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559B1 - 리크 테스터 - Google Patents

리크 테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559B1
KR101290559B1 KR1020120067196A KR20120067196A KR101290559B1 KR 101290559 B1 KR101290559 B1 KR 101290559B1 KR 1020120067196 A KR1020120067196 A KR 1020120067196A KR 20120067196 A KR20120067196 A KR 20120067196A KR 101290559 B1 KR101290559 B1 KR 10129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 cell
pressure
pressing
press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홍
Original Assignee
성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정밀(주) filed Critical 성진정밀(주)
Priority to KR102012006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크 테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과 분리막 및 전해액이 케이싱된 단위전지를 지지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단위전지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 하방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의 내부배관을 통해 상기 단위전지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단위전지에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압력 수치를 전달받고, 상기 공급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위전지의 개별적인 리크 검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단위전지를 가압시키는 하부가압부를 변위시켜 단위전지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팽창으로 단위전지의 파손 또는 폭발을 방지하여 검사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크 테스터{LEAK TESTER}
본 발명은 리크 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지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노트북 컴퓨터 및 이동통신기기 등)에 채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원으로도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원으로 이용되는 연료전지는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료전지의 형태는 양자교환막(PEM : Proton Exchange Membrane)을 이용한 것이다.
통상의 연료전지들은 비교적 낮은 전압을 생산하게 되고, 따라서 전력으로 가용될 수 있을 만큼 생산하려면 연료전지가 수십에서 수백 개 모아져 연료전지 스택(stack)을 구성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단위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전극으로 이루어진 막전극접합체(MEA)와, 도입된 연료가스를 전극막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고 전기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생성수를 배출시키는 기체확산막(gas diffusionmedia)과, 반응가스와 냉각수를 외부로부터 공급하며 산화전극(anode)과 환원전극(cathode)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도전성 분리판(separator)과, 연료전지 셀(cell)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셀 내부의 연료가스 및 기타 유해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케이스의 내구 성능을 판단하기 위하여 먼저 연료전지 스택 어셈블리를 제작완료한 후에, 상기 연료전지 스택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측정된 연료전지 스택 전체의 내구성은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구 성능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었다.
상기 기존의 연료전지용 케이스 테스트 장비는 연료전지 스택 어셈블리 전체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리크(leak)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 전체를 검사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케이스의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전지의 개별적인 리크 검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전지를 가압시키는 하부가압부를 변위시켜 단위전지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팽창으로 단위전지의 파손 또는 폭발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과 분리막 및 전해액이 케이싱된 단위전지를 지지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단위전지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 하방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의 내부배관을 통해 상기 단위전지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단위전지에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압력 수치를 전달받고, 상기 공급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크 테스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에는 상기 단위전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결된 상부가압부와; 상기 상부가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가압부와; 상기 상부가압부와 하부가압부를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배관은 상기 상부가압부와 결합부와 하부가압부의 내부에 형성된 배관의 연동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가압부 배관의 단부에는 단위전지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노즐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노즐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가압부의 중심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는 챔버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가압부는 상기 단위전지 내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에 따른 단위전지의 팽창에 의해 상방으로 변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단위전지의 개별적인 리크 검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단위전지를 가압시키는 하부가압부를 변위시켜 단위전지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팽창으로 단위전지의 파손 또는 폭발을 방지하여 검사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의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a), (b)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에서 기체 공급에 따른 단위전지의 팽창에 의해 하부가압부가 상방으로 변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의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a), (b)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에서 기체 공급에 따른 단위전지의 팽창에 의해 하부가압부가 상방으로 변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비교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는,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과 분리막 및 전해액이 케이싱된 단위전지(100)를 지지하는 지그부(10)와; 상기 지그부(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그부(10)에 안착된 단위전지(100)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 하방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20)와; 상기 가압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20)의 내부배관(P)을 통해 상기 단위전지(10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30)와; 상기 가압부(20)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와; 상기 단위전지(100)에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감지부(미도시)와;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압력 