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042A -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042A
KR20210107042A KR1020217022188A KR20217022188A KR20210107042A KR 20210107042 A KR20210107042 A KR 20210107042A KR 1020217022188 A KR1020217022188 A KR 1020217022188A KR 20217022188 A KR20217022188 A KR 20217022188A KR 20210107042 A KR20210107042 A KR 20210107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artment
task
work
situation
apartmen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하니
Original Assignee
(주)하니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니소프트 filed Critical (주)하니소프트
Publication of KR2021010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담당직무 식별부,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하는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상기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하는 업무일지 기계학습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업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업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라, 연립, 오피스텔 등의 공동 주택은 다수의 사람들이 거주하기 때문에 다양한 민원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과 관련된 민원은 생활 관련 다양한 문의나 불편사항 등의 민원, 시설 점검 또는 수리 요청, 각종 신고 및 예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민원이 발생하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민원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관리에 있어서 업무 수행자들이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은 현재까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공동주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건물안전관리를 포함하여 공동주택 시설 및 설비, 조경, 환경미화, 보안 등의 다양한 관리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36965(2000.07.05)호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공동 주택 단지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 회원들 즉, 공동 주택 단지의 거주자들의 대내외적 업무 및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공동 관리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공동 주택 단지의 거주자들에게 부과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공동 주택 단지의 거주자들의 공동체적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022(2000.02.15)호는 공공주택의 컴퓨터 종합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공주택단지내의 컴퓨터 공동 통신망을 허브 및 라우터들로 구축하고 이를 서버컴퓨터와 연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 접속된 가정 및 상가와 관리 사무실의 컴퓨터들은 인터넷 접속은 물론 공공주택 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컴퓨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36965(2000.07.0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022(2000.02.1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동주택 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업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업무 수행자들이 작성하는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생성된 업무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업무 수행을 가이드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업무일지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업무 연관 키워드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이용하여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담당직무 식별부,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하는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상기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하는 업무일지 기계학습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업무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는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저장 과정에서 해당 공동주택 상황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에서 해당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키워드를 추정하고 해당 공동주택 상황에서 상기 해당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특정 기준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되는 N 개(상기 N은 자연수)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비정규성 이벤트와 해당 공동주택 비정규성 업무내용을 별도로 기계학습하여 비정규성 업무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상기 비정규성 이벤트를 제외한 정규성 이벤트에 따른 상기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 각각과 연관된 업무내용을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담당직무 식별부는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접속 요청 수신 모듈,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요청 승인 모듈 및 상기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하는 담당직무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는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결정 모듈, 상기 현재 시점에서의 날씨를 결정하는 날씨 결정 모듈,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 모듈 및 상기 날짜와 시간, 날씨 및 이벤트를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으로서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가이드부는 상기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로부터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신하는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 및 상기 업무 장소 및 상기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방법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상기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하는 단계,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는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점에서의 날씨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날짜와 시간, 날씨 및 이벤트를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로부터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 장소 및 상기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업무 수행자들이 작성하는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생성된 업무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업무 수행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은 업무일지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업무 연관 키워드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이용하여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의 구성별 세부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에 있는 담당직무 식별부에서 수행되는 담당직무 식별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에 있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에서 수행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4에 있는 업무 가이드부에서 수행되는 업무 가이드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시스템(100)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은 공동주택의 업무수행자가 사용하고 공동주택의 관리를 위하여 업무수행에 관한 업무일지 작성 및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은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들은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공동주택의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에 관하여 각 업무수행자에게 수행할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 및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 