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581A -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4581A
KR20220064581A KR1020200150801A KR20200150801A KR20220064581A KR 20220064581 A KR20220064581 A KR 20220064581A KR 1020200150801 A KR1020200150801 A KR 1020200150801A KR 20200150801 A KR20200150801 A KR 20200150801A KR 20220064581 A KR20220064581 A KR 2022006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w detection
electrode
probe
c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063B9 (ko
KR102460063B1 (ko
Inventor
장윤영
이창준
이규성
장현영
임부택
김영식
김기태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0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063B1/ko
Publication of KR10246006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06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전륜과 후륜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적층 설치되는 전장케이스, 상기 전장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장품, 충전지 및 탐촉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장모듈; 상기 전장모듈의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탐촉케이스, 상기 탐촉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탐상유닛, 상기 탐상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탐촉모듈; 및 상기 탐촉모듈에서 탐촉된 결과 값을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Mobile multi-electrode flaw detection apparatus to detect whether or not cover defects in underground buried pipes}
본 발명은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비굴착 방법으로 탐상하기 위한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에 관련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다전극 탐상장비가 탑재되어 정확도를 높인 점, 충전지가 탑재되어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점, 탐상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탐상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모듈이 설치된 점 등에 특징을 갖는 올인원 타입의 다전극 탐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 송유관 및 상·하수도관 등은 배관의 외면이 피복(被服)되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주변 환경에 의하여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매설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어 환경오염이나 인명사고와 같은 재해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매설배관의 피복손상을 사전에 감지하여 가스 등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설배관의 피복상태에 따라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매설배관 피복손상탐지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매설배관 피복손상 탐지작업은 작업자가 탐지스틱의 전극으로 지면을 짚으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매설배관을 흐르는 전류가 집중되는 곳이 탐지되면 기준전극과의 전위차를 비교함으로써 피복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탐지스틱은 작업자가 이동할 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양 손으로는 탐지스틱을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방법이 불편하고, 이동속도가 느려서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이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6525호(지하매설 배관의 탐지시스템)가 개시된 바 있다.
위의 공개공보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배관(1)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20)를 착용한 작업자가 배관(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복이 손상된 위치에 이르면 전류의 집중현상에 의해 두 탐지스틱(1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전극(11) 사이에서 전위차가 발생된다.
전위차 발생에 따른 신호는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6)에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배관피복의 손상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탐지스틱(10)에 구비된 알람발생부(12)에도 측정 신호가 전달되므로, 진동기(12a), 램프(12b) 및 스피커(12c) 등이 작동되어 배관피복의 손상부위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탐지작업 중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지 않고도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 속도도 빨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은 두 개의 전극으로 탐상을 해야 하는 관계로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마다 이동하여 측정해야 하므로 매설배관의 전위가 수시로 변화하는 영향을 크게 받음과 동시에 측정 시간이 매우 길게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양 손에 탐지스틱을 파지하고, 단말기를 목에 건 채, 탐지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다는 문제점도 있다.
