde Standard를, 키트 부속 버퍼 수용액을 이용하여 희석한다.
(iii) 표준 용액 농도: 0, 1, 3, 10, 30, 100, 300, 1,000 μM
(iv) 표준 용액량: 50 μL
(v) 시료 조제: 측정 시료를 초순수로 희석한다.
(vi) 시료 농도: 5.0%(w/v)
(vii) 시료액량: 50 μL
(viii) 반응 용액량: 50 μL
(ix) 반응 조건: 25℃·차광
(x) 반응 시간: 30분간
(xi) 측정 파장: 405 ㎚
상기 조건에서 행한 총 알데히드 함유량의 측정에 있어서, 얻어진 표준 용액의 흡광도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한다. 얻어진 시료의 흡광도를 검량선에 적용시킴으로써, 시료의 1 g당의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구해진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유효 성분인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고분자량 성분)이 시료 중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고, 총 알데히드 함유량은,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정제물 중에 있어서의 잔존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350만이고, 또한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2.0 μ㏖ 당량/g 이하인 관계를 만족한다. 즉,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잔존량이 적고, 충분량의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함유(후술하는 실시예 1∼3)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평가 시험]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세포 증식 활성 효과, 보습성 및 관능 시험 결과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우수한 결과가 얻어지며,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는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1, 2는 미정제의 아라비아 고무이며, 어느 것에 있어서도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 이상인 것을 만족하지 않고,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을 다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그 생리 활성이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에 비해서 훨씬 낮으며,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3은, 아라비아 고무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42만이다. 그러나,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잔존량이 많기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지 않아, 수지의 냄새가 정제물에 옮고,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사용감이 나쁘며,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4는, 아라비아 고무의 겔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이며,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잔존량이 적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 이상인 것을 만족하지 않고, 충분량의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5는, 아라비아 고무의 겔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이며,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잔존량이 적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 이상인 것을 만족하지 않고, 충분량의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6은, 아라비아 고무의 포러스형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이며,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잔존량이 적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 이상인 것을 만족하지 않고, 충분량의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7은, 아라비아 고무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물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42만이다. 그러나, 생리 활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알데히드 화합물의 잔존량이 많기 때문에,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표 1 참조).
후술하는 비교예 8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 즉, 아라비아 고무를 60℃∼140℃에서 30분 이상 가열하는 방법에 의해 변성된 아라비아 고무이며, 비교예 1, 2의 미정제의 아라비아 고무보다 세포 증식 활성 효과가 더욱 낮아져 있다(표 1 참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399만이며, 고분자량 성분을 많이 포함하지만, 아라비아 고무의 가열에 의해 알데히드 화합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알데히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높으며, 상기 알데히드 화합물이 생리 활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유효한 생리 활성을 발휘하지 않는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느낌이 있으며,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사용감이 나쁘다.
(원료)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원료로서 이용하는 아라비아 고무는, 콩과 식물인 Acacia속에 속하는 Acacia Senegal Willdenow, 또는 Acacia Seyal Delile의 줄기나 가지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삼출물이다. 특히, Acacia Senegal Willdenow로부터 얻어지는 아라비아 고무를 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라비아 고무는 그 유래를 불문하고, 어떤 산지 유래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아라비아 고무는, 탈염물, 괴상물, 구슬형물, 조분쇄물, 과립상, 입상이나 분말상(스프레이 드라이 분말을 포함함)의 형태로 입수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형상을 불문하고, 어떤 형태의 것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처리 대상의 아라비아 고무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아라비아 고무를 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제공하여, 정제함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아라비아 고무를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으로 하고, 이 수용액을 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제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교환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해, 아라비아 고무 중의 저분자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분자 함유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수지 모체로서는, 예컨대, 스티렌-디비닐벤젠 등의 스티렌계 및 (메트)아크릴계 및 하이드로겔계 등을 들 수 있지만, 저분자 불순물의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스티렌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음이온 교환 수지의 모체 구조로서는, 일반적으로, 겔형 및 포러스형을 들 수 있다. 겔형이란, 팽윤에 의해 생기는 세공인 마이크로포어만을 갖는 것을 말하며, 포러스형이란, 마이크로포어 외에, 건조 상태에서도 소멸하지 않는 물리적 세공인 매크로포어를 갖는 것을 말하는데, 저분자 불순물의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음이온 교환 수지는 포러스형인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러스형」은, 「하이포러스형」이나 「MR형(Macro-Reticular Type)」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이포러스형」이란, 포러스형보다 세공을 더욱 발달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가리키며, MR형이란, 겔 미소 비드의 집합체의 것을 가리킨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분상, 구상, 섬유상, 막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이온 교환 수지에는, 일반적으로, I형 강염기성, II형 강염기성 및 약염기성의 것이 존재하는데, 저분자 불순물의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I형 강염기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이어도, 시판품이어도 좋다.
