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720A -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720A
KR20220068720A KR1020200155793A KR20200155793A KR20220068720A KR 20220068720 A KR20220068720 A KR 20220068720A KR 1020200155793 A KR1020200155793 A KR 1020200155793A KR 20200155793 A KR20200155793 A KR 20200155793A KR 20220068720 A KR20220068720 A KR 2022006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ctrostatic
electrostatic filter
filter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320B1 (ko
Inventor
강현욱
강동희
김나경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3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35Electr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은 폴리머 메쉬를 포함하는 제1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제2 필터층을 형성하여 서브 정전기 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서브 정전기 필터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STATIC FILTER}
본 발명은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구조의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멜트 블로운(melt blown)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형상의 집진 필터는 평균 직경이 수 um 크기로서, 물리적인 방식으로 입자가 포집된다. 이러한 집진 필터에서 1 um 보다 작은 입자는 집진 필터의 공극 사이로 빠져나가게 되어 집진 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마이크로미터 이하 직경의 입자에 대해서는 정전기적 방식에 의한 집진이 유효하며, 미세 입자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직포 층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거나, 멜트 블로운(melt blown) 공정상 섬유 토출부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부직포 층의 표면에 전기적 전위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물리적 방식 및 정전기적 방식이 결합하여 제조된 정전기 필터는 높은 집진 효율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전기 부여 방식은, 정전기 필터가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경우, 극성 입자와의 결합에 의해 방전되며 정전기적 특성을 점차적으로 잃게 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전기 필터의 집진 성능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성능이 향상되고 집진 성능이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은 폴리머 메쉬를 포함하는 제1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제2 필터층을 형성하여 서브 정전기 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서브 정전기 필터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상기 제1 필터층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덮개막을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필터층에 상기 나노 섬유를 전기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는 클램퍼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기 필터의 양단부를 클램핑하는 단계, 상기 클램퍼에 연결된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기 필터를 릴리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를 분당 90회 내지 110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층은 롤투롤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은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를 적층하여 형성된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함으로써,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를 서로 마찰시켜 대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 사이에도 높은 표면 전위가 형성되어 정전기 필터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 특성이 재생 가능하므로, 정전기 필터의 교체 빈도를 줄여 교체 비용을 절감시키고, 무분별한 폐기를 막아 환경 보호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로서, 지지판 위에 제1 필터층을 위치시키고, 제1 필터층 위에 개구부를 가지는 덮개막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다음 단계로서, 제1 필터층 위에 제2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다음 단계로서, 제1 필터층 및 제2 필터층으로 이루어진 서브 정전기 필터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음 단계로서,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순서대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은 폴리머 메쉬(polymer mesh)를 포함하는 제1 필터층(100)을 형성한다(S100). 제1 필터층(100)을 이루는 폴리머 메쉬는 나일론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과성이 우수하고 지지층으로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필터층(100) 위에 나노 섬유(nanofiber)를 포함하는 제2 필터층(200)을 형성하여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형성한다(S200).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로서, 지지판 위에 제1 필터층을 위치시키고, 제1 필터층 위에 개구부를 가지는 덮개막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다음 단계로서, 제1 필터층 위에 제2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10) 위에 제1 필터층(100)을 위치시킨다. 이러한 제1 필터층(100)은 롤투롤(roll-to-roll)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필터층(100) 위에 제1 필터층(100)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20a)를 가지는 덮개막(2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0a)에 의해 노출된 제1 필터층(100)의 일부에 전기 방사기(30)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1)를 전기 방사시킨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층(100)의 표면에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제2 필터층(200)이 형성되어 서브 정전기 필터(300)이 제조된다. 이러한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음 단계로서, 제1 필터층 및 제2 필터층으로 이루어진 서브 정전기 필터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400)를 제조한다(S300).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음 단계로서,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벤딩 및 릴리싱한다(S4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퍼(41)를 이용하여 정전기 필터(400)의 양단부를 클램핑한다. 그리고, 클램퍼(41)에 연결된 이동부(42)를 이용하여 정전기 필터(400)의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하여 정전기 필터(400)를 벤딩(bending)함으로써,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서로 마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 사이에도 마찰 전기가 발생하여 높은 표면 전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42)를 이용하여 정전기 필터(400)의 양단부가 서로 멀어지게 하여 정전기 필터(400)를 릴리싱(releasing)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기 필터(400)의 벤딩 및 릴리싱 동작을 1분당 90회 내지 110회의 속도로 반복할 수 있다. 정전기 필터(400)의 벤딩 및 릴리싱 동작을 1분당 90회보다 적게 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충분히 마찰시키지 않아 대전량이 적게 되어 정전기 필터(400)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정전기 필터(400)의 벤딩 및 릴리싱 동작을 1분당 110회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릴리싱 동작에서 빠른 속도로 인해 정전기 필터(400)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서 제2 필터층(200)이 손상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지는 폴리머 메쉬를 포함하는 제1 필터층(100)과 달리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제2 필터층(200)은 ‘정전기력으로만 부착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제1 필터층(10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이다. 즉, ‘정전기력으로만 부착되어있는 상태’는 제2 필터층(200)의 형성 과정에서 고전위의 정전기력 및 기계적 연신에 의한 나노 섬유 폴리머 체인이 정렬된 상태(poling)로서, 이로 인해 유발 쌍극자(Induced dipole)가 제1 필터층(100)의 표면에서 정전기 유도(반데르발스 힘)를 일으켜서 제1 필터층(100)에 제2 필터층(200)에 부착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정전기 필터(400)의 벤딩 및 릴리싱 동작을 1분당 90회 내지 110회의 속도로 반복함으로써, 제2 필터층(200)의 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집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전기 필터(400)의 벤딩 및 릴리싱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서로 마찰시켜 대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 필터(400)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서로 마찰시킴으로써, 마찰 대전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정전기 필터(400)의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서브 정전기 필터로 이루어진 정전기 필터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정전기 필터(400)의 벤딩 및 릴리싱에 의해 집진 효율은 증가하나, 압력 강하 특성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 효율(filtration efficiency)을 η, 서브 정전기 필터(300)의 압력 강하를 ΔP라 할 때, 양호도(Quality factor)(QF = -(ln(1)/ΔP))는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서브 정전기 필터(300)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를 제조함으로써, 마찰 대전이 발생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집진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압력 강하를 유지시킬 수 있어 양호도(QF)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제2 필터층(200)은 소수성을 가지므로 물, 에탄올 등의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세정이 가능하므로, 정전기 필터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제1 필터층 200: 제2 필터층
300: 서브 정전기 필터 400: 정전기 필터

