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172A -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172A
KR20220066172A KR1020227015188A KR20227015188A KR20220066172A KR 20220066172 A KR20220066172 A KR 20220066172A KR 1020227015188 A KR1020227015188 A KR 1020227015188A KR 20227015188 A KR20227015188 A KR 20227015188A KR 20220066172 A KR20220066172 A KR 2022006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sub
pix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 장
얀친 송
촨지 쑤
시밍 후
젠젠 한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6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01L27/32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27
    • H01L27/3234
    • H01L27/3258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원은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 패널은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천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투광율은 제2 표시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서브 표시 화소와 제2 서브 표시 화소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 및 제1 표시 영역에서 제1 서브 표시 화소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차단 블록;을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는,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감광 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표시 패널의 표시시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본원은 2020년 4월 17일에 제출된 발명의 명칭이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307757.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원의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본원은 표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스크린 점유율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전자 기기의 풀 스크린 표시가 업계에서 점점 더 많이 주목받고 있다.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 기기는 전면 카메라, 수화기, 적외선 감지 소자 등을 집적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응한 영역의 광선 투과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리하여, 점점 더 많은 제조업체는 표시 패널의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와 대응되는 영역의 구조를 개선하여 어느 정도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감광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지만, 표시 패널에는 불균일한 표시의 결함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표시 패널과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본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여,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감광 수요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표시 패널의 표시 시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바,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천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투광율은 제2 표시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며, 여기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서브 표시 화소와 제2 서브 표시 화소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 및 제1 표시 영역에서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 블록;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의 실시예는 전술한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실시예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천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투광율은 제2 표시 영역의 투광율보다 크며, 사용시에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를 제1 표시 영역의 하측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표시 패널의 풀 스크린 표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표시 영역이 보다 높은 투광율을 가지므로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감광 수요를 보장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이 제1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 차단 블록 및 천이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 및 제1 화소 구동 회로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 및 천이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의 구동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차단 블록의 배치를 통해, 제1 표시 영역에서의 도형 분포 상황과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의 도형 분포 상황을 더욱 근접시킬 수 있으며, 천이 표시 영역의 제1 표시 영역과 근접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의 도형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기에, 표시 패널의 표시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장점 및 기술적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원 표시 패널의 일 실시예의 구조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Q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M-M 에 따른 구조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원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원 표시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원 표시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원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W-W 에 따른 부분 구조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은 실제 축척으로 그려지지 않았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각 양태의 특징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 수단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점은, 여기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는 본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원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 있어서, 본원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중 일부 세부사항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본원의 예시를 도시함으로써 본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바는,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관련 용어는 하나의 엔티티 또는 조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조작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이러한 엔티티 또는 조작 사이에 어떠한 실제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할 것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함”, “구비”, “가짐”이라는 용어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의도하는 것이기에,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한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를 포함”이라는 문구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상술한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점은, 부재의 구조를 설명할 때, 한 층 또는 하나의 영역이 다른 층 또는 다른 영역의 “상면” 또는 “상측”에 위치한다고 기재되는 경우, 다른 층 또는 다른 영역의 상면에 직접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거나, 또는, 다른 층 또는 다른 영역과의 사이에 다른 층 또는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다. 또한, 부품이 반전되면, 한 층 또는 하나의 영역은 다른 층 또는 다른 영역의 “하면” 또는 “하측”에 위치한다.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 기기에서,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일측에 전면 카메라, 적외선 센서, 근접 광 센서 등 감광 부품을 집적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술한 전자 기기에 투명 표시 영역을 배치하고, 감광 어셈블리를 투명 표시 영역의 후면에 배치할 수 있으며, 감광 어셈블리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상황 하에서, 전자 기기의 풀 스크린 표시를 구현한다.
투명 표시 영역의 배선수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명 표시 영역의 화소 구동 회로를 투명 표시 영역 주변의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하지만, 투명 표시 영역의 화소 구조 또는 배선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표시 패널의 공정 제조에 엣지 효과가 나타나고, 주로, 천이 표시 영역의 투명 표시 영역 엣지에 근접하는 화소 구동 회로의 도형 및 특성과 다른 영역의 구동 회로의 도형 및 특성 사이에는 차이가 있어, 불균일한 표시를 초래한다.
