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820A - 바늘 클램핑 장치, 다리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바늘 클램핑 장치, 다리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820A
KR20220065820A KR1020227012783A KR20227012783A KR20220065820A KR 20220065820 A KR20220065820 A KR 20220065820A KR 1020227012783 A KR1020227012783 A KR 1020227012783A KR 20227012783 A KR20227012783 A KR 20227012783A KR 20220065820 A KR20220065820 A KR 2022006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haft
needle
clamping
clamping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강 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후르와 로봇 메디컬 테크놀로지 코.엘티디
베이징 후르와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885394.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80320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120633.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366530A/zh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후르와 로봇 메디컬 테크놀로지 코.엘티디, 베이징 후르와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후르와 로봇 메디컬 테크놀로지 코.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6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 A61B17/742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 A61B17/74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the longitudinal elements coupled to an intramedullary n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08Devices not permitting mobility, e.g. fixed to bed, with or without means for traction or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5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comprising a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66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movable along a solid connecting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90/57Accessory clamps
    • A61B2090/571Accessory clamps for clamping a support arm to a bed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늘 클램핑 장치 및 다리 지지 장치를 개시하며, 해당 바늘 클램핑 장치는, 샤프트부를 갖는 제1 부재; 샤프트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부재로서, 상대 위치가 가변적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상대 위치가 변경될 때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제2 부재; 및 바늘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로서, 클램핑 기구는 제2 부재에 연결되고, 클램핑 기구는 적어도 일부 구조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고,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제2 부재가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하는 클램핑 기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형외과 바늘의 록킹과 해제하는 과정에서 조작의 번거로움을 줄여 조작이 편리하고, 시간과 노동력이 절약된다.

Description

바늘 클램핑 장치, 다리 지지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8월 28일에 출원한 발명 명칭이 "바늘 클램핑 장치 및 고정 장치"라는 중국 특허출원번호 202010885394.9와, 2020년 10월 16일에 출원한 발명 명칭이 "다리 지지 장치"라는 중국 특허출원번호 202022330951.9와, 2021년 1월 28일에 출원한 발명 명칭이 "다리 지지 장치"라는 중국 특허출원번호 202110120633.6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세 개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병합된다.
본 출원은 의료 기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바늘 클램핑 장치 및 다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릎 관절 교체 수술과 같은 경우, 수술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환자의 사지를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무릎 관절 교체 수술을 예로 하면, 대퇴골의 절골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대퇴골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전통적인 무릎 관절 교체 수술은 조수가 손으로 환자의 다리를 붙들어 다리를 고정시킨다. 손으로 다리를 붙들어 고정하는 방식은 조수의 노동 강도를 높이고, 정확도 및 규범성은 작업자의 체력 수준에 의존함으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고정 장치는 의사의 체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수동 조작의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다. 고정 장치의 고정 방식은 환지(患肢, 환자의 사지)를 지지대에 묶거나, 나사 바늘과 같은 기구를 통해 환지의 뼈와 강성 연결하고 나사바늘을 지지대에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고정 장치의 사용은 수술중의 조작 절차를 증가시키고, 수술 시간을 늘려, 환부의 노출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나사 바늘을 이용하는 기구의 고정 방식은 나사 바늘은 매입하기 전에 여러 방향에서 나사 바늘이 들어가는 경로를 조절해야 하며, 매입한 후 나사 바늘을 고정 장치에 고정하고, 고정 장치 자체의 부품을 잠가야 한다. 상술한 조작은 수술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데 불리하다.
본 출원은 상기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바늘 클램핑 장치 및 다리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기 위한 바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바늘 클램핑 장치는,샤프트부를 갖는 제1 부재; 샤프트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부재로서, 상대 위치가 가변적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상대 위치가 변경될 때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제2 부재; 및 바늘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로서, 클램핑 기구는 제2 부재에 연결되고, 클램핑 기구는 적어도 일부 구조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고,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제2 부재가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하는 클램핑 기구를 포함한다.
제1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제2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나란히 배열된 제1 클램핑 암 및 제2 클램핑 암이고, 제1 클램핑 암의 제1 단부는 제2 클램핑 암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제1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와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있고, 제1 클램핑 암과 제2 클램핑 암 사이에는 샤프트 홀이 더 형성되어 있고, 제2 부재는 샤프트 홀을 통해 제1 부재의 샤프트부와 회전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2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클램핑 기구는, 제1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와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를 관통하는 내부 샤프트로서,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 및 제2 끝단은 제2 부재의 양측에 분포되며, 제1끝단에는 제1 위치 제한면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 샤프트;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에 가동적으로 배치되고, 내부 샤프트에 대해 이동할 때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핸들 부재; 및 관통홀을 갖고 있으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의 외부에 끼워져 내부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 샤프트의 제1 위치 제한면과 마주하거나 대각선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위치 제한면을 구비하는 록킹 슬리브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부재는 내부 샤프트에서 핸들 부재와 록킹 슬리브의 축방향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3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제1 레이디얼 구멍이 형성되고, 제1 레이디얼 구멍의 제1 끝단에 배향되는 단면의 구멍벽 부분이 제1 위치 제한면이며, 록킹 슬리브에는 반경 방향으로 제 2 레이디얼 구멍이 형성되고, 제 2 레이디얼 구멍의 내부 샤프트의 제 1 끝단의 단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구멍벽 부분이 제2 위치 제한면이고, 제1 위치 제한면과 제2 위치 제한면은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4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은 록킹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 록킹 슬리브 내에는 위치 제한 로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5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내부 샤프트의 제1끝단에는 반경 방향에 따라 돌출되게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는 록킹 슬리브의 제2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 측부에 위치하고, 플랜지와 록킹 슬리브의 제2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록킹 슬리브와 마주하는 플랜지의 일 측면이 제1 위치 제한면이며, 제1 끝단의 플랜지와 마주하는 단면이 제2 위치 제한면이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6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핸들 부재는 원통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원통부와 핸들부는 연결되며, 핸들부는 반경 방향을 따라 원통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원통부 및 핸들부는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의 외부에 끼워지고,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과 나사 연결되고, 핸들부의 일단은 제1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에 접촉하고, 핸들부는 회전할 때 내부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록킹 슬리브를 구동하여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에 가압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7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핸들 부재는 캠 핸들이고, 캠 핸들은 캠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캠부와 핸들부는 연결되어 있고, 캠부는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핸들부가 회전함에 따라 캠부가 회전할 때 내부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록킹 슬리브를 구동하여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에 가압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8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내부 샤프트와 록킹 슬리브는 원주 방향에서 위치 제한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9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내부 샤프트의 외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샤프트에 평행되는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록킹 슬리브의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평면 영역과 배합되는 배합면이 설치되어 있고, 배합면은 평면 영역과 합착하여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 제한을 형성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10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과 록킹 슬리브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고, 탄성부재는 내부 샤프트에 작용하여 내부 샤프트를 록킹 슬리브 외부로 돌출시키는 경향이 있다.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은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바늘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는 다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다리 지지 장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연결된 지지대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바늘 클램핑 장치는 지지대 조립체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지지대 조립체는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조립체 및 제2 지지대 조립체를 포함하고, 제1 지지대 조립체 및 제2 지지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현 가능한 형태와 결합하여 제2 구현 가능한 형태에서, 지지대 조립체와 베이스 사이의 위치는 베이스의 측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적어도 다음의 이점을 갖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바늘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바늘 클램핑 장치 중의 클램핑 구조는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는 동시에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하거나, 또는, 정형외과용 바늘을 해제하는 동시에 제2 부재가 제1 부재의 샤프트부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정형외과용 바늘(예를 들어, 나사 바늘)을 록킹하고 해제하는 과정에서 조작의 번거로움을 줄여 조작이 편리하고, 시간과 노동력이 절약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리 지지 장치에 있어서, 제1 지지대 조립체 및 제2 지지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베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여, 수술받는 다리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의 클램핑 장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수술 공간을 줄이고, 인체의 무릎 관절 주위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 장착되는 지지대 조립체만 소독하면 되므로 수술 전 기구의 소독 수요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지지대 조립체와 제2 지지대 조립체는 베이스의 양측에 설치되므로, 양자와 베이스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수술 중 또는 수술 완료 후 관절 인대 장력을 검사하기 위해 다리를 펴서 평평하게 놓는 데 사용되므로, 수술 침대에서 다리 지지 장치를 옮겨서 공간을 내어 환지를 평평하게 놓을 필요가 없다. 또한, 제1 지지대 조립체에 의해 다리 위치가 결정되므로, 손으로 고정함에 따른 안정성 및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지지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립 실린더를 베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립 실린더와 직립 기둥 사이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 및 발보조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록킹 블럭의 구조 개략도다.
