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776A - 구조선 - Google Patents

구조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776A
KR20220068776A KR1020200155921A KR20200155921A KR20220068776A KR 20220068776 A KR20220068776 A KR 20220068776A KR 1020200155921 A KR1020200155921 A KR 1020200155921A KR 20200155921 A KR20200155921 A KR 20200155921A KR 20220068776 A KR20220068776 A KR 2022006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hull
saving
width di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470B1 (ko
Inventor
강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기업
Priority to KR102020015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4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B63C2009/265Nets or sheet-like devices, e.g. for lifting persons on board or for facilitating climbing on 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구조시간이 단축되어 조난자의 생존률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메인데크가 형성되고 전단부 중앙 외측에 구명공간이 형성되는 메인선체부와, 상기 메인선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명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방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선체부를 포함하는 구명선체부; 상기 구명공간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이완 하강되거나 상측으로 팽창 승강되도록 폭방향 양단부가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권취 수용되는 구명네트를 포함하는 구명네트부; 및 상기 메인데크의 폭방향 중앙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승강되는 관측통제부를 포함하는 구조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선{rescue boat}
본 발명은 구조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시간이 단축되어 조난자의 생존률이 개선되는 구조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선은 바다, 강, 호수 등에서 조난 당한 사람을 구조할 수 있도록 장치를 한 배를 의미한다.
여기서, 소형 구조선은 일반적인 소형 보트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각종 도구 및 장치들을 싣고 있지만, 구조에 특화된 자체적 기능을 가진 선박은 드물다.
그리고, 조난자 구조시 일반적으로 구조선을 조난자 근처까지 이동시킨 후, 조난자에게 와이어에 연결된 튜브 등의 부력체를 던져 이를 잡게 한다. 그리고, 와이어를 당겨 조난자를 구조선과 가깝게 이동시켜 조난자를 선체 위로 끌어올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조난자와 구조자의 하중이 선체의 일측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소형 구명선은 하중이 집중된 측으로 크게 기울어질 수 있으며 기울어짐이 심해지면 구조선이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조시 선체의 기울어짐을 최소화하고 전복을 방지하면서도 조난자를 용이하게 선체 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6781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시간이 단축되어 조난자의 생존률이 개선되는 구조선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메인데크가 형성되고 전단부 중앙 외측에 구명공간이 형성되는 메인선체부와, 상기 메인선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명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방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선체부를 포함하는 구명선체부; 상기 구명공간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이완 하강되거나 상측으로 팽창 승강되도록 폭방향 양단부가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권취 수용되는 구명네트를 포함하는 구명네트부; 및 상기 메인데크의 폭방향 중앙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승강되는 관측통제부를 포함하는 구조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명네트부는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외면을 따라 상기 구명네트의 폭방향 양단부가 권취되며 상기 구명네트의 중앙부가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 하측으로 하강 및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한쌍의 견인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명제어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수단은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되되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권취롤러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구명네트의 폭방향 양단부는 상기 권취롤러부의 외면을 따라 권취 수용되며,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는 각 상기 권취롤러부가 수용되는 권취수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명제어부는, 상기 구명네트의 중앙부가 하측방향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 하측으로 이완 하강되도록 상기 권취롤러부를 정방향 구동 제어하며, 상기 구명네트의 중앙부가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권취롤러부를 역방향 구동 제어하고, 상기 구명네트의 후단 테두리는 상기 메인선체부의 전단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측통제부는 상기 메인데크의 폭방향 중앙 상면에 안착되되 선택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상승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의 하단에 상단이 링크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부와, 상기 제1승강링크부의 하단에 상단이 링크 연결되고 상기 메인선체부에 하단이 링크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부를 포함하는 승강링크부와, 상기 승강링크부에 구동 연결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선체부의 후측에는 상기 제1승강링크부 및 상기 제2승강링크부가 수용되는 링크수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하방향 승강되는 관측통제부를 통해 구조요원이 높은 위치에서 조난자를 신속하게 발견한 후 연장선체부 사이의 구명공간을 커버하며 배치된 구명네트를 통해 조난자를 안내하며 구조 가능하므로 해상사고시 구조시간이 단축되어 조난자의 