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722A -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722A
KR20220068722A KR1020200155796A KR20200155796A KR20220068722A KR 20220068722 A KR20220068722 A KR 20220068722A KR 1020200155796 A KR1020200155796 A KR 1020200155796A KR 20200155796 A KR20200155796 A KR 20200155796A KR 20220068722 A KR20220068722 A KR 2022006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xhaust gas
housing
flan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5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722A/ko
Publication of KR2022006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01N3/02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the structure being monolithic, e.g. honeyc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marine propulsion, i.e. for receiving simultaneously engine exhaust gases and engine coo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터 캔은 필터 담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며, 배기가스가 유동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Filter Can and Apparatus For Filtering Exhaust Ga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장치이다.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는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물질이 사용된다. 필터 물질이 소정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터 담체(filter substrate)이다.
예를 들어, 필터 담체(2)는 세라믹 재질의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장치의 담체가 될 수 있다. DPF 장치는 차량, 선박, 발전기의 디젤 엔진에서 배출되는 매연 및 입자상 물질을 여과 및 포집하고, 그리고 산화과정을 통해 재생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필터 담체를 설명한다.
도 1(a)의 필터 담체(2)는 세라믹을 원통형으로 찍어 낸 것이다. 도 2(b)의 필터 담체(2)는 사각형 격자 구조의 세라믹 필터들을 접합하여 원형으로 깎아낸 것이다.
필터 담체(2)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담체(2)는 소정 형상의 필터 캔(Filter Can)에 수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필터 캔을 설명한다.
필터 캔(1)은 필터 담체(2)가 수용되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에 결합되는 플랜지(4)로 구성된다.
필터 담체(2)의 형상에 따라서 케이스(3)의 모양이 달라진다. 즉, 필터 담체(2)가 원통형이면 케이스(3)도 원통형이 되고, 필터 담체(2)가 사각기둥 형상이면 케이스(3)도 사각기둥 형상이 된다.
케이스(3)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사각기둥형, 원통형과 원뿔형의 조합형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케이스(3)의 형상이 원통형인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케이스(3)의 형상이 원통형과 원뿔형의 조합형을 도시한 것이다.
케이스(3)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이다. 또한, 필터 담체(2)가 일반적으로 세라믹 재질이기 때문에 케이스(3)와 필터 담체(2)의 사이에는 고온에 견디는 큐션(Cushion) 또는 매트(Mat) 재질이 삽입된다.
한편, 케이스(3)의 소정 위치에는 플랜지(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0)가 케이스(3)의 상부, 중간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플랜지(10)는 배기가스 유동(F)의 상류, 중간 또는 하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플랜지(4)가 배기가스 유동의 상류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필터 캔(1)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소정 형태로 배치 및 고정된다. 이러한 작업을 필터 캔의 패키징(packaging)이라고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필터 캔(1)의 패키징을 설명한다.
필터 캔(1)은 하우징(5)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5)은 배기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다만, 하우징(5)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52)와, 필터링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54)를 가진다.
하우징(5)의 내부에서 필터 캔(1)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에 다수의 필터 캔(1)이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5)에 다수의 필터 캔이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필터 캔(1)은 하우징(5)의 내부에서 플랜지(1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 고정된다. 하우징(5)과 플랜지(10)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는 필터 캔(1)을 일정 시간 사용 후에 필터 담체(2)를 점검하고 청소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필터 담체(2)가 수용된 필터 캔(1)을 하우징(5)에서 분리 및 재조립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5)에는 개폐가능한 별도의 도어(6)가 구비된다. 도어(6)은 하우징(5)에 볼트(7)로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캔(1)의 설치 및 분리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필터 캔(1)의 설치를 설명한다.
하우징(5)에서 도어(6)가 분리되면 하우징(5)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필터 캔(1)을 하우징(5)의 내부로 넣어서 소정 위치에 필터 캔(1)을 배치한다. 하우징(5)과 필터 캔(1)의 플랜지(4)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하우징(5)의 내부에 필터 캔(1)이 고정되는 것이 완료되면, 하우징(5)에 도어(6)를 결합한다. 하우징(5)과 도어(6)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하우징(5)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58)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58)에 도어(6)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 캔(1)의 분리를 설명한다.
