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123A - 폐세정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세정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123A
KR20240003123A KR1020220080233A KR20220080233A KR20240003123A KR 20240003123 A KR20240003123 A KR 20240003123A KR 1020220080233 A KR1020220080233 A KR 1020220080233A KR 20220080233 A KR20220080233 A KR 20220080233A KR 20240003123 A KR20240003123 A KR 2024000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treated
treatment device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이형돈
박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22008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123A/ko
Publication of KR2024000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의 세정에 사용된 폐세정수를 수용하는 원수조; 상기 원수조의 후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복수의 금속전극판이 설치되어, 피처리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조; 상기 전기분해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체류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여과하는 여과조를 포함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세정수 처리 장치{WASTE WA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폐세정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기는 전기집진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기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분진 내지 수분입자와 같은 포집대상을 하전시킴으로써, 포집대상에 집진전극 방향으로 쿨롱력(정전기력)을 일으켜 하전된 포집대상들을 포집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기는 통상적으로 방전극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후 2개의 전극 사이에서 높은 전압에 의해 전기장이 강한 부분이 전도성을 갖는 현상인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방전극 주변에서 전하의 생성 및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먼지 등을 하전시킨다.
이렇게 하전된 먼지 등은 전기장 내에서 집진전극 방향으로 발생한 쿨롱력에 의해 힘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은 쿨롱력에 의해 집진전극으로 끌려가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포집된다.
따라서, 전기집진기의 집진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집된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는 집진전극을 주기적으로 세정해야만 집진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전기집진기를 세정하는 세정수는 포집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기 사용된 폐세정수는 수처리 후 방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효율적인 폐세정수 처리 장치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의 폐세정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집진기의 세정에 사용된 폐세정수를 수용하는 원수조; 상기 원수조의 후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복수의 금속전극판이 설치되어, 피처리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조; 상기 전기분해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체류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여과하는 여과조를 포함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금속전극판은 알루미늄, 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조에는, 상기 복수의 금속전극판을 켜켜이 배치시키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전기분해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고액분리하는 필터프레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셔에서 생성된 처리수는 상기 원수조로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원수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상기 침전조로 피처리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및 상기 침전조에서 생성된 피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는 경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에 따르면, 폐세정수의 SS 농도, 탁도, pH, 전기전도도 등이 효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와 폐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전기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침전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여과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전기분해조에 설치되는 금속전극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와 폐수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계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전기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침전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여과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전기분해조에 설치되는 금속전극판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10)는 폐세정수가 집수되어 있는 폐수탱크(1)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폐세정수 처리 장치(10)는 폐수탱크(1)로부터 폐세정수를 공급받아 수처리할 수 있다. 폐세정수는 수처리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폐세정수 처리 장치(10)는 집진기와 연결될 수 있다. 집진기는 습식 방식으로 세정될 수 있다. 집진기는 세정수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집진기의 집진전극(집진셀)은 세정수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사용된 세정수(폐세정수)는 특정 부분으로 배출되고 포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세정수는 집진기의 호퍼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호퍼는 집진기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된 폐세정수는 폐수탱크(1)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10)는 집진기의 세정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세정장치는 이동식으로 구현되어 집진기의 집진셀을 세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된 세정수(폐세정수)는 특정 부분으로 배출되고 포집될 수 있다. 배출된 폐세정수는 폐수탱크(1)에 저장될 수 있다.
폐수탱크(1)에는 수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폐수탱크(1) 내 폐세정수의 수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폐세정수는 폐수탱크(1)에서 폐세정수 처리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폐수탱크(1)와 폐세정수 처리 장치 사이에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연결부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폐세정수가 이송될 때, 밸브는 개방될 수 있다. 폐수탱크(1) 내 폐세정수의 수위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밸브는 개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10)는, 원수조(100), 전기분해조(200), 침전조(300), 여과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세정수는 원수(raw water)로서 공급되어, 피처리수로서 원수조(100), 전기분해조(200), 침전조(300), 여과조(400)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원수조(100)는 피처리수인 폐세정수를 공급받고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원수조(100)로 공급된 폐세정수를 피처리수라 칭하여 설명한다. 원수조(100)는 피처리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원수조(100)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의 최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원수조(100)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부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원수조(100)에는 레벨센서(LS)가 설치될 수 있다. 원수조(100)에 수용된 피처리수의 수위가 기설정 범위를 넘는 경우, 유입부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원수조(100)로 공급되는 피처리수의 온도는 기설정온도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수의 온도는 40℃일 수 있다. 원수조(100)에는 피처리수의 온도를 승온시킬 수 있는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수조(100)에 수용된 피처리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가 구비될 수 있다.
