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350A -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350A
KR20220067350A KR1020200153953A KR20200153953A KR20220067350A KR 20220067350 A KR20220067350 A KR 20220067350A KR 1020200153953 A KR1020200153953 A KR 1020200153953A KR 20200153953 A KR20200153953 A KR 20200153953A KR 20220067350 A KR20220067350 A KR 20220067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 drawing
candidate data
plan
deadline
feat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269B1 (ko
Inventor
엄정현
Original Assignee
엄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현 filed Critical 엄정현
Priority to KR102020015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2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하는 계획도면 수신부; 상기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계획도면 분석부;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후보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하는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AUTOMATED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INTERIOR MATERIAL DEADLINE FOR ARCHITECTURAL DESIGN}
본 발명은 도면 작성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획도면 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실내재료마감표를 작성할 수 있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재료마감표는 건축 설계를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는 설계 도면들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실내재료마감표는 재료마감에 관한 상세표로서 건물의 내부 공간, 예를 들어, 방, 욕실, 화장실 등의 내부 마감을 위하여 바닥, 걸레받이, 벽 및 천장 등에 대해 적용되는 마감 재료에 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내재료마감표는 건축설계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사용되는 정보의 구조, 용어 등에 있어 공통점이 존재할 수 있다. 현재 실내재료마감표는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작성되고 있으며, 이를 자동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다만, 실내재료마감표에 포함되는 대부분의 정보들은 건물의 용도, 내부 공간의 특성에 따라 상당한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작성된 실내재료마감표의 정보들을 활용할 수 있다면, 작성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7983호 (2015.06.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계획도면 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실내재료마감표를 작성할 수 있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동 작업으로 처리되던 업무를 자동화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건축설계의 수익성 증대와 건축물의 품질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하는 계획도면 수신부; 상기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계획도면 분석부;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후보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하는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 정보는 층수, 면적, 용도 및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재료마감표는 상기 실명 별로 바닥레벨, 바닥, 걸레받이, 천장 및 천장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상기 걸레받이, 상기 벽 및 상기 천장 각각은 세부 정보로서 바탕, 마감, 두께, 높이 및 상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획도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획도면에 관한 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계획도면 상의 실명 및 치수선에 관한 특징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계획도면 분석부는 상기 계획도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 이미지분석을 통해 상기 실명 및 치수선에 관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후보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학습되어 구축되고 상기 특징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출력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상기 후보 데이터를 자동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후보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값들을 추출하는 후보값 추출 모듈;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후보 값들 간에 비교 규칙을 적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 모듈; 및 상기 후보 값들 각각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후보 데이터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산출 모듈은 실명, 면적, 용도 및 구조를 포함하는 속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값을 추출하는 단계; 비교 규칙에 따라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값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계획도면 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실내재료마감표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수동 작업으로 처리되던 업무를 자동화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건축설계의 수익성 증대와 건축물의 품질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화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화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계획도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자동화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외부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실내재료마감표 생성을 위한 계획도면을 업로딩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자동화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자동화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을 기초로 실내재표마감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화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치(130)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시스템(17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자동화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집된 실내재료마감표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계획도면 분석과 실내재료마감표 작성을 위한 후보 데이터 추출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화 장치(130)가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을 자동화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시스템(170)은 자동화 장치(130)와 연동하여 실내재료마감표 작성을 자동화하는 과정에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170)은 결제 시스템, 메신저 시스템, 인증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자동화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화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자동화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자동화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자동화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자동화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자동화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자동화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 수신부(310), 계획도면 분석부(330),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계획도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획도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계획도면에 관한 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계획도면 상의 실명 및 치수선에 관한 특징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계획도면에 관한 파일을 업로드(upload)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계획도면과 관련하여 실내재료마감표에 작성이 필요한 실명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계획도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정보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은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계획도면 