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445A -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 Google Patents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445A
KR20220065445A KR1020200151967A KR20200151967A KR20220065445A KR 20220065445 A KR20220065445 A KR 20220065445A KR 1020200151967 A KR1020200151967 A KR 1020200151967A KR 20200151967 A KR20200151967 A KR 20200151967A KR 20220065445 A KR20220065445 A KR 2022006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ndle
unmanned ticket
adjusting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242B1 (ko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20015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2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발매기의 함체(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저면에 출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복수의 지점에서 중앙핸들(31)과 측방핸들(32)로 높이변동을 유발하는 레벨러(35)를 구비하는 조절부재(30); 및 상기 본체(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감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다중 이용 공간의 한정된 공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인발매기를 동일한 높이로 맞추는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작업 시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Device for adjusting the level of unmanned ticket machine}
본 발명은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정된 공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인발매기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을 비롯하여 각종 다중 이용 건물에는 승차권, 티머니 등을 판매/환급하기 위한 발매기가 설치된다. 인구 고령화, 전염병 팬데믹 등의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무인발매기의 설치 수량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한정된 공간에 무인발매기를 인접하게 설치하는 과정에서 높이를 맞추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의 일예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12861호가 알려져 있다.
이는 외부케이스에 수직으로 설치된 부시와, 이 부시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다리와, 이 다리에 끼워짐과 더불어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탄력지지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이 다리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수평조절시 부시에서 다리가 빠지지 않도록 된 이탈방지볼트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수평이 조절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기대하지만 외부케이스가 복수로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 상호 높이를 맞추기 어렵다.
선행기술문헌의 또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890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는 보조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볼트부재; 캐비닛의 하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 너트부재; 볼트부재의 나선부가 순차적으로 제1 너트부재, 하부프레임 및 제2 너트부재에 관통되게 끼워진 후 그 나선부의 하단에 고정되는 받침링으로 구성된다.
이는 물품 보관용 캐비닛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효과를 기대하지만 캐비닛이 복수로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 상호 높이를 맞추기 어렵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12861호 "자동판매기의 수평조절장치" (공개일자 : 1999.04.15.)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8903호 "캐비닛 높이 조절장치" (공개일자 : 2003.01.0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이용 공간의 한정된 공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인발매기를 동일한 높이로 맞추기 위한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인발매기의 함체의 수평을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저면에 출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복수의 지점에서 중앙핸들과 측방핸들로 높이변동을 유발하는 레벨러를 구비하는 조절부재; 및 상기 본체의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인접한 복수의 함체를 동시에 작업하도록 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재는 리드스크류 또는 볼스크류를 탑재한 3개소의 레벨러에 각각의 핸들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재는 본체의 일측에 탑재되는 메인수평계, 본체의 타측에 탑재되는 서브수평계, 본체에 장착된 기울기센서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수평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는 전면에 고정되는 수직대 상에 수용되는 연장축의 상단에 각각의 핸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이용 공간의 한정된 공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인발매기를 동일한 높이로 맞추는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작업 시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기구로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인발매기의 