시판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예컨대, DIAION PA306, PA308, PA312, PA316, PA318,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HPA25, HPA25L(이상,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MR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 앰버라이트 IRA900J, IRA904, IRA958(이상, 오르가노 주식회사 제조)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교환 수지는, 소입경부를 컷트한 타입, 대입경부를 컷트한 타입, 탈취 처리한 타입, 얽힘 방지 처리한 타입이어도 좋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쌍이온으로서는, 수산화물 이온, 염화물 이온, 아황산수소 이온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음이온 교환 수지의 총 교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저분자 불순물의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meq/mL∼3.0 meq/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eq/mL∼2.0 meq/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meq/mL∼1.5 meq/mL,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meq/mL∼1.2 meq/mL이다. 음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량은, 저분자 불순물의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아라비아 고무 1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L∼20 L가 되는 양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L∼15 L,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L∼10 L가 되는 양이다.
(양이온 교환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해, 알데히드 화합물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다.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수지 모체로서는, 예컨대, 스티렌-디비닐벤젠 등의 스티렌계 및 (메트)아크릴계 및 하이드로겔계 등을 들 수 있지만, 알데히드 화합물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스티렌계가 바람직하다.
또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모체 구조로서는, 예컨대, 겔형, 포러스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분상, 구상, 섬유상, 막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교환 수지에는, 약산성의 것이 존재하지만, 알데히드 화합물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강산성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이어도, 시판품이어도 좋다.
시판의 겔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 예컨대, DIAION SK104, SK1B, SK1BH, SK110, SK112, UBK08, UBK510, 포러스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 PK208, PK212, PK216, PK220, PK228, RCP160M, HPK25(이상,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앰버라이트 IR120B, IR124, 200CT, 252(이상, 오르가노 주식회사 제조)를 들 수 있다.
양이온 교환 수지는, 소입경부를 컷트한 타입, 대입경부를 컷트한 타입이어도 좋다.
양이온 교환 수지의 쌍이온으로서는, 수소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바륨 이온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총 교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데히드 화합물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meq/mL∼5.0 meq/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eq/mL∼4.0 meq/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eq/mL∼3.0 meq/mL,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meq/mL∼2.5 meq/mL이다.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량은, 알데히드 화합물 제거 효율의 관점에서, 아라비아 고무 1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L∼0.50 L가 되는 양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L∼0.40 L,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L∼0.30 L가 되는 양이다.
불순물이 흡착하여 흡착 능력이 저하한 이온 교환 수지(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는, 공지의 방법, 즉 통상의 산·알칼리 세정, 효소 세제에 의한 세정, 알코올 세정, 계면활성제 세정, 킬레이트 세정, 차아염소산 세정, 과산화수소 세정 등의 화학적 세정, 브러싱이나 역세 조작 등의 물리적 세정 등으로 흡착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뱃치 방식, 컬럼 방식 등, 이온 교환 수지와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사이에서 이온 교환이 가능한 방법이면 좋다.
뱃치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양이온 교환 수지의 혼합물로 처리하여도, 또한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양이온 교환 수지의 각각에 의해, 임의의 순서로 처리하여도 좋다.
한편, 컬럼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양이온 교환 수지의 혼합물을 충전한 컬럼에,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제공하여 처리하여도 좋고,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각각 충전한 별개의 컬럼에, 임의의 순서로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제공하여 처리하여도 좋다. 또한, 음이온 교환 수지와 양이온 교환 수지를 충전한 각 컬럼을 직렬로 접속한 것에,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제공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제공하는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6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이고,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40%(w/w)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w/w)∼40%(w/w), 특히 바람직하게는 1.0%(w/w)∼20%(w/w)이다.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의 온도가 60℃를 초과하면, 처리 중에 아라비아 고무가 변성하여 응집체가 생기는 경우나, 이온 교환 수지의 내열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의 농도가 40%(w/w)를 초과하면, 용액의 점도가 높아져 처리가 곤란해진다.
또한,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의 pH가 10 이상이면, 아라비아 고무의 분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의 pH는 1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정제 처리 후에,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이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임의의 유기 용매나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용매에 의해, 추가 정제 처리를 하여도 좋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 처리, 담체 처리, 탈취 처리, 탈염 처리, 막 분리 처리, pH 조정 처리 등을 행하여 추가 정제하여도 좋다.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얻은 경우는, 탈염, 멸균 등을 목적으로 하여 막 처리 등을 추가로 실시하여도 좋다.