원수조(100)에서는 피처리수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공기는 산소를 포함한다. 공기는 미세 기포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피처리수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피처리수 내에는 산소 함량이 증가되고 생물학적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원수조(100)에는 공기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는 원수조(100)에 수용된 피처리수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는 공기공급노즐(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노즐(110)은 원수조(100)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노즐(11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는 에어펌프(P1)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P1)는 공기공급노즐(110)과 연결될 수 있다. 에어펌프(P1) 작동에 의해 공기공급노즐(110)에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는 원수조(100)의 후단에 연결되고, 피처리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는 240L 크기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전기분해조(200)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분해조(200)에는 제1 유입구(210)가 구비되고, 피처리수는 제1 유입구(210)를 통해 전기분해조(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입구(210)는 원수조(100)에서 이어지는 수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에는 제1 배수구(220)가 구비되고, 피처리수는 제1 배수구(220)를 통해 전기분해조(2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의 하부는 침전되는 이물질(슬러지)을 포집하기 위해 하측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분해조(200)의 하부에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유입구(210), 제1 배수구(220), 제1 배출구(230)를 통과하는 피처리수의 유량은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의 내부에는 금속전극판(A)이 설치될 수 있다. 금속전극판(A)은 복수(예를 들어, 10개)로 형성되며, 평행한 상태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금속전극판(A) 사이는 이격되고 피처리수는 이웃하는 금속전극판(A)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전극판(A)에 의해, 전기분해조(200)에서 전기응집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전기응집은 전기를 공급하여 음전하를 띠고 있는 수중의 불순물들이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에 의해 전기적으로 중화하여 응집, 침전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전기응집 반응에 의하면, 유기오염물의 적어도 일부는 응집되어 침전되고, 유기오염물의 적어도 일부는 부유할 수 있다.
피처리수에 부가된 전류는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전기적 추진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금속전극판(A)으로부터 용해된 금속이 가수분해하여 현탁 용존성 및 콜로이드성의 수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산화물은 응집, 흡착 및 침강 특성이 우수하다.
전기응집은 이온과 입자의 전하를 중화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이 침전되며, 화학응집처리보다 제어효율이 우수하여 값비싼 화학약품(금속염, Polymer 등)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다.
금속전극판(A)은 가용성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응집 단계는 전극의 직접적인 용출을 통해 유기오염물질을 응집, 침전시키는 원리로 가용성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전극판(A)은 철(Fe),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전극판(A)은 알루미늄판일 수 있다. 하기 표 1은 금속전극판(A)의 금속 종류에 따른 반응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전극 반응 메커니즘
Al Anode Al(s)→Al3+(aq)+3e-
Cathode 2H2O + 2e- →H2(g)+ 2OH-(aq)
Fe Anode Fe(s) → Fe2+(aq)+2e-
Cathode Fe2+(aq)+2OH-(aq)→ Fe(OH)2(s)
Overall Fe(s)+2H2O(aq)→ Fe(OH)2(s)+H2(g)
금속전극판(A) 각각은 사각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전극판(A) 각각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금속전극판(A)은 브라켓(25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금속전극판(A)은 브라켓(250)에 의해 켜켜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5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250)의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금속전극판(A)은 홈에 끼워질 수 있다. 금속전극판(A)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50)은 전기분해조(200) 내에서 지지바(2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바(260)는 브라켓(250)에 결합되고, 전기분해조(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바(260)의 상단은 전기분해조(20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지지바(260)는 사각형 브라켓(250)의 네 코너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260)는 브라켓(25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60)의 단면은 L자일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의 금속전극판(A)에 의한 전류밀도는 20~25 A/m2 일 수 있다.
패러데이 법칙(Faraday’s law)에 따르면, 전기응집 공정에서 전해액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따라 금속 용출량이 변화한다. 전류와 금속용출량은 비례 관계를 가지지만 너무 많은 전류 사용은 수중 온도 증가가 야기되고, 전류밀도의 증가에 따라 금속수산화물이 많아지고 에너지와 금속전극판(A)의 손실이 커져 처리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금속 용출량과 처리효율을 고려할 때, 전류밀도는 20~25 A/m2 일 수 있다.