도 13은 도 1의 록킹 블럭 드라이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록킹 블럭 및 록킹 블럭 드라이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은 실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출원은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복수"의 의미는 둘 이상임을 유의해야 하며,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내부", "외부"등 용어의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제1", "제2" 등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수직"은 엄격한 의미의 수직이 아니라,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평행"은 엄격한 의미의 평행이 아니라,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없는 한, "설치", "체결" 및 "연결"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된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화된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제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의 다리 지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다리 지지 장치는 외과 수술에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다리와 같은 환지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무릎 관절 교체 수술에서 대퇴골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베이스(90d), 제1 지지대 조립체(10d), 제2 지지대 조립체(20d), 제1 바늘 클램핑 장치 및 제2 바늘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다리 지지 장치를 제공하고,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와 제2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
베이스(90d)는 장치의 설치 및 지지 베이스로 사용되며, 베이스(90d)에는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가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바늘 클램핑 장치의 지지 베이스는 2개의 독립적인 지지대 구조, 즉,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이다. 제1 지지대 조립체(10d)와 제2 지지대 조립체(20d)는 각각 베이스(90d)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술을 받는 다리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의 바늘 클램핑 장치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수술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인체의 무릎 관절 주위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90d)에 장착되는 지지대 조립체만 소독하면 되기 때문에 수술 전 기구의 소독 수요을 줄일 수 있다.
제1 지지대 조립체(10d)와 제2 지지대 조립체(20d) 사이에는 가로 빔이 없으므로 수술 중이나 수술이 끝난 후에, 의사는 다리 지지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환자의 다리를 평평하게 하여 관절을 굽히거나 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의사는 조작의 편의성에 따라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또는 제2 지지대 조립체(20d)만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두 개를 모두 장착할 필요가 없어 조작 절차를 줄이고, 무릎 관절 부근의 조작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지지대 조립체는 하단의 슬라이더를 통해 슬라이딩 레일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어 더 많은 임상 상황에 적응할 수 있다.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는 베이스(90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는 베이스(90d)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며, 다리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와, 베이스(90d)의 상대 위치를 잠그기 위한 잠금 기구가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와 베이스(90d)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베이스(90d)는 "工"자 모양의 베이스 플레이트이며, 중간에 제1 슬라이딩 레일(91d)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슬라이딩 레일(91d)의 일단의 양측에는 제2 슬라이딩 레일(92d) 및 제3 슬라이딩 레일(93d)이 각각 설치된다.
제1 지지대 조립체(10d)와 제2 지지대 조립체(20d)는 제1 슬라이딩 레일(91d)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두 개의 바늘 클램핑 장치도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지지대 조립체(10d)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립 실린더(11d)의 하단은 제2 슬라이더(100e)을 통해 베이스(90d)의 제2 슬라이딩 레일(92d)에 연결되며, 록킹 블럭(300e),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e) 및 피드 핀(500e)에 의해, 제2 슬라이딩 레일(92d)과의 잠금상태가 제어된다. 제2 슬라이더(100e), 록킹 블럭(300e),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e) 및 피드 핀(500e)의 구조 및 연결 관계는 도10 내지 도 14에서의 슬라이더(100m), 록킹 블럭(300m),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 및 피드 핀(500m)의 구조 및 변형과 동일하다.