및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공동주택에 관한 각종 업무들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 및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 들과의 통신을 통해 공동주택의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업무의 수행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 및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로부터 수신한 각종 업무 일지들을 저장할 수 있고, 공동주택의 상황 및 업무처리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업무 수행의 지원 및 관리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은 공동주택 관련 업무일지를 확인하고 이에 관한 승인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은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들은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과 동일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각 단말의 사용자에 따라 상호 간의 역할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에서 공동주택에 관한 다양한 업무들의 자동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의된 각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담당직무 식별부(310),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340), 업무 가이드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담당직무 식별부(310)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할 수 있다. 공동주택에 관한 관리 업무는 매우 다양할 수 있고, 각 업무의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관리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업무수행자의 경우 담당하는 업무의 유형에 따라 담당직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는 시설, 보안, 환경미화, 일반행정, 조경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동주택 관리를 위한 조직의 규모, 공동주택의 유형과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담당직무 식별부(310)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접속 요청 수신 모듈,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요청 승인 모듈 및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경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하는 담당직무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는 업무일지 저장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할 수 있고,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로부터 업무일지 작성 완료를 확인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로부터 해당 업무일지에 관한 전자 결제 처리를 확인함으로써 최종 처리가 완료된 업무일지에 대해 담당직무별로 독립적으로 구현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데이터베이스(150)로서 동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는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저장 과정에서 해당 공동주택 상황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은 해당 시점의 날짜, 시간, 날씨,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벤트는 공동주택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사건으로서 입주민의 전입 또는 전출, 특정 세대의 내부 공사 또는 경조사 발생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는 공동주택에서의 거주 과정 또는 공동주택에 관한 관리 과정에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발생하는 정규성 이벤트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비정규성 이벤트로 분류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 모듈은 공동주택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업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업무 단위에 해당할 수 있고,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담당직무별로 분류된 업무일지의 내용을 각각 학습하고 학습 내용을 기초로 각 담당직무에 대해 공동주택 상황을 반영하여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업무내용으로 분류하며 각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에 관한 업무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에서 해당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키워드를 추정하고 해당 공동주택 상황에서 해당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업무 연관 키워드는 특정 업무에 관해 자주 사용하는 키워드에 해당할 수 있고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에 관한 학습의 결과로서 사전에 생성되어 활용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에 학습 결과로서의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해당 업무일지로부터 업무 연관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공동주택 상황 정보로부터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은 공동주택 상황을 구성하는 다양한 상황변수들 중에서 특정 업무와 연관된 상황변수들로 구성된 공동주택 상황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 상황 정보가 현재 날짜, 시각, 날씨, 이벤트 등으로 구성된 경우 '실외청소' 업무의 경우 날씨가 중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이 날짜, 시각, 날씨로 구성될 수 있고, '가스점검' 업무의 경우 이사를 진행하는 세대는 점검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이 날짜, 시각, 이벤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특정 기준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되는 N 개(상기 N은 자연수)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에서 추출한 업무 연관 키워드와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학습할 수 있고, 학습의 결과로서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 연관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 대한 업무 연관 키워드는 미리 설정된 N개로 제한될 수 있다. 특정 기준은 업무 연관 키워드의 출현 빈도로서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확률이 높은 업무 연관 키워드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 횟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비정규성 이벤트와 해당 공동주택 비정규성 업무내용을 별도로 기계학습하여 비정규성 업무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비정규성 이벤트는 정규성 이벤트에 반대되는 이벤트로서 공동주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들 중에서 일정한 규칙성이 존재하지 않는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세대의 화재 발생, 경조사 발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정규성 업무 모듈은 공동주택에 관한 비정규성 업무내용을 담고 있는 업무 단위에 해당할 수 있고,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실제 발생했던 비정규성 이벤트와 해당 이벤트와 연관되어 수행한 공동주택 비정규성 업무내용을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에 관한 학습과는 별도의 학습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비정규성 이벤트를 제외한 정규성 이벤트에 따른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기계학습하여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초로 비정규성 이벤트를 제외한 정규성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고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발생되는 정규성 이벤트와 연관성 높은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생성하여 기계학습함으로써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을 학습 결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 각각과 연관된 업무내용을 결정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는 업무 연관 키워드별로 연관 업무내용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업무내용을 기초로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업무 모듈은 연관된 업무 연관 키워드와 함께 업무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340)는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은 현재 시점의 공동주택에 관한 정보로서 다양한 상황 변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황 변수는 상황에 관한 항목으로서 공동주택 관리를 위해 필요한 날짜, 시각, 날씨, 이벤트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 상황은 (날짜, 시각, 날씨, 위치, 이벤트)와 같이 벡터로 표현될 수 있고, 공동주택 상황을 구성하는 각 상황 변수들은 수치화되어 표현되거나 등급 또는 