수용액을 동결 건조 처리, 증발 건고 처리 등을 함으로써,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고형물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용액 등의 액상물, 괴상물, 구슬형물, 조분쇄물, 과립상, 입상 및 분말상 등 중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높은 생리 활성, 특히 높은 세포 증식 활성 작용을 갖는다. 더구나, 천연의 식물 유래로서 매우 안전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세포 증식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포 증식 촉진제는, 의약 부외품, 화장품, 식품 등에 배합되는 성분, 특히 화장품용의 성분(화장료)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증식 촉진제는,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첨가제를 더하여, 의약 부외품, 화장품, 식품 등으로 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피복제, 기제, 용제, 용해 보조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분산제, 유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점조화제, 보존제, pH 조정제, 교미제, 향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 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70 g(251 mL)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PA308」(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 1.1 meq/mL) 및 10 g(12 mL)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SK1BH」(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겔형, 총 교환 용량 = 1.9 meq/mL)를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31.7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1은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실시예 2]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3.6 ㎏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90 ㎏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7.24 ㎏(25 L)의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HPA25L」(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 0.7 meq/mL) 및 0.7 ㎏(0.8 L)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SK1BH」(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겔형, 총 교환 용량 = 1.9 meq/mL)를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2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2.2 ㎏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2는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실시예 3]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 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02 g(150 mL)의 하이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HPA25L」(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 0.7 meq/mL) 및 5.0 g(6.0 mL)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SK1BH」(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겔형, 총 교환 용량 = 1.9 meq/mL)를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37.9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3은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1]
아라비아 고무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4는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2]
탈염 아라비아 고무
탈염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산아라빅」, Acacia Senegal종, 산에이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5는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3]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 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70 g(251 mL)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PA308」(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 1.1 meq/mL)을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였다. 여액을 회수하여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32.2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6는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4]
겔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산에이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 Acacia Senegal종)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0 g(12 mL)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SK1BH」(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겔형, 총 교환 용량 = 1.9 meq/mL)를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49.7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7은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5]
겔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70 g(251 mL)의 겔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SA10A」(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 1.4 meq/mL) 및 10 g(12 mL)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SK1BH」(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겔형, 총 교환 용량 = 1.9 meq/mL)를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49.5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6]
포러스형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 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70 g(251 mL)의 포러스형 I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PA408」(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 1.0 meq/mL) 및 10 g(12 mL)의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SK1BH」(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겔형, 총 교환 용량 = 1.9 meq/mL)를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49.2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7]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처리에 의한 정제
5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4.0%(w/w)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 1,250 g을 조제하였다. 이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과, 170 g(251 mL)의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DIAION PA308」(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총 교환 용량: 1.1 meq/mL) 및 10 g(12 mL)의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DIAION WK10」(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메타크릴계, 총 교환 용량 = 2.6 meq/mL)을 탱크에 넣고, 교반기에 의해 3시간 교반하였다(액온 = 40 ± 2℃).
계속해서, 여과에 의해 이온 교환 수지를 분리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여액에 1 M NaOH를 첨가하여, pH를 4.0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여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32.5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8]
변성 아라비아 고무
2.0 g의 아라비아 고무(상품명: 「아라빅콜 SS」, Acacia Senegal종, 산에이 야꾸힝보에키 주식회사 제조)를 110℃로 설정한 오븐에 넣고, 24시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고형물 1.9 g을 회수하였다.
이 고형물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도 8은 이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비교예 9]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와코쥰야꾸 공업주식회사 제조)에 대해서 SEC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또한 알데히드 정량 키트에 의해, 총 알데히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3∼7에서 얻어진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 비교예 1의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2의 탈염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8의 변성 아라비아 고무 및 비교예 9의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시료로 하여, 하기의 시험에 제공하였다.
<세포 증식 활성 시험>
10 μg/mL 인슐린, 0.5 μg/mL 하이드로코르티손을 함유하는 HuMedia-KG2 배지(쿠라보 제조)를 이용하여, 인간 정상 표피 각화 세포(쿠라보 제조)를, 2×104 cells/mL의 농도로 96 웰 배양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00 μL씩 파종하여, 5%(v/v) CO2, 37℃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시료를 종농도가 250 μg/mL가 되도록 첨가하고, 0.20 ㎛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멤브레인 필터로 불용물을 제거한 상기 배지를 각각 100 μL 첨가하여, 96시간 배양하였다.