직립 실린더(11d)의 상단에는 클램핑 장치가 설치되고, 클램핑 장치는 직립 실린더(11d)에 삽입된 직립 기둥(12d)을 잠글 수 있다. 클램핑 장치는 캠 핸들(13d), 제1 파지암(14d), 제2 파지암(15d) 및 잠금 나사(16d)를 포함한다. 제1 파지암(14d)의 일단과 제2 파지암(15d)의 일단은 힌지 결합되고, 양자의 사이에는 호형의 클램핑부가 설치되고, 타단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캠 핸들(13d)은 2개의 파지암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캠부를 통해 파지암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여 클램핑 효과를 구현한다. 캠 핸들(13d), 너트, 회전축 등은 클램핑암의 클램핑을 구현하기 위한 캠 핸들 조립체를 구성한다. 잠금 나사(16d)는 또한 반경 방향에서 직립 실린더(11d) 내의 직립 기둥(12d)을 잠글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 기구는 유일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잠금 나사(16d)를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잠금 나사(16d)만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바늘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구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직립 기둥(12d)은 직립 실린더(11d)에 삽입되고, 필요한 경우에 캠 핸들(13d)을 느슨하게 하여 삽입 깊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90d)에 대한 직립 기둥(12d) 상단의 바늘 클램핑 장치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 조립체(10d)는 또한 고정된 길이를 갖는 지지대/암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직립 실린더(11d)와 직립 기둥(12d)은 고정 연결되고, 양자의 축 방향에서의 길이는 조정할 수 없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베이스(90d)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볼트 또는 기타 고정 구조로 베이스(90d)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또는 제2 지지대 조립체(20d)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시 실제 수요에 따라, 제1 지지대 조립체(10d)를 베이스(90d)의 제1 슬라이딩 레일(91d) 또는 제2 슬라이딩 레일(92d)에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대 조립체(10d)는 도 1에 도시된 자세로 제3 슬라이딩 레일(93d)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 조립체(10d)는 도 1에 도시된 자세로부터 장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후, 제3 슬라이딩 레일(93d)에 장착될 수도 있는 바, 이런 경우, 바늘 클램핑 장치가 외부에 위치하므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제1 바늘 클램핑 장치 및 제2 바늘 클램핑 장치는 각각 제1 지지대 조립체(10d)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 바늘 클램핑 장치는 제1 나사 바늘(1)을 클램핑할 수 있다. 제1 나사 바늘(1)을 클램핑하기 전에, 제1 바늘 클램핑 장치는 제1 지지대 조립체(10d)에 대해 2개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며, 작업자는 수요에 따라 제1 나사 바늘(1)의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 나사 바늘(1)이 환지에 삽입된 후, 단 한번의 조임으로 제1나사 바늘(1)을 클램핑 할 수 있고, 또한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와 제1 지지대 조립체(10d) 사이를 잠글 수 있어,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제2 바늘 클램핑 장치와 제2 나사 바늘 및 제2 지지대 조립체(20d) 사이에도 상술한 연결 관계를 갖는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바늘 클램핑 장치는 또한 다른 유형의 바늘 클램핑 장치로 교체될 수도 있고,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바늘 클램핑 장치는 또한 스트랩과 같은 체결 부재로 교체될 수도 있다. 제1 바늘 클램핑 장치만 구비된다면 나사 바늘을 잠그고 푸는 과정에서의 번거로운 조작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나사 바늘의 기구의 고정 방식은, 나사 바늘을 매입하기 전에 여러 방향에서 나사 바늘이 들어가는 경로를 조정해야 하며, 매입한 후 나사 바늘을 고정 장치에 고정하고, 고정 장치 자체의 부품을 잠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조작은 수술의 번거로움을 줄이는 데 불리하다.
상기 발견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기 위한 바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적어도 나사 바늘을 잠그고 해제하는 과정에서의 번거로운 조작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 클램핑 장치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바늘 클램핑 장치를 예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바늘 클램핑 장치, 제1 바늘 클램핑 장치 및 제2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6은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의 단면도이며, 여기서 절단면은 제1 나사 바늘(1)의 중심선을 통과하며 또한 제1 지지대 조립체에 수직된다.
제1 바늘 클램핑 장치는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및 클램핑 기구(30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0)는 제1 지지대 조립체(10d)에 설치된다. 잠금 해제 상태에서, 제2 부재(200)는 제1 부재(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클램핑 기구(300) 전체는 제2 부재(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두 회전 운동의 축은 공간적으로 수직 관계를 갖는다. 상기 연결 관계는 매입 작업 전에 매입 기기를 적절한 매입 위치로 조정하는 데 편리하다.
제1 부재(100)는 샤프트부(110)를 포함한다. 샤프트부(110)는 제1 지지대 조립체(10d)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샤프트부(110)의 말단부의 외주면에는 축방향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냅링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링 홈이 설치된다.
제2 부재(200)는 샤프트부(110)에 힌지 결합되고, 제2 부재(200)는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때 샤프트부(110)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나란히 배열된 제1 클램핑 암(210) 및 제2 클램핑 암(220)이다. 제1 클램핑 암(210)의 제1 단부(211)는 제2 클램핑 암(220)의 제1 단부(221)와 연결된다. 제1 클램핑 암(210)의 제2 단부(212)와 제2 클램핑 암(220)의 제2 단부(222)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 즉 간극(240)이 존재한다. 제1 클램핑 암(210)과 제2 클램핑 암(220) 사이에는 샤프트 홀(230)이 더 설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부재(200)는 스플릿 링 구조이고, 대략 직육면체 블랭크 상에 홀 밀링 및 슬릿을 절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은 홀 주변의 솔리드 구조에 설치 되며, 또한, 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홀과 슬릿은 연통된다. 홀 주변의 솔리드 구조는 메인 고리체이며 슬릿의 양측에 있는 솔리드 구조는 메인 고리체의 두 말단부로부터 각각 고리체의 외부를 향한 연장부(제2 단부(212)와 제2 단부 (222))로 볼수 있다. 제1 클램핑 암(210)은 메인 고리체의 절반 및 그 연장부(제2 단부(212))를 포함하는, 스플릿 링 구조의 절반 구조(도 6의 점선 m의 왼쪽 절반 부분)이다. 제2 클램핑 암(220)은 메인 고리체의 다른 절반 및 그 연장부(제2 단부(222))를 포함하는, 스플릿 링 구조의 다른 절반 구조(도 6의 점선 m의 오른쪽 절반 부분)이다. 샤프트 홀(230)은 스플릿 링 구조의 링 홀이다. 스플릿 링 구조는 일체형 구조이며, 제1 클램핑 암(210)의 제1 단부(211)와 제2 클램핑 암(220)의 제1 단부(221)는 고정 연결된다.