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6525호(2018.06.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비굴착 방법으로 탐상하기 위한 탐상장비가 모두 갖추어진 올인원 타입의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탐상 전극을 다전극으로 구성하여, 다전극의 조합에 의한 전위 및 전위차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중 매설 배관의 피복결함 및 부식결함에 대한 탐상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륜과 후륜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적층 설치되는 전장케이스, 상기 전장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장품, 충전지 및 탐촉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장모듈; 상기 전장모듈의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탐촉케이스, 상기 탐촉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탐상 유닛, 상기 탐상 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탐촉모듈; 및 상기 탐촉모듈에서 탐촉된 결과 값을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탐상 유닛은, 상기 탐촉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환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홀더에 일단부가 각각 핀 결합되어 상기 핀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시소운동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일단부에는 롤러 또는 베어링이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탐촉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횡바; 상기 횡바의 타단부에 핀 결합되어, 상기 횡바의 시소운동에 따라 승강동작되는 종바; 및 상기 종바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탐상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탐촉케이스의 상판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2 상부 고정블록; 상기 제1, 2 상부 고정블록 사이에 수평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이송블록; 상기 상부 이송블록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부 이송블록을 이송시켜주는 진퇴 플런저; 하강동작에 의해 상기 횡바의 일단부를 눌러서 상기 종바를 들어 올려주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2 하부 고정블록; 상기 제1, 2 하부 고정블록 사이에 수평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레일;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이송블록; 및 상기 제1 상부 고정블록과 상기 하부 이송블록을 크로스로 연결하는 제1 크로스바, 상기 상부 이송블록과 상기 제1 하부 고정블록을 크로스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크로스바와 중앙부가 핀 결합되는 제2 크로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퇴플런저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진퇴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에 수직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전장케이스, 상기 전장케이스와 탐촉케이스는 버클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탐상장비가 모두 갖추어진 올인원 타입이고, 이동도 간편하여 탐상작업이 간편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탐상 전극이 다전극으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설된 피복배관의 직상부 및 좌우 및 전후의 전위 및 전위차를 다중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서 기존 대비 탐상범위가 넓고 측정값도 정확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탐상 전극 사용시에는 하강시키고, 탐상 전극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승시켜서 탐상 전극을 지면 또는 외부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케이스의 일부를 개방하여 내부가 보여지게 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탐상전극이 상승한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탐상전극이 하강한 상태도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케이스의 일부를 개방하여 내부가 보여지게 한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탐상전극이 상승한 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측면도로서, 탐상전극이 하강한 상태도이다.
위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이하, '탐상장치'라 약칭함:100)는 탐상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서 탐상 전극이 다전극으로 구성되어 탐상범위가 넓고 다전극에서 탐상된 값을 조합하여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10), 전장모듈(120), 탐촉모듈(130) 및 출력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탐상장치(100) 전체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적층프레임(111)과 바퀴프레임(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프레임(111)은 장방형의 프레임으로서 평탄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위에 상기 전장모듈(120) 및 탐촉모듈(130)이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프레임(111)의 선단에는 상기 출력모듈을 거치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을 밀거나 끌기 위한 손잡이(113a)가 마련된 포스트 프레임(11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퀴프레임(112)은 상기 적층프레임(111)의 각 모서리 하단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하단에는 전륜(112a) 및 후륜(112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륜(112a)의 사이에는 전륜을 나란하게 정렬하기 위한 얼라인 조절볼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부연하면, 전륜(112a)의 앞쪽이 안쪽으로 모아지는 토인(toe-in) 또는 전륜(112a)의 앞쪽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토아웃(toe-out)이 되는 경우 직진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륜의 양쪽 바퀴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얼라인 조절볼트가 설치되는 것이다.
전장모듈(120)은 도 3에서와 같이, 탐상장치(100)의 전기적인 제어를 위한 것으로, 상기 적층프레임(111) 상에 안착되며, 버클(121a)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전장케이스(121), 상기 전장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장부품(미도시), 충전에너지를 구동체에 공급하여 주는 충전지(122), 탐촉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전장케이스(121)의 전면에는 상기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종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USB포트(124a), HDMI포트(124b), LAN포트(124c), 충전지 온/오프 스위치(124d), 배터리 충전포트(124e), 승강장치의 전원포트(124f), 충전지 디스플레이(124g)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충전지 디스플레이(124g)는 충전지의 온도와 잔량이 출력될 수 있다.
탐촉모듈(130)은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장모듈(120)의 상부에 적층 설치되되, 버클(131a)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는 탐촉케이스(131)와, 상기 탐촉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탐상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탐상유닛(132)은 상기 탐촉케이스(131)의 내부 바닥면에 환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홀더(132b)에 일단부 측이 핀 결합되어 상기 핀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상하방향으로 시소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일단부에는 롤러 또는 베어링(132c)이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탐촉케이스(13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횡바(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탐상유닛(132)은 탐촉케이스(131)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횡바(132a)의 타단부에 핀 결합되어, 상기 횡바(132a)의 시소운동에 따라 승강 동작되는 종바(132d)와, 상기 횡바의 하단에 조립된 채 지면과 접촉되어 매설배관의 전위를 측정하는 탐상 전극(132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탐상전극(132e)은 매설배관의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극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는 동-황산동 전극(CSE, Cu-CuSO4, electrode)이 주로 사용된다.