피처리수의 pH는 중성이 아닌 산성이나 알칼리성일 수 있다. pH에 따라 음극에서 생성되는 물질이 달라지게 되는데 산성조건에서는 음극에서 물분자가 생성되는 반면 알카리성 조건에서는 음극에서 수산화이온의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수산화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여 오염물질의 산화에 직접 이용되어 질수 있다. 또한 양극에서는 염소이온을 염소가스로 방출하게 된다
전기분해조(200) 내 피처리수의 체류시간이 증가할수록 통과 전류량이 증가하면서 용출되는 금속이온의 양도 증가하는 비례관계를 가짐. 그러나 너무 긴 체류시간은 과다한 전력사용과 금속이온의 과다 용출로 인한 극판 교환주기 단축, 슬러지 발생량의 증가로 운영비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조(200) 내 피처리수의 체류시간은 기설정시간으로 조절될 수 있다.
기설정시간으로의 조절은 제1 유입구(210) 및/또는 제1 배수구(220)의 개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시간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 제1 배수구(220)는 폐쇄되고, 기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제1 배수구(220)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구(220)가 개방될 때 제1 유입구(210)는 폐쇄될 수 있다.
기설정시간은 90분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처리효율이 96.7 내지 97.5%일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에서의 체류시간(전기응집 반응시간)을 아래와 같이 달리하고, 침전조(300)에서의 체류시간을 1시간으로 고정하였을 때, 3회 평균 SS값은 30분 반응시 480.0 mg/L, 60분 응집반응시 713.3 mg/L, 90분 응집반응시 1,750 mg/L, 120분 응집반응시 1156.7 mg/L로, 응집효율은 90분 반응시 가장 높았다.
또한, 3회 평균 탁도값은 30분 응집반응시 134.0 NTU, 60분 응집반응 시 180.3 NTU, 90분 응집반응시 453.7 NTU, 120분 응집반응시 277.0 NTU로 90분 응집반응에 따른 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분해조(200)에는 레벨센서(LS)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유입구(210) 및/또는 제1 배수구(220)의 개폐에 의해 전기분해조(200) 피처리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가 기설정범위 이상인 경우, 제1 배수구(220)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수구(220)가 개방될 때 제1 유입구(210)는 폐쇄될 수 있다.
침전조(300)는 전기분해조(200)의 후단에 연결되고, 피처리수를 체류시킬 수 있다. 침전조(300)에서 피처리수의 침전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침전조(300)는 240L 크기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침전조(300)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침전조(300)에는 경사판(350)이 설치될 수 있다. 경사판(350)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피처리수는 경사판(3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처리수가 침전조(300)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피처리수 내 함유된 이물질은 침전조(300) 하측으로 침전될 수 있다.
침전조(300)의 하부는 침전되는 이물질(슬러지)을 포집하기 위해 하측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침전조(300)의 하부에는 슬러지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침전조(300)에는 제2 유입구(310)가 구비되고, 피처리수는 제2 유입구(310)를 통해 침전조(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침전조(300)에는 제2 배수구(320)가 구비되고, 피처리수는 제2 배수구(320)를 통해 침전조(3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제2 배수구(320)는 배수펌프(P3)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펌프(P3)에 의해 침전조(300)에 있는 피처리수가 제2 배수구(3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유입구(310)는 원수조(100)에서 이어지는 수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에는 제1 배수구(220)가 구비되고, 피처리수는 제1 배수구(220)를 통해 전기분해조(20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의 하부는 침전되는 이물질(슬러지)을 포집하기 위해 하측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의 제1 배수구(220)와 침전조(300)의 제2 유입구(31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수구(220)와 제2 유입구(310)를 연결하는 수라인 상에는 이송펌프(P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펌프(P2)는 전기분해조(200)에 있는 피처리수를 침전조(300)로 이송할 수 있다.
침전조(300)에는 레벨센서(LS)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유입구(310) 및/또는 제2 배수구(320)의 개폐에 의해 침전조(300) 피처리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가 기설정범위 이상인 경우, 제2 배수구(320)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수구(320)가 개방될 때 제2 유입구(310)는 폐쇄될 수 있다.