제1 클램핑 암(210)의 제2 단부(212)에는 관통홀(213)이 형성되고, 관통홀(213)은 샤프트 홀(230)에 수직된다. 제2 클램핑 암(220)의 제2 단부(222)에는 관통홀(223)이 형성되고, 관통홀(223)은 관통홀(213)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제2 부재(200)의 샤프트 홀(230)은 제1 부재(100)의 샤프트부(1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양자는 샤프트 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단부(212)와 제2 단부(222)가 가까워지면 샤프트 홀(230)의 직경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제1클램핑 암(210)과 제2클램핑 암(220)이 샤프트부(110)를 클램핑하여 잠금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클램핑 기구(300)는 바늘을 클램핑하는 데 사용되며, 클램핑 기구(300)는 제2 부재(200)에 연결되고, 클램핑 기구(300)은 적어도 일부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며,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는 과정에 제1 부분과 제 2 부분은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되어 제2 부분(200)이 샤프트부(110)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핑 기구(300)는 내부 샤프트(310), 핸들 부재(320), 록킹 슬리브(330), 위치 제한 핀(340) 및 스프링(35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샤프트(310)는 제2 부재의 제2 단부(212) 및 제2 단부(222)를 관통한다. 내부 샤프트(310)의 제1 끝단(311) 및 제2 끝단(312)은 제2 부재(200)의 양측에 분포되고, 제1 끝단(311)에는 제1 위치 제한면(314)이 설치된다. 제2 끝단(31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샤프트(310)는 관통홀(213) 및 관통홀(223)을 통해 제2 단부(212) 및 제2 단부(222)에 삽입되고, 제1 끝단(311)은 제2 단부(22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끝단(312)은 제2 단부(21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끝단(311)의 말단 부분은 사각 축이고, 이 부분의 외주면은 4개의 평면이고, 이 부분과 제2 끝단(312) 사이에는 천이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사각 축에는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이 더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 제한면(314)은 제2 끝단(312)을 향하는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의 구멍벽 부분, 즉 도면에서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의 오른쪽 절반에 있는 구멍벽이다. 제1 나사 바늘(1)을 잠글 때 해당 구멍벽이 제1 나사 바늘(1)과 접촉하여 누르므로, 이를 제1 위치 제한면으로 정의한다. 원형 구멍의 일부 벽면은 제1 위치 제한면의 일 구현방식이고,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은 또한 허리형 구멍, 정사각형 구멍 또는 홈 등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오목 구조일 수 있고, 제1 위치 제한면은 상술한 구조에서 제2 끝단(312)와 마주하는 구멍벽 부분이고, 이 구멍벽 부분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핸들 부재(320)는 내부 샤프트(310)의 제2 끝단(312)에 가동적으로 설치되고, 핸들 부재(320)는 내부 샤프트(310)에 대해 이동할 때 전체적으로 내부 샤프트(310)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부재(320)는 원통부(321), 핸들부(323) 및 나사 구멍(322)을 포함한다. 핸들부(323)는 원통부(321)의 외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나사 구멍(322)은 원통부(321)를 관통한다. 핸들 부재(320)는 나사 구멍(322)을 통해 내부 샤프트(310)의 수나사와 너트 나사 기구를 형성하며, 핸들 부재(320)는 내부 샤프트(310)에서 회전할 때 내부 샤프트(310)의 축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록킹 슬리브(330)의 중앙에는 관통홀(331)이 설치되고, 관통홀(331)은 단차홀이다. 록킹 슬리브(330)는 내부 샤프트(310)의 제1 위치 제한면(314)과 대각선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위치 제한면(333) 및 제2 위치 제한면(334)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관통홀(331)의 최대 직경(도 6의 오른쪽 절반 부분)인 곳은 정사각형 구멍이며, 해당 정사각형 구멍의 크기는 내부 샤프트(310)의 제1 끝단(311)의 정사각형 축과 매칭되고 정사각형 축과 협동하여 원주방향에서의 위치 제한을 형성한다. 록킹 슬리브(330)에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레이디얼 구멍(332)이 설치되며, 이 구멍은 관통홀(331)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는 바, 제2 위치 제한면(333) 및 제2 위치 제한면(334)은 제1 끝단(311)의 단면과 일치한 방향을 향하는 이 두 부분의 구멍벽 부분이다. 제1 나사 바늘(1)을 잠글 대 해당 부분의 구멍벽이 제1 나사 바늘(1)과 접촉하여 누르므로 제2 위치 제한면으로 정의한다. 원형 구멍의 일부 벽면은 제2 위치 제한면의 일 구현방식일 뿐이고,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레이디얼 구멍(332)은 또한 허리형 구멍, 정사각형 구멍 또는 홈 등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오목 구조일 수 있고, 제2 위치 제한면은 해당 오목 구조에서 제1 끝단(311)의 단면과 일치한 방향을 향하는 구멍벽 부분(제2 부재(200)에 배향되는 구멍벽 부분)이고, 해당 구멍벽 부분은 평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록킹 슬리브(330)는 내부 샤프트(310)의 제1 끝단(311)의 외부에 끼워져 있다. 록킹 슬리브(330)는 내부 샤프트(3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록킹 슬리브(330)에는 위치 제한 핀(340)을 장착하기 위한 레이디얼 구멍이 설치되고, 이 레이디얼 구멍은 제2 레이디얼 구멍(332)의 외측(도 6에서 제2 레이디얼 구멍(332)의 우측)에 위치한다. 위치 제한 핀(340)은 록킹 슬리브(330)의 레이디얼 구멍에 삽입되고 제1 끝단(311)의 단면 외측에 위치되어 내부 샤프트(310)에 대한 축방향의 위치 제한 구조를 형성한다.
스프링(350)은 내부 샤프트(inner shaft)(310)에 끼워지고, 록킹 슬리브(330)의 관통홀(331) 내에 위치한다. 스프링(350)의 일단은 관통홀(331)의 단차에 맞닿고, 타단은 내부 샤프트(310)의 천이 단차의 숄더에 맞닿는다. 스프링(350)은 제1 끝단(311)을 관통홀(331)의 외측(도 6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경향(록킹 슬리브(330)를 내부 샤프트(310)의 제2 끝단(312)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핸들 부재(320)와 록킹 슬리브(330)는 제2 부재(2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핸들 부재(320)와 록킹 슬리브(330)는 모두 내부 샤프트(3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핸들 부재(320)와 로킹 슬리브(330)가 서로 가까워지면 양자의 클램핑 하에 제2 부재(200)는 샤프트부(110)를 클램핑함으로,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의 2개의 회전 자유도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핸들 부재를 구동하기만 하면 나사 바늘의 잠금과 바늘 클램핑 장치의 2개의 회전 자유도의 잠금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편리하고 시간과 노동력을 절약한다.
사용 절차 설명:
록킹 슬리브(330)와의 간격이 커지도록 핸들 부재(320)를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스프링(350)의 작용에 의해 내부 샤프트(310)의 제1 끝단(311)은 위치 제한 핀(340)에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위치 제한 핀(340)에 맞닿게 되며, 이때, 제1 나사 바늘 (1)이 삽입되도록 제2 레이디얼 구멍(332)과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은 정렬된다.
적절한 매입 경로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나사 바늘(1)의 방향을 조정하고, 도구를 사용하여 제1 나사 바늘(1)을 구동시켜 환자에 골격에 밀어 넣는다.
핸들 부재(320)를 록킹 슬리브(33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내부 샤프트(310)는 제1 나사 바늘(1)과 록킹 슬리브(330)를 당겨서 핸들 부재(320)에 접근하도록 한다. 록킹 슬리브(330)는 제2 부재(200)의 제2 단부(222)에 작용하고, 핸들 부재(320)는 제2 단부(212)에 작용하여, 제1 클램핑 암(210) 및 제2 클램핑 암(220)이 샤프트부(110)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또한, 내부 샤프트(310)의 제1 위치 제한면(314)은 록킹 슬리브(330)의 제2 위치 제한면(334) 및 제2 위치 제한면(333)과 함께 제1 나사 바늘(1)을 클램핑하여 제1 나사 바늘(1)이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 부재(302)는 또한 너트일 수 있고, 너트는 나사산에 의해 내부 샤프트(310)의 제2 끝단(312)에 연결되고, 너트는 내부 샤프트(310)를 따라 이동하여 록킹 슬리브(330)에 접근할 때 제1 클램핑 암(210) 및 제2 클램핑 암(220)을 구동하여 제1 부재의 샤프트부(110)를 클램핑하도록 한다.
