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738A - 셀 성능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셀 성능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738A
KR20220067738A KR1020200154282A KR20200154282A KR20220067738A KR 20220067738 A KR20220067738 A KR 20220067738A KR 1020200154282 A KR1020200154282 A KR 1020200154282A KR 20200154282 A KR20200154282 A KR 20200154282A KR 20220067738 A KR20220067738 A KR 20220067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unit
pressing
performance test
cell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095B1 (ko
Inventor
이경한
류보형
도선아
강경석
Original Assignee
(주) 시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온텍 filed Critical (주) 시온텍
Priority to KR102020015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095B1/ko
Priority to PCT/KR2020/016766 priority patent/WO2022107961A1/ko
Publication of KR2022006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축전식 탈염셀의 성능 변화를 측정 가능한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셀이 수용되며 물이 통과하는 셀 검사부; 상기 셀 수용부를 압박하여 셀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 성능 검사장치{Capacitive desalination cell performance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축전식 탈염셀의 성능 변화를 측정 가능한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내부에 원수가 저장되며 선택적으로 원수를 순환시키는 챔버; 상기 챔버와 필터모듈을 각각 연결하며 일측에 압력게이지가 구성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필터모듈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 상기 챔버의 전면에 위치되며 상기 챔버, 배관부 및 에어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되, 상기 배관부는, 상기 챔버와 필터모듈의 상,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배관과,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과 챔버의 일측을 연결하는 보조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필터모듈 테스트장치 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이온교환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용액을 수용하는 제1 수용조; 상기 이온교환체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워터탱크; 상기 이온교환체에 의하여 수처리 될 처리수를 수용하는 제2 수용조; 상기 이온교환체를 수용하고, 상기 전처리 용액, 상기 세척수 및 상기 처리수가 통과하되, 다양한 모양, 종류, 또는 양에 따른 상기 이온교환체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체가능하도록 탈부착식으로 형성된 성능평가칼럼; 및 상기 성능평가칼럼을 통과한 상기 전처리 용액 및 상기 세척수는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처리수는 수용하는 제3 수용조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이온교환체 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CDI 방식에 따라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배출하는 정수모드와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를 가지는 제1 및 제 2 필터부를 구비하는 필터수단, 및 상기 필터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는 어느 하나가 제1 시간 동안 상기 정수모드를 수행하면 다른 하나는 제2 시간 동안 상 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필터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수 성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간 또는 상기 제2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호기성 처리에 의해 폐수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 포집관; 상기 가스 포집관으로 가스를 흡입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 포집관에 연결되는 가스 흡입펌프; 상기 가스 포집관의 중간에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을 통해 유동하는 가스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는 분석기; 상기 분기관으로 가스를 흡입시키기 위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는 보조 가스 흡입펌프; 및 상기 가스 흡입펌프, 상기 분석기 및 상기 보조 가스 흡입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성능 테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507694 B1 (2015년04월07일) KR 10-2018-0059738 A (2018년06월05일) KR 10-2015-0067874 A (2015년06월19일) KR 10-2011-0077442 A (2011년07월07일)
본 발명은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축전식 탈염셀의 성능 변화를 측정 가능한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셀이 수용되며 물이 통과하는 셀 검사부(100); 상기 셀 수용부(100)를 압박하여 셀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셀 검사부(100)는 셀이 수용되는 수용 케이스(110); 상기 압력조절부(200)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케이스(110) 상에 수용된 상기 셀을 압박하는 압박부재(1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셀 검사부(1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결합면을 밀폐하는 밀폐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셀 검사부(100)에 수용된 셀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3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압력조절부(200)는 상기 압박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10); 상기 지지부재(210)의 높이 조절하여 압박부재(120)를 통해 셀을 압박하는 압박력 조절부(220)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하방향으로 1축 운동하는 피스톤(222-1); 상기 피스톤(222-1)의 운동방향을 유압으로 조절하는 실린더부(222-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압박모듈(222)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동력 생성부(222-3); 상기 동력 생성부(222-3) 상에 수용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210)와 상기 동력 생성부(222-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222-4);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기 압박부재(120)와 결합되는 체결 플레이트(222-5);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의 하측에 체결플레이트(222-5)와 이격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222-6);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와 상기 중앙 플레이트(222-6)를 연결하는 스프링(226-7);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검사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도조절부(4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셀 검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셀 검사부(100) 내부에 수용된 셀에 공급되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에너지 공급 조절부(500); 상기 셀 검사부(10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600); 상기 셀 검사부(100)를 통하여 탈염된 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부(7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셀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압력 조건에서 가변되는 셀의 성능을 검사하여, 셀의 성능이 최적화 가능한 압력 조건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셀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 가능하므로, 셀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셀의 성능이 최적화되는 전압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셀에 항상 일정한 압력을 인가 가능하므로, 실험을 통하여 도출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수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므로, 실험을 통하여 도출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셀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압력을 인가 가능하므로, 실험을 통하여 도출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의 셀 검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의 셀 검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의 셀 검사부 및 압력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압력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셀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셀이 수용되며 물이 통과하는 셀 검사부(100); 상기 셀 수용부(100)를 압박하여 셀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200); 를 포함한다.