계속해서, 생세포수를 BrdU(5-브로모-2'-데옥시우리딘(5-bromo-2'-deoxyuridine)) 화학 발광 키트(앱캠 주식회사 제조)에 의해 측정하여, 시료 미첨가 시의 생세포수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표피 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해석하였다.
<보습성 시험>
각 시료를 각각 2.0%(w/w)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하고, 각 수용액을 100 μL씩 샬레에 적하하였다. 이 샬레를, 실온 = 25 ± 1℃, 습도 = 20 ± 1% RH의 환경에서 60분간 정치하고, 60분 후의 시료 수용액의 중량을 초기의 시료 수용액의 중량으로 나눈 비율(%)을 구하였다.
<관능 시험>
각 시료를 각각 1.0%(w/w) 포함하는 수용액에 대해서, 전문 패널리스트 20명의 전완 내측부에 각각 도포시키고, 사용감을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관능 평가시켰다. 평가 결과의 평균값을, 소수점 이하 반올림하여 구하였다.
(1) 끈적거리는 느낌
3: 끈적거리지 않는다, 2: 그다지 끈적거리지 않는다, 1: 끈적거린다, 0: 강하게 끈적거린다
(2) 냄새
3: 무취이다, 2: 약간 냄새가 있다, 1: 냄새가 있다, 0: 강한 냄새가 있다
하기 표 1에, 전체 실시예 및 전체 비교예의 파라미터(중량 평균 분자량, 총 알데히드 함유량) 및 상기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물은, 모두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350만이고, 또한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2.0 μ㏖ 당량/g 이하였다. 이들은,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비교예 9)과 동등 이상의 세포 증식 활성 및 보습성을 나타내며, 끈적거리는 느낌 및 냄새는 인정되지 않는다고 평가되었다.
비교예 1의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2의 탈염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4∼6에서 얻어진 고형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비교예 8의 변성 아라비아 고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0만을 초과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2의 탈염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3, 7에서 얻어진 고형물 및 비교예 8의 변성 아라비아 고무는,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2.0 μ㏖ 당량/g을 초과하였다. 이들에 대해서는,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비교예 9)과 동등한 세포 증식 활성 및 보습성은 인정되지 않으며, 비교예 1의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2의 탈염 아라비아 고무, 비교예 3, 7에서 얻어진 고형물에 대해서는 냄새가 있거나 또는 강하다고 평가되고, 비교예 8의 변성 아라비아 고무에 대해서는 끈적거리는 느낌 및 냄새가 강하다고 평가되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기지의 동물성 프로테오글리칸과 동등 이상의 생리 활성을 갖고, 인간의 피부에 대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 및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은, 세포 증식 촉진제로서 유용하며, 의약 부외품, 화장품, 식품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아카시아속 식물(Acacia Senegal Willdenow 또는 Acacia Seyal Delile)의 줄기 또는 가지로부터 얻어진 아라비아 고무로부터 얻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만∼350만이고, 또한 총 알데히드 함유량이 2.0 μ㏖ 당량/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2. 하기의 공정 (A) 및 공정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의 제조 방법.
    공정 (A): 농도가 0.5%(w/w)∼40%(w/w)인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공정 (B): 아라비아 고무 수용액을, 포러스형 I형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및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에 제공하는 공정
  3. 제1항에 기재된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제.
  4. 제1항에 기재된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을 포함하는 화장료.