함체(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각종 다중 이용 건물에 설치되고 승차권, 티머니 등을 판매/환급하는 무인발매기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인발매기의 함체(10) 저면에 각각의 높이조절좌(15)를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높이를 맞추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가 상기 함체(10)의 저면에 출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20)가 2가지 실시예로 나타나지만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T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체(20)는 함체(10)의 저면에서 높이조절좌(15) 사이를 출입 가능한 평판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체(20)가 함체(10)에 진입한 상태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전면, 그 반대편의 은폐되는 부분을 후면이라고 칭한다. 본체(20)의 전면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캐스터(23)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운반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21)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20)는 인접한 복수의 함체(10)를 동시에 작업하도록 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1대의 함체(10)에 대응하는 본체(20)로 예시하고, 도 2에서 2대의 함체(10)에 대응하는 본체(20)로 예시한다. 어느 경우에나 본체(20)는 3대 이상의 함체(10)를 동시에 작업하도록 횡으로 연장이 가능하다. 다만 본체(20)가 많은 수량으로 연장될수록 운반과 취급이 불편하므로 도 1 또는 도 2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무난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부재(30)가 상기 본체(20)의 복수의 지점에서 중앙핸들(31)과 측방핸들(32)로 높이변동을 유발하는 레벨러(35)를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절부재(30)를 구성하는 중앙핸들(31), 측방핸들(32), 레벨러(35) 등이 나타난다. 조절부재(30)는 복수의 함체(10)에 대한 높이를 맞추도록 복수의 핸들(31)(32)과 복수의 레벨러(35)를 갖춘다. 핸들(31)(32)과 레벨러(35)는 직결될 수도 있고, 타이밍벨트(33)를 개재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의 본체(20)에 있어서 조절부재(30)의 구성은 동일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재(30)는 리드스크류 또는 볼스크류를 탑재한 3개소의 레벨러(35)에 각각의 핸들(31)(32)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하나의 중앙핸들(31)의 양측으로 측방핸들(32)이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레벨러(35)를 구성하는 리드스크류 또는 볼스크류는 나선부와 너트부를 갖춘다. 핸들(31)(32)과 레벨러(35)는 본체(20)를 안정적인 3점지지 상태로 유지한다. 중앙핸들(31)은 레벨러(35)의 나선부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너트부에 연결된다. 측방핸들(32)은 레벨러(35)의 나선부와 이격되고 너트부와 타이밍벨트(33)로 연결된다. 어느 경우에나 핸들(31)(32)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서 본체(20)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나선부의 높이가 변동된다.
한편, 측방핸들(32)과 레벨러(35)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33)는 중간에 텐션풀리(37)를 거치도록 한다. 텐션풀리(37)는 위치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타이밍벨트(33)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재(40)가 상기 본체(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3처럼, 작업자가 2대의 함체(10)의 저면에 본체(20)를 밀어 넣고 핸들(31)(32)로 수펑을 맞추는 과정에서 감지부재(40)를 활용하는 것이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본체(20)를 함체(10)의 저면으로 출입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캐스터(25)를 활용한다. 복수의 함체(10)의 높이가 일치된 후에는 높이조절좌(15)를 이용하여 일치된 높이를 유지한 후에 본체(20)의 레벨러(35)를 내리고 외부로 인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감지부재(40)는 본체(20)의 일측에 탑재되는 메인수평계(41), 본체(20)으 타측에 탑재되는 서브수평계(43), 본체(20)에 장착된 기울기센서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수평검출기(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감지부재(40)를 구성하는 메인수평계(41), 서브수평계(43), 수평검출기(45)가 나타난다. 메인수평계(41)와 서브수평계(43)는 전원이 필요하지 않는 수준계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메인수평계(41)는 본체(20)의 전면 중앙에 설치하고 서브수평계(43)는 본체(20)의 후면에 복수로 설치한다. 수평검출기(45)는 기울기센서를 기반으로 하고 배터리와 제어기판(도시 생략)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수평검출기(45)는 센서를 신호를 이용하여 본체(20)의 수평상태를 제어기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본체(20)는 전면에 고정되는 수직대(50) 상에 수용되는 연장축(55)의 상단에 각각의 핸들(31)(3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0)의 전면에 구성되는 수직대(50)와 연장축(55)이 나타난다. 핸들(31)(32)이 본체(20)의 상면에 인접한 경우 작업자가 허리를 굽혀 작업해야 하므로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수직대(50)는 본체(20)의 전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3개의 연장축(55)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다. 연장축(55)의 하단은 풀리에 연결되고 상단은 핸들(31)(32)에 연결된다. 여타의 구성은 전술한 도 1 및 도 2와 동일성을 유지한다.