탐촉모듈(130)은 상기 탐상유닛(132)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133)은 도 5에서와 같이, 승강모듈(133a) 및 상기 승강모듈에 의해 횡바(132a)를 가압하여 들어 올려주는 가압판(13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133a)은 제1, 2 상부 고정블록(133b-1,133b-2), 상부 가이드레일(133c), 상부 이송블록(133d), 진퇴 플런저(133e), 제1, 2 하부 고정블록(133f-1,133f-2), 하부 가이드레일(133g), 하부 이송블록(133h) 및 크로스 바(133i)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상부 고정블록(133b-1,133b-2)은 상기 탐촉케이스(131)의 상판 저면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33c)은 그 양 단이 상기 제1, 2 상부 고정블록(133b-1,133b-2)에 각각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퇴 플런저(133e)는 상기 상부 이송블록(133d)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부 이송블록을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33c)을 따라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진퇴 플런저(133e)는 리미트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진퇴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하부 고정블록(133f-1,133f-2)은 상기 가압판(133b)의 상면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33g)은 그 양 단이 상기 제1, 2 하부 고정블록(133f-1,133f-2)에 각각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바(133i)는 상기 제1 상부 고정블록(133b-1)과 상기 하부 이송블록(133h)을 크로스로 연결하는 제1 크로스바(133j)와, 상기 상부 이송블록(133d)과 상기 제1 하부 고정블록(133f-1)을 크로스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크로스바(133j)와 중앙부가 핀 결합되는 제2 크로바(133k)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진퇴 플런저(133e)가 상부 이송블록(133d)을 밀면, 상기 상부 이송블록이 상부 가이드레일(133c)을 따라 도면상 좌측으로 이송되면서 제2 크로스바(133k)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제2 크로스바(133k)는 기립상태에 가깝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크로스바(133k)의 도면상 하단에 핀 결합된 제1 하부 고정블록(133f-1) 및 이 제1 하부 고정블록과 결합된 가압판(133b)을 함께 하강시켜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하부 고정블록(133f-1)과 가압판(133b)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제1 크로스바(133j)와 핀 결합된 상기 제1 크로스바(133j)의 하단은 하부 이송블록(133h)의 도면상 좌측 이송으로 상기 제2 크로스바(133k)와 함께 기립에 가까운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가압판(133b)을 안정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판(133b)의 하강에 따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횡바(132a)의 베어링(132c)을 가압함으로써 횡바는 시소작용에 의해 지지홀더(132b)를 기점으로 회전하여 상기 종바(132d)와 핀 결합된 부위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함께 종바(132d)도 함께 상승하게 되면서 종바의 하단에 조립된 탐상 전극(132e)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는 탐상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의 포지션(position)이다.
반대로,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도 5a 상태로 부터, 상기 진퇴 플런저(133e)가 상부 이송블록(133d)을 잡아 당기면, 상기의 역작용에 의해 상기 가압판(133b)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기 횡바(132a)에 작용되고 있던 가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결국 종바()는 지면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이는 탐상작업을 하는 경우의 포지션(position)이다.