Claims (5)

  1. 폴리머 메쉬를 포함하는 제1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나노 섬유를 포함하는 제2 필터층을 형성하여 서브 정전기 필터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서브 정전기 필터를 적층하여 정전기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2 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터층 위에 상기 제1 필터층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덮개막을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필터층에 상기 나노 섬유를 전기 방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는
    클램퍼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기 필터의 양단부를 클램핑하는 단계,
    상기 클램퍼에 연결된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기 필터를 릴리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정전기 필터를 벤딩 및 릴리싱하는 단계를 분당 90회 내지 110회 반복하는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층은 롤투롤 방식으로 공급되는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0200155793A 2020-11-19 2020-11-19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52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93A KR102527320B1 (ko) 2020-11-19 2020-11-19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93A KR102527320B1 (ko) 2020-11-19 2020-11-19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20A true KR20220068720A (ko) 2022-05-26
KR102527320B1 KR102527320B1 (ko) 2023-04-27

Family

ID=8180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793A KR102527320B1 (ko) 2020-11-19 2020-11-19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62A1 (ko) * 2022-06-16 2023-12-21 주식회사 씨에이랩 하이브리드 다층필터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553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벌집형 정전 집진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집진필터
JP2003265912A (ja) * 2002-03-14 2003-09-24 Ikuya Toda 簡便に得られる静電気の電気力で空気中の煙、油煙、塵埃、花粉等を吸着し濾過する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553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벌집형 정전 집진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집진필터
JP2003265912A (ja) * 2002-03-14 2003-09-24 Ikuya Toda 簡便に得られる静電気の電気力で空気中の煙、油煙、塵埃、花粉等を吸着し濾過するフィル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62A1 (ko) * 2022-06-16 2023-12-21 주식회사 씨에이랩 하이브리드 다층필터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320B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4669B2 (ja) 濾過材及びフィルタ
Shao et al. Effect of electrospinning parameters and polymer concentrations on mechanical-to-electrical energy conversion of randomly-oriented electrospun poly (vinylidene fluoride) nanofiber mats
JP4209734B2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8720A (ko) 정전기 필터의 제조 방법
JPS62263361A (ja) 不織布の製造方法
CN110302592B (zh) 耐反吹纳米纤维复合滤材及其制备方法
KR20200033669A (ko) 나노 섬유 시트를 포함하는 정전 필터용 여과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42847B2 (en) Spinning nozzle, process for producing fibrous mass, fibrous mass, and paper
JP6158061B2 (ja) エアフィルタ用濾材
JP2015196263A (ja) ナノファイバー積層材、ナノファイバー積層材の製造方法、フィルター基材又はフィルター、及び、マスク又はマスク基材
CN105586714A (zh) 一种高静电长纤维无纺布及其制造方法
WO2021082090A1 (zh) 带锚点耐反吹纳米纤维复合滤材
JP2011052337A (ja) エレクトロスピニング装置
EP3523122A1 (en) Method for depositing a layer of polymeric nanofibers prepared by electrostatic spinning of a polymer solution or melt on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s, and a multilayer composite thus prepared containing at least one layer of polymeric nanofibers
KR20190123010A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JP4890049B2 (ja) 極細繊維集合体
JP2014079731A (ja) バグフィルタろ材
CN114987006A (zh) 层压织物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09219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JP4434839B2 (ja) コロナ放電装置
KR20050009974A (ko) 기능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나노섬유 필터 및 나노섬유필터의 제조방법
CN113043633B (zh) 一种能够自发产生静电的薄膜材料、其制备方法和应用
JPH0330808A (ja) 空気浄化フィルタ
JPH08143730A (ja) エレクトレット体
JP2006328586A (ja) エレクトレット、空気浄化用フィルター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