레벨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340)는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결정 모듈, 현재 시점에서의 날씨를 결정하는 날씨 결정 모듈,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 모듈 및 날짜와 시간, 날씨 및 이벤트를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으로서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7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업무 가이드부(350)는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은 공동주택 관리를 위한 업무에 관한 업무 내용을 포함하는 업무 모듈로서 공동주택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업무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업무 가이드부(350)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체크리스트를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업무 수행자는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을 통해 업무 체크리스트에 따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 가이드부(350)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로부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신하는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 및 업무 장소 및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8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60)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담당직무 식별부(310),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340) 및 업무 가이드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의 구성별 세부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담당직무 식별부(41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 및 업무 가이드부(4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담당직무 식별부(410)는 접속 요청 수신 모듈(411), 접속 요청 승인 모듈(413) 및 담당직무 결정 모듈(415)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접속 요청 수신 모듈(411)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요청 수신 모듈(411)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로부터 접속 요청과 함께 해당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접속 요청 승인 모듈(413)에 제공할 수 있다.
접속 요청 승인 모듈(413)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접속 요청 승인 모듈(413)은 접속 요청 수신 모듈(411)로부터 해당 단말의 기기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해당 단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 승인을 결정할 수 있으며, 승인이 완료되면 담당직무 결정 모듈(415)에 승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담당직무 결정 모듈(415)은 접속 요청 승인 모듈(413)로부터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것으로 확인되면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할 수 있다.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등록 정보와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고, 담당직무 결정 모듈(415)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등록 정보 확인 및 담당직무 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는 시점 결정 모듈(431), 날씨 결정 모듈(433), 이벤트 검출 모듈(435) 및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시점 결정 모듈(431)은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접속 요청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의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시점 결정 모듈(431)은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의 시스템 시계를 통해 현재의 날짜와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날씨 결정 모듈(433), 이벤트 검출 모듈(435) 및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에 현재 시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날씨 결정 모듈(433)은 시점 결정 모듈(431)로부터 수신한 현재 시점을 기초로 날씨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날씨 결정 모듈(433)은 외부 시스템과 연결되어 날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최종 날씨를 결정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에 현재 날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 모듈(435)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 모듈(435)은 시점 결정 모듈(431)로부터 수신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예를 들어, 1시간 전후로 결정되는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 모듈(435)은 데이터베이스(150)와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이벤트 정보를 기초로 해당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저장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은 시점 결정 모듈(431), 날씨 결정 모듈(433) 및 이벤트 검출 모듈(435)로부터 각각 제공받은 현재의 날짜, 시각, 날씨 및 이벤트를 기초로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은 날짜, 시각, 날씨 및 이벤트를 성분으로 하여 생성되는 벡터로서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업무 가이드부(450)는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451),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453),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455) 및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457)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451)은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로부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451)은 공동주택 상황에 관한 형식적 오류를 확인한 후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453)에 제공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453)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453)은 학습 결과를 활용하여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적합한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453)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서 필요한 업무 연관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고, 업무 연관 키워드에 매칭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455)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455)은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로부터 업무내용을 구성하는 구체적 항목들을 추출하고 이를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457)에 제공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457)은 업무 장소 및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457)은 업무 장소 및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경로가 최적화되도록 업무 수행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457)은 업무 수행 순서에 따라 업무내용을 정렬할 수 있고, 업무내용별 체크 항목을 추가하여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업무 체크리스트를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담당직무 식별부(310)를 통해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할 수 있다(단계 S510).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320)를 통해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170)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S530).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업무일지 기계학습부(330)를 통해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을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550).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340)를 통해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70).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130)는 업무 가이드부(350)를 통해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할 수 있다(단계 S590).