필터 캔(1)을 분리하는 것은 필터 캔(1)을 설치하는 것과 반대이다.
먼저 하우징(5)에서 도어(6)을 분리한다. 도어(6)가 분리되면, 필터 캔(1)의 플렌지(4)와 하우징(5)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 다음에는 필터 캔(1)을 하우징(5)의 외부로 꺼낸다. 분리된 필터 캔(1)을 점검, 청소 등을 수행한다.
필터 캔(1)의 재조립은 필터 캔(1)의 설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는 하우징에 필터 캔을 설치, 분리 및 재결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필터 캔의 설치 및 분리를 위하여, 하우징과 도어의 분리/결합, 필터 캔과 하우징의 분리/결합이 필요하다. 즉, 필터 캔의 설치 및 분리가 두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둘째, 도어는 고온 배기가스 등에 노출이 많아서 도어를 구성하는 판재의 뒤틀림과 팽창 등에 의하여 가스 누설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 개의 필터 캔의 분리/조립을 위하여 한 개의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 개의 필터 캔에 대응하여 한 개의 도어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크다. 따라서, 도어의 비틀림, 팽창 등에 의한 가스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이 대형 원통형 구조이고 필터 캔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가스 누설이 없는 도어의 제작 및 적용은 매우 어렵다.
셋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체 제작비에서 도어에 소요되는 부품들에 매우 높은 제작비용이 소요된다.
넷째, 하우징에서 도어를 분리/조립하기 위한 추가적인 주변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의 크기는 필터 캔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크므로, 도어의 분리/조립을 위하여 하우징의 주변에 매우 큰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특히 하우징이 원통형 구조이고 필터 캔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분리/조립을 위한 추가적인 주변의 여유 공간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경우에는 도어를 적용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은 하우징의 직경이 커질수록 더욱 어려워 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필터 캔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원통형 하우징 대신에 사각기둥형 하우징을 사용한다. 도 5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기둥형 하우징(5a)의 4면에 도어를 적용한다. 그런데, 사각기둥형 하우징(5a)을 사용하는 경우에 하우징(5a)의 내부에서 불필요한 공간(D)이 발생하며,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진다.
다섯째, 도어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필터 캔의 자유로운 배치가 어렵다. 왜냐하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공간과 필터 캔을 인출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필터 캔은 도어 방향으로만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도어가 필요하지 않은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필터 캔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배기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필터 캔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 캔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 캔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필터 캔은, 필터 담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며, 배기가스가 유동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원통형이며, 상기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봉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는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부재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렌지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상술한 필터 캔; 및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필터링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상기 필터 캔의 플랜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조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서 소정 각도를 가지는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필터 캔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도어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필터 캔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필터 담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필터 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필터 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캔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 그려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에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주로 본 실시예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필터 캔(1)은 필터 담체(2)를 수용하는 케이스(3) 및 상기 케이스(3)의 일측에 구비되는 플랜지(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사각기둥형, 원통형과 사각기둥형의 조합형 등이 될 수 있다.