하수처리, 공업용수 재이용, 담수화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수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수처리 기술 중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수처리 기술로는, 축전식 탈염(capacitive deionization) 기술을 들 수 있다.
일명 CDI라고 불리는 축전식 탈염은 서로 이격배치된 두 개의 탄소전극(1)이 서로다른 전극을 가지게 하여, 두 개의 탄소전극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수중의 이온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탄소전극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유로 형성된다. 이때, 탄소전극(1)의 이온 제거능력은 탄소전극(1)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되므로, 탄소전극(1)의 측면에 압력을 인가면, 탄소전극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며 탄소전극의 이온 제거능력 또한 가변된다. 따라서, 탄소전극(1)의 이온 제거능력을 극대화 가능한 압력조건을 찾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탄소전극의 표면 전체에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기 어려워, CDI방식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압력조건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력조절부(200)를 이용하여 탄소전극(1)이 적층 형성된 셀(S)에 인가되는 압력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여, 셀(S)의 수처리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압력조건을 찾을 수 있는 검사장치를 개발한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는 셀이 수용되는 수용 케이스(110); 상기 압력조절부(200)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케이스(110) 상에 수용된 상기 셀을 압박하는 압박부재(1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110)는 상기 셀이 수용되며 상기 압력조절부(200)가 체결되는 수용공(111-1)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11); 상기 하부 케이스(111)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111-1)의 일측을 폐쇄하는 상부 케이스(1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11)는 물이 상기 수용공(111-1)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물 유입부(11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2)는 상기 수용공(111-1) 상의 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물 배출부(112-1); 를 포함한다.
한 쌍의 탄소전극(1)과 스페이서(2)가 적층 형성되는 셀(S)은 상기 수용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압박부재(120)에 의해 설정된 압력으로 압박된다. 이때, 상기 셀(S)의 수처리 능력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물이 셀(S)을 통하여 흘러야 하므로, 하부 케이스(111) 상에는 외부에서 시험에 사용되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부(111-2)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12) 상에는 셀(S)을 통과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 배출부(112-1)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물 유입부(111-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셀(S)이 수용되는 수용공(111-1)을 통과한 후, 상기 물 배출부(1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결합면을 밀폐하는 밀폐부(1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13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결합면에 위치되는 실링부재(131); 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13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장자리 립(132); 상기 가장자리 립(132)을 압박하는 압박클램프(133); 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립(132)은 상기 하부 케이스(111)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부 가장자리 립(132-1);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부 가장자리 립(132-2); 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11)와 상부 케이스(112)의 결합면에는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실링부재(131)가 위치되어, 하부 케이스(111)와 상부 케이스(112)의 결합면을 실링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111)의 가장자리와 상부 케이스(112)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하부 가장자리 립(132-1)과 상부 가장자리 립(132-2)이 형성되며, 압박클램프(133)가 하부 가장자리 립(132-1)과 상부 가장자리 립(132-2)을 서로 마주보는 내측 방향으로 당겨, 실링부재(131)의 실링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11)와 상기 압박부재(120) 사이에는 오링(O)이 구비되어, 하부 케이스(111)와 압박부재(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오링(O)은 단수개일 수 있으나 보다 완벽한 실링을 위하여 복수개가 상측과 하측에 서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에 수용된 셀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3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부(300)는 상기 수용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제1 전기공급부(310); 상기 압박부재(120)에 결합되는 제2 전기공급부(320); 를 포함한다.
