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8029A -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8029A
KR20220068029A KR1020200154916A KR20200154916A KR20220068029A KR 20220068029 A KR20220068029 A KR 20220068029A KR 1020200154916 A KR1020200154916 A KR 1020200154916A KR 20200154916 A KR20200154916 A KR 20200154916A KR 20220068029 A KR20220068029 A KR 2022006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ilm
density
linea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훈
이현섭
윤찬석
김진우
유재명
박민정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8029A/ko
Publication of KR2022006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광폭 및 고속 가공성을 만족하고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01 내지 1 g/10min 및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9 중량%; 및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5 내지 1.9 g/10min 및 밀도가 0.910 내지 0.930 g/㎤인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인플레이션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High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or blown film products having high speed processability and bubble stability}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범용 수지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필름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중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인플레이션 방식을 통하여 얇은 두께의 필름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가져 포장 용도에 적합하다.
이 같은 인플레이션 성형법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 상태에서 도넛 모양의 다이스에서 압출해 내압으로 팽창시키면서 결정화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성형에 있어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속 성형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고속 성형 시 압출기 다이 내부에서의 용융 수지의 스파이럴 유동이 그대로 다이 립 부위 수지에 나타나는 게이지 밴드(스파이럴 마크)가 발생해 필름 두께 편차가 발생하며 필름의 강도가 감소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종 필름 표면에 줄무늬 모양이 나타나 2차 가공에서 인쇄성이나 실링성 불량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터리 다이스 사용, 다이 립 조절, 다이 디자인 변경 등의 다양한 해결방법이 제시되었지만, 모두 충분히 만족스러운 필름 물성을 얻을 수 없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블로운 필름의 성형에서 요구되는 물성은 버블안정성 혹은 고속 가공성인데, 일반적으로 버블안정성을 더 많이 요구하는 필름은 광폭으로 성형되는 필름이고, 고속 가공성을 요구하는 필름은 폭이 광폭 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하지만 필름 용도에 따라 버블안정성과 고속 가공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블로운 필름 제품으로의 요구 물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186068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투명도가 우수한 병을 초고속으로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에 관해 언급하고 있으나,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연속 성형되는 블로운 필름 성형에서의 버블안정성은 블로우 성형의 고속 가공에서 요구되는 특성과는 다른 가공성의 영역인데, 이러한 블로운 필름 성형에서의 버블안정성 내지 고속 가공성에 대해서는 시사하지 않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7211620호 및 일본 등록특허 제3137893호는 각각 일정 수준의 용융지수와 밀도를 가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블로운 필름으로 적용 시 박막에서의 버블안정성과 고속 가공성 향상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광폭 및 고속 가공성을 만족하고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01 내지 1 g/10min 및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9 중량%; 및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5 내지 1.9 g/10min 및 밀도가 0.910 내지 0.930 g/㎤인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인플레이션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1-헥센을 4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션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연속 가공 시간이 20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레이션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연속 가공 시간 측정방법]
다이 폭이 70 mm인 단축 상향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다이 온도 190℃에서 60 m/min의 가공 속도로 필름 폭 710 mm 및 두께 4 내지 5 ㎛의 박막 조건 하에서 연속 인플레이션 성형 시 버블 터짐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함.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특정 물성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특정 조성비로 포함함으로써 광폭 및 고속 가공이 요구되는 블로운 필름 용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기존 블로운 필름용 수지로 도달할 수 없었던 가공 영역에까지 도달하여 특수 필름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연속 성형되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 종래 버블안정성과 고속 가공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 일반적인 블로운 필름 제품으로의 요구 물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음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물성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특정 조성비로 포함하고, 나아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특정 α-올레핀을 공중합체로 사용하는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블렌드할 경우 광폭 및 고속 가공이 요구되는 블로운 필름 용도로 활용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01 내지 1 g/10min 및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9 중량%; 및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5 내지 1.9 g/10min 및 밀도가 0.910 내지 0.930 g/㎤인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인플레이션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밀도 폴리올레핀 제조에 사용되는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틸렌 단독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의해 고밀도 폴리올레핀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지글러-나타 촉매는 전이금속 화합물이 주성분인 주촉매, 유기금속 화합물인 조촉매, 그리고 전자공여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를 말하며, 예컨대, 티타늄, 마그네슘 및 할로겐을 중심으로 한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촉매계가 사용될 수 있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용액 