플랜지(10)는 케이스(3)에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0)는 케이스(3)의 일측에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플랜지(10)에는 다수의 체결공(12)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3)와 플랜지(10)의 사이에는 연결부재(2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2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3)와 플랜지(10)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연결부재(20)는 필터 담체(2)를 나온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20)는 배기가스가 유동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0)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소정 형상의 구멍(22)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22)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케이스(3), 연결부재(20) 및 플랜지(10)는 용접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플랜지(10)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하우징에 직접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0)가 종래의 도어 역할을 같이 할 수 있다.(도 9 참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한편, 케이스(3)와 플랜지(10)의 연결방식 예를 들어 연결부재(20)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0)는 케이스(3)와 플랜지(10)를 의 일측에 소정 거리 이격시키며, 케이스(3)와 플랜지(10)의 사이에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으면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케이스(3)와 플랜지(10)의 연결방식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케이스(3)와 플랜지(10)가 다수의 봉으로 연결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서는 케이스(3)와 플랜지(10)가 다수의 평행한 봉(20)으로 연결된다. 도 7(b)에서는 케이스(3)와 플랜지(10)가 다수의 봉(20)이 대략 원뿔형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에에서는 연결부재(20)가 다수의 봉(20)이므로, 상기 봉(20) 이외의 부분은 개방되어 배기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도 8은 필터 캔(1)의 상대적인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예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와 플랜지(10)의 사이에는 높이조절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부재(30)는 수나사부가 될 수 있으며, 플랜지(10)에는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30)의 수나사부와 플랜지(10)의 암나사부의 회전에 의하여, 필터 캔(1)의 상대적인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필터 캔(1)과 하우징(5)의 분리 및 결합 방식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9에서 좌측의 필터 캔(1a)은 하우징(5)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우측의 필터 캔(1)은 하우징(5)에서 일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9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좌측의 필터 캔(1a) 및 우측의 필터 캔(1)이 하우징(5)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도어 없이도 필터 캔(1)이 하우징(5)에 직접 탈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캔(1)에는 플랜지(1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5)에는 개구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5)의 개구부(56)의 직경은 필터 캔(1)의 플랜지(1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하우징(5)의 개구부(56)를 통하여, 필터 캔(1)은 하우징(5)에 인입 인출될 수 있다. 필터 캔(1)은 하우징(5)에 인입된 상태에서, 필터 캔(1)의 플랜지(10)가 하우징(5)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5)의 개구부(56)의 주변에는 필터 캔(1)의 플랜지(10)와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 캔(1)의 플랜지(10)가 보강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캔(1)의 플랜지(10)가 보강부(50)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필터 캔(1)은 하우징(5)에 다른 방식으로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캔(1)은 하우징(5)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캔(1)의 플랜지(10)에 클램프가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5)에는 플랜지(10)의 클램프에 대응하는 클램프가 용접 등의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캔(1)의 플랜지(10)에 하우징(5)의 클램프를 서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없이도 필터 캔(1)을 하우징(10)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도어 사용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하우징(5)에 필터 캔(1)이 패키징되는 방식의 여러가지의 예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필터 캔(1)이 하우징(5)의 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필터 캔(1)이 하우징(5)의 반경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5)에 필터 캔(1)이 패키징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조합 또는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결합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탈부착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필터 캔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도어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작은 필터 캔의 플랜지는 배기 가스에 의한 변형이 적으므로 배기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필터 캔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서로 배치되는 사항이 아니라면,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어느 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항은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1 : 필터 캔 3 : 케이스
10 : 플랜지 20 : 연결부재
5 : 하우징

Claims (10)

  1. 필터 담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플랜지;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며, 배기가스가 유동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통형이며, 상기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봉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는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플렌지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 캔; 및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필터링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 및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상기 필터 캔의 플랜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조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은 상기 하우징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서 소정 각도를 가지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0200155796A 2020-11-19 2020-11-19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220068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96A KR20220068722A (ko) 2020-11-19 2020-11-19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96A KR20220068722A (ko) 2020-11-19 2020-11-19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22A true KR20220068722A (ko) 2022-05-26

Family

ID=8180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796A KR20220068722A (ko) 2020-11-19 2020-11-19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7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726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KR101571192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EP123597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gas stream
EP3372801B1 (en) Turbine housing
CN102027215B (zh) 废气处理装置及其制造方法
CN203777841U (zh) 过滤器组件
JP3004714B2 (ja) 多目的エンドシールを備えた強力エアフィルタ
US20090019823A1 (en) Auxiliary Power Unit Exhaust Filter
JPWO2010110242A1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US20080236118A1 (en) Exhaust particulate filter for a machine engine system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JP554380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9228516A (ja) Dpf装置
EP1353047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exhaust gas
US20070107707A1 (en) Crosstalk device for an exhaust system
US20130193083A1 (en) Filtration system
KR20220068722A (ko) 필터 캔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장치
JP576773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US7582267B1 (en) Space saving serviceable exhaust aftertreatment assembly
KR100791644B1 (ko)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클램프 체결구조
US20030039595A1 (en) Modular exhaust treatment system
JP2010229856A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US7160519B1 (en) Serviceable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 and configured cylindrical bodies for coupling
JP2007100608A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CN108431378B (zh) 结构上改进的排气处理组件及其相关处理构件
CN106246297B (zh) 单向流动的柴油机微粒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