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619A -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619A
KR20220066619A KR1020200152853A KR20200152853A KR20220066619A KR 20220066619 A KR20220066619 A KR 20220066619A KR 1020200152853 A KR1020200152853 A KR 1020200152853A KR 20200152853 A KR20200152853 A KR 20200152853A KR 20220066619 A KR20220066619 A KR 2022006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lock
engine rpm
operation signal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동찬
허수경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15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6619A/ko
Priority to DE102021212814.9A priority patent/DE102021212814A1/de
Priority to CN202111353468.5A priority patent/CN114508149B/zh
Publication of KR2022006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1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 F02D41/022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in relation with the gear ratio or shift leve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96Throttle control device with stops for limiting throttle opening or closing beyond a certain position during certain periods o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2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은 S1)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 상태에 위치하는 단계; S2) 상기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S3) 상기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단계; S4) 상기S3)단계 이후에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S5)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controlling throttle lock in a wheel loa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편리하게 rpm을 고정시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기계는 하부주행체에 상부선회체가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선회체의 프론트 작업 장치는 통상적으로 붐(boom), 아암(arm), 및 버켓(bucket) 등으로 구성되며, 건설기계의 작업은 붐, 아암 및 버켓 등과 같은 작업 장치를 유압 실린더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캐빈으로 불리는 상부 선회체의 운전석에는 하부 주행체의 전후진 주행을 조작하는 주행레버와, 상부 선회체를 조작하는 조이스틱이 구비되고, 이 조이스틱에는 일반적으로 운전석 좌측에 구비되어 상부 선회체를 좌우로 선회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과, 운전석 우측에 구비되어 붐, 아암, 및 버켓으로 구성되는 프론트 작업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건설기계의 대표적인 휠로더에는 운전석에 스로틀 락 업다운(Throttle lock up/down)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스로틀 락 업다운 버튼을 눌러 운전시 원하는 rpm을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휠로더에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rpm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스로틀 락 업다운 버튼을 수 차례 눌러 고정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휠로더에서 운전자가 쉽게 rpm을 고정하여 일정 속도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은 S1)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 상태에 위치하는 단계; S2) 상기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 상태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S3) 상기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단계; S4) S3)단계 이후에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S5)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6-1) 상기 S5) 단계 이후에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6-2) 상기 S6-1) 단계 이후에 상기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60)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6-3) 상기 S6-1) 단계 이후에 상기 가속페달 (Accel Pedal)의 동작이 끝나게 되면 설정된 엔진 RPM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7) 상기 S5) 단계 이후에 상기 전후진레버가 중립 상태에 위치하면 스로틀 락이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은 변속기의 전진/중립/후진 상태를 선택하는 전후진 레버; 상기 전후진 레버로부터 전후진 신호 및 가속페달로부터 엔진 RPM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변속제어부; 스로틀 락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상기 변속제어부에 송신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변속제어부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 및 엔진 RPM변경신호를 수신하여 엔진 RPM을 고정 및 변경하는 엔진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이 변경되고,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은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면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은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한 후 상기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휠로더에서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rpm을 고정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를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은 변속기의 전진/중립/후진 상태를 선택하는 전후진 레버(30); 상기 전후진 레버(30)로부터 전후진 신호 및 가속페달(50)로부터 엔진 RPM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변속제어부(40); 스로틀 락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0); 상기 키패드(10)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해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로틀 락 동작/해제신호를 상기 변속제어부(40)에 송신하는 차량제어부(20); 및 상기 변속제어부(40)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 및 엔진 RPM변경신호를 수신하여 엔진 RPM을 고정 및 변경하는 엔진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에서는 전후진레버(30)가 전진 또는 후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속페달(50)이 동작되어 엔진 RPM이 변경되고,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엔진제어부(60)를 통해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에서는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50)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면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에서는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한 후 키패드(10)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60)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을 통해 제어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휠로더에 탑승하여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조작하면 전후진 레버(30)(FNR LEVER)로부터 전후진 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 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수신된다.
