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520B1 -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520B1
KR101785520B1 KR1020160075538A KR20160075538A KR101785520B1 KR 101785520 B1 KR101785520 B1 KR 101785520B1 KR 1020160075538 A KR1020160075538 A KR 1020160075538A KR 20160075538 A KR20160075538 A KR 20160075538A KR 101785520 B1 KR101785520 B1 KR 10178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feboat
main body
along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완
윤효한
강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07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63B23/04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with arms pivoting on substantially horizontal axes, e.g. gravity type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3B273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갑판실을 갖는 선체; 상기 갑판실의 양측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명보트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빗 모듈;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데빗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LIFEBOAT LAUNCHING APPARATUS VESSE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명보트 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승객이 탑승 가능한 장소로 이동 가능한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구명보트(Lifeboat) 또는 해난구조선(rescue boat)은 해상에서 조난 시 모선을 버리고 탈출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자항능력(自航能力)을 갖춘 보트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자유낙하 방식 구명보트(Free-Fall lifeboat) 및 대빗 진수방식 구명보트(Davit launched Type lifeboat)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명보트(Lifeboat) 또는 해난구조선(rescue boat)을 모두 구명보트로 칭하기로 한다.
자유낙하 방식 구명보트는, 선박의 선미에 마련된 경사면에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되 후크(Hook)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선박에 체결되어, 배가 침몰하는 등과 같이 위급 시에 사람들이 구명보트로 승선한 뒤 구명보트 안에서 후크(Hook)를 이탈시키게 되면 모선으로부터 미끄러져 해상으로 낙하하는 구명보트이다.
이러한 자유낙하 방식 구명보트는 신속한 탈출에 유용하나 자유낙하 할 수 있는 최대 높이는 구명보트의 성능에 따라 제한적이다.
이에 반하여 대빗 진수방식 구명보트는 전폐형 구명보트(totally enclosed lifeboat) 라고도 하며, 선박의 갑판실(Deck House) 양 측부에 각각 매달려 배가 침몰할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반대쪽의 구명보트만 가지고도 전체 인원이 모두 탑승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되며, 구명보트 내부에서 배의 하강 및 이탈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구명보트이다.
현재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의 경우에는 구명보트가 선박의 개방된 갑판의 양 측부에서 대빗장치(davit device)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는 대빗 진수방식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있어서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선박 갑판에 용접이나 볼팅 등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이 구명보트 위치로 이동하여 탑승해야 했다. 하지만, 그런데 도 8a와 같이 화재 또는 구조물의 낙하로 선미에 위치한 구명보트(90)로의 접근로가 막히거나 도 8b에서와 같이 선박(80)이 기울어져 구명보트(90)의 탑승 장소가 침수되는 경우 구명보트(90)가 위치한 장소까지 승객들이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운용가능한 구명보트 수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선박 사고 발생시 안전한 구역으로 구명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선체 침수시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 구명보트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그리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빗 모듈;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데빗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빗 모듈은 타워 형태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그리고 구명보트가 매달리는 크레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가 고정 설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렉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장치는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상기 레일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메인 바디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에 의해 부상되는 상기 메인 바디는 선체와 접촉 부분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갑판실을 갖는 선체; 상기 갑판실의 양측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명보트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빗 모듈;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데빗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데빗 모듈이 설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렉 기어; 및 상기 선체가 일부 침수되는 경우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상기 레일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안전한 구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탑승객의 빠른 탈출이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선체의 일부가 침수되더라도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자동으로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탑승객의 빠른 탈출이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선박에 설치된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선박에 설치된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선체 침수시 레일로부터 부상되는 이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레일로부터 부상된 이동 장치가 수면을 따라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종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선박에 설치된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선박에 설치된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선체(100)와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상갑판(110)을 포함하며,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는 상갑판(110)의 양측에 선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는 선박(10)의 해난 사고 발생시 탑승객들을 안전하게 탈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는 탑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선박의 급수에 맞추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명보트 진수장치(200)는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대형 여객선(cruise ship), 화물선(BULK CARRIER), 자동차 운반선(RORO CARRIER), 컨테이너선(CONTAINER CARRIER), 시추선, 겸용선(ORE BULK OIL-OBO) 등과 같은 다양한 선박(100) 및 해양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는 레일(300), 데빗 모듈(400), 이동 장치(500) 그리고 구명보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300)은 갑판실(110)의 양측부에 선체(100)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데빗 모듈(400)은 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데빗 모듈(400)은 해상으로 구명보트를 진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데빗 모듈(400)은 이동 장치(500)의 메인 바디(510) 상에 설치되는 타워 형태의 프레임부(410)와, 구명보트(60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부(410)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선체(100) 외곽으로 이동 가능하게 회동되는 크레들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들부(420)에는 구명보트(600)가 와이어(430)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크레들부(420)에는 와이어를 감는 윈치(44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데빗 모듈(4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명보트를 해상으로 진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데빗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 장치(500)는 레일(300)을 따라 데빗 모듈(4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메인 바디(510), 구동모터(520), 피니언 기어(530), 랙 기어(540), 부력체(550) 그리고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510)는 상부에 데빗 모듈(400)의 프레임부(410)가 고정 설치된다. 메인 바디(510)는 레일(300)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부력체(5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장치(500)는 랙 피니언 기어의 조합을 통한 선형 구동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520)는 메인 바디(510)에 설치되며, 구동모터(52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530)가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530)와 맞물리는 랙 기어(540)는 레일(300) 상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장치(500)가 랙 피니언 기어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력체(550)는 메인 바디(510)가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 바디(510)를 레일(300)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한다. 부력체(550)는 부력 탱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력체는 메인 바디 내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력체(550)는 메인 바디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바디(510)에는 부력체(550)에 의해 부상되었을 때 선체(100)와 접촉 부분에 롤러(5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560)는 이동 장치(500)의 구동모터(520)를 제어한다. 제어부(560)는 구동모터(520) 제어를 통해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를 화재나 사고 구역을 피해 탑승객이 탑승 가능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구명보트 진수 장치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선박(10)의 사고로 인해 선미에 위치한 구명보트 진수장치(200)로의 승객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560)는 이동 장치(500)를 동작시켜 선미에 위치한 구명보트 진수장치(200)를 선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탑승 가능한 구명보트의 수를 늘려 구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선박(10)에서 탑승객이 많이 몰려 있는 장소로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를 이동시킴으로써 구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선체 침수시 레일로부터 부상되는 이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6은 레일로부터 부상된 이동 장치가 수면을 따라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선체(100)의 일부가 침수되는 경우 부력체(550)에 의해 메인 바디(510)가 부상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530)와 랙 기어(540)가 상호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 장치(500)는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자동으로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바디 몸체(510)에 설치된 롤러(512)가 선체(100)를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짐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선체(100)의 선미 부분이 침수되는 경우 선미에 위치한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로는 탑승객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구명보트(600)에 탑승이 불가능하게 되고, 갑판부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침수가 되지 않은 쪽으로 이동하기도 쉽지 않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부력체(550)에 의해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가 해수면이 근접한 위치(침수되지 않은 구역에 가깝게)로 스스로 이동해 오기 때문에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구명보트 진수 장치(200)로 쉽게 접근하여 구명보트에 탑승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선체 200 : 구명보트 진수 장치
300 : 레일 400 : 데빗 모듈
500 : 이동 장치 600 : 구명보트