도 5와 같이 핸들(31)(32)이 본체(20)에서 상당한 높이로 이격되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서서 작업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함체 15: 높이조절좌
20: 본체 21: 손잡이
23: 이동캐스터 25: 작업캐스터
30: 조절부재 31: 중앙핸들
32: 측방핸들 33: 타이밍벨트
35: 레벨러 37: 텐션풀리
40: 감지부재 41: 메인수평계
43: 서브수평계 45: 수평검출기
50: 수직대 55: 연장축

Claims (5)

  1. 무인발매기의 함체(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저면에 출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복수의 지점에서 중앙핸들(31)과 측방핸들(32)로 높이변동을 유발하는 레벨러(35)를 구비하는 조절부재(30); 및
    상기 본체(2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감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인접한 복수의 함체(10)를 동시에 작업하도록 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30)는 리드스크류 또는 볼스크류를 탑재한 3개소의 레벨러(35)에 각각의 핸들(31)(32)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40)는 본체(20)의 일측에 탑재되는 메인수평계(41), 본체(20)의 타측에 탑재되는 서브수평계(43), 본체(20)에 장착된 기울기센서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수평검출기(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전면에 고정되는 수직대(50) 상에 수용되는 연장축(55)의 상단에 각각의 핸들(31)(3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KR1020200151967A 2020-11-13 2020-11-13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KR10245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967A KR102453242B1 (ko) 2020-11-13 2020-11-13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967A KR102453242B1 (ko) 2020-11-13 2020-11-13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445A true KR20220065445A (ko) 2022-05-20
KR102453242B1 KR102453242B1 (ko) 2022-10-12

Family

ID=8179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967A KR102453242B1 (ko) 2020-11-13 2020-11-13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2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274U (ja) * 1991-11-18 1993-06-11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金融端末装置の水平調整装置
KR19990012861A (ko) 1997-07-31 1999-02-25 암라인/립퍼 알칼리가 없는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 및 그 이용/2
JPH11270515A (ja) * 1998-03-19 1999-10-05 Hitachi Koki Co Ltd 機器の高さ調整工具
KR100298903B1 (ko) 1999-06-29 2001-11-01 이형도 무선랜의 전원 절약방법
JP2006093310A (ja) * 2004-09-22 2006-04-06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ジャスタ構造
JP2013117878A (ja) * 2011-12-02 2013-06-13 Toyo Vending Kk 据付面形成用型枠を用いた自動販売機の据付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274U (ja) * 1991-11-18 1993-06-11 甲府日本電気株式会社 金融端末装置の水平調整装置
KR19990012861A (ko) 1997-07-31 1999-02-25 암라인/립퍼 알칼리가 없는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 및 그 이용/2
JPH11270515A (ja) * 1998-03-19 1999-10-05 Hitachi Koki Co Ltd 機器の高さ調整工具
KR100298903B1 (ko) 1999-06-29 2001-11-01 이형도 무선랜의 전원 절약방법
JP2006093310A (ja) * 2004-09-22 2006-04-06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ジャスタ構造
JP2013117878A (ja) * 2011-12-02 2013-06-13 Toyo Vending Kk 据付面形成用型枠を用いた自動販売機の据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242B1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51299A1 (en) Teaching apparatus, transpor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ing pins
CN108225221A (zh) 一种液晶显示屏边框平整性检测装置
KR102453242B1 (ko) 무인발매기의 수평 조절 기구
CN210567096U (zh) 一种背光板清洁aoi检测设备用ccd高度调节机构
KR101512104B1 (ko) 캠핑트레일러
CN211330315U (zh) 一种用于芯片测试分选叠料检测的装置
CN202748030U (zh) 一种可调节水平支架
KR20180016824A (ko) 라인 겸용 이동식 전자저울장치
CN105858477B (zh) 一种能自动调节位置的激光测距仪
CN219658181U (zh) 一种防磨损的桌面自助收银一体机
CN207487655U (zh) 一种手持式水平垂直度测量工具
EP3317621B1 (en) Food processing system with integrated weighing arrangement
CN212254301U (zh) 一种可清洗缓冲式不锈钢台秤
CN212871198U (zh) 一种大理石的水平测量装置
CN216899197U (zh) 一种设有侧向遮挡结构防货物掉落的称重电子秤
CN216201743U (zh) 一种用于软件开发的多屏显示装置
CN220438134U (zh) 用于视觉检测的检测台
CN220765657U (zh) 一种具有称重功能的电气自动化送料装置
CN215598536U (zh) 一种便于看数的电子体重秤
CN220933551U (zh) 带有重力识别功能的货道
CN216283408U (zh) 一种土木工程施工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CN210570609U (zh) 一种地板平整性检测装置
CN211346690U (zh) 一种湿纸巾盖尺寸检查设备
CN213274548U (zh) 一种自动动态检重秤
JP2573835Y2 (ja) 台 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