따라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원 실시예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1)을 제공하는 바, 상기 표시 패널(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은 제1 표시 영역(AA1), 제2 표시 영역(AA3)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3) 사이에 위치하는 천이 표시 영역(AA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은 제2 표시 영역(AA3)의 투광율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은 15% 이상이거나, 또는 심지어 40%를 초과하거나, 또는 더욱 높은 투광율을 갖는다. 따라서, 본원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의 각 기능 필름층의 투광율은 모두 80%보다 크고, 또한 적어도 일부 기능 필름층의 투광율은 모두 90%보다 크다.
본원 실시예의 표시 패널(1)에 따르면,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은 제2 표시 영역(AA3)의 투광율보다 크므로, 표시 패널(1)은 제1 표시 영역(AA1)의 후면에 감광 어셈블리를 집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감광 어셈블리(2)의 언더 스크린 집적을 구현함과 동시에, 제1 표시 영역(AA1)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 표시 패널(1)의 표시 면적을 향상시켜, 표시 장치의 풀 스크린 설계를 구현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표시 패널(1)은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 복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30) 및 복수의 차단 블록(40)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는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는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30)는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되고, 또한 제1 서브 표시 화소(10) 및 제2 서브 표시 화소(20)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며, 복수의 차단 블록(40)은 제1 표시 영역(AA1)에서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제1 화소 구동 회로(30)를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하고 또한 제1 서브 표시 화소(10) 및 제2 서브 표시 화소(20)를 제어하는 데 사용함으로써, 제1 서브 표시 화소(10) 및 제2 서브 표시 화소(20)의 표시 기능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AA1) 내의 배선을 감소시키고,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을 향상시켜,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언더 스크린 집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AA1)에 배치되는 차단 블록(40)에 의해, 제1 표시 영역(AA1)에서의 도형 분포 상황 또는 디바이스의 도형 분포 상황과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분포 상황을 더욱 근접시키고,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1 표시 영역(AA1)과 근접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균일성을 개선하며, 나아가 표시 패널(1)의 표시 균일성을 개선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의 복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30)는 제1 밀도로 분포되고, 복수의 차단 블록(40)은 제2 밀도로 분포되며, 제1 밀도는 제2 밀도 이상이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천이 표시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분포 도형 밀도와 다른 영역 특히 제1 표시 영역(AA1)에서의 도형 밀도를 일치하는 경향이 있도록 보장하여,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분포 균일성을 개선하여 표시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천이 표시 영역(AA2)의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 제1 서브 표시 화소(10)에 각각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차단 블록(40)이 배치된다.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10)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를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하고,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1 표시 영역(AA1)과 근접하는 엣지 위치에 엣지 효과가 발생하기 쉽기에,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 제1 서브 표시 화소(10)에 각각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차단 블록(40)을 배치함으로써, 천이 표시 영역(AA2) 중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분포 도형과 인접하는 영역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나아가 천이 표시 영역(AA2)에 나타나는 엣지 효과를 최적화하여, 표시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 제1 서브 표시 화소(10)에서의 “인접하여 배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의 일측에 직접 배치되고 또한 중간에 다른 서브 화소가 없는 모든 제1 서브 표시 화소(10)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점선 프레임 내의 1열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에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고 또한 중간에 다른 서브 화소가 없으며, 상기 열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는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블록(40)이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또한, 도면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 2에서,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와 천이 표시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연결을 통해 예시한다. 