살술한 조작 과정에서, 클램핑 기구(300)는 제1 부재(100)에 대해 2개의 회전 자유도를 가지므로, 나사 바늘의 조정 범위는 비교적 크다. 제1 나사 바늘(1)은 단순히 핸들 부재(320)를 돌리는 것만으로 내부 샤프트(310)와 록킹 슬리브(330)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고, 내부 샤프트(310)와 핸들 부재(320)도 제2 부재(200)와 함께 잠길 수 있으며, 제2 부재(200)와 제1 부재(100) 사이도 잠글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고 시간과 노동력이 절약된다. 또한, 제1 나사 바늘(1)을 환자의 골격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클램핑 기구(300)의 제1 레이디얼 구멍(313) 및 제2 레이디얼 구멍(332)은 제1 나사 바늘(1)을 안내 및 지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클램핑 기구(300)를 파지하여 제1 나사 바늘(1)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제한 핀(340)과 스프링(350)의 협동하에 제2 레이디얼 구멍(332)과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을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나사 바늘(1)이 신속하게 삽입되는데 편리하다. 제1 나사 바늘(1)과 제1 레이디얼 구멍(313) 사이의 접촉선과 제1 나사 바늘(1)과 제2 레이디얼 구멍(332) 사이의 접촉선은 평행되고 길어서 제1 나사 바늘(1)이 균일하게 힘을 받아 단단히 록킹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350)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작 과정에서, 작업자가 록킹 슬리브(330)를 이동하여 위치 제한 핀(340)이 제1 끝단(311)의 단면에 맞닿도록 하여, 제2 레이디얼 구멍(332)과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을 수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핀(340) 및 스프링(350)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작 과정에서 제2 레이디얼 구멍(332)과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을 수동으로 정렬시킨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310)와 록킹 슬리브(330) 사이에 원주방향의 위치 제한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조작 과정에서 제2 레이디얼 구멍(332)과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을 수동으로 회전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310)와 록킹 슬리브(330) 사이의 원주방향의 위치 제한은 내부 샤프트(310)의 축 방향을 따른 가이드 홈과 록킹 슬리브(330)에 설치된 키의 감합일 수 있고, 또는, 제1 끝단(311)의 주변면에 하나 또는 두개의 평면을 설치하고, 록킹 슬리브(330)에는 상응하는 매칭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록킹 슬리브(330)의 매칭 구조는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록킹 슬리브(330)에 추가 부품을 설치하고, 해당 부품의 표면의 일부에 매칭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핀 또는 못의 단면 또는 외주면, 키의 평면).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 및 원리와 동일하지만, 차이점은, 제2 부재(200a)는 분할 구조이고, 제2 부재(200)은 일체형 구조이며, 내부 샤프트(310a)와 록킹 슬리브(330a)에는 레이디얼 구멍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양자 사이의 간극을 통해 제1 나사 바늘(1)을 클램핑하고, 내부 샤프트(310a)와 록킹 슬리브(330a) 사이에는 축방향에서 위치 제한을 수행하는 위치 제한 핀이 없는 것이다. 다음은 제2 부재(200a), 내부 샤프트(310a) 및 록킹 슬리브(330a)의 구조적 차이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부재(200a)는 두 개의 별도의 클램핑 암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클램핑 암은 도면에서 제1 클램핑 암(210a) 및 제2 클램핑 암(220a)이다. 제1 클램핑 암(210a)은 중간의 반고리체와, 반고리체 양단의 제1 단부(211a) 및 제2 단부(212a)를 포함하고, 제2 단부(212a)의 길이는 제1 단부(211a)보다 길다. 제2 클램핑 암(220a)은 중간의 반고리체와, 반고리체 양단의 제1 단부(221a) 및 제2 단부(222a)를 포함하고, 제2 단부(222a)의 길이는 제1 단부(221a)보다 길다. 제1 클램핑 암(210a)과 제2 클램핑 암(220a)은 함께 맞물리며, 두 개의 반고리체는 스플릿 고리체를 형성하며, 고리체 중심은 샤프트 홀(230a)이다. 제1 단부(211a)와 제1 단부(221a)는 고정 연결된다. 제2 단부(212a)에는 관통홀(213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단부(222a)에는 관통홀(223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단부(212a)와 제2 단부(222a) 사이에는 간극(240a)이 존재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단부 (211a)와 제1 단부 (221a)는 또한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내부 샤프트(310a)는 제1 레이디얼 구멍(313)이 설치되지 않고 제1 끝단(311a)의 단부에 플랜지(313a)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내부 샤프트(310)와 상이하다. 플랜지(313a)의 제2 끝단(312a)과 마주하는 측면이 제1 위치 제한면(314a)이다. 조립체에서 플랜지(313a)는 록킹 슬리브(330a)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위치 제한면(314a)은 제2 위치 제한면(334a)과 마주하며, 양자 사이에 링 홈이 형성된다.
록킹 슬리브(330a)와 록킹 슬리브(330)의 차이점은 제2 레이디얼 구멍(332)과 위치 제한 핀(340)을 장착하기 위한 레이디얼 구멍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록킹 슬리브(330a)의 제2 부재(200a)와 인접하지 않은 단면이 제2 위치 제한면(334a)이다.