생존률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둘째, 구명네트의 양단부가 각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권취롤러부로서 구비된 견인수단에 권취 수용되어 수면 아래로 이완 하강된 구명네트에 의식없는 조난자가 수용되면 구명네트가 수면 상측으로 팽창 상승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선체의 기울어짐 없이도 조난자를 끌어올리므로 구조작업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메인데크의 폭방향 중앙 상면에 안착된 관측통제부의 탑승부가 승강링크부에 링크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므로 조난자의 탐지가능한 범위가 증가되면서도, 구조선의 고속 이동시에는 승강링크부가 메인선체부의 후측에 형성된 링크수용부에 폴딩 수용되어 공간활용성이 개선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에서 구명네트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에서 관측통제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에서 구명네트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에서 관측통제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선(100)은 구명선체부(10), 구명네트부(20) 및 관측통제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명선체부(10)는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메인데크(11a)가 형성되는 메인선체부(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선체부(11)의 내부에는 상기 구조선(10)의 운항을 위한 엔진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후측 하부에는 상기 엔진에 동력 연결되며 상기 구조선(10)의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 등의 추진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선체부(11)의 후측에는 후술되는 제1승강링크부(32a) 및 제2승강링크부(32b)를 포함하는 승강링크부(32)가 수용되는 링크수용부(1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수용부(11b)는 상기 메인데크(11a)의 후측부에 하향 함몰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부 중앙 외측에는 구명공간(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명선체부(10)는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명공간(14)을 사이에 두고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선체부(12,1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는 상기 메인선체부(11)로부터 상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명공간(14)의 전단은 개구되되 폭방향 양측 및 후단은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측 및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부 중앙에 의해 감싸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선체부(12,13)는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부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제1연장선체부(12)와,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부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제2연장선체부(1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데크(11a)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전방향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데크(12a,1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연장선체부(12a)의 상부에는 제1연장데크(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선체부(13a)의 상부에는 제2연장데크(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권취롤러부(22) 및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가 수용되도록 폭방향 내측이 개구되는 권취수용부(12b,13b)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권취수용부(12b,13b)는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부에 구명네트(21)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연장선체부(12a)의 내부에는 제1권취수용부(12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연장선체부(13a)의 내부에는 제2권취수용부(1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개구측은 상기 수면(w)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구명선체부(10)의 흘수선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 상기 권취수용부(12,13b)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되거나 펌프 등의 배출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체적은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체적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명선체부(10)의 전후방향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구조시에도 상기 구조선(10)의 전복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구명네트부(20)는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 사이에 형성된 상기 구명공간(14)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중앙부가 하측방향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이완 하강되거나 상측으로 팽창 승강되도록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부에 권취 수용되는 구명네트(2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명네트(21)는 기설정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복수개의 섬유사가 횡방향 및 종방향을 따라 '#' 형태로 교차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네트(2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명네트(21)의 폭은 상기 구명공간(14)의 폭, 즉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측단 간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명네트(21)의 후단 테두리는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구명네트(21)의 후단 테두리와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 중앙부 사이에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구명네트(21)가 폭방향을 따라 팽창 및 이완시 상기 구명네트(21)의 후단 테두리가 상기 메인선체부(11)의 전단 