다른 제1 서브 표시 화소(10)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는 천이 표시 영역(AA2)에서 수요에 따라 배치될 수 있는 바, 인접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 사이의 공백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물론 상응한 제2 서브 표시 화소(20)의 하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구동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 되고, 도면에는 일일이 그려지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복수의 차단 블록(40)의 개수는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의 개수와 동일하고, 또한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천이 표시 영역(AA2) 중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분포 도형과 인접하는 영역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분포 균일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특성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각 제1 서브 표시 화소(10)는 제1 전극(11), 제1 전극(11)에 위치하는 제1 발광 소자(12) 및 제1 발광 소자(12)에 위치하는 제2 전극(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11)은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연결되며,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의해, 연결된 제1 서브 표시 화소(10)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3)의 배열 방향(X)에서, 각 차단 블록(40)의 정투영은 제1 전극(11)의 정투영에 의해 커버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천이 표시 영역(AA2) 중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분포 도형과 인접하는 영역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보장하고,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분포 균일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기초 상에서, 차단 블록(40)이 제1 표시 영역(AA1)의 광선 회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 수요를 보장하고, 나아가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감광 수요를 충족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제1 전극(11) 및 제2 전극(13)의 배열 방향(X)에서, 각 차단 블록(40)의 정투영이 그에 대응되는 제1 전극(11)의 정투영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각 제2 서브 표시 화소(20)는 제3 전극(21), 제3 전극(21)에 위치하는 제2 발광 소자(22) 및 제2 발광 소자(22)에 위치하는 제4 전극(2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극(21)은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연결된다.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의해, 연결된 제2 서브 표시 화소(20)를 구동할 수 있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전극(11) 및 제3 전극(21)은 양극이고, 제2 전극(13) 및 제 4 전극(23)은 음극이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천이 표시 영역(AA2)의 투광율이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3) 사이에 있도록 보장하고,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 중 동일한 색상의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의 제1 전극(1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하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의해 구동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 중 동일한 색상의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20)의 제3 전극(2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하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의해 구동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개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1 표시 영역(AA1) 및 천이 표시 영역(AA2)의 배선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의 수요를 더욱 잘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그 차단 블록(40)은 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물론 비도전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물론 비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차단 블록(40)은 비투명 구조일 수 있고, 그 형상은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 바, 천이 표시 영역(AA2) 중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분포 도형과 인접하는 영역의 차이를 줄이는 수요를 더욱 잘 충족시킬 수 있으면 된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제1 화소 구동 회로(30)는 복수의 트랜지스터와 콘덴서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제1 화소 구동 회로(30)는 반도체층(31), 제1 금속층(32), 제2 금속층(33), 제3 금속층(34) 및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차단 블록(40)은 반도체층(31), 제1 금속층(32), 제2 금속층(33), 제3 금속층(34) 및 층간 절연층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배치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차단 블록(4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표시 패널(1)의 성형시의 공정을 효과적으로 간략화함과 동시에, 표시 패널(1)의 구동, 표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층간 절연층은 제1 층간 절연층(35)(게이트 절연층이라고도 함), 제2 층간 절연층(36) 및 제3 층간 절연층(37)을 포함하고, 제1 층간 절연층(35)은 반도체층(31)을 덮어 배치되고, 제2 층간 절연층(36)은 제1 금속층(32)을 덮어 배치되며, 제3 층간 절연층(37)은 제2 금속층(33)을 덮어 배치된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을 성형할 때, 복수의 차단 블록(40)과 반도체층(31)을 동일한 층에 배치할 수 있고, 즉, 천이 표시 영역(AA2)의 상응한 위치에 트랜지스터의 액티브 영역을 성형할 때, 제1 표시 영역(AA1) 중 각 제1 서브 표시 화소(10)에 대응되는 영역에 액티브 영역 재료와 일치하는 구조를 동기적으로 성형하여, 본원의 상술한 실시예의 차단 블록(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차단 블록(40)의 성형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또한 표시 패널(1)에 성형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차단 블록(40)의 형상은 트랜지스터의 상응한 액티브 영역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을 성형할 때, 복수의 