셀(S)의 성능은 인가되는 압력 이외에도 인가되는 전압, 전류의 세기에 의해 가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 공급부(300)를 통하여 셀(S)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세기를 가변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탄소전극(1)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야 하므로, 전기 공급부(3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탄소전극(1)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기공급부(310)와 제2 전기공급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기공급부(31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1)의 체결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전기공급부(32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체결공에 끼워져, 상부 케이스(112)와 하부 케이스(111) 결합 시 제1 전기공급부(310)와 제2 전기공급부(320)가 자연스럽게 수용공(111-1)에 위치된 셀(S)과 접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200)는 상기 압박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10); 상기 지지부재(210)의 높이 조절하여 압박부재(120)를 통해 셀을 압박하는 압박력 조절부(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200)는 상기 지지부재(210)와 상기 셀 검사부(10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고정부재(2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압박력 조절부(220)는 상기 지지부재(210)가 상기 셀을 압박하는 힘을 측정하는 압박력 측정부(221); 상기 지지부재(210)를 이동시키는 압박모듈(222); 상기 압박력 측정부(221)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압박모듈(222)이 셀을 압박하는 힘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컨트롤부(223); 를 포함한다.
검사장치를 통해 검출된 셀(S)의 성능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셀(S)에 일정한 압력이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트롤부(223)가 압박모듈(222)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210)가 압박부재(120)를 통해 일정한 힘으로 셀(S)을 압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압박력 측정부(221)는 인가되는 힘을 측정 가능한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기 지지부재(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압박모듈(222)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하방향으로 1축 운동하는 피스톤(222-1); 상기 피스톤(222-1)의 운동방향을 유압으로 조절하는 실린더부(222-2); 를 포함한다.
압박모듈(222)은 유압으로 지지부재(210)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방향 일측이 실린더부(222-2)에 결합된 피스톤(222-1)이 실린더부(222-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1축 운동하며, 이러한 피스톤(222-1) 운동 방향 및 운동 범위는 상기 컨트롤부(223)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222)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동력 생성부(222-3); 상기 동력 생성부(222-3) 상에 수용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210)와 상기 동력 생성부(222-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222-4); 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222-4)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나사산(L); 을 포함한다.
압박모듈(222)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210)를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력 생성부(222-3)에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부재(222-4)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지지부재(210)의 이동방향 및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222-4)는 길이방향 일측이 다양한 기어 및 감속기로 이루어지는 구동계(G)를 통하여 모터와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지부재(210)와 나사 또는 스크류 결합되어, 높이조절부재(222-4)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지지부재(2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기 지지부재(210)와 결합되는 체결 플레이트(222-5);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의 하측에 체결플레이트(222-5)와 이격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222-6);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와 상기 중앙 플레이트(222-6)를 연결하는 스프링(226-7); 을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10)는 상기 압박부재(120)가 결합되는 테이퍼 구조의 체결홈(H); 을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스프링(226-7)이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와 상기 중앙 플레이트(222-6)를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동력 생성부(222-3)가 상기 중앙 플레이트(222-6)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222-4)가 상기 중앙 플레이트(222-6)와 상기 동력 생성부(222-3)를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일정한 힘으로 지지부재(210)가 셀(S)을 압박할 지라도, 수용공(111-1)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실질적으로 셀(S)에 인가되는 압력이 가변되며, 이러한 압력 변화는 실험의 신뢰성을 떨어트리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226-7)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의 흐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압력 변화를 보상 가능하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210)와 연결되는 체결 플레이트(222-5)와 상기 높이조절부재(222-4)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중앙 플레이트(222-6)를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스프링(226-7)로 연결하여, 물이 수용공(111-1)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스프링(226-7)에서 흡수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압박력 측정부(221)는 스프링(226-7) 하측에 위치되어, 물이 수용공(111-1)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압력변화에 대한 압박력 조절부(220)의 보상이 최소화 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셀 성능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검사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도조절부(4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인 셀 성능 검사장치는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400)는 셀 검사부(100)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조절부(410); 셀 검사부(100) 내부에 위치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부(420); 를 포함한다.
셀(S)의 검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로는 검사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들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조절부(400)를 이용하여 검사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셀(S)의 성능 검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전기전도도와 물의 유량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전도도 및 물의 유량은 온도에 따라 크게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온도조절부(410)를 통해 보관되는 물 또는 상기 물 유입부(111-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2 온도조절부(420)에서 수용공(111-1)에 위치된 물의 온도를 설정된 특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온도조절부(410)는 유입관(T)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411)와, 유입관(T)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조절하는 제1 온도조절장치(4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온도조절부(420)는 상기 수용공(111-1) 상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421)와, 수용공(111-1) 상의 물 온도를 설정 온도로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장치(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온도조절장치(412)와 제2 온도조절장치(422)는 다양한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일 실시예로는 전기가 입력되면 열을 방출하는 탄소섬유, 카본, 니크롬선 등의 다양한 전기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0-1) 본 발명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8-1 셀 성능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셀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전기 공급부(300)를 통해 셀로 공급되는 전기를 조절하는 에너지 공급 조절부(500); 상기 셀 검사부(10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600); 상기 셀 검사부(100)를 통하여 탈염된 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부(700); 를 포함하는 셀 검사 시스템.