중합법, 슬러리 중합법, 기상 중합법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용액 중합 또는 슬러리 중합에 있어서는 불활성 탄화수소를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고, 올레핀 자체를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로서 구체적으로는 부탄, 이소부탄, 펜탄, 헥산, 옥탄, 데칸 도데칸, 헥사테칸, 옥타데칸 등의 지방족계 탄화수소와 사이클로펜탄, 메틸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옥탄 등의 지환족계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이고, 바람직하게는 0.945 내지 0.965 g/㎤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0 내지 0.960 g/㎤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40 g/㎤ 미만일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충분하지 않고, 0.970 g/㎤을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 흐름 지수(MFR)(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01 내지 1 g/10min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5 g/10min일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 지수가 0.01 g/10min 미만일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감소되어 필름 성형성이 저하되고, 1 g/10min을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가 낮아지고 용융장력의 감소로 인해 상향식 인플레이션 성형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제조에는 메탈로센 촉매가 사용되며, 에틸렌과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에 의해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을 얻을 수 있으며, 공단량체로 1-헥센을 4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슬러리 중합법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해서도 제조할 수 있으며,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는 전술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와 같다.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0 내지 0.930 g/㎤이고, 바람직하게는 0.915 내지 0.925 g/㎤일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에서와 마찬가지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10 g/㎤ 미만일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충분하지 않고, 0.930 g/㎤을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용융 흐름 지수(MFR)(ASTM D1238, 190℃, 2.16 ㎏ 하중)가 0.5 내지 1.9 g/10min이고,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g/10min일 수 있다. 역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에서와 마찬가지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 지수가 0.5 g/10min 미만일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감소되어 필름 성형성이 저하되고, 1.9 g/10min을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가 낮아지고 용융장력의 감소로 인해 상향식 인플레이션 성형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전체 수지 조성물 기준으로 70 내지 99 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1 내지 30 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 비율이 낮거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높을수록 버블안정성 및 연속 가공성이 향상되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 비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더 이상의 버블안정성 및 연속 가공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흐름성으로 인해 버블안정성 및 연속 가공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필름 용도에 적용하기 위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첨가제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색소 마스터배치, 산화방지제, 열 및 광 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블록킹 방지제, 방부제, 가공조제, 슬립제, 점착방지제, 안료, 난연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조성 및 물성의 고밀도 폴리올레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조합되어, 광폭 및 고속 가공이 요구되는 블로운 필름 용도에 활용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연속 가공 시간이 2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분 이상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연속 가공 시간 측정방법]
다이 폭이 70 mm인 단축 상향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다이 온도 190℃에서 60 m/min의 가공 속도로 필름 폭 710 mm 및 두께 4 내지 5 ㎛의 박막 조건 하에서 연속 인플레이션 성형 시 버블 터짐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함.
한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용융 혼련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예컨대, 믹서를 이용하여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믹싱한 후 2축 압출기로 150 내지 250℃에서 용융 혼련한 후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밀도 및 용융 흐름 지수는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측정 방법]
(1) 밀도
ASTM D1505 밀도구배관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용융 흐름 지수(MFR, Melt Flow Rate)
ASTM D1238에 준하여 190℃ 및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A) 지글러 나타 촉매 하에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56 g/㎤, 용융 흐름 지수 0.045 g/10min) 85 중량%와, (B) 메탈로센 촉매 하에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1-헥센 함량 8 중량%, 밀도 0.921 g/㎤, 용융 흐름 지수 1 g/10min) 15 중량%를 텀블 믹서로 10분간 믹싱한 후 40 ㎜ 2축 압출기로 190℃에서 용융 혼련 후 냉각 고화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에서 혼합 조성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C)는 밀도 0.921 g/㎤ 및 용융 흐름 지수 1 g/10min인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실험예
상기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길이대 직경비(L/D)가 32인 50 mm 단축 상향식 블로운 필름 압출기를 사용하여 인플레이션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다이 온도는 190℃, 다이 직경은 70 mm, 다이 갭은 1 mm, BUR(Blow Up Ratio)은 6.5, 냉각선 높이는 70 cm이다. 성형된 필름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버블안정성과, 고속 가공성 및 연속 가공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BUR(Blow Up Ratio)'은 공기가 주입된 버블의 다이 직경에 대한 비율로서, 성형될 때 다이로부터 토출되어 가이드봉을 타고 상승하는 수지가 버블 크기로 얼마나 커지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냉각선'은 블로운 필름 성형 시 다이에서 가이드봉을 타고 상승하는 수지가 공기가 주입된 버블 모양으로 커지면서 나타나는 선으로서, '냉각선 높이'는 일반적으로 다이 직경 만큼의 길이를 '1'로 놓았을 때 성형 시 냉각선이 생기는 부분이 다이에서부터 얼마나 높게 형성되었는지를 수치화해서 나타내기도 한다.