차단 블록(40)과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제1 금속층(32)을 동일한 층에 배치할 수 있고, 즉, 천이 표시 영역(AA2)의 상응한 위치에 제1 금속층(32)을 성형할 때,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성형할 때, 제1 표시 영역(AA1) 중 각 제1 서브 표시 화소(10)에 대응되는 영역에 게이트 전극 재료와 일치하는 구조를 동기적으로 성형하여, 본원의 상술한 실시예의 차단 블록(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차단 블록(40)의 성형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에 성형 공정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차단 블록(40)의 형상은 상응한 게이트 전극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다른 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을 성형할 때, 복수의 차단 블록(40)은 층간 절연층(Inter-Layer Diamric, ILD)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구체적으로는, 제1 층간 절연층(35), 제2 층간 절연층(36) 또는 제3 층간 절연층(37)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제3 층간 절연 층(37)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 패널(1)은 성형시에, 제1 표시 영역(AA1), 천이 표시 영역(AA2) 및 제2 표시 영역(AA3)에 제3 층간 절연층(37)을 성형한 후, 에칭 등 공정에 의해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제3 층간 절연 층(37)에 복수의 구멍 홈을 형성한 후, 상응한 구멍 홈에 증발, 증착 등 공정에 의해 성형 및 충전하여 각 구멍 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차단 블록(40)을 성형한다. 마찬가지로, 차단 블록(40)의 수요을 충족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차단 블록(40)과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반도체층(31), 제1 금속층(32) 또는 제3 층간 절연층(37)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는 것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는 예시이며, 이는 3종류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이지만,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부 다른 예에서, 복수의 차단 블록(40)은 제2 금속층(33), 제3 금속층(34), 제1 층간 절연층(35) 및 제2 층간 절연층(36)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일일이 예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층간 절연층(35), 제2 층간 절연층(36) 및 제3 층간 절연층(37) 삼자(三者)와 동시에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표시 패널(1)의 성능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차단 블록(40)과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적어도 하나의 층구조을 동일한 층에 배치하는 것은,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다른 예에서, 차단 블록(40)의 구조는 트랜지스터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포함된 임의의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방식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1 표시 영역(AA1) 영역 엣지와 근접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밀도와 다른 영역을 더욱 근접시켜,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특성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에서, 그 복수의 차단 블록(40)은 행렬로 분포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특성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술한 배치를 통해, 또한 차단 블록(4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차단 블록(40)이 대응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10)의 제1 전극(11)에 덮이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제1 표시 영역(AA1)의 광선에 대한 차단 블록(40)의 영향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제2 표시 영역(AA3)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서브 표시 화소(50)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3 서브 표시 화소(50)는 제3 밀도로 분포되며,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10)는 제4 밀도로 분포되고, 제3 밀도는 제 4 밀도보다 크며, 상술한 배치를 통해,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이 제2 표시 영역(AA3)의 투광율보다 큰 수요를 더욱 잘 구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은 제2 표시 영역(AA3)에 분포되는 복수의 제2 화소 구동 회로(60)를 더 포함하고, 제2 화소 구동 회로(60)는 제3 서브 표시 화소(50)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상술한 배치를 통해, 제2 표시 영역(AA3)의 표시 수요를 더욱 잘 충족시킴과 동시에,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1 표시 영역(AA1) 영역 엣지와 근접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밀도와,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을 더욱 근접시킬 수 있고, 표시 패널(1)의 표시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화소 구동 회로(30) 및 제2 화소 구동 회로(60) 중 적어도 하나는, 2T1C 회로, 7T1C 회로, 7T2C 회로 또는 9T1C 회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로”는 화소 회로에 2개의 트랜지스터(T) 및 1개의 콘덴서(C)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를 가리키고, 기타 “회로”, “회로”, “회로” 등도 마찬가지로 유추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표시 패널(1)이 제1 표시 영역(AA1), 제2 표시 영역(AA3)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AA1)과 제2 표시 영역(AA3) 사이에 위치하는 천이 표시 영역(AA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이 제2 표시 영역(AA3)의 투광율보다 크기에, 사용시에, 전면 카메라 등 디바이스를 제1 표시 영역(AA1)의 하측에 배치할 수 있어, 표시 패널(1)의 풀 스크린 표시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표시 영역(AA1)이 더욱 높은 투광율을 가지므로, 카메라 등 디바이스의 감광 수요를 더욱 잘 보장할 수 있다.