수치를 전달받고, 상기 공급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10)는 검사대상물인 단위전지(100)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지그부(10)는 상기 단위전지(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2)는 단위전지(100)가 챔버 내부에 안착된 후,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단위전지(100)의 변위를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리크 테스트의 수행을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2)의 형상은, 도 2 에서 단위전지(10)의 각 변을 고정하는 복수의 돌기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단위전지(10)의 형상에 따라 이를 용이하고 신뢰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20)는 상기 지그부(10) 상에 안착된 단위전지(100)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가이드레일(G)을 따라 상기 지그부(10) 상에서 상, 하방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30)는 상기 가압부(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20)의 내부배관(P)를 통해 상기 단위전지(100)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30)는 질소, 산소, 공기 등의 다양한 기체를 단위전지(1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기체를 수용하는 실린더 또는 탱그와 같은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기체를 미리 설정된 압력 또는 일정한 압력으로 내부배관(P)를 통해 상기 단위전지(100) 내부로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기체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가압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모터, 벨트체인, 동력전환수단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압부(20)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승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공급부(30)에 의해 주입된 기체에 따른 단위전지(100) 내부의 압력 또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압력감지센서 등으로 마련되어 공급노즐(28)의 일측 또는 내부배관(P)의 특정 영역 또는 미리 설정된 영역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단위전지(100)의 내부의 압력 변화를 측정함과 동시에, 가압부(20)에 의해 단위전지(100) 표면에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하중)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부(30) 및 구동부(40)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압력 변화값에 따른 정보를 연산 및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장치 외부의 컨트롤박스와 연동되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른 자동 제어 또는 작업자의 입력에 의한 수동 제어로 전체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경보, 알람 등의 신호를 송출하는 경보부(미도시)와 연동되어, 리크 테스트에 따른 경보, 위험, 정상작동 등의 장치 상태를 작업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20)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부(30)와 연결된 상부가압부(22)와; 상기 상부가압부(2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가압부(24)와; 상기 상부가압부(22)와 하부가압부(24)를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압부(22)와 하부가압부(24)는 상기 결합부(26)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서로 연동되는 내부배관(P)을 형성하여 상기 공급부(30)에서 공급된 기체가 내부배관(P)를 통해 단위전지(1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배관(P)은 상기 상부가압부(22)와 결합부(26)와 하부가압부(24)의 내부에 형성된 배관의 연동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가압부(24) 배관의 단부에는 단위전지(100)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노즐(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노즐(28)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가압부(24)의 중심(도 2에서 실선 및 은선으로 도시된 통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20)의 하방 구동으로 지그부(10)에 안착된 단위전지(100)의 중심에 상기 공급노즐(28)이 단위전지(100)의 일표면을 관통하여 밀착된 후, 상기 공급부(30)의 기체 공급으로 단위전지(100)의 내부에 일정 압력의 기체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하부가압부(24)는 상기 단위전지(100) 내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에 따른 단위전지(100)의 팽창에 의해 상방으로 변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기체 주입에 따른 단위전지(100)의 파손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 (a)에서와 같이, 공급노즐(28)에 의해 단위전지(100) 내부에 기체가 공급되면, 단위전지(100)의 내적 변화에 의해 단위전지(100)의 표면이 팽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부가압부(24)는 단위전지(100)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기체주입에 의한 단위전지(100)의 팽창과 하부가압부(24)의 가압력이 단위전지(100)의 케이스의 임계강도를 넘어서게 되면,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전지가 폭발할 가능성이 생긴다.
따라서, 도 3 (b)에서와 같이, 상부가압부(22)의 위치 및 공급노즐(28)이 단위전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가압부(24)가 상부가압부(22)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여 압력에 의한 단위전지(100)의 파손 및 폭발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의 리크 검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단위전지(100)가 지그부(10)에 안착된 후,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압부(20)가 하방으로 이송되어 하부가압부(24) 내부에 구성된 공급노즐(28)이 단위전지(100)의 일표면을 관통하여 밀착 고정된다.
다음,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공급부(30)로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의 기체가 일정하게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30)로부터 제공된 기체는 가압부(20)의 내부배관(P) 및 공급노즐(28)을 통해 단위전지(100) 내부로 주입된다.
다음, 기체가 목표 압력으로 단위전지(100) 내부에 주입되면, 제어부는 공급부(30)의 기체 주입을 중지한다. 여기서, 주입완료된 상태의 단위전지(100) 내부의 압력이 압력감지부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주입 중 단위전지(100)의 표면이 팽창하면 하부가압부(24)가 단위전지(100)의 표면에 인가하는 기계적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상부가압부(22) 방향으로 소정 거리 변위된다.
다음, 일정시간(대략 5~20초)가 지난 후, 압력감지부에 의해 현 상태의 단위전지(100)의 압력값을 감지한 후, 전단에서 감지된 압력값과 일정시간이 흐른 후의 압력값을 비교한다. 여기서, 단위전지(100)에 리크가 있는 경우는 일정시간 경과 후, 단위전지(100) 내부에 주입된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초기 압력값에 비해 현재 압력값이 미달되어 불량으로 판단되며, 단위전지(100)에 리크가 없는 경우는 일정시간 경과 후, 초기 압력값과 현재 압력값이 동일(미리 설정된 일정 오차 범위내 수준에서)하여 양품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크 테스터는, 단위전지의 개별적인 리크 검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단위전지를 가압시키는 하부가압부를 변위시켜 단위전지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팽창으로 단위전지의 파손 또는 폭발을 방지하여 검사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그부 12 : 고정돌기
20 : 가압부 22 : 상부가압부
24 : 하부가압부 26 : 결합부
28 : 공급노즐 30 : 공급부
40 : 구동부 100 : 단위전지
P : 내부배관 G : 가이드레일