전후진 레버(30)(FNR LEVER)는 휠로더의 운전석에 구비되어 변속기의 전진(Forward)/중립(Neutral)/후진(Reverse) 상태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조작하여 변속기의 전진/중립/후진 상태를 선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운전자가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조작하여 전진 또는 후진상태로 되면 전후진 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 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수신되고, 변속제어부(40)(TCU)에서는 수신된 전후진 신호에 따라 장비의 전진/중립/후진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속제어부(40)(TCU)에서의 제어에 의해 장비가 전진 또는 후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게 되면 가속페달(50)로부터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변속제어부(40)(TCU)가 가속페달(50)로부터 엔진 RPM변경신호를 받게 되고, 변속제어부(40)(TCU)를 거쳐 엔진제어부(60)(ECU)는 수신된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제어부(20)(VCU; Vehicle Control Unit)를 통해 스로틀 락(Throttle lock) 동작신호를 변속제어부(40)(TCU)가 받게 되면 엔진제어부(60)(ECU)는 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한다.
스로틀 락 동작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구비된 키패드(10)에서 스로틀 락 버튼을 눌러 수행되고 키패드(10)에 입력된 스로틀 락 동작/해제신호는 차량제어부(20)(VCU)에 수신되며, 차량제어부(20)(VCU)로부터 다시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에 수신되면 변속제어부(40)(TCU)는 엔진제어부(60)(ECU)를 통해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변속제어부(40)(TCU)가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여 스로틀 락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게 되면 우선순위는 가속페달(50)이 가져가게 된다. 즉, 스로틀 락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게 되면 가속페달(50)로부터 변속제어부(40)(TCU)가 엔진 RPM변경신호를 받게 되고, 변속제어부(40)(TCU)를 거쳐 엔진제어부(60)(ECU)는 수신된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게 된다.
그리고, 가속페달(50)(Accel Pedal) 동작이 끝나게 되면 설정된 엔진 RPM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스로틀 락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아 상기와 같이 엔진 RPM이 변경된 상태에서 다시 운전자가 키패드(10)에서 스로틀 락 버튼을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차량제어부(20)(VCU)를 거쳐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에 수신되고, 변속제어부(40)(TCU)를 거쳐 엔진제어부(60)(ECU)는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게 된다. 즉, 변경된 엔진 RPM으로 고정이 된다.
그리고, 스로틀 락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조작하여 중립 상태를 선택하면, 전후진 레버(30)(FNR LEVER)로부터 중립 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 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수신되는데, 이 경우에는 스로틀 락이 해제되고, 다시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전후진으로 선택하더라도 설정된 엔진 RPM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도2는 본 발명에서 스로틀 락 제어 로직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후진 레버(30)(FNR LEVER)가 전진 또는 후진상태인지 판단한다(S100). 전후진 레버(30)(FNR LEVER)는 변속기의 전진(Forward)/중립(Neutral)/후진(Reverse) 상태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조작하여 전진 또는 후진상태로 되면 전후진 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 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수신되고, 변속제어부(40)(TCU)에서는 수신된 전후진 신호에 따라 장비의 전진/중립/후진을 제어하게 된다.
전후진 레버(30)(FNR LEVER)가 전진 또는 후진상태에 있는 경우 그 다음 가속페달(50)로부터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가속페달(50)에서 엔진 RPM변경신호의 발생은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으면 발생되고, 이와 같이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아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되면 가속페달(50)로부터 변속제어부(40)(TCU)가 엔진 RPM변경신호를 받게 되고, 변속제어부(40)(TCU)를 거쳐 엔진제어부(60)(ECU)는 수신된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게 된다.
엔진 RPM이 변경된 다음 키패드(10)로부터 스로틀 락 활성화여부를 판단한다(S300). 스로틀 락 활성화는 운전자가 키패드(10)에서 스로틀 락 버튼을 눌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로틀 락 버튼을 누르면 차량제어부(20)(VCU)를 거쳐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에 수신되고, 변속제어부(40)(TCU)를 거쳐 엔진제어부(60)(ECU)가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스로틀 락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50)(Accel Pedal)을 밟으면 엔진 RPM이 다시 변경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운전자가 키패드(10)에서 스로틀 락 버튼을 누르면(S400 스로틀 락 활성화), 변경된 엔진 RPM으로 고정이 된다.
한편, S500은 스로틀 락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조작하여 중립 상태를 선택한 경우로서 이 경우, 전후진 레버(30)(FNR LEVER)로부터 중립 신호가 변속제어부(40)(TCU, 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수신되면 스로틀 락이 해제되고, 다시 전후진 레버(30)(FNR LEVER)를 전후진으로 선택하더라도 설정된 엔진 RPM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휠로더에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rpm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스로틀 락 업다운 버튼을 수 차례 눌러 고정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휠로더에서 운전자가 쉽게 rpm을 고정하여 일정 속도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키패드 20 : 차량제어부
30 : 전후진레버 40 : 변속제어부
50 : 가속페달 60 : 엔진제어부

Claims (8)

  1. S1)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 상태에 위치하는 단계;
    S2) 상기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S3) 상기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단계;
    S4) 상기 S3)단계 이후에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S5)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S6-1) 상기 S5) 단계 이후에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S6-2) 상기 S6-1) 단계 이후에 상기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S6-3) 상기 S6-1) 단계 이후에 상기 가속페달의 동작이 끝나게 되면 설정된 엔진 RPM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S7) 상기 S5) 단계 이후에 상기 전후진레버가 중립 상태에 위치하면 스로틀 락이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방법.