표시 패널(1)이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10)와, 차단 블록(40)과, 천이 표시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 및 제1 화소 구동 회로(30)를 포함하기에,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의해,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10) 및 천이 표시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의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차단 블록(40)의 배치를 통해, 제1 표시 영역(AA1)에서의 도형 분포 상황과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분포 상황을 더욱 근접시킬 수 있어,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1 표시 영역(AA1)과 근접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균일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표시 패널(1)의 표시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로서, 본원의 실시예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한다. 표시 패널(1)은 제1 표시 영역(AA1), 천이 표시 영역(AA2) 및 제2 표시 영역(AA3)을 구비하고,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은 제2 표시 영역(AA3)의 투광율보다 크다. 표시 패널(1)은 대향하는 제1 표면(S1) 및 제2 표면(S2)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표면(S1)은 표시면이다. 표시 장치는 감광 어셈블리(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광 어셈블리(2)는 표시 패널(1)의 제2 표면(S2)측에 위치하며, 감광 어셈블리(2)는 제1 표시 영역(AA1)의 위치에 대응된다.
감광 어셈블리(2)는 외부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는 이미지 수집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 어셈블리(2)는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이미지 수집 장치일 수 있고,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감광 어셈블리(2)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 Coupled Device, CCD) 이미지 수집 장치와 같은 다른 형태의 이미지 수집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광 어셈블리(2)는 이미지 수집 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감광 어셈블리(2)는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렌즈, 플러드 라이트 감지 소자, 환경광 센서 및 도트 매트릭스 투영기와 같은 광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의 제2 표면에, 예를 들어 수화기, 스피커 등 다른 부재를 더 집적할 수 있다.
본원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제1 표시 영역(AA1)의 투광율이 제2 표시 영역(AA3)의 투광율보다 크므로, 표시 패널(1)은 제1 표시 영역(AA1)의 후면에 감광 어셈블리(2)를 집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지 수집 장치의 감광 어셈블리(2)의 언더 스크린 집적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AA1)이 화면을 표시할 수 있기에, 표시 패널(1)의 표시 면적을 향상시켜, 표시 장치의 풀 스크린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 패널(1)이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10), 차단 블록(40), 천이 표시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 및 제1 화소 구동 회로(30)를 포함하므로, 제1 화소 구동 회로(30)에 의해, 제1 표시 영역(AA1)에 위치하는 제1 서브 표시 화소(10) 및 천이 표시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표시 화소(20)에 대한 구동 수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블록(40)의 배치를 통해, 제1 표시 영역(AA1)의 도형 분포 상황과 천이 표시 영역(AA2)에 배치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분포 상황을 더욱 근접시켜, 천이 표시 영역(AA2)의 제1 표시 영역(AA1)과 근접하는 제1 화소 구동 회로(30)의 도형 균일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표시 장치의 표시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을 설명하였으나,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화를 수행할 수 있고, 균등물로 그 중의 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존재하지 않는 한, 각 실시예에 언급된 각 기술적 특징은 모두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 수단을 포함한다.
1…표시 패널; AA1…제 1 표시 영역; AA2…천이 표시 영역; AA3…제 2 표시 영역; 10…제 1 서브 표시 화소; 11…제 1 전극; 12-제 1 발광 소자; 13…제 2 전극; 20…제 2 서브 표시 화소; 21…제 3 전극; 22-제 2 발광 소자; 23…제 4 전극; 30…제 1 화소 구동 회로; 31…반도체층; 32-제 1 금속층; 33…제 2 금속층; 34…제 3 금속층; 35…제 1 층간 절연층; 36…제 2 층간 절연층; 37…제 3 층간 절연층; 40…차단 블록; 50…제3 서브 표시 화소; 60…제2 화소 구동 회로; 2…감광 어셈블리; X…배열 방향.