핸들 부재(320)가 회전될 때, 내부 샤프트(310a)와 록킹 슬리브(330a) 사이에는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가 있으므로, 제1 나사 바늘(1)이 클램핑되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플랜지(313a)의 측면에 오목홈을 설치하여 제1 나사 바늘(1)이 반경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310a)와 제2 부재(200a) 사이는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제1 나사 바늘(1)은 제1 위치 제한면(314a)과 제2 위치 제한면(334a)에 형성된 링 홈에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내부 샤프트(310a)와 제2 부재(200a) 사이에는 회전 자유도가 필요하지 않는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310a)와 제2 부재(200a) 사이는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고, 록킹 슬리브(330a)와 내부 축(310a) 사이에는 원주 방향의 위치 제한이 없으며, 양자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샤프트(310a)와 제2 부재(200a) 사이는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고, 록킹 슬리브(330a)와 내부 샤프트(310a) 사이에는 원주 방향의 위치 제한이 없으며, 양자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록킹 슬리브(330a)의 단면에는 오목홈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나사 바늘(1)이 오목홈에 위치될 때, 제1 나사 바늘(1)이 내부 샤프트(310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 록킹 슬리브(330a)는 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 나사 바늘(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나사 바늘(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클램핑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제1 바늘 클램핑 장치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바늘 클램핑 장치는 핸들 부재(320) 대신에 캠 핸들(320b)을 사용하여 잠금 기능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샤프트(310b)의 제2 끝단(312b)에 캠 핸들(320b)과 슬리브(360)가 설치되고, 슬리브(360)는 제2 부재(200)과 캠 핸들(320b) 사이에 위치하며, 캠 핸들(320b)이 회전할 때, 슬리브(360)는 제2 부재(200)를 가압하도록 구동되어 잠금을 구현할 수 있다. 캠 핸들(320b)은 캠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캠부는 제2 끝단(31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중심선은 내부 샤프트(310b)에 수직된다. 캠 핸들(320b)을 돌리면 이에 따라 캠부의 윤곽면이 회전하고, 이 회전 운동은 내부 샤프트(310b)의 축방향의 이동과, 내부 샤프트(310b)의 반경 방향의 이동 및 회전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캠 핸들(320b)의 일부 구조가 내부 샤프트(310b)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해당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360)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캠 핸들(320b)이 제2 부재(200)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원통형 캠을 사용하여 캠 핸들(320b)을 대체할 수도 있다. 원통형 캠과 내부 샤프트(310b)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원통형 캠의 캠면은 원통의 단면에 위치하며, 조립체에서 슬리브(360)를 향하고, 슬리브(360)에는 캠면을 향하는 돌기가 설치되며, 원통형 캠을 회전시킬 때, 캠면과 슬리브(360)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양자 사이에서 축방향의 변위가 발생하여 제2 부재(200)를 가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리 지지 장치는 발보조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발보조기(30)는 베이스(90d)에 장착된다. 발보조기(30)는 환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고, 발보조기(30)는 베이스(90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베이스(90d)에 대한 발보조기(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보조기(30)는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레일(91d)에 연결된다. 발보조기(30),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 및 이들의 연결 구조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며, 구체적인 구조는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9는 도 1의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 및 발보조기(3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1의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록킹 블럭(300m)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의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의 구조 개략도이다.
발보조기 위치 결정 장치는 슬라이더(100m), 발보조기 연결 기구(200m), 록킹 블럭(300m),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 및 피드 핀(500m)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00m)는 적재 및 장착을 위한 베이스이며, 발보조기 연결 기구(200m), 록킹 블럭(300m),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 및 피드 핀(500m)은 모두 슬라이더(100m)에 설치된다.
슬라이더(100m)는 직사각형 판 구조이다. 슬라이더(100m)의 밑부분(120m)에는 슬라이딩 홈(121m)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홈(121m)은 더브테일 홈이다. 슬라이더(100m)의 상면은 하중면(110m)이고, 하중면(110m)에는 나사 구멍(130m)과 보스가 설치되고, 보스에는 핀 홀과 오목부가 설치된다. 핀 홀과 나사 구멍(130m)은 모두 판체에 수직되고 나사 구멍(130m)은 관통홀이다. 슬라이더(100m)는 슬라이딩 홈(121m)를 통해 베이스(90d)의 슬라이딩 레일(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발보조기 연결 기구(200m)는 제1 집계팔(210m), 제2 집계팔(220m), 잠금 나사(230m) 및 핀(250m)을 포함하고, 제1 집계팔(210m)과 제2 집계팔(220m) 사이에는 수용 캐비티(240m)가 설치된다. 제2 집계팔(220m)과 슬라이더(100m)는 고정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형 구조이다. 제1 집계팔(210m)은 핀(250m)에 힌지 결합되며, 피드 핀(500m)을 통해 보스의 핀 홀에 연결된다. 수용 캐비티(240m)는 슬라이더(100m)의 보스 상의 오목부에 대응한다. 제1 집계팔(210m) 및 제2 집계팔(220m)의 타단에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제1 집계팔(210m)의 관통홀은 허리형 구멍이고, 제2 집계팔(220m)의 관통홀은 나사 구멍이다. 여기서, 제2 집계팔(220m)의 나사 구멍은 제2 집계팔(220m)에 내장된 너트의 나사 구멍이며, 너트의 재질은 마모 방지 재료일 수 있다. 잠금 나사(230m)의 일단에는 너트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레이디얼 관통홀이 설치되며, 중간에는 나사산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집계팔(210m)과 제2 집계팔(220m)의 관통홀에는 잠금 나사(230m)가 삽입되고, 잠금 나사(230m)의 나사 부분과 제2 집계팔(220m)의 나사 구멍은 너트 나사 쌍을 구성한다. 잠금 나사(230m)의 레이디얼 구멍에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는 잠금 나사(230m)를 회전시키는 데 사용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2 집계팔(220m)은 별도의 부품이며, 제1 집계팔(210m) 및 제2 집계팔(220m) 각각의 일단은 핀(250m)을 통해 일체형으로 힌지 결합되고 핀(250m)을 통해 슬라이더(100m)에 연결된다.
발보조기 연결 기구(200m)의 수용 캐비티(240m)는 발보조기(30)를 클램핑하기 위한 연결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 발보조기(30)의 연결 구조는 발보조기 연결봉(600m)이며, 발보조기 연결봉(600m)의 끝단에는 볼 헤드 (610m)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 블럭(300m)은 록킹부(310m), 수나사부(320m) 및 구동 인터페이스부(330m)를 포함한다. 록킹 블럭(300m)은 기둥체이고, 록킹부(310m)와 수나사부(320m)는 기둥체의 양단에 설치되고, 수나사부(320m)는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기둥체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더 설치되어 있다. 록킹부(310m)는 기둥체의 단면이고, 해당 단면은 베이스(90d)의 상면과 맞닿는다. 구동 인터페이스부(330m)는 기둥체의 타단면에 있는 매화 홈이다. 그 중, 매화 홈은 환형 배열의 토크 전달부(331m)를 가지며, 토크 전달부(331m)는 기둥체의 반경 방향의 오목홈이며, 오목홈의 측벽에 힘을 가할 때 록킹 블럭(300m)에 대한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매화 홈의 오목홈 개수는 9개이고 오목홈의 배열 각도 간극은 40도이다. 9개의 오목홈은 한 세트의 토크 전달부로 간주할 수 있다. 록킹 블럭(300m)은 수나사부(320m)를 통해 슬라이더(100m)의 나사 구멍(130m)에 설치된다.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는 토크 출력부(410m)와 핸들부(420m)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420m)의 일단에는 디스크가 설치되고, 디스크의 단면에는 토크 출력부(410m)가 설치된다. 토크 출력부(410m)는 환형 배열된 톱니(411m)를 갖는 기어형 구조이다. 기어형 구조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다. 토크 출력부(410m)의 외윤곽은 구동 인터페이스부(330m)의 외윤곽과 동일하고, 토크 출력부(410m)는 구동 인터페이스부(330m)내에 감합되고, 토크 출력부(410m)의 톱니(411m)는 구동 인터페이스부(330m)의 매화 홈의 오목홈내에 감합되어 있다. 관통홀(340m)은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의 관통홀과 동축이다.