분석부(330)는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계획도면 분석부(330)는 계획도면에 관한 파일을 기초로 실내재료마감표 생성을 위해 필요한 특징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징 정보는 기본적으로 계획도면 상에 포함된 실명, 치수 등에 관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층수, 면적, 용도 및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징 정보는 파일의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출할 수 있으나, 파일에 따라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계획도면 분석부(330)는 계획도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 이미지분석을 통해 실명 및 치수선에 관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획도면 분석부(330)는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텍스트 검출(Text Detection) 등의 텍스트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파일로 된 계획도면에서 특징 정보를 실명과 치수 등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계획도면 분석부(330)는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여 이미지 파일로부터 관련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기존에 작성된 다양한 실내재료마감표들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구축된 실내재료마감재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에 포함될 정보들을 후보 데이터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특징 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비교 규칙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데이터베이스(150)를 기초로 학습되어 구축되고 특징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출력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델(AI)을 통해, 후보 데이터를 자동 결정할 수 있다. 즉,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계획도면에서 추출된 실명 정보 등을 입력하면 해당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들을 최적화하여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사전에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 구축된 실내재료마감재료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학습 동작과 테스트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을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값들을 추출하는 후보값 추출 모듈, 특징 정보와 후보 값들 간에 비교 규칙을 적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 모듈, 및 후보 값들 각각의 유사도에 따라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후보 데이터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보값 추출 모듈은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특징 정보, 즉 계획도면에서 추출된 실명과 동일한 실명을 가진 후보 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실명과 동일한 실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장 유사한 실명을 가진 후보 값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유사도 산출 모듈은 특징 정보와 후보값들 간의 비교 규칙을 적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사도 산출 모듈은 실명, 면적, 용도 및 구조를 포함하는 속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유사도 산출 모듈은 실명, 면적, 용도 및 구조 순으로 차등적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특징 정보와 후보값 간의 유사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유사도 점수에 따른 유사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370)는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할 수 있다.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370)는 후보 데이터를 기 정의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규칙에 적용하여 정형화된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할 수 있다. 실내재료마감표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90)는 자동화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계획도면 수신부(310), 계획도면 분석부(330),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 및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pdf, img 파일로 된 계획도며을 업로드(upload)할 수 있으며, 계획도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 분석부(330)를 통해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S420). 이때, 계획도면 분석부(330)는 텍스트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미지로된 계획도면으로부터 해당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자동화 장치(130)는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를 통해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단계 S430), 비교 규칙을 적용하여 특징 정보와 추출된 값들을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40).
이후, 후보 데이터 추출부(350)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단계 S450), 유사도를 이용하여 최종 정합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60). 즉, 최종 결정된 정합 데이터를 기초로 실내재료마감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치(130)는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370)를 통해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실내재료마감표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470).
도 5는 계획도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화 장치(130)에 입력되는 계획도면의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계획도면은 계획설계도면에 해당할 수 있고, 건축설계를 위한 계획설계 단계에서, 건축주의 의도나 인테리어 목적에 따라 설계된 결과 생성된 건물 내부 도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계획도면은 특정 건물의 특정 층에 대한 내부 설계 도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면의 각 공간에 대한 실명과 각 공간의 구체적 치수(530) 및 치수선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화 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계획도면을 분석하여 해당 계획도면에 포함된 실명(510), 치수선, 치수(530) 등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해당 특징 정보들은 자동화 장치(130)에 의해 실내재료마감표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재료마감표 생성을 위해 부가적인 정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에서 추출된 치수(530) 및 치수선을 바탕으로 계획도면 상에 구획된 공간들의 면적을 도출할 수 있고, 계획도면 상의 공간 배치와 구조를 바탕으로 각 공간의 용도를 도출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계획도면 상에 안방과 다용도실 사이에 특정 크기의 빈(즉, 실명이 없는)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공간은 화장실 용도로 사용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자동화 장치(130)는 화장실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 가운데 가장 넓은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거실 용도로 사용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자동화 장치(130)는 거실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동화 장치(130)는 수많은 실내재료마감표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로 구축된 실내재료마감재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 단계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 및 6b는 도 5의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실내재료마감표의 일 구성들을 도시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자동화 장치(130)는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실내재료마감표는 계획도면 상의 포함된 실명 별로 바닥레벨, 바닥, 걸레받이, 천장 및 천장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걸레받이, 벽 및 천장 각각은 세부 정보로서 바탕, 마감, 두께, 높이 및 상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5의 경우 계획도면 상에 안방, 침실, 거실, 주방, 다용도실, 화장실 및 현관이 실명(510)으로 기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자동화 장치(130)는 각 실명(510) 별로 바닥, 걸레받이, 벽, 천장 및 천장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실내재료마감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 항목들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 변경 및 삭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화 장치(130)는 해당 수정 정보를 수집하여 인공지능 모델의 갱신 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장치(130)가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하여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작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 자체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인공지능 모델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계획도면을 입력할 수 있고, 자동화 장치(130)는 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한 결과로 실내재료마감표 자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그대로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자동화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외부 시스템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계획도면 수신부 330: 계획도면 분석부