Claims (14)

  1.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천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투광율이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투광율보다 큰 표시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
    상기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
    상기 천이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서브 표시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표시 화소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제1 화소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복수의 상기 제1 서브 표시 화소 중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 블록;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는 제1 밀도로 분포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차단 블록은 제2 밀도로 분포되며, 상기 제1 밀도는 상기 제2 밀도 이상인, 표시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 상기 제1 서브 표시 화소에 각각 대응되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차단 블록이 배치되는, 표시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단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의 개수와 동일하고 또한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표시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서브 표시 화소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위치하는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배열 방향에서, 각 상기 차단 블록의 정투영은 상기 제1 전극의 정투영에 커버되는, 표시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표시 화소 중 동일한 색상의 제1 서브 표시 화소의 상기 제1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하나의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 패널.
  7.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2 서브 표시 화소는 제3 전극, 상기 제3 전극에 위치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위치하는 제4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제1 화소 구동회로에 연결되는, 표시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표시 화소 중 동일한 색상의 제2 서브 표시 화소의 상기 제3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하나의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표시 패널.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는 반도체층, 제1 금속층, 제2 금속층, 제3 금속층 및 층간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 블록은, 상기 반도체층, 상기 제1 금속층, 상기 제2 금속층,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층간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블록은 트랜지스터 구조체인, 표시 패널.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서브 표시 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표시 화소는 제3 밀도로 분포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서브 표시 화소는 제4 밀도로 분포되고, 상기 제3 밀도는 상기 제4 밀도보다 큰,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분포되는 복수의 제2 화소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구동 회로는 상기 제3 서브 표시 화소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 및 상기 제2 화소 구동 회로는 2T1C 회로, 7T1C 회로, 7T2C 회로 또는 9T1C 회로인, 표시 패널.
  14.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27015188A 2020-04-17 2021-03-24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20066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07757.0A CN111834413A (zh) 2020-04-17 2020-04-17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202010307757.0 2020-04-17
PCT/CN2021/082771 WO2021208691A1 (zh) 2020-04-17 2021-03-24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172A true KR20220066172A (ko) 2022-05-23

Family

ID=7291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188A KR20220066172A (ko) 2020-04-17 2021-03-24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31093A1 (ko)
EP (1) EP4138138A4 (ko)
JP (1) JP7331259B2 (ko)
KR (1) KR20220066172A (ko)
CN (1) CN111834413A (ko)
WO (1) WO2021208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413A (zh) * 2020-04-17 2020-10-2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4566522A (zh) 2020-11-27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CN114566520A (zh) 2020-11-27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CN114550652B (zh) 2020-11-27 2023-10-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WO2022120576A1 (zh) * 2020-12-08 2022-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面板
WO2022178760A1 (zh) * 2021-02-25 2022-09-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3299219A (zh) * 2021-06-01 2021-08-2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5241265A (zh) * 2022-08-11 2022-10-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258B2 (ja) * 2003-03-19 2009-02-25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CN107819018B (zh) 2017-10-31 2020-11-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994054B (zh) * 2017-11-07 2020-05-2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JP7209692B2 (ja) * 2018-03-06 2023-01-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KR102635542B1 (ko) * 2018-07-06 202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801950B (zh) * 2019-01-31 2021-02-2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10061038B (zh) * 2019-04-26 2021-08-0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10245501U (zh) * 2019-07-03 2020-04-0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504289B (zh) * 2019-08-27 2022-08-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783384B (zh) * 2019-10-12 2021-01-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83386B (zh) * 2019-10-29 2020-12-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834413A (zh) * 2020-04-17 2020-10-2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8138A4 (en) 2023-10-04
EP4138138A1 (en) 2023-02-22
JP7331259B2 (ja) 2023-08-22
CN111834413A (zh) 2020-10-27
WO2021208691A1 (zh) 2021-10-21
JP2023501830A (ja) 2023-01-19
US20220231093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66172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0783384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890026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767710B (zh)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430436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031824B (zh) 阵列基板、显示屏及电子设备
CN111211152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410257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40155875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20106849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1261677B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1129103A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3327941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阵列基板的制备方法
US20210202535A1 (en) Display panel and intelligent terminal
US2024001601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20230337494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20230410736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230149849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N114242759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4002964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1899648B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5000090A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CN113096550A (zh) 显示模组和显示设备
CN111833811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447032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