[평가 방법]
(1) 버블안정성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하였으며, 버블안정성이 매우 우수할 경우 '◎', 우수할 경우 '○', 보통일 경우 '△', 열위할 경우 'X'로 나타내었다. 버블안정성의 경우 성형 시 나타나는 냉각선(FLH, Frost Line Height)의 균일도가 우수하면, 즉, 냉각선이 원형에 가깝게 나타나면 버블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고, 냉각선의 균일도가 우수하지 않아 냉각선이 다각형 모양으로 나타나면 버블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열위함을 나타낸다.
(2) 고속 가공성 및 연속 가공성
필름 압출기의 최대 가공 속도(60 m/min)에서 블로운 필름을 연속 성형하되, 가공 필름 폭 710 mm 및 두께 4 내지 5 ㎛(박막) 조건 하에서 연속 가공 시, 얇은 필름 두께로 인해 성형 중 버블 터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버블 터짐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블로운 필름 성형에 있어 성형 기기 사양의 필름 최대폭(상기 실험예에서는 710 mm), 최대 가공 속도(상기 실험예에서는 60 m/min)로 성형할 경우, 성형기의 압출량을 낮추면 필름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데, 상기 실험예에서는 필름 두께 약 4 내지 5 ㎛의 박막 필름으로 제작하여, 가공 시 최대한 가혹한 조건에서 필름 성형을 진행하였다. 성형 기기의 사양에 따라 필름 최대폭과 최대 가공 속도는 상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먼저, 고밀도 폴리에틸렌 성분을 100 중량%로 하여 인플레이션 성형한 경우(비교예 2) 냉각선이 다른 예시들에 비해 불균일하여 열위한 버블안정성을 보였고, 연속 가공성 또한 실시예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5 중량%에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성분 C)을 15 중량% 블렌드하여 성형한 경우(비교예 1)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100 중량%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각선이 균일해져 버블안정성이 증가된 모습을 보이나, 연속 가공성 면에에서는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헥센을 공단량체로 사용하되 지글러 나타 촉매보다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 용융장력을 높여주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성분 A)과의 혼련성에 있어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성분 C)의 경우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성분 B)보다 낮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고밀도 폴리에틸렌 85 중량%에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되고 공단량체로 1-헥센이 8 중량% 수준으로 포함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15 중량% 블렌드하여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에서 성형한 경우(실시예 1)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블렌드 된 수지 조성물(비교예 1)에 비해 연속 가공성이 3배 이상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지글러 나타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사용된 밀도 조절제(부텐)와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사용된 밀도 조절제(헥센)의 종류가 다른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80 중량%에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20 중량% 블렌드하여 인플레이션 필름 성형기에서 성형한 경우(실시예 2)에는 실시예 1에 비해 연속 가공성은 동일한 수준이나, 버블안정성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밀도 폴리에틸렌 70 중량%에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30 중량% 블렌드하여 성형한 경우(실시예 3)에는 버블안정성과 연속 가공성이 소폭 하락하였으며, 이는 높은 흐름성을 가지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비율이 많아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되고, 이로부터 블로운 필름 제조에 있어 광폭 및 고속 가공에 특히 적합한 수지의 조성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01 내지 1 g/10min 및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9 중량%; 및
    용융 흐름 지수(MFR)(190℃, 2.16 kg 하중)가 0.5 내지 1.9 g/10min 및 밀도가 0.910 내지 0.930 g/㎤인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1-헥센을 4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연속 가공 시간이 20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연속 가공 시간 측정방법]
    다이 폭이 70 mm인 단축 상향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다이 온도 190℃에서 60 m/min의 가공 속도로 필름 폭 710 mm 및 두께 4 내지 5 ㎛의 박막 조건 하에서 연속 인플레이션 성형 시 버블 터짐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함.
KR1020200154916A 2020-11-18 2020-11-18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20220068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916A KR20220068029A (ko) 2020-11-18 2020-11-18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916A KR20220068029A (ko) 2020-11-18 2020-11-18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029A true KR20220068029A (ko) 2022-05-25

Family

ID=8179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916A KR20220068029A (ko) 2020-11-18 2020-11-18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8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7459C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US3176052A (en) Blends of polyethylene and ethylene copolymers
KR950010116B1 (ko) 에틸렌/펜텐-1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504434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6281372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成形体
US11384226B2 (en)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KR101820213B1 (ko) 일반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140002351A (ko) 스트레치 랩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2431224B1 (ko) 에어캡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76209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170056919A (ko)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68029A (ko) 버블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속 가공성을 가지는 블로운 필름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634456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3980198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700528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US11441023B2 (en) Polyethylene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812888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H0931260A (ja) 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
KR20190062899A (ko) 농업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0745318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424857B1 (ko) 중포장백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2018131570A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成形体及び容器
KR102093566B1 (ko)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
JP6915568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難燃性樹脂組成物ペレット、並びに、成形品及び中空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