중앙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네트부(20)는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에 형성된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내부에 배치되되 외면을 따라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권취되며, 상기 구명네트(21)의 중앙부가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w) 하측으로 하강 및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w)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한쌍의 견인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수단은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되되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권취롤러부(22)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견인수단이 권취롤러부(22)로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견인수단이 실린더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권취롤러부(22)는 상기 제1권취수용부(12b)에 수용되는 제1권취롤러부(22a)와, 상기 제2권취수용부(13b)에 수용되는 제2권취롤러부(2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는 상기 권취롤러부(22)의 외면을 따라 선택적으로 권취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명네트부(20)는 상기 견인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명제어부(2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명제어부(23)는 상기 구명네트(21)의 중앙부가 하측방향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w) 하측으로 이완 하강되도록 상기 권취롤러부(22)를 정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부(22)가 정방향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권취롤러부(22)의 외면에 권취된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권취해제되며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개구측을 통과하여 상기 구명공간(14)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제어부(23)는 상기 구명네트(21)의 중앙부가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w)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권취롤러부(22)를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부(22)가 역방향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개구측을 통과하여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권취롤러부(22)의 외면에 권취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명네트부(20)는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회전 접촉되며 안내되는 복수개의 보조롤러부(22c,2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권취수용부(12b)의 개구측에는 제1보조롤러부(22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권취수용부(13b)의 개구측에는 제2보조롤러부(22d)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상기 권취롤러부(22)의 외면에 권취 및 권취해제시 상기 권취수용부(12b,13b)의 개구측에 배치된 상기 보조롤러부(22c,22d)에 회전 접촉되며 안내되므로 상기 구명네트(21)의 파단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측통제부(30)는 상기 메인데크(11a)의 폭방향 중앙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승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관측통제부(30)는 상기 메인데크(11a)의 폭방향 중앙 상면에 안착되되 선택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상승되며, 상승된 상태에서 하강되도록 구비되는 탑승부(3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탑승부(31)에는 구조요원이 탑승하도록 탑승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관측통제부(30)는 상기 탑승부(31)의 하단에 상단이 링크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부(32a)와, 상기 제1승강링크부(32a)의 하단에 상단이 링크 연결되고 상기 메인선체부(11)에 하단이 링크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부(32b)를 포함하는 승강링크부(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승강링크부(32b)의 하단은 상기 링크수용부(11b)의 일측에 링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강링크부(32a) 및 상기 제2승강링크부(32b)는 직선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승강링크부(32a) 및 상기 제2승강링크부(32b)를 포함하는 승강링크부(32)는 상기 탑승부(31)가 상기 메인데크(11a)의 폭방향 중앙 상면에 안착시 상기 링크수용부(11b)에 폴딩되어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측통제부(30)는 상기 승강링크부(32)에 구동 연결되는 승강수단(34)과, 상기 승강수단(34)을 구동 제어하는 승강제어부(3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34)은 유압실린더로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승강제어부(33)는 상기 링크수용부(11b)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제1승강링크부(32a) 및 상기 제2승강링크부(32b)가 펼침되어 상기 탑승부(31)가 상승되도록 유압실린더로서 구비된 상기 승강수단(34)을 정방향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승강제어부(33)는 펼침된 상기 제1승강링크부(32a) 및 상기 제2승강링크부(32b)가 접힘되어 상기 링크수용부(11b)에 수용되며 상기 탑승부(31)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수단(34)을 역방향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권취롤러부(22), 상기 구명제어부(23), 상기 승강제어부(33) 및 상기 승강수단(34)은 별도의 전원공급원(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에서 상기 구조선(100)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구명선체부(10)가 해상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제어부(33)가 상기 승강수단(34)을 정방향 구동 제어하여 상기 탑승부(31)가 상기 승강링크부(32)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요원이 상기 탑승부(31)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탑승부(31)가 상승됨에 따라 조난자의 탐지가능한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어서, 