여과조(400)는 침전조(300)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여과할 수 있다. 여과조(400)는 섬유여과기, 카트리지 필터, 막여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조(400)는 마이크로 필터(F)를 포함할 수 있다. 피처리수는 여과조(400)로 유입되어 마이크로 필터(F)를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피처리수는 여과조(40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피처리수는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되고, 마이크로 필터(F)의 내측(411)으로 유입되어 마이크로 필터(F)를 통과하여 마이크로 필터(F)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F)를 통과한 피처리수는 배수부(4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필터(F)는 여과조(400) 내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과조(400)에는 압력계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계는 마이크로 필터(F)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마이크로 필터(F)는 교체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는 압력값에 의해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F)의 교체시기는 별도의 알림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F)의 교체시기는 조명 또는 소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F)의 교체시기는, 측정된 압력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또는 배수펌프(P3)가 정상 작동 중에 배수 유량이 기설정값 이하인 경우, 또는 사용 시기가 3개월을 경과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때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는 필터 프레셔(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프레셔(500)는 전기분해조(200) 및/또는 침전조(300)와 연결되어 피처리수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공급받고, 슬러지를 고액분리할 수 있다. 즉, 슬러지는 처리수와 고형물로 분리될 수 있다. 슬러지에서 나온 처리수는 원수조(100)로 순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는 컴프레셔(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셔(600)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컴프레셔(600)는 전기분해조(200)의 제1 배출구(230) 및/또는 침전조(300)의 제2 배출구(33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컴프레셔(600)는 필터 프레셔(50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에서, 전기분해조(200) 및/또는 침전조(300)에는 SS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전기분해조(200) 및/또는 침전조(300)에 수용된 피처리수에 함유된 SS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세정수 처리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반(7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유입구(210), 제2 유입구(310) 제1 배수구(220), 제2 배수구(320), 제1 배출구(230), 제2 배출구(330) 등에 결합된 밸브를 제어하고,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분해조(200), 침전조(300) 등에 수용된 피처리수 수위 또는 피처리수 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전기분해조(200) 및/또는 침전조(300)에는 SS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전기분해 및/또는 침전조(300)에 수용된 피처리수에 함유된 SS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SS의 농도에 따라 피처리수의 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는 SS의 농도에 따라 전기분해조(200)에서의 체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원수조
110: 공기공급노즐
200: 전기분해조
250: 브라켓
260: 지지바
300: 침전조
350: 경사판
400: 여과조
500: 필터 프레셔

Claims (7)

  1. 전기집진기의 세정에 사용된 폐세정수를 수용하는 원수조;
    상기 원수조의 후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복수의 금속전극판이 설치되어, 피처리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조;
    상기 전기분해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체류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후단에 연결되어 피처리수를 여과하는 여과조를 포함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극판은 알루미늄, 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조에는,
    상기 복수의 금속전극판을 켜켜이 배치시키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전기분해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가 설치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고액분리하는 필터프레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셔에서 생성된 처리수는 상기 원수조로 순환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상기 침전조로 피처리수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 및
    상기 침전조에서 생성된 피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폐세정수 처리 장치.
KR1020220080233A 2022-06-30 2022-06-30 폐세정수 처리 장치 KR20240003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33A KR20240003123A (ko) 2022-06-30 2022-06-30 폐세정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33A KR20240003123A (ko) 2022-06-30 2022-06-30 폐세정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123A true KR20240003123A (ko) 2024-01-08

Family

ID=8953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33A KR20240003123A (ko) 2022-06-30 2022-06-30 폐세정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3891A (en) Electrolytic sewage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CN106082407B (zh) 水处理设备
RU249497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умягчения воды обратным осмосом
EP2035335B1 (en) Moving electrode electroflocculation process and corresponding device
US9688550B2 (en) Electrolyti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ter to remove nitrates, phosphates, arsenates, and molecules of high molecular weight
US20080223731A1 (en) Advanced Electro-Coagulation Device And Process Of Using The Same For Wastewater Treatment
CN101460408A (zh) 用于废水净化的方法和装置
KR100802365B1 (ko) Ac―ge 필터
CN113371903B (zh) 一种电化学处理水的装置及方法
EP1575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aqueous media
KR20240003123A (ko) 폐세정수 처리 장치
JP3657698B2 (ja) 電解処理による汚濁水浄化装置
CA3228086A1 (en) Integrated fenton processes with ceramic membrane filtr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CN113415858B (zh) 一种具有电解功能的陶瓷膜及过滤系统
CN215327460U (zh) 一种电絮凝污水处理装置
EA027188B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мкостной деионизации
CN202625963U (zh) 电子水处理、复合介质膜一体化水净化设备
CN208362073U (zh) 原水电化处理系统
CN113354161A (zh) 一种用于分散污废水深度处理的成套过滤设备
JP4520054B2 (ja) 汚水処理装置の設置方法
KR200386781Y1 (ko) 나권형 전극을 이용한 전기응집 처리 장치
CN111320311B (zh) 一种一体式同心水平管电化学沉淀吸附污水处理系统
WO2011025183A2 (ko) 일체형 하수 재이용 장치
KR101568174B1 (ko) 전기분해식 수처리 장치용 전극 유닛
CN216711678U (zh) 一种新型废水处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