도 6은 도 4에 있는 담당직무 식별부에서 수행되는 담당직무 식별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담당직무 식별부(410)는 접속 요청 수신 모듈(411)을 통해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610). 담당직무 식별부(410)는 접속 요청 승인 모듈(413)을 통해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630). 담당직무 식별부(410)는 담당직무 결정 모듈(415)을 통해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경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110)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650).
도 7은 도 4에 있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에서 수행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는 시점 결정 모듈(431)을 통해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71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는 날씨 결정 모듈(433)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날씨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73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는 이벤트 검출 모듈(435)을 통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75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437)을 통해 날짜와 시간, 날씨 및 이벤트를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단계 S770).
도 8은 도 4에 있는 업무 가이드부에서 수행되는 업무 가이드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업무 가이드부(450)는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451)을 통해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430)로부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할 수 있다(단계 S810). 업무 가이드부(450)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453)을 통해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830). 업무 가이드부(450)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455)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단계 S850). 업무 가이드부(450)는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457)을 통해 업무 장소 및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8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시스템
110: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
130: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담당직무 식별부 320: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
330: 업무일지 기계학습부 34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
350: 업무 가이드부 360: 제어부
410: 담당직무 식별부 430: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
450: 업무 가이드부 411: 접속 요청 수신 모듈
413: 접속 요청 승인 모듈 415: 담당직무 결정 모듈
431: 시점 결정 모듈 433: 날씨 결정 모듈
435: 이벤트 검출 모듈 437: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
451: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 453: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
455: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
457: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

Claims (14)

  1.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담당직무 식별부;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하는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상기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으로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하는 업무일지 기계학습부;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업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일지 레포지토리부는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저장 과정에서 해당 공동주택 상황을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에서 해당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키워드를 추정하고 해당 공동주택 상황에서 상기 해당 담당직무와 연관된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특정 기준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되는 N 개(상기 N은 자연수)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비정규성 이벤트와 해당 공동주택 비정규성 업무내용을 별도로 기계학습하여 비정규성 업무 모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업무 연관 공동주택 상황에서 상기 비정규성 이벤트를 제외한 정규성 이벤트에 따른 상기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일지 기계학습부는
    상기 N 개의 업무 연관 키워드 각각과 연관된 업무내용을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직무 식별부는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접속 요청 수신 모듈;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요청 승인 모듈; 및
    상기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하는 담당직무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는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하는 시점 결정 모듈;
    상기 현재 시점에서의 날씨를 결정하는 날씨 결정 모듈;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 모듈; 및
    상기 날짜와 시간, 날씨 및 이벤트를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으로서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가이드부는
    상기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로부터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신하는 공동주택 상황 수신 모듈;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결정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하는 공동주택 상황 업무 분석 모듈; 및
    상기 업무 장소 및 상기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체크리스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11.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을 통한 접속 요청이 승인되면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성되고 공동주택 업무관리 단말을 통해 전자 결제 방식으로 확인된 담당직무별 업무일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담당직무별 업무일지의 내용을 기계학습하여 상기 담당직무를 공동주택 상황별 업무내용을 분류하여 복수의 업무 모듈들을 생성하는 단계;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업무 모듈들 중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여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에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직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기기 정보를 식별한 후 해당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에 따라 상기 접속 요청에 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공동주택 업무수행 단말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무수행자의 담당직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 상황을 결정하는 단계는
    날짜와 시간으로 구성된 현재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점에서의 날씨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구간 내에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날짜와 시간, 날씨 및 이벤트를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체크리스트로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주택 상황 결정부로부터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의 공동주택 상황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주택 상황 업무 모듈을 기초로 업무 내용, 업무 장소, 예상 시간 및 업무 체크 내용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업무 장소 및 상기 예상 시간을 기초로 업무 수행 순서와 업무 수행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업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방법.