  6. 변속기의 전진/중립/후진 상태를 선택하는 전후진 레버;
    상기 전후진 레버로부터 전후진 신호 및 가속페달로부터 엔진 RPM변경신호를 수신하는 변속제어부;
    스로틀 락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상기 변속제어부에 송신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변속제어부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 및 엔진 RPM변경신호를 수신하여 엔진 RPM을 고정 및 변경하는 엔진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후진레버가 전진 또는 후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이 변경되고,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이 동작되어 엔진 RPM변경신호가 발생하면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스로틀 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엔진 RPM변경신호에 따라 엔진 RPM을 변경한 후 상기 키패드로부터 스로틀 락 동작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의 발생에 따라 상기 엔진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로틀 락 동작신호를 받는 시점의 엔진 RPM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KR1020200152853A 2020-11-16 2020-11-16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6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53A KR20220066619A (ko) 2020-11-16 2020-11-16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E102021212814.9A DE102021212814A1 (de) 2020-11-16 2021-11-15 System zum Steuern einer Drosselsperre in einem Radlader sowie Verfahren zum Steuern derselben
CN202111353468.5A CN114508149B (zh) 2020-11-16 2021-11-16 轮式装载机中的油门锁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53A KR20220066619A (ko) 2020-11-16 2020-11-16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619A true KR20220066619A (ko) 2022-05-24

Family

ID=8134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853A KR20220066619A (ko) 2020-11-16 2020-11-16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66619A (ko)
CN (1) CN114508149B (ko)
DE (1) DE1020212128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87700Y (zh) * 2002-12-18 2003-11-26 邵伟 汽车恒速行驶控制装置
DE102011010069A1 (de) * 2011-02-01 2012-08-02 Andreas Stihl Ag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Drehzahlbegrenzung eines Verbrennungsmotors
US9096211B2 (en) * 2012-03-14 2015-08-04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having powertrain lock
US9002595B2 (en) * 2012-11-01 2015-04-07 Caterpillar Inc. Torque and speed control in a machin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50336580A1 (en) * 2013-01-07 2015-11-26 Catrepillar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Enabling a Constant Speed Drive System, Engine Unit Comprising such a Controller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n Engine Unit
CN104553798B (zh) * 2014-11-25 2017-04-1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手动变速箱汽车的巡航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114508B (zh) * 2016-07-05 2018-06-29 徐州徐工筑路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定速巡航功能的平地机控制系统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08149A (zh) 2022-05-17
CN114508149B (zh) 2023-10-20
DE102021212814A1 (de)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5522B2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S604469A (ja) 履帯式トラクタの制御装置
EP2116435A1 (en)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US9133604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
KR20150056992A (ko) 차량의 변속 장치
US8948983B2 (en) Working machine with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WO2018159211A1 (ja) 作業車両および制御方法
DE112011104656T5 (de) System und Verfahren zur Maschinensteuerung mit Ratenbegrenzung
KR20220066619A (ko) 휠로더에서 스로틀 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383921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4448777B2 (ja) 静油圧式変速車両および静油圧式変速機のコントローラ
JP2010163946A (ja) 作業車両の原動機制御装置
JP5113921B2 (ja) ホイールローダ
EP1304511A1 (en) Control method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n engine-driven vehicle
JP5973326B2 (ja) 作業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H0882363A (ja) 作業用車両の変速操作装置
JPH11324026A (ja) 建設機械における操作子とアクチュエータ組合せ変更装置および作業モード変更装置
JPH08121205A (ja) 油圧式建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EP3421845B1 (en) Work vehicle
JP2010285970A (ja) 作業機械のガバナ調整制御装置
CN113874266B (zh) 作业车辆以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JPH08253047A (ja) 作業用車両の変速装置
JP2006077427A (ja) ホイール式油圧ショベル
KR20230170572A (ko) 농용 트랙터
JP4989501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