출력모듈(140)은 상기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상기 탐촉모듈(130)에서 탐촉된 결과 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탐촉 결과값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 프레임(113)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탐상장치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전장모듈
130 : 탐촉모듈
133 : 승강유닛
140 : 출력모듈

Claims (6)

  1. 전륜과 후륜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적층 설치되는 전장케이스, 상기 전장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장품, 충전지 및 탐촉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장모듈;
    상기 전장모듈의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탐촉케이스, 상기 탐촉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탐상유닛, 상기 탐상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탐촉모듈; 및
    상기 탐촉모듈에서 탐촉된 결과 값을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상 유닛은,
    상기 탐촉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환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홀더에 일단부가 각각 핀 결합되어 상기 핀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시소운동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일단부에는 롤러 또는 베어링이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탐촉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횡바;
    상기 횡바의 타단부에 핀 결합되어, 상기 횡바의 시소운동에 따라 승강동작되는 종바; 및
    상기 종바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탐상 전극;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탐촉케이스의 상판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2 상부 고정블록;
    상기 제1, 2 상부 고정블록 사이에 수평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이송블록;
    상기 상부 이송블록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부 이송블록을 이송시켜주는 진퇴 플런저;
    하강동작에 의해 상기 횡바의 일단부를 눌러서 상기 종바를 들어 올려주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2 하부 고정블록;
    상기 제1, 2 하부 고정블록 사이에 수평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레일;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이송블록; 및
    상기 제1 상부 고정블록과 상기 하부 이송블록을 크로스로 연결하는 제1 크로스바, 상기 상부 이송블록과 상기 제1 하부 고정블록을 크로스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크로스바와 중앙부가 핀 결합되는 제2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퇴플런저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진퇴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에 수직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전장케이스, 상기 전장케이스와 탐촉케이스는 버클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KR1020200150801A 2020-11-12 2020-11-12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KR10246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01A KR102460063B1 (ko) 2020-11-12 2020-11-12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01A KR102460063B1 (ko) 2020-11-12 2020-11-12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581A true KR20220064581A (ko) 2022-05-19
KR102460063B1 KR102460063B1 (ko) 2022-10-31
KR102460063B9 KR102460063B9 (ko) 2024-03-13

Family

ID=8180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801A KR102460063B1 (ko) 2020-11-12 2020-11-12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0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308A (ja) * 1995-05-24 1996-12-03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埋設管の防食塗覆装損傷部診断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66525A (ko) 2016-12-09 2018-06-19 윤명섭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CN210038178U (zh) * 2019-04-22 2020-02-07 青岛中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声波振动式地下管道探测装置
KR102177812B1 (ko) * 2020-08-25 2020-11-11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하이브리드 멀티 탐사를 실시하여 탐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시설물 탐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0308A (ja) * 1995-05-24 1996-12-03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埋設管の防食塗覆装損傷部診断方法とその装置
KR20180066525A (ko) 2016-12-09 2018-06-19 윤명섭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CN210038178U (zh) * 2019-04-22 2020-02-07 青岛中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声波振动式地下管道探测装置
KR102177812B1 (ko) * 2020-08-25 2020-11-11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하이브리드 멀티 탐사를 실시하여 탐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시설물 탐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063B9 (ko) 2024-03-13
KR102460063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85652U (zh) 一种电芯厚度及宽度测试机
CN105571476B (zh) 平板检测装置
DE50013889D1 (de) Vorrichtung zum messen an in einer flüssigen umgebung befindlichen zellen
CN105093120A (zh) 电池包电阻焊焊接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6950105A (zh) 电池模组用铝丝超声波焊接拉力检测设备及方法
CN206002626U (zh) 一种半成品触摸屏测试机
KR101290559B1 (ko) 리크 테스터
KR102460063B1 (ko) 지중 매설관의 피복결함 여부를 탐상하기 위한 이동형 다전극 탐상장치
CN206248798U (zh) 一种锂电池检测装置
CN206609711U (zh) 电池模组用铝丝超声波焊接拉力检测设备
CN205688015U (zh) 管道阴极保护及外腐蚀速率监测探头
CN204631176U (zh) 一种电池短路测试机
CN207907815U (zh) 钢带边浪在线检测仪
CN212482841U (zh) 气密性检测设备
JP2020517948A5 (ko)
CN203011311U (zh) 新型锂离子动力电池极组边间距检测验具
KR101094028B1 (ko) 팩형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케이스 미융착 검사장치
CN208171434U (zh) 一种多功能测试仪
CN207181257U (zh) 一种石英水晶片x向正负极性识别检测工具
CN206174011U (zh) 一种移动式电学土工膜渗漏检测装置
CN214224003U (zh) 一种间隙测量设备
CN212694080U (zh) 一种地质勘探测量设备
CN213336751U (zh) 一种用于计算机外设鼠标使用寿命测试装置
CN106284444A (zh) 一种移动式电学土工膜渗漏检测装置
CN208921646U (zh) 一种锂电池外观检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