전기 공급부(300)를 통해 셀 검사부(100)에 수용된 셀로 공급되는 전기의 세기는 상기 에너지 공급 조절부(500)를 통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물 유입부(112-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상기 유량 조절부(600)에 의해 조절되며, 유량 조절부(600)는 물 유입부(111-2)와 연결되는 연결관(610)과, 물 배출부(112-1)와 연결되는 배출 분기부(620)와, 배출 분기부(620)와 연결되며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분기부(620)는 배출되는 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검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센싱부(700)와 연결된 센싱단자(710)가 꽂아지는 센싱공(621)이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센싱공(621)에 센싱단자(710)가 삽입되어 배출 분기부(620)를 통해 배출관(630)으로 배출되는 물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한 것이다.
100 : 셀 검사부 110 : 수용 케이스
111 : 하부 케이스 111-1 : 수용공
111-2 : 물 유입부 112 : 상부 케이스
112-1 : 물 배출부 120 : 압박부재
130 : 밀폐부 131 : 실링부재
132 : 가장자리 립 132-1 : 하부 가장자리 립
132-2 : 상부 가장자리 립 133 : 압박클램프
200 : 압력조절부 210 : 지지부재
220 : 압박력 조절부 221 : 압박력 측정부
222 : 압박모듈 222-1 : 피스톤
222-2 : 실린더부 222-3 : 동력 생성부
222-4 : 높이조절부재 222-5 : 체결 플레이트
222-6 : 중앙 플레이트 222-7 : 스프링
223 : 컨트롤부
300 : 전기 공급부 310 : 제1 전기공급부
320 : 제2 전기공급부
400 : 온도조절부 410 : 제1 온도조절부
420 : 제2 온도조절부
500 : 에너지 공급 조절부
600 : 유량 조절부
700 : 센싱부

Claims (11)

  1. 셀의 성능을 특정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에 있어서,
    셀이 수용되며 물이 통과하는 셀 검사부(100);
    상기 셀 수용부(100)를 압박하여 셀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200);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는 셀이 수용되는 수용 케이스(110);
    상기 압력조절부(200)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수용 케이스(110) 상에 수용된 상기 셀을 압박하는 압박부재(120);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2)의 결합면을 밀폐하는 밀폐부(130);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에 수용된 셀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부(300);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200)는 상기 압박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10);
    상기 지지부재(210)의 높이 조절하여 압박부재(120)를 통해 셀을 압박하는 압박력 조절부(220);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박력 조절부(220)는 상기 지지부재(210)가 상기 셀을 압박하는 힘을 측정하는 압박력 측정부(221);
    상기 지지부재(210)를 이동시키는 압박모듈(222);
    상기 압박력 측정부(221)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압박모듈(222)이 셀을 압박하는 힘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컨트롤부(223);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하방향으로 1축 운동하는 피스톤(222-1);
    상기 피스톤(222-1)의 운동방향을 유압으로 조절하는 실린더부(222-2);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222)은 내부에 모터가 수용되는 동력 생성부(222-3);
    상기 동력 생성부(222-3) 상에 수용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재(210)와 상기 동력 생성부(222-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222-4);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압박모듈(222)은 상기 지지부재(210)와 결합되는 체결 플레이트(222-5);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의 하측에 체결플레이트(222-5)와 이격 배치되는 중앙 플레이트(222-6);
    상기 체결 플레이트(222-5)와 상기 중앙 플레이트(222-6)를 연결하는 스프링(226-7); 을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사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도조절부(400); 를 포함하는 셀 성능 검사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셀 성능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셀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셀 검사부(100) 내부에 수용된 셀에 공급되는 에너지를 조절하는 에너지 공급 조절부(500);
    상기 셀 검사부(10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600);
    상기 셀 검사부(100)를 통하여 탈염된 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부(700); 를 포함하는 셀 검사 시스템.