  5. 제3항에 기재된 세포 증식 촉진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0227006226A 2019-09-24 2019-09-24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및 그 용도 KR20220068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7350 WO2021059344A1 (ja) 2019-09-24 2019-09-24 植物性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その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86A true KR20220068986A (ko) 2022-05-26

Family

ID=7516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226A KR20220068986A (ko) 2019-09-24 2019-09-24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7954A1 (ko)
EP (1) EP4036121A4 (ko)
KR (1) KR20220068986A (ko)
CN (1) CN114341198B (ko)
WO (1) WO2021059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96427B (zh) * 2023-06-25 2023-09-08 南京财经大学 金针菇蛋白聚糖及其双波长筛选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69A (ja) 1988-12-19 1991-01-24 Natl Semiconductor Corp <Ns> プラズマメタルエッチングを可能とする書込み可能リンク構成体
JPH0541642A (ja) 1991-08-05 1993-02-19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集積回路
JP2000166489A (ja) 1998-12-02 2000-06-20 Nisshin Oil Mills Ltd:The 変性アラビアガ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68571C (en) * 2000-02-01 2011-07-12 Unitika Ltd. Process for producing l-arabinose, l-arabinose-containing enzyme-treated products, diet foods, diabetic foods and fruit or vegetable juic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0554281C (zh) * 2003-04-07 2009-10-28 菲利普斯水性胶体研究有限公司 改性阿拉伯树胶
WO2004089992A1 (ja) * 2003-04-09 2004-10-21 Phillips Hydrocolloids Research Limited 改質アラビアガムおよびその用途
JP4038694B2 (ja) * 2003-09-10 2008-01-30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改質アラビアガムの製造方法
EP2241579B1 (en) * 2004-03-25 2014-12-03 San-Ei Gen F.F.I., INC. Method of modifying gum arabic, modified gum arabic obtained by the method, and use thereof
EP1600461B1 (en) * 2004-05-24 2012-12-12 Nestec S.A. Arabinogalactan isolate from green and roasted coffee for food and delivery application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2012201614A (ja) * 2011-03-24 2012-10-22 Linise Co Inc プロテオグリカンの製造方法
US20130287919A1 (en) * 2012-04-26 2013-10-31 Flavitpure, Inc. Method of using dietary ingredients dihydroquercetin (taxifolin), arabinogalactan and arabinogalactan in combination with dihydroquercetin (taxifolin) for applications in food products
US20130295036A1 (en) * 2012-05-05 2013-11-07 Flavitpure, Inc. Method of using wood extracts in cosmetic and hygiene products
EP3328901B1 (en) * 2015-07-30 2019-09-11 Döhler GmbH Gum arabic from acacia seyal
JP2018168263A (ja) * 2017-03-29 2018-11-01 日油株式会社 植物性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その用途
JP7067182B2 (ja) * 2018-03-26 2022-05-16 日油株式会社 植物性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69A (ja) 1988-12-19 1991-01-24 Natl Semiconductor Corp <Ns> プラズマメタルエッチングを可能とする書込み可能リンク構成体
JPH0541642A (ja) 1991-08-05 1993-02-19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集積回路
JP2000166489A (ja) 1998-12-02 2000-06-20 Nisshin Oil Mills Ltd:The 変性アラビアガ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bohydrate Research, 246(1993) p.303-3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6121A1 (en) 2022-08-03
CN114341198A (zh) 2022-04-12
EP4036121A4 (en) 2023-06-07
WO2021059344A1 (ja) 2021-04-01
CN114341198B (zh) 2023-05-16
US20220287954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7182B2 (ja) 植物性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その用途
US8871283B2 (en) Method of making sorbent, the sorbent obtained by this method and the uses of the sorbent as feed additive and medicine
JP2018168263A (ja) 植物性プロテオグリカン及びその用途
US20230111991A1 (en) Methods for isolating compounds
KR20220068986A (ko) 식물성 프로테오글리칸 및 그 용도
KR100797016B1 (ko) 면역증강 활성을 나타내는 인삼다당체 고농축정제액과 그제조방법
WO2015071477A1 (fr) Procédé d&#39;obtention d&#39;extraits d&#39;algues marines
JP4099541B2 (ja) ペプチド精製物の製造方法
Paiva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macroalgae from the Azores
JPH10237103A (ja) 養殖オキナワモズクを原料とするアセチルフコイダンおよ びそれの製造法
Guo et al. Developing precipitation modes for preventing the calcium-oxalate contamination of sugar beet pectins
FI82180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foedoaemne som har avsaltande aktivitet.
TWI826539B (zh) 植物性蛋白多醣之製造方法
PH25969A (en) Adsorptive material for the removal of chlorophyll colors bodies and phospholipids from glyceride oils
JP7295572B2 (ja) プロテオグリカンの製造方法
JP7423803B2 (ja) カルノシンに富む化合物を効率的に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方法
JP2021016331A (ja) アラビアガムまたはガティガムを含有する植物抽出物の精製方法
Kuzmanović et al. High-pressure and temperatur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corn silage
Wang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marine macroalgae
JP2005350564A (ja) コンドロイチン硫酸の製造方法
Klavina et al. Freshwater Sapropel: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Methods of Extraction
CN113528605B (zh) 一种超声辅助酶解制备单环刺螠内脏抗氧化肽的方法
JP2009013088A (ja) 脂肪細胞分化抑制剤
de Oliveira Messias et al. Evaluation of the mutagenic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Chlorella vulgaris in a test of Allium cepa
Kavitha et al.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green alga Valoniopsis pachyn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