350: 후보 데이터 추출부 370: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
390: 제어부
510: 실명 530: 치수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하는 계획도면 수신부;
    상기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계획도면 분석부;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후보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하는 실내재료마감표 생성부를 포함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층수, 면적, 용도 및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재료마감표는 상기 실명 별로 바닥레벨, 바닥, 걸레받이, 천장 및 천장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상기 걸레받이, 상기 벽 및 상기 천장 각각은 세부 정보로서 바탕, 마감, 두께, 높이 및 상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도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획도면에 관한 파일을 수신하거나 또는 해당 계획도면 상의 실명 및 치수선에 관한 특징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도면 분석부는
    상기 계획도면이 이미지 파일인 경우 이미지분석을 통해 상기 실명 및 치수선에 관한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학습되어 구축되고 상기 특징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출력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상기 후보 데이터를 자동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값들을 추출하는 후보값 추출 모듈;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후보 값들 간에 비교 규칙을 적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 모듈; 및
    상기 후보 값들 각각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후보 데이터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산출 모듈은
    실명, 면적, 용도 및 구조를 포함하는 속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8. 사용자 단말로부터 건축설계에 관한 계획도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획도면으로부터 실명 및 치수선을 포함하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실내재료마감재료에 관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저장된 값을 추출하는 단계;
    비교 규칙에 따라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특징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값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획도면에 대응되는 실내재료마감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방법.
KR1020200153953A 2020-11-17 2020-11-17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102437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953A KR102437269B1 (ko) 2020-11-17 2020-11-17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953A KR102437269B1 (ko) 2020-11-17 2020-11-17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350A true KR20220067350A (ko) 2022-05-24
KR102437269B1 KR102437269B1 (ko) 2022-08-29

Family

ID=8180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953A KR102437269B1 (ko) 2020-11-17 2020-11-17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2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578A (ja) * 1995-01-04 1996-07-23 Hitachi Ltd 設計支援装置
KR20100005517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두올테크 마감 모델링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9677A (ko) * 2011-03-25 2012-10-09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도면 파일 분석을 통한 마감재 물량 산출 방법
KR20150067983A (ko) 2013-12-11 2015-06-19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건축 설계 도면 중 일람표의 오류 검색을 위한 분석 방법
KR101815034B1 (ko) * 2016-07-22 2018-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82816A (ko) * 2018-12-31 2020-07-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작업항목 도출을 이용하는 건축물량산출장치 및 건축물량산출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578A (ja) * 1995-01-04 1996-07-23 Hitachi Ltd 設計支援装置
KR20100005517A (ko) *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두올테크 마감 모델링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9677A (ko) * 2011-03-25 2012-10-09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도면 파일 분석을 통한 마감재 물량 산출 방법
KR20150067983A (ko) 2013-12-11 2015-06-19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건축 설계 도면 중 일람표의 오류 검색을 위한 분석 방법
KR101815034B1 (ko) * 2016-07-22 2018-01-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82816A (ko) * 2018-12-31 2020-07-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작업항목 도출을 이용하는 건축물량산출장치 및 건축물량산출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269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toluzzi et al. Automating the cre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s for existing buildings
Araszkiewicz Digital technologies in Facility Management–the state of practice and research challenges
EP3084650B1 (en) Project management method providing optimized interaction with digital models
WO2020233307A1 (zh) 任务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232235B (zh) 基于三维模型的关系型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733333B2 (en) Building data consolidation methods and systems
US10817626B2 (en) Design-model management
EP3776283A1 (en) Digital design tools for building construction
EP3996055A1 (en)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extracting floorplan elements from architectural drawings
US108180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rametrically creating an optimal three dimensional building structure
US20160275216A1 (en) Provid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US20140278268A1 (en) Method for mapping elements of a construction project
KR20210107042A (ko)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N113780098A (zh) 文字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926122A (zh) 基于bim技术的预装三维效果图的建筑施工预拼装方法
CN116882038A (zh) 一种基于bim技术的机电施工方法及系统
KR102437269B1 (ko)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7341581B1 (ja) 建築図面作成支援システム
KR101607516B1 (ko) Bim 기반 외부 시설물 관리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882273B (zh) 应用于狭小空间的视觉识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23168193A (ja) 学習モデル
JP2023167502A (ja) 学習モデルの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901051A (zh) 生成WebGL数据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21014557A1 (ja) メッシュ構造設備検出装置、メッシュ構造設備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297652A (zh) 施工图的生成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