KR1020200154282A 2020-11-18 2020-11-18 셀 성능 검사장치 KR10246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282A KR102461095B1 (ko) 2020-11-18 2020-11-18 셀 성능 검사장치
PCT/KR2020/016766 WO2022107961A1 (ko) 2020-11-18 2020-11-25 셀 성능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282A KR102461095B1 (ko) 2020-11-18 2020-11-18 셀 성능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738A true KR20220067738A (ko) 2022-05-25
KR102461095B1 KR102461095B1 (ko) 2022-11-01

Family

ID=8170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282A KR102461095B1 (ko) 2020-11-18 2020-11-18 셀 성능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1095B1 (ko)
WO (1) WO2022107961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9906A (ja) * 1998-12-29 2000-07-18 Casio Comput Co Ltd 液晶素子の製造装置
EP0822271B1 (de) * 1996-08-01 2002-11-27 AXO Group AG Elektrolysezelle, insbesondere zur Erzeugung von Ozon für die Abwasserbehandlung sowie dessen Verwendung
JP2005186286A (ja) * 2003-12-24 2005-07-14 Meiki Co Ltd 圧縮成形機および圧縮成形機の制御方法
KR20110077442A (ko) 2009-12-30 2011-07-07 (주)에이엔티이십일 폐수처리 성능 테스트 장치
KR101507694B1 (ko) 2014-12-11 2015-04-07 김영일 수처리용 필터모듈 테스트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의 테스트방법
US20150166373A1 (en) * 2013-12-13 2015-06-18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ive deionization
KR20150067874A (ko) 2013-12-10 2015-06-19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80059738A (ko) 2018-05-28 2018-06-0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용 이온교환체 성능평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966B1 (en) * 1998-06-29 2003-04-01 Hadronic Pr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contaminated liquids
EP2174702B1 (en) * 2008-10-13 2012-03-28 Membrane S.r.l. Monitoring the operation of fluid treating systems
KR102286716B1 (ko) * 2017-03-28 2021-08-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수처리 장치, 수처리 시스템, 수처리 장치의 조립 방법 및 수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2271B1 (de) * 1996-08-01 2002-11-27 AXO Group AG Elektrolysezelle, insbesondere zur Erzeugung von Ozon für die Abwasserbehandlung sowie dessen Verwendung
JP2000199906A (ja) * 1998-12-29 2000-07-18 Casio Comput Co Ltd 液晶素子の製造装置
JP2005186286A (ja) * 2003-12-24 2005-07-14 Meiki Co Ltd 圧縮成形機および圧縮成形機の制御方法
KR20110077442A (ko) 2009-12-30 2011-07-07 (주)에이엔티이십일 폐수처리 성능 테스트 장치
KR20150067874A (ko) 2013-12-10 2015-06-19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US20150166373A1 (en) * 2013-12-13 2015-06-18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ive deionization
KR101507694B1 (ko) 2014-12-11 2015-04-07 김영일 수처리용 필터모듈 테스트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의 테스트방법
KR20180059738A (ko) 2018-05-28 2018-06-05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수처리용 이온교환체 성능평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7961A1 (ko) 2022-05-27
KR102461095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8546B2 (en) Capacitive deionization cell with radial flow
JP4394957B2 (ja) 水の精製装置及び方法
US9637397B2 (en) Ion removal using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CN113165918B (zh) 过滤器外壳以及利用过滤器外壳的净水和软水机
US8961770B2 (en)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of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CN106082407B (zh) 水处理设备
JP3273718B2 (ja) 電気脱イオン法による被処理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US8709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igh volumes of clean water by electro coagulation
RO109835B1 (ro) Instalatie si procedeu pentru obtinerea apelor structurate i-activata inhibitor si s-activata stimulator
KR102461095B1 (ko) 셀 성능 검사장치
US5271814A (en) Thin film electrocoagulation for removal for contaminants from liquid media
US20130105324A1 (en) Regeneration of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KR20180044250A (ko) 수처리 장치
EP2692698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to remove ions
US20240101452A1 (en) Water-using apparatus
KR20130107041A (ko) 수처리 장치
JP4671272B2 (ja) 液中の陰イオン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WO2001089656A1 (en) Capacitive deionization cell power supply
WO2016159545A1 (ko) 전기 탈이온 장치를 구비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58214B1 (ko) 멀티프로세싱 사이클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WO2001089671A1 (en) Capacitive deionization cell structure with voltage distribution control
CN213580579U (zh) 一种空气负离子浓度测量装置
KR20040065373A (ko) 폐액 중 무기이온의 선택제거 전기흡착 장치
KR20240003123A (ko) 폐세정수 처리 장치
CZ31525U1 (cs) Zařízení pro zvyšování a/nebo snižování obsahu solí ve vodném prostředí pomocí kapacitní deioniz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