피드 핀(500m)은 록킹 블럭(300m)과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샤프트용 스냅링과 함께 록킹 블럭(300m)과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 사이의 반경 방향의 변위를 제한한다.
록킹 블럭(300m)이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될 때, 록킹 블럭(300m)은 슬라이더(100m)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00m)가 베이스(90d)에 고정 되도록 베이스(90d)에 밀착될 수 있다.
조립시,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와 록킹 블럭(300m) 사이의 위치 관계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조작 중에는 핸들을 회전시켜야 하고 잠금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필요한 힘이 가장 크며, 만약 잠금 위치 부근에서 핸들의 조작 공간이 비교적 좁으면 조작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상태에서 핸들과 주변 구조물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핸들을 설정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방안에서는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가 발보조기(30) 아래에 위치하므로, 도 11에 도시된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의 위치는 잠금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한 위치이다. 조립시, 발보조기(30)를 먼저 설치하지 않고, 슬라이더 (100m)의 나사 구멍(130m)에 록킹 블럭(300m)을 끼워 넣고, 록킹 블럭 (300m)의 관통홀(340m)에 피드 핀(500m)을 삽입한 다음, 슬라이더(100m)를 슬라이딩 레일(12)에 장착한다.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를 이용하여 록킹 블럭(300m)을 회전시켜 슬라이더(100m)을 잠그는데, 이때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의 슬라이더(100m)에 대한 위치는 임의적일 수 있다.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를 꺼내고 도10과 같은 위치에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를 장착한 후,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를 돌려 베이스(90d)에서 록킹 블럭(300m)을 풀고 슬라이더(100m)를 제거하여 피드 핀(500m)이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m)의 관통홀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스냅링을 사용하여 축방향 위치 제한을 구현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토크 출력부(410m)에는 더 적은 수의 톱니(411m)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3개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인터페이스부(330m)의 토크 전달부(331m)는 3개의 세트를 갖는 것에 해당되고, 각 세트에는 모두 환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3개의 오목홈을 갖는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토크 출력부(410m)에는 더 적은 수의 톱니(411m)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1개, 2개, 3개 또는 4개일 수 있고, 톱니(411m) 사이의 각도 간극은 40도(도 12에서 토크 출력부(410m)의 일부 인접한 톱니(411m)를 제거한 것에 해당함)이다.
발보조기(30)는 인체의 발 및 종아리의 모양과 유사한 "L"자 구조이다. 발보조기(30)는 "L"자형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측에 있는 2개의 측판(31)을 포함하며, 2개의 측판(31) 사이의 공간은 발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측판(31)의 가장자리에는 노치(notch)(32)가 형성되고, 측판(31)의 외측에는 위치 제한 돌기(33)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제한 돌기(33)는 환자의 발을 묶을 때 스트랩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자의 발이 비교적 가늘고 작은 경우 스트랩이 노치(32)을 통과할 수 있어 발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발보조기(30)의 하단에는 발보조기 연결봉(600m)이 설치되어 있고, 발보조기 연결봉(600m)의 끝단에는 볼 헤드(610m)가 설치되어 있다. 발보조기(30)는 볼 헤드(610m)를 통해 발보조기 연결 기구(200m)의 수용 캐비티(240m)에 설치되고, 볼 헤드(610m)는 제1 집계팔(210m)과 제2 집계팔(220m)에 의해 클램핑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 블럭 및 록킹 블럭 드라이버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n)는 토크 출력부(410n), 핸들부(420n), 원통형 베이스(430n) 및 위치 결정 기둥(440n)을 포함한다. 원통형 베이스(430n)는 핸들부(420n)의 단부에 설치된다. 토크 출력부(410n)는 원통형 베이스(430n)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위치 결정 기둥(440n)은 원통형 베이스(430n)의 하단면에 설치된다. 록킹 블럭(300n)의 구동 인터페이스부(330n)는 록킹 블럭(300n)의 단면에 있는 오목홈이고, 오목홈의 측벽은 호면부(350n) 및 복수의 토크 전달부(331n)를 포함한다. 토크 전달부(331n)는 반경 방향의 오목홈이고, 그 모양은 토크 출력부(410n)에 적합하다. 록킹 블럭(300n)에는 호면부(350n)와 동축인 관통홀(340n)이 더 설치된다. 위치 결정 기둥(440n)은 관통홀(340n)과 축 구멍 맞물림을 형성할 수 있다. 원통형 베이스(430n)와 호면부(350n) 사이도 기둥면 맞물림을 형성하므로, 일부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기둥(440n)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토크 전달부(331n)의 수량은 4개이므로 록킹 블럭 드라이버(400n)와 록킹 블럭(300n) 사이에는 4가지 상대 위치 관계가 있으므로 조립할 때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 일부를 균등물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각각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책을 포함한다.

Claims (14)

  1.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기 위한 바늘 클램핑 장치로서,
    상기 바늘 클램핑 장치는,
    샤프트부를 갖는 제1 부재;
    상기 샤프트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부재로서, 상대 위치가 가변적인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대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설치된 제2 부재; 및
    바늘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로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 기구는 적어도 일부 구조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정형외과용 바늘을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샤프트부를 클램핑하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상대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하는 클램핑 기구를
    포함하는,
    바늘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나란히 배열된 제1 클램핑 암 및 제2 클램핑 암이고, 상기 제1 클램핑 암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클램핑 암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있고, 상기 제1 클램핑 암과 상기 제2 클램핑 암 사이에는 샤프트 홀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샤프트 홀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의 샤프트부와 회전 연결을 형성하는,
    바늘 클램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기구는,
    상기 제1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를 관통하는 내부 샤프트로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 및 제2 끝단은 상기 제2 부재의 양측에 분포되며, 상기 제1 끝단에는 제1 위치 제한면이 설치되어 있는, 내부 샤프트;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에 가동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부 샤프트에 대해 이동할 때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핸들 부재; 및
    관통홀을 갖고 있으며,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내부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위치 제한면과 마주하거나 대각선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제2 위치 제한면을 구비하는 록킹 슬리브,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내부 샤프트에서 상기 핸들 부재와 상기 록킹 슬리브의 축방향의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바늘 클램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제1 레이디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레이디얼 구멍의 상기 제1 끝단에 배향되는 단면의 구멍벽 부분이 상기 제1 위치 제한면이며, 상기 록킹 슬리브에는 반경 방향으로 제 2 레이디얼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레이디얼 구멍의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의 단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구멍벽 부분이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이고, 상기 제1 위치 제한면과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은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바늘 클램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은 상기 록킹 슬리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록킹 슬리브 내에는 위치 제한 로드가 설치되어 있는,
    바늘 클램핑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에는 반경 방향에 따라 돌출되게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록킹 슬리브의 상기 제2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록킹 슬리브의 상기 제2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일단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상기 록킹 슬리브와 마주하는 상기 플랜지의 일 측면이 상기 제1 위치 제한면이며, 상기 제1 끝단의 상기 플랜지와 마주하는 단면이 상기 제2 위치 제한면인,
    바늘 클램핑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원통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와 상기 핸들부는 연결되며, 상기 핸들부는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원통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원통부 및 상기 핸들부는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과 나사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의 일단은 상기 제1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에 접촉하고, 상기 핸들부는 회전할 때 상기 내부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록킹 슬리브를 구동하여 상기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에 가압하는,
    바늘 클램핑 장치.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재는 캠 핸들이고, 상기 캠 핸들은 캠부와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와 상기 핸들부는 연결되어 있고, 상기 캠부는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2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부가 회전할 때 상기 내부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록킹 슬리브를 구동하여 상기 제2 클램핑 암의 제2 단부에 가압하는,
    바늘 클램핑 장치.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와 상기 록킹 슬리브는 원주 방향에서 위치 제한 하도록 연결된,
    바늘 클램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외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샤프트에 평행되는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슬리브의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평면 영역과 배합되는 배합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합면은 상기 평면 영역과 합착하여 상기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 제한을 형성하는,
    바늘 클램핑 장치.