Claims (5)

  1. 양극 전극과 음극 전극과 분리막 및 전해액이 케이싱된 단위전지를 지지하는 지그부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단위전지에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 하방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의 내부배관을 통해 상기 단위전지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단위전지에 인가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압력 수치를 전달받고, 상기 공급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공급부와 연결된 상부가압부와;
    상기 상부가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가압부와;
    상기 상부가압부와 하부가압부를 결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배관은 상기 상부가압부와 결합부와 하부가압부의 내부에 형성된 배관의 연동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부가압부 배관의 단부에는 단위전지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노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테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에는 상기 단위전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테스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은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가압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테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챔버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가압부는 상기 단위전지 내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에 따른 단위전지의 팽창에 의해 상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테스터.
KR1020120067196A 2012-06-22 2012-06-22 리크 테스터 KR10129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196A KR101290559B1 (ko) 2012-06-22 2012-06-22 리크 테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196A KR101290559B1 (ko) 2012-06-22 2012-06-22 리크 테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559B1 true KR101290559B1 (ko) 2013-07-31

Family

ID=4899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196A KR101290559B1 (ko) 2012-06-22 2012-06-22 리크 테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5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53B1 (ko) * 2016-07-29 2017-07-11 주식회사 테크랜드 파우치형 2차 전지의 시험 장치
CN108168798A (zh) * 2017-12-28 2018-06-15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燃料电池电堆的气密性检测装置
CN109655214A (zh) * 2019-01-14 2019-04-19 安徽明天氢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极板焊接气密性自动检测装置
WO2022025440A1 (ko) * 2020-07-27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압력 측정 유닛 및 배터리 검사 장치
US11650122B2 (en) 2019-12-06 2023-05-16 Lg Chem, Ltd. Apparatus for analyzing battery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799A (ja) * 2000-06-08 2001-12-21 Teitsu Engineering Co Ltd リーク検査装置
KR20120115835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799A (ja) * 2000-06-08 2001-12-21 Teitsu Engineering Co Ltd リーク検査装置
KR20120115835A (ko) * 2011-04-11 2012-10-19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153B1 (ko) * 2016-07-29 2017-07-11 주식회사 테크랜드 파우치형 2차 전지의 시험 장치
CN108168798A (zh) * 2017-12-28 2018-06-15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燃料电池电堆的气密性检测装置
CN109655214A (zh) * 2019-01-14 2019-04-19 安徽明天氢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极板焊接气密性自动检测装置
CN109655214B (zh) * 2019-01-14 2024-02-09 安徽明天氢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极板焊接气密性自动检测装置
US11650122B2 (en) 2019-12-06 2023-05-16 Lg Chem, Ltd. Apparatus for analyzing battery case
WO2022025440A1 (ko) * 2020-07-27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압력 측정 유닛 및 배터리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559B1 (ko) 리크 테스터
CN213425051U (zh) 电池单体泄漏检测装置
KR20120115835A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CN113063556B (zh) 一种燃料电池电堆中双极板检漏方法
US20110081587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 in Fuel Cells
CN112582652B (zh) 一种监测质子交换膜燃料电池反极程度的方法
US11611113B2 (en) Simultaneous inspection device of multiple secondary battery cell pouches
KR102545270B1 (ko)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파우치형 전지셀 충방전용 가압장치
CN112292778A (zh) 用于识别燃料电池的膜内的泄漏的方法和系统
KR101427976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핀홀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7841A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테스트 장비 및 방법
KR101262001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KR101405770B1 (ko) 접착 방지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의 자동 검수 장치 및 그 자동 검수 방법
KR100416784B1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및 방법
CN211426723U (zh) 一种适用于锂电池充放电探针老化测试装置
KR101777903B1 (ko) 이차전지 관통 시험 장치 및 관통 시험 방법
CN207965009U (zh) 一种检测锂离子电池模块反极的装置
KR102544388B1 (ko) 원형 배터리 절연 검사장치
KR101398860B1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접착력 검사장치
KR100588507B1 (ko) 연료전지 스택의 파손셀 탐지장치
KR20060116604A (ko) 수소충전소의 연료전지 차량용 수소 누출 검사장치
CN211426660U (zh) 一种老化检测器
CN217484378U (zh) 一种燃料电池电控板检测装置
KR20240075969A (ko) 이차전지용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064307B1 (ko) 전지셀에 대한 충격량을 조절하여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