구조요원이 조난자를 탐지한 경우, 상기 승강제어부(33)가 상기 승강수단(34)을 역방향 구동 제어하여 상기 탑승부(31)가 상기 승강링크부(32)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진이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제어부(33)가 상기 승강수단(34)을 역방향 구동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승강제어부(33)가 상기 승강수단(34)을 역방향 구동 제어하여 상기 탑승부(31)가 하강완료된 후 상기 엔진이 구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선(100)이 조난자가 위치한 해상으로 고속으로 이동되되 상기 구명선체부(10)의 전방이 상기 조난자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구조선(100)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명네트(21) 및 상기 구명공간(14)의 전방이 상기 조난자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조선(100)의 이동시 상기 구명네트(21)가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명네트(21) 및 상기 구명공간(14)의 전방이 상기 조난자에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명제어부(23)가 상기 권취롤러부(22)를 정방향 구동 제어하여, 상기 권취롤러부(22)가 정방향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구명네트(21)의 중앙부가 하측방향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w) 하측으로 이완 하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엔진을 구동하여 상기 구조선(10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조난자가 상기 구명네트(21)의 상측으로 수용되면, 상기 구명제어부(23)가 상기 권취롤러부(22)를 역방항 구동 제어하여, 상기 권취롤러부(22)가 역방향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구명네트(21)의 중앙부가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w) 상측으로 상승됨에 따라 조난자를 구출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하방향 승강되는 상기 관측통제부(30)를 통해 구조요원이 높은 위치에서 조난자를 신속하게 발견한 후 상기 연장선체부(12,13) 사이의 구명공간(14)을 커버하며 배치된 상기 구명네트(21)를 통해 조난자를 안내하며 구조 가능하므로 해상사고시 구조시간이 단축되어 조난자의 생존률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네트(21)의 폭방향 양단부(21a,21b)가 각 상기 연장선체부(12,13)의 내부에 상기 권취롤러부(22)로서 구비된 견인수단에 권취 수용되되, 상기 견인수단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구명네트(21)가 선택적으로 수면(w) 아래로 이완 하강되어 의식없는 조난자가 수용되면 수면 상측으로 팽창 상승되므로 상기 구명선체부(10)의 기울어짐 없이도 조난자를 안정적으로 구조할 수 있다.
즉, 수면 아래로 이완 하강된 구명네트(21)에 의식없는 조난자가 수용되면 구명네트(21)가 수면 상측으로 팽창 상승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선체의 기울어짐 없이도 조난자를 끌어올리므로 구조작업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데크(11a)의 폭방향 중앙 상면에 안착된 상기 관측통제부(30)의 탑승부(31)가 상기 승강링크부(32)에 링크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므로 조난자의 탐지가능한 범위가 증가되면서도, 구조선(100)의 고속 이동시에는 상기 승강링크부(32)가 상기 메인선체부(11)의 후측에 형성된 상기 링크수용부(11b)에 폴딩 수용되어 공간활용성이 개선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구조선 10: 구명선체부
11: 메인선체부 11a: 메인데크
11b: 링크수용부 12: 제1연장선체부
12a: 제1연장데크 12b: 제권취수용부
13: 제2연장선체부 13a: 제2연장데크
13b: 제2권취수용부 14: 구명공간
20: 구명네트부 21: 구명네트
22: 권취롤러부 23: 구명제어부
30: 관측통제부 31: 탑승부
32: 승강링크부 33: 승강제어부
34: 승강수단

Claims (5)

  1.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메인데크가 형성되고 전단부 중앙 외측에 구명공간이 형성되는 메인선체부와, 상기 메인선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구명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방을 향하여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선체부를 포함하는 구명선체부;
    상기 구명공간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이완 하강되거나 상측으로 팽창 승강되도록 폭방향 양단부가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권취 수용되는 구명네트를 포함하는 구명네트부; 및
    상기 메인데크의 폭방향 중앙에 구비되되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승강되는 관측통제부를 포함하는 구조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네트부는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외면을 따라 상기 구명네트의 폭방향 양단부가 권취되며 상기 구명네트의 중앙부가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 하측으로 하강 및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한쌍의 견인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명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되되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권취롤러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구명네트의 폭방향 양단부는 상기 권취롤러부의 외면을 따라 권취 수용되며,
    각 상기 연장선체부의 내부에는 각 상기 권취롤러부가 수용되는 권취수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제어부는, 상기 구명네트의 중앙부가 하측방향을 향하여 아래로 오목하게 수면 하측으로 이완 하강되도록 상기 권취롤러부를 정방향 구동 제어하며,
    상기 구명네트의 중앙부가 폭방향 양측으로 팽창되어 수면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권취롤러부를 역방향 구동 제어하고,
    상기 구명네트의 후단 테두리는 상기 메인선체부의 전단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통제부는
    상기 메인데크의 폭방향 중앙 상면에 안착되되 선택적으로 상측방향으로 상승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의 하단에 상단이 링크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부와, 상기 제1승강링크부의 하단에 상단이 링크 연결되고 상기 메인선체부에 하단이 링크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부를 포함하는 승강링크부와,
    상기 승강링크부에 구동 연결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승강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선체부의 후측에는 상기 제1승강링크부 및 상기 제2승강링크부가 수용되는 링크수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선.