KR1020217022188A 2018-12-14 2018-12-14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210107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5910 WO2020122291A1 (ko) 2018-12-14 2018-12-14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042A true KR20210107042A (ko) 2021-08-31

Family

ID=7107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188A KR20210107042A (ko) 2018-12-14 2018-12-14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7042A (ko)
WO (1) WO20201222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928B1 (ko) * 2021-11-22 2022-06-23 주식회사 싸리비 중소형 공동주택 관리 대행 방법 및 시스템
KR102511561B1 (ko) *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인공지능 기반 시설관리를 위한 인력 파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2687B1 (ko) * 2022-06-24 2023-03-22 주식회사 홈이너스 공동주택 안전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1519A (zh) * 2020-11-20 2021-02-19 北京云族佳科技有限公司 一种工作日志的处理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022A (ko) 1998-07-21 2000-02-15 조영선 공공주택의 컴퓨터 종합정보시스템
KR20000036965A (ko) 2000-04-03 2000-07-05 고진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공동 주택 단지를 관리하는방법 및 그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920B1 (ko) * 2011-06-08 2012-08-07 구기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축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39594B1 (ko) * 2012-05-07 2013-12-10 (주) 신성비엠씨 엔에프씨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50125787A (ko) * 2014-04-30 2015-11-10 와이드브릿지 주식회사 아파트 하자 관리 방법, 아파트 하자 관리 장치 및 아파트 하자 관리 시스템
JP6743657B2 (ja) * 2016-11-04 2020-08-19 横河電機株式会社 巡回点検システム、巡回点検装置、巡回点検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80918B1 (ko) * 2017-04-17 2017-09-21 주식회사 맥서브 건물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022A (ko) 1998-07-21 2000-02-15 조영선 공공주택의 컴퓨터 종합정보시스템
KR20000036965A (ko) 2000-04-03 2000-07-05 고진수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공동 주택 단지를 관리하는방법 및 그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928B1 (ko) * 2021-11-22 2022-06-23 주식회사 싸리비 중소형 공동주택 관리 대행 방법 및 시스템
KR102512687B1 (ko) * 2022-06-24 2023-03-22 주식회사 홈이너스 공동주택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11561B1 (ko) * 2022-12-22 2023-03-17 (주)삼오관리 인공지능 기반 시설관리를 위한 인력 파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291A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892B2 (en) Object based energy usage and tracking
KR20210107042A (ko) 인공지능 기반의 공동주택 관리업무지시 자동화 장치 및 방법
US20120179727A1 (en) Interactive home manual with networked database
US10296859B1 (en) Workflow discovery through user action monitoring
US10742441B2 (en) Unifi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EP3815342B1 (en) Adaptive user-interface assembling and rendering
EP3378017A1 (en) Automatic extraction of tasks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s
WO2014061229A1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KR20150125787A (ko) 아파트 하자 관리 방법, 아파트 하자 관리 장치 및 아파트 하자 관리 시스템
WO2016205152A1 (en) Project management with critical path scheduling and releasing of resources
KR102548980B1 (ko) 순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90112704A1 (en) Management tool for efficient allocation of skills and resources
JP2012059253A (ja) 住宅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WO2014054231A1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US20160203425A1 (en) Supply Chain Risk Mitigation System
KR102437269B1 (ko)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N114546425A (zh) 模型部署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002022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utomated predictive analysis
CN108897593B (zh) 一种功能展示方法和装置
US20150206076A1 (en) Cloud based energy portfolio builder to build and manage energy and utilities for geographically distributed buildings
US8655991B2 (en) Automated rapid registration of applications
KR102519349B1 (ko) 결제 고도화 기반의 하우스케어 중개 장치 및 방법
KR102519348B1 (ko) 서비스 문의 관리 기반의 하우스케어 중개 장치 및 방법
KR100514082B1 (ko) 로그 정보 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
Goh Android-based smart energy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