Claims (8)

  1. 레일;
    구명보트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그리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명보트를 리프팅 할 수 있는 데빗 모듈;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데빗 모듈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데빗 모듈은
    타워 형태의 프레임부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가 고정 설치되는 메인 바디; 및
    자체 부력으로 수명을 따라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상기 레일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체를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빗 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회동되는 그리고 구명보트가 매달리는 크레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렉 기어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메인 바디에 제공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부력체에 의해 부상되는 상기 메인 바디는 선체와 접촉 부분에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
  7. 갑판실을 갖는 선체;
    상기 갑판실의 양측부에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명보트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빗 모듈;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데빗 모듈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데빗 모듈이 설치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렉 기어; 및
    상기 선체가 일부 침수되는 경우 자체 부력으로 수면을 따라 침수되지 않은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바디를 상기 레일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60075538A 2016-06-17 2016-06-17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178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38A KR101785520B1 (ko) 2016-06-17 2016-06-17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38A KR101785520B1 (ko) 2016-06-17 2016-06-17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520B1 true KR101785520B1 (ko) 2017-10-16

Family

ID=6029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38A KR101785520B1 (ko) 2016-06-17 2016-06-17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5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7641A1 (en) 2010-09-14 2013-07-24 Daewoo Shipbuilding&Marine Engineering Co., Ltd. Wind turbine assembly mov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unloading wind turbine assembly using same
WO2015069118A1 (en) 2013-11-08 2015-05-14 Vestdavit Gruppen As Multi cradle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7641A1 (en) 2010-09-14 2013-07-24 Daewoo Shipbuilding&Marine Engineering Co., Ltd. Wind turbine assembly mov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unloading wind turbine assembly using same
WO2015069118A1 (en) 2013-11-08 2015-05-14 Vestdavit Gruppen As Multi cradl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6023A (en) Stabilized system for handling small submarines
CN103112553B (zh) 自航式半潜维修船及使用方法
US20130291779A1 (en) Apparatus to launch and recover a boat
US6152065A (en) Apparatus for launching and recovery of boats
CA2820784A1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KR101587893B1 (ko) 드론 보트
US4406244A (en) Launching and recovery apparatus
US20120125253A1 (en) Tender stowage method and apparatus
US11192613B2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deployment and the recovery of at least one autonomous watercraft by a vessel, corresponding method, corresponding system and corresponding vessel
KR20160029294A (ko) 여러척의 구명보트 탑재 구조를 가진 선박
KR20220050793A (ko) 보트 진수 및 복구 플랫폼 및 진수 및 복구의 관련된 방법
KR20180036783A (ko) 선박, 선박을 사용한 반송방법
KR101785520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GB2086313A (en) Launching Ramp for Lifeboats, Life Rafts and the Like
FI109463B (sv) Flytbart arrangemang och förfaranden vid detsamma
WO2004063002A1 (ja) 自走船台
JP6815084B2 (ja) 揚収装置及び船舶
KR200477310Y1 (ko) 선박의 구명정 진수 장치
USRE36093E (en) Submersible boat
EP3554939B1 (en) Boat transfer system
RU2757036C1 (ru) Спускоподъё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езэкипажного катера для необитаемого подводного аппарата
RU1801865C (ru) Судовой комплекс дл прибрежного морского туризма
KR101536015B1 (ko) 부력 조절 선박
SU1699859A1 (ru) Судовой комплекс дл подводного туризма
WO2007035088A1 (en) Vessel with movable fl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