KR1020200155921A 2020-11-19 2020-11-19 구조선 KR10243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21A KR102434470B1 (ko) 2020-11-19 2020-11-19 구조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21A KR102434470B1 (ko) 2020-11-19 2020-11-19 구조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76A true KR20220068776A (ko) 2022-05-26
KR102434470B1 KR102434470B1 (ko) 2022-08-19

Family

ID=8180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921A KR102434470B1 (ko) 2020-11-19 2020-11-19 구조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6064A (zh) * 2022-11-02 2023-01-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海上智能救生装置
CN116588291A (zh) * 2023-07-18 2023-08-15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紧急救援折叠升降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811B1 (ko) 2016-01-20 2017-08-14 오철규 해상 인명 구조용 구명보트
JP2018062279A (ja) * 2016-10-13 2018-04-19 株式会社高知丸高 双胴式救助船
KR101871966B1 (ko) * 2017-06-13 2018-06-27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연장데크가 형성된 구조선
KR101884848B1 (ko) * 2017-03-30 2018-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 안전망의 유지보수 장치
JP2020178826A (ja) * 2019-04-24 2020-11-05 タカノ株式会社 作業用昇降椅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811B1 (ko) 2016-01-20 2017-08-14 오철규 해상 인명 구조용 구명보트
JP2018062279A (ja) * 2016-10-13 2018-04-19 株式会社高知丸高 双胴式救助船
KR101884848B1 (ko) * 2017-03-30 2018-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 안전망의 유지보수 장치
KR101871966B1 (ko) * 2017-06-13 2018-06-27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연장데크가 형성된 구조선
JP2020178826A (ja) * 2019-04-24 2020-11-05 タカノ株式会社 作業用昇降椅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6064A (zh) * 2022-11-02 2023-01-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 一种海上智能救生装置
CN116588291A (zh) * 2023-07-18 2023-08-15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紧急救援折叠升降装置
CN116588291B (zh) * 2023-07-18 2023-10-24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紧急救援折叠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470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470B1 (ko) 구조선
ES2895057T3 (es) Embarcación tipo catamarán
RU268488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пуска с кормы корабля-носителя дочернего судна и его подъема на борт
CN106275326A (zh) 一种双体救生船的救生装置及救生方法
US20080145149A1 (en)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4753620A (en) Floating rescue apparatus
CN210083497U (zh) 一种移动式救生平台
US9334021B1 (en) Pontoon boat having extendable underwater platform
CA2546927C (en) Portable self-rescue device for kayakers
US4642061A (en) Personnel rescue apparatus for use on water
EP1336560B1 (en) Marine lifesaving equipment
ES2925910T3 (es) Sistema de transferencia de botes
AU2016200614B2 (en) Boat buoyancy aid
US9815533B2 (en) Boat buoyancy aid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CN220181069U (zh) 一种水上应急救援船
US494090A (en) Life-saving apparatus
US1080635A (en) Bathing-boat.
US695634A (en) Life-boat.
CN110329457B (zh) 一种救生船
US207166A (en) Improvement in life-boats
RU2299831C2 (ru) Способ спасения и подъема судов и комплекс средств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516968A (en) Cuthbert gardner
KR101785520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ITTO20120362A1 (it) Veicolo acquatico di salvatagg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