  11.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샤프트의 제1 끝단과 상기 록킹 슬리브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내부 샤프트에 작용하여 상기 내부 샤프트를 상기 록킹 슬리브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경향이 있는,
    바늘 클램핑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늘 클램핑 장치를 구비하는 다리 지지 장치로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지지대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늘 클램핑 장치는 상기 지지대 조립체의 상부에 설치된,
    다리 지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제1 지지대 조립체 및 제2 지지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 조립체 및 상기 제2 지지대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다리 지지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위치는 상기 베이스의 측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조절 가능한,
    다리 지지 장치.
KR1020227012783A 2020-08-28 2021-07-28 바늘 클램핑 장치, 다리 지지 장치 KR20220065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85394.9A CN111803200B (zh) 2020-08-28 2020-08-28 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202010885394.9 2020-08-28
CN202022330951 2020-10-16
CN202022330951.9 2020-10-16
CN202110120633.6 2021-01-28
CN202110120633.6A CN114366530A (zh) 2020-10-16 2021-01-28 腿支架装置
PCT/CN2021/109000 WO2022042191A1 (zh) 2020-08-28 2021-07-28 夹针装置、腿支架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820A true KR20220065820A (ko) 2022-05-20

Family

ID=8035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783A KR20220065820A (ko) 2020-08-28 2021-07-28 바늘 클램핑 장치, 다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18436A1 (ko)
EP (1) EP4029465A4 (ko)
JP (1) JP2023501247A (ko)
KR (1) KR20220065820A (ko)
WO (1) WO20220421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146A (en) * 1979-01-18 1980-09-02 Cloutier Jean Marie Biplanar joint distractor
CH664318A5 (fr) * 1985-11-29 1988-02-29 Jaquet Orthopedie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et de blocage d'une piece presentant des zones circulaires serrees entre deux machoires.
US5167223A (en) * 1989-09-08 1992-12-01 Tibor Koros Heart valve retractor and sternum spreader surgical instrument
US6206894B1 (en) * 1997-10-09 2001-03-27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ly powered needle holder to assist in suturing
US5921985A (en) * 1998-02-10 1999-07-13 Texas Scottish Rite Hospital External fixation device and method
AUPP396598A0 (en) * 1998-06-09 1998-07-02 Pine Ridge Holdings Pty Ltd Single action clamp
US6629982B2 (en) * 2001-04-17 2003-10-07 Ohio Medical Instrument Company, Inc. Three-pin skull clamp with load distribution indicators on the rocker arm
EP2271272B1 (en) * 2008-04-16 2014-04-02 Synthes GmbH Apparatus for use with fracture table to reposition bone portions
TR201202175A2 (tr) * 2012-02-27 2012-09-21 Tam�� Otogaz Sanay� T�C. Ve M�H. H�Z. �Th. �Hr. Ltd. �T�. Kemik kırıkları için bir sabitleme robotu.
CN205964137U (zh) * 2016-06-29 2017-02-22 浙江保尔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骨科外固定支架一键锁紧式固定器
CN109717938A (zh) * 2019-03-20 2019-05-07 高志书 一种医用外固定器
CN213217541U (zh) * 2020-08-28 2021-05-18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111956441B (zh) * 2020-08-28 2022-09-20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腿支架装置
CN111803200B (zh) * 2020-08-28 2023-06-09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213190924U (zh) * 2020-08-28 2021-05-14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腿支架装置
CN111803199A (zh) * 2020-08-28 2020-10-23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213217542U (zh) * 2020-08-28 2021-05-18 北京和华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夹针装置及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9465A1 (en) 2022-07-20
JP2023501247A (ja) 2023-01-18
WO2022042191A1 (zh) 2022-03-03
US20220218436A1 (en) 2022-07-14
EP4029465A4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1802T3 (es) Dispositivo ortopédico para corregir deformidades de huesos largos
US6840939B2 (en) Axial external fixator
CA2736808C (en) Orthopaedic device to be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a bone
CA2823579C (en) Clamp for temporary or definitive external orthopaedic fixation, and external fixation system comprising said clamp
EP0955928B1 (en) External fixator for large bones
US8287537B2 (en) Head fixation device
US20030153910A1 (en) External fixation apparatus and method
EP3116462B1 (en) Limb positioning system
ZA200105915B (en) External fixation device for bone.
US20090054897A1 (en) External Mandibular Distractor with Rotational Clamp
EP3302322B1 (en) Dynamic foot plate
CN213190924U (zh) 腿支架装置
KR20220065820A (ko) 바늘 클램핑 장치, 다리 지지 장치
CN213217541U (zh) 一种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111956441B (zh) 腿支架装置
CN111803200B (zh) 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113693674B (zh) 固定支架
JP2021536308A (ja) 外部固定システム用の調節可能なレール装置
US7850696B2 (en) Device for facilitating reduction and repair of fractures of the small bones
CN214805495U (zh) 腿支架装置
US11090062B2 (en) Medical sawing template system
CN111803199A (zh) 夹针装置及固定装置
CN220327506U (zh) 定位参考架的固定装置和具有固定装置的定位参考架
CN213218721U (zh) 足托定位装置及腿支架
CN218187209U